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강가정사의 조직문화 인식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정여주 ( Yea Ju Jeong ),이기숙 ( Gee Sook Lee ) 한국가족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18 No.4

        본 연구는 건강가정사가 인식하고 있는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각 지역의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근무하고 있는 건강가정사 21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가정사들이 인식하는 한국의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문화는 집단문화 특성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순이었다. 둘째, 건강 가정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직무만족이 높은 항목은 동료 영역이었고, 그 다음이 리더십, 직무자체, 기관, 승진, 보수 순이었다. 셋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조직문화와 건강가정사의 직무만족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개발문화와 집단문화가 직무만족과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특히 집단문화는 승진, 보수에서, 개발문화는 직무만족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건강가정사가 인식하는 직무문화와 직무만족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발전적 방안과 건강가정사들의 행복하고 만족스러운 직무 수행을 위해 다음과 같은 논의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건강가정사들이 인식하는 건강가정지원 센터의 조직문화에는 집단문화적 특성이 가장 강하였다. 친밀감·인간적 배려를 제공하는 집단문화는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구성원 간에 협조적으로 근무하는 분위기를 조성하고, 조직 내에서 인간친화를 강조하는 점 등에서는 좋은 점은 있으나, 뒤집어 보면 조직이 온정주의(溫情主義)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비판과 논쟁에 취약한 분위기며, 그래서 합리적, 성장지향적 미션 개발에 소홀할 수 있는 점을 잠재된 문제점으로 고려해 보아야 한다. 특히 여성 종사자들이 대부분인 기관으로 비교적 안정, 행복, 단란함, 친밀함 등과 같은 정서적 분위기에 몰입하다보면 조직 전체가 보수적이고 안정지향적인 전망에 놓여질 수 있음에 대한 예민성이 필요하다. 둘째,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좀 더 혁신적인 조직문화와 만날 필요가 있다고 본다. 특히 조직문화 중개발문화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센터가 상호 협력 및 동기를 유발하고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며 외부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가도록 기관 내 학습적인 분위기를 조성하고, 또 타성에 젖지 않고 새로운 것이 대한 도전을 제안할 수 있는 직무평가 및 업무분장의 조절이 요구된다. 이 연구를 하면서 만난 건강가정사들은 자신들의 센터가 새롭고 미래 지향적인 제안에 두려움을 느끼는 즉 무사히 센터를 운영함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있어 새로운 사업 개발이 힘들다고 하였다. 새롭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자연스럽게 토론할 수 있는 개방적 조직문화를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 위의 두 가지 논의 즉,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집단문화적 특성이 강한 데서 예측되는 보수적이고 안정 지향적인 전망에서 나온 우려와 개발문화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건강가정 지원센터에 종사하는 건강가정사의 보수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미 언급했다시피 중앙건강가정 지원센터(한국건강가정진흥원)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교육을 개설하고 있으며 종사자의 교육 참여 정도는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센터 평가에 반영되기에 각 센터마다 중앙에서 이루어지는 교육에 종사자의 참여를 지원하고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건강가정지원센터에 종사하고 있는 건강가정사의 보수교육을 의무화하여 매년 정기적으로 실시함으로써 건강가정사의 전문성과 창의성 개발을 지원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갖고 있는 강한 집단문화적 특성을 완화시키고 개발문화를 더욱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연구결과에서 나온 바와 같이 개발문화는 직무만족의 전체 하위영역과 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는 점에서 개발문화의 촉진은 전반적으로 건강가정사의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의무적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하기 위해서 연차별, 직급별, 업무별로 세심한 직무분석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건강가정사의 직무만족을 살펴본 결과 동료, 리더십, 직무에 대한 만족도에 비해 보수, 승진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이는 경쟁력 있는 건강가정사들을 건강가정지원센터에 장기 근속함에 있어 저해 요인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급여체계 기준표 제시 및 시설 기준표도 휴먼서비스 분야와 비교해서 적절한 수준의 보수, 승진을 가능하도록 하는 제도적 차원에서의 노력이 필요하다. 그리고 승진에서는 전반적으로 센터의 구조적 문제를 언급할 필요가 있다. 즉 센터 설립 초기에 안정적 구축을 위해 위탁기관의 교수나 임원들이 비상근으로 센터장을 맡아 온 곳이 많다. 이럴 경우 총괄팀장(혹은 사무국장)의 승진이 구조적으로 봉쇄되면서 자연히 승진에 대한 기대를 가질 수 없게 되어 직무만족에 대한 기대가 감소되지는 않을 가라고 본다. 따라서 상근직 센터장 제도와 함께 승진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지속적으로 센터가 확대 개편되지 않을 상황이라면 장기적으로 건강가정사들이 센터장을 보직으로 보고 공동책임제 형태로 운영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한다. 