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Subjacency Revisited: Is it Real or a Reflex of Performance Biases?

        Yeun-Jin Jung(정연진) 한국언어학회 2015 언어 Vol.40 No.3

        In the studies of wh-in-situ in Korean/Japanese, grammaticality judgments over wh-island constructions have been notoriously unstable, variable, and even chaotic. For this prevailing controversy over the Subjacency issue, Kitagawa (2005) claims that the alleged Subjacency effect reported for wh-island constructions in Japanese is a “pseudo-grammatical” phenomenon; that native speakers’ preference over the subordinate wh-scope interpretation in wh-island constructions is a reflection of native speakers’ performance-related biases imposed on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wh-questions. In this paper I will argue that Subjacency does exist as a real (i.e., formal) syntactic constraint, serving as a pivotal condition on ruling out illegitimate wh-questions in the narrow syntax; that the confusion and chaos in the judgment of Korean/Japanese wh-island constructions stem from the sound-meaning mismatch in the interpretation of wh-questions at the SM interface, which is the locus of linguistic variation in detectable forms. In so doing, I will show how Jung’s (2015) alternative analysis of wh-constructions can capture the precise nature of wh-licensing and Subjacency controversy in wh-in-situ languages like Korean/Japanese.

      • KCI등재

        Syntax-Phonology Interface of Wh-questions

        정연진(Yeun-Jin Jung) 한국생성문법학회 2010 생성문법연구 Vol.20 No.1

        Since the advance of the Minimalist Program, the prosody of wh-questions has drawn much attention from both syntacticians and phonologists as they bear special significance for the illumination of the syntax-phonology interface. The prosodic properties of wh-questions in Busan Korean are particularly interesting in that they reflect syntactic information quite faithfully but with differentiating devices of intonation contour. Based on the experimental investigation of the correlation of wh-scope and prosody in Busan Korean, I will show what kind of syntactic information has direct relevance for the prosodic system, how it affects parametric differences among dialects, and how the nature of the correlation of wh-scope and prosody can be captured in the current minimalist theory.

      • KCI등재

        Specificity and Obligatory Object Shift in Korean Ditransitive Verb Constructions

        Jung Yeun-Jin(정연진) 새한영어영문학회 2005 새한영어영문학 Vol.47 No.3

        Harley (2002)는 영어의 수여동사 give와 send는 술어 CAUSE와 HAVE/LOCATION으로 각각 분해 (decompose)될 수 있고, 이러한 어휘적 분해는 표면적으로 이중목적어구문인 John gave Mary a book과 여격구문인 John gave a book to Mary라는 형태로 각각 표출된다고 주장한다. 한국어의 수여동사구문은 한국어가 뒤섞기 언어라는 특수성 때문에 영어와 유사한 두 가지 형태의 표면구조를 가지는가의 여부를 규명하기는 쉽지 않다. 이 문제에 대하여 Jung and Miyagawa (2004)는 한국어에도 영어와 유사한 두 가지 형태의 구문이 존재하며, 그 구문들의 특성도 기본적으로 영어와 동일함을 보였다. 그러나 Jung and Miyagawa (2004)가 관찰한 두 언어 간의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영어와 한국어는 이중목적어구문에 나타나는 간접목적어의 의미적 해석에 있어 중요한 차이점을 보인다. 즉, 한국어의 대격표지 간접목적어는 특정성이라는 의미해석 을 의무적으로 가지는데 비해, 영어의 간접목적어는 그러한 의미제약이 없다. 본 논문은 영어와는 달리 한국어에서는 왜 그러한 특정성 제약이 있는가의 문제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은 한국어의 대격표지 간접목적어가 가지는 특정성 해석은 영어와는 달리 술어 VCAUSE가 이중 대격을 인허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자연적 귀결임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Categorial Prototypicality' in the Minimalist Program: A Derivational Account

        Jung, Yeun-Jin 새한영어영문학회 2000 새한영어영문학 Vol.42 No.1

        기능-인지주의 언어학자들은 통사적 범주들은 원형을 가지고 있고 그 원형으로부터의 이탈을 보이는 정도가 매우 체계적이어서 이탈은 점진적 특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으며, 그러한 범주적 특성의 점진성은 기본적으로 의미적/화용적 요인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통사적 명사화와 같은 범주변화현상은 동사적 범주의 원형적 특징인 굴절요소가 점진적으로 상실된다는 점과 관련하여 문장과 명사구 사이에 범주적 연속성이 존재한다는 증거라고 주장한다. 한편 범주의 변별성을 전제로 통사적 현상들을 분석해온 생성문법모델에서 통사적 명사화현상은 동사의 최대투사 위에 명사구 혹은 그에 상응하는 명사적 투사를 구조적으로 설정함으로써 문장적 특성과 명사적 특성을 동시에 설명하려 해왔다. 본 논문은 동사성과 명사성을 동시에 지닌 통사적 명사화 구문은 어휘범주 자체의 범주변화 현상이라기보다는 명사화구문에 나타나는 관련 기능범주의 형태적 자질에 의해 파생되는 순수한 형식적 과정의 부산물임을 주장함으로써, 기능-인지주의 언어학자들이 주장하는 의미적/화용적 범주원형성의 전제나 기존의 생성문법학자들이 주장한대로 동사구 위에 명사구를 설정함으로써 야기되는 여러 가지 이론적, 경험적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좀 더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본 연구는 Chomsky(1998, 1999)의 최소주의이론을 바탕으로 통사적 범주는 연산의 과정에서 파생적으로 결정된다는 최소주의적 가정 하에 연산의 과정에서 자동적으로 예견될 수 없는 범주적 변이는 배번집합에서 관련된 범주자질이 선택됨으로써 통사적으로 반영된 결과이며 통사적 명사화 구문이 보이는 '점진적 특성'은 관련 기능법주의 일치자질의 특성에 기인하는 순수 통사적 현상임을 보여주었다. In this paper, I attempted to show that the so-called categorial prototypicality purported by functional-cognitive linguists can be accounted for under the tenets of the Minimalist Program without any reference to pragmatics-oriented notions and at the same time without postulating any structural redundancy against the Principle of Economy. With the assumptions that the categorial status of functional categories is determined derivationally, but that some categorial features which cannot be predicted in the derivational process may be assigned in the numeration, it was argued that the so-called gradient nature of nominalization constructions are consequences of purely formal processes which are driven by morphological properties of relevant inflectional elements in those constru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