넷째, 직무만족의 하위영역에 리더십이 있다. 본 연구는 이 부분에 대해 보다 집중적 관심을 가지지는 않았지만, 다양한 리더십이 제시되는 현대사회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 센터장의 리더십 분석이 필요하다고 본다. 현장에서 리더(센터장 및 사무국장, 총괄팀장)는 정기적 면담을 통해 직원의 능력과 자질을 파악하여 적합한 업무배치를 하여야 하며, 때로는 업무 순환제도를 통해 통합적 관점을 지니도록 리딩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리더는 더욱 직원 복지에 관심을 갖고 건강가정사들의 소진(burn out)예방에도 리더십을 발휘하여 센터 운영 및 직원역량 강화에 적극적으로 개입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건강 가정 관련 법규들을 준수하면서 투명하고, 합리적인 운영을 하여야 함과 동시에 건강가정지원센터가 공공재로서의 역할을 다 할 수 있는 개방성과 유연성도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건강가정지원센터가 지역에서 기관의 공신력을 쌓아가는 것에 노력하고, 센터장의 내외활동에 대한 효과도 검토 되어야 한다. 어똔 조직이든 ‘승진하기 힘든 구조’라는 것은 장기적으로 센터의 우수인력 확보에 걸림이 되는 상황이다. 다섯째, 건강가정지원센터도 향후 장기적 관점에서 바람직한 조직문화의 형성에 노력하여야 한다. 각 센터는 지역에서 조직이 계승 발전되어 가야된다는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업무를 설계하고 인력을 관리하는 철학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매년 조직문화를 점검하여 지속적으로 이어갈 조직문화는 계승하고, 부족하거나 약한 부분은 보완하는 등 균형이 잡힌 조직문화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지역별로 먼저 설립된 센터가 신규센터에게 조직문화의 중요성과 형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해 주는 선도 역할을 하여야 한다고 본다. 여섯째, 건강가정사들도 가족전문가로서 자기개발을 위한 노력을 하여야 한다. 중앙센터나 관련 학회 등에 참석하고, 정규교육이나 워크샵 등에 적극 임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기관은 조직문화와 직무만족에 관한 평가회 등을 통해 건강가정사들이 조직문화의 다양성과 직무만족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자신의 업무환경을 한 축으로 하여 건강하고 올바른 조직문화 형성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집단 특성을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로 유형화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므로 그 외 다른 차원의 조직문화 유형은 고려하지 못한 점이 있다. 그리고 직무만족도 선행연구에 근거해 직무자체, 리더십, 임금, 승진기회, 감독, 동료에 한정시켜 본 점이 역시 연구의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둘째, 본 연구의 자료수집 과정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지역별 개소 1년 이상)의 센터장 등 주요 행정 관리직은 배제되었다. 따라서 건강가정사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조직문화 및 직무만족 해석에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추후 조사대상 범위를 확대하여 상호 비교해 볼 필요도 있다고 본다. 이상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이 연구가 갖는 의의는 기존의 행정학, 경영학, 사회복지학에서 연구된 조직문화 연구를 가족학 영역에서 건강가정지원센터에 대해 조사한 점과 건강가정사들의 직무만족 수준을 알고 또 어느 영역의 직무만족도가 낮은가를 파악한 것은 건강가정지원센터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기본 자료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는 점이다. This study`s aim i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ype of organizational culture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healthy family specialists. The study was conducted by investigating 214 healthy family specialists at the HFSC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nationwide.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HFSC include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Hierarchy culture, and Rational culture, in that order of importance. Seco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s perceived by healthy family specialists was determined by such categories as coworkers, leadership, the work itself, organization, promotion, and salary, in that order of importance.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specialists based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HFSC showed a meaningful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Development culture and Group culture, and job satisf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y contribute to institutional improvements such as more appropriate salaries and a promotion system, the readjustment of task evaluation and distribution of work, and the formation of an open organizational culture where new creative ideas can b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초임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 경험연구

        정여주(Yeo-Joo Jung),이정랑(Jeong-Rang Lee) K교육연구학회 2024 사회과학리뷰 Vol.9 No.1

        본 연구는 초임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시·군에 근무하는 3년 이내의 초임사회복지사 8명을 심층 면담한 후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초임사회복지사들의 감정노동의 실체는 14개의 하위 구성요소와, 6개의 중심의미로 추출되었다. 참여자들은 전문가로서 근무하지만 이들이 근무하는 환경은 생각했던 것과 다른 상황이다. 사회복지사의 업무는 때로는 문제가 있는 클라이언트로부터의 다양한 폭력 상황에 높이게도 되고, 한 사람의 인생에 개입한다는 것에 두려움도 갖는다. 또한 관료제의 상하관계에 대한 요구로 갑갑함을 느낀다. 진정 원해서 선택한 길이지만 다른 길로 가야 할지 고민도 하지만 다시 사회복지사로서 자신의 소명을 찾으려 한다. 또한 더욱 전문가로서 성장하기 위한 노력을 하며, 사회복지사들이 지속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 감정노동을 예방할 수 있도록 기대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초임사회복지사의 감정노동의 실체를 파악하여 정책적·실천적 근거자료를 구축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충청남도 지역의 시·군지역의 이용시설의 초임사회복지사만을 대상으로 했다는 점에서 일반화의 한계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emotional labor among novice social worker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novice social workers, within their first three years of employment, working in cities and counties in Chungcheongnam-do, followed by qualitative analysis. The essence of the emotional labor of novice social workers was extracted into 14 sub-components and 6 core meanings. Participants work as professionals, but the environments they work in are different from what they expected. Social workers' duties sometimes escalate into various violent situations from problematic clients, and they also experience fear of intervening in someone's life. They feel stifled by the demands of the bureaucratic hierarchy. Despite choosing this path willingly, they contemplate whether to pursue a different career but seek to rediscover their calling as social workers. They strive to grow as professionals and hope for measures to prevent emotional labor so that social workers can continue working sustainably. Last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reality of emotional labor among novice social workers, providing policy and practical evidence. However, the study is limited in its generalizability as it only involves novice social workers in municipal facilities in the Chungcheongnam region.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

        정여주(Yeo-Joo Jung),이정랑(Jeong Rang Lee) K교육연구학회 2023 사회과학리뷰 Vol.8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알아보고 이들에 대한 지원 요구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0명의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을 심층 면담한 후 질적 분석을 진행하였다. 사회복지전공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경험은 4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로 구분되었다. 참여자들은 사회복지 현장에 대해 근무환경의 열악성과 낮은 임금 등으로 취업 선택을 어렵게 느끼며, 실습과 봉사가 참여자들의 진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또한, 참여자들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후 발생할 수 있는 팬데믹 상황에서도 사회복지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온라인 교육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현장 맞춤형 실질적인 교육이 학교 교육과 실습 교육에서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 양성 제도가 다양해진 상황에서 사회복지 전공 졸업예정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지원계획의 근거자료를 구축했다는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충남지역의 대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뿐 아니라 코로나19가 한참이던 2022년도에 진행되었기 때문에 참여자들의 진로 및 취업 준비에 대한 경험을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sought to find out the experience of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and to specifically identify their support needs. For this purpos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after in-depth interviews with 10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The career and employment experiences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were divided into four upper categories and nine lower categories. Participants find it difficult to choose employment in social welfare fields due to the poor working environment and low wages, and practice and volunteer work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ticipants' career paths. In addition, the participants had many difficulties in preparing for careers and employment in the COVID-19 situation. In order to support the careers and employment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even in a pandemic situation that may occur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variety of online education systems, and provide practical training tailored to the field. Education is needed in school education and practical training.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experiences of prospective social welfare major graduates regarding their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in a situation where social worker training systems have diversified, and established the basis for support plans for them. However, because this study not only targeted college students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and was conducted in 2022, when COVID-19 was well underway, there are limitations in generalizing the participants' experiences of career and employment preparation.

      • KCI등재

        NTIS 국가연구개발사업 정보를 활용한 치유농업 국가 R&D 동향 분석

        정여주 ( Jung Yeo-Joo ),김정은 ( Kim Jeong-eun ),류진석 ( Ryu Jin-seok ),양명석 ( Yang Myung-Seok ),김대식 ( Kim Dae-sik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1 농촌계획 Vol.27 No.3

        As the paradigm of green has been expended as the core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Korea, agro-healing projects increasingly have been a priority at the national policy and investment area. But little is known about the current overview of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R&D) related to agro-heal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generally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s of national R&D related to agro-healing over the past five years. Dataset were gathered from provided by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NTIS), word cloud techniques were applied. The main results showed that amounts of number and funding related to agro-healing projects have been increasing. In particular, th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had the highest number of research, and it was found that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have spended a lot of money on agro-healing. As a results,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the field of agro-healing projects, especially at the multisectoral and intersectoral level for improving health, well-being and a sustainable future.

      • KCI등재

        중소병원 야간교대근무 간호사의 수면의 질, 직무몰입, 웰니스의 관계

        여주 ( Yeojoo Chae ),고영심 ( Youngshim Go ),김지아 ( Jia Kim ),채경 ( Chaecyeung Jeong ),이민희 ( Minhui Lee ),하영미 ( Yeongmi Ha )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구 한국보건통계학회) 2017 보건정보통계학회지 Vol.42 No.4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sleep, job commitment, wellness, and identify contributing factors affecting on the wellness of night shift nurse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Methods: One hundred twenty four nurses who had working experiences with night shifts for 6 months or more completed a pack of questionnair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test, ANOVA with Scheffe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Factors including quality of sleep, job commitment, and wellness were identified. The quality of sleep score of the subject was 7.55(0-21), the job commitment was 20.17(7-35), and the wellness was 2.93(1-5). There was no significant in wellnes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subjects' well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sleep(r=-0.31, p<0.001), an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commitment(r=0.45, p<0.001).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wellness of night shift nurses showed that job commitment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p<0.001), followed by quality of sleep(p=0.049). In the regression analysis, quality of sleep and job commitment were significant predictors and explained 21.9%(p<0.001) of wellness. Conclusions: Results of this study have suggested that job commitment and quality of sleep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nurses' wellness in medium and small-sized hospitals. Therefore, there is a needed to develop a program with an enhancement of job commitment and a strategy of improving quality of sleep.

      • KCI등재

        농촌 폐교재산 활용 활성화를 위한 우수 시설 이용자의 만족도와 영향 요인 조사

        김정은 ( Kim Jeong-eun ),류진석 ( Ryu Jin-seok ),김대식 ( Kim Dae-sik ),정여주 ( Jung Yeo-joo ) 한국농촌계획학회 2023 농촌계획 Vol.29 No.1

        Although user satisfaction and activation are noting new, factors related to user emotion have been a part of the important subject shared by most people for management. But few studies have known in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using closed rural schools. The samples were collected through self-completed a questionnaires, a total of 322 users data were identified by SPSS 25.0 and frequency and descriptiv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General user satisfaction of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using closed rural schools reach a total or 8.52 points(out of a total of 10 points), 2) significant factors related to user satisfaction are comparative satisfaction, recognition of contribution to the local economy, age, job. A key insight from these results is that most users are satisfied with the culture and welfare facilities using closed rural schools. And relationship between user satisfaction and a variety of variables indicates the essential for differentiation and utilization of service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several practical and political strategies taking the context and the needs of users as a way of enhancing the urban and rural welfare services.

      • KCI등재

        위기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안이(Yi Jeong Ahn),정여주(Yeo Ju Jeo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0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질풍노도의 청소년기에 현대 사회가 명명하는 ‘위기의 청소년’ 시기를 보내고 있는 청소년의 미술치료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장과정의 ‘위기청소년’에게 미술치료는 어떠한 경험과 경험적 의미를 가지는가에 관한 탐구에 있다. 탐구를 위해 질적연구 방법 중 하나인 Clandinin과 Connelly의 내러티브 탐구 방법론을 근거로 미술치료의 과정을 통해 보다 심층적으로 관찰하고 기술하였다. 내러티브 탐구 결과, 연구 참여자인 ‘위기청소년’은 미술치료를 통하여 스스로 깨닫지 못한 행동에 대하여 <자기감정의 인식과 표현>을 경험하였다. 또한 미술치료의 새로운 관계 안에서 긍정적 소통을 <부모님과의 긍정적 소통>으로 재경험하며 그 소통을 통해 자신이 원하는 학교로 전학을 이행하는 <삶의 의미를 찾아가는 선택>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위기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의 접근을 통해 미술치료적 ‘소통’이 주는 ‘공감’의 의미가 청소년의 자기 경험과 경험의 의미가 갖는 자기성장의 가치를 탐구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an inquiry of identifying what kind of experiences the life stories attained from art therapy gave to the at‑risk adolescents in the course of the life process called crisis, and what kind of meaning was imparted by such experiences. Based on the narratives of the Narrative Exploration Methodology of Clandinin and Connelly, one of th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bservation and description were made in more depth through the process of art therapy. The result of this study allowed the ‘at‑risk adolesc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to experience the <recognition and expression of self‑emotion> regarding the behaviors that had not been realized by themselves. Also, the therapy allowed the participants to experience the <choices to seek the meaning of life>, which was to choose what school he or she wanted to transfer to, through the course of re-experiencing and extending th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the researcher through the art therapy into the <positive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value of self-growth, in which the meaning of sympathy given by art therapy communication through the approach of narratives, has the meaning of self-experience and experience for at‑risk adolescents .

      • KCI등재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김희(Hee-Jeong Kim),박민(Min-Jung Park),변혜진(Hye-Jin Byun),신은자(Une-Ja Shin),정여주(Yeo-Ju Chung)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6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의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소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직무스트레스를 독립변인, 자아탄력성을 매개변인, 사회적 지지를 조절변인, 소진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그 관계와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3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233부를 실증분석에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 환경적 요인(학력, 경력, 치료시간, 시간 당 소득, 슈퍼비전 횟수) 중 경력만이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둘째,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는 자아탄력성에 의해 부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자아탄력성과 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이 이를 매개하며, 이러한 매개효과가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서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나 조절된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burnout of art therapists.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and the effect by setting a research model with job stress as independent variable, ego-resilience as mediator variable, social support as control variable, and burnout as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do this study,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rt therapists and the 233 questionnaires were used finally for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nly career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personal environmental factors (education, career, treatment time, income per hour, number of supervis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was partially mediated by ego-resilience. Third, social support showed a regul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resilience and burnout. Thus, ego-resilience showed a mediation effect in the path that job stress affects burnout, and this mediation effect varies with the level of social support. So the moderated mediation effect was confirmed.

      • KCI등재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을 위한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 연구

        손창배(Shon, Chag_Bea),정여주(Jeong, Yeo-Ju) 한국미술치료학회 2021 美術治療硏究 Vol.2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사의 디지털 매체 체험의 구성요소와 구조를 살펴보고 그 의미를 파악함으로써, 디지털 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탐구하는 데 있다. 연구 참여자는 미술치료사 5명으로 주 2회, 10회기, 회기당 90분의 디지털 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자료 분석은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체험연구 방법을 따랐다. 연구 결과 체험의 구조는 ‘안정적인 치료 환경의 조성’, ‘매체 탐색 및 조작 능력의 습득’, ‘디지털 매체의 치료적 촉진성’, ‘디지털 매체의 치료적 제한성’, ‘디지털 매체의 기능과 치료 목적의 적합성’, ‘디지털 매체 적용의 상호보완적 확장 및 개발의 필요’로 드러났다. 체험의 의미는 ‘디지털 미술치료의 준비요소’, ‘디지털 미술치료의 치료적 특성’, ‘디지털 미술치료의 보완적 측면’으로 도출되었다. 체험의 구조와 의미를 바탕으로 파악된 디지털 미술치료의 적용 가능성은 안정적인 치료 환경과 능숙한 매체 조작 능력을 전제 조건으로, 목적과 대상에 적합한 디지털 매체의 적용은 내담자의 창의적 표현을 촉진하는 치료적 매개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에 관한 경험과 이해에 도움이 되며, 디지털 미술치료 적용 가능성의 토대를 마련했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by examining the elements and structure and grasp the meanings of art therapists’ digital media experience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Using typical case sampling, five art therapists who fitted the desired profile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igital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between October 1 and November 12, 2019, twice a week for 90 minutes per session, together with in-depth interviews. The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laizzi’s(1978) metho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as derived as “creation of a stable therapy environment,” “exploration of media and acquisition of media manipulation skills,” “therapeutic facilitation of digital media,” “therapeutic limitation of digital media,” “interac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digital media and therapeutic objectives,” and “application of digital media and extension of their application”. Descriptions of the structure of experience were “preparations needed for digital art therapy,”,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t therapy,” and “complementary aspects of digital art therapy”.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identified based on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the experience, are collectively a therapeutic mediating factor that promotes the creative expression of the client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table treatment environment, skillful media manipulation, and digital media suitable for the purpose and target of therap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wo key ways; not only provides an experiential understanding of but also lays the foundation for the potential and applicability of digital ar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