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굴 패각 가루와 함초 가루를 첨가하여 제조한 갓김치의 품질특성과 저장성

        정복미,정선진,김은실,Jung, Bok-Mi,Jung, Sun-Jin,Kim, Eun-Sil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0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0 No.2

        In this study,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torage properties of gat kimchi added with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were investigated during a storage time of 80 days at $5^{\circ}C$. After storage for 80 days, the average calcium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than the control. In addition, the average hardness valu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OS4 group(oyster shell powder at 4%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than the control group, as well as the OS10 group(oyster shell powder at 10%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at 2%) during storage for 80 days. The hunter b value of the OS4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During fermentation,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and Salicornia herbacea powder had a higher pH and a lower acidity value than the control group. In terms of sensory evaluati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ontrol and calcium-added kimchi during fermentation. After 40 days of storage, the OS4 group showed a lower total viable count, as well as lower lactic acid bacteria, yeast and E. coli,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and OS10 groups. Based on the microbial load, the gat kimchi containing the oyster shell powder showed limitations in terms of shelf life.

      • KCI등재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천년초 줄기 분말 첨가 쿠키의 품질특성 및 최적화

        정복미,김다솔,주나미,Jung, Bok-Mi,Kim, Dah-Sol,Joo, Nami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and determine the optimal composite recipe by three different amounts of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in cookies prepared with Opuntia humifusa powder. In regard to its antioxidant effects, Opuntia humifusa powder had a total phenolic content and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6.64{\pm}0.54mg/g$ and $90.12{\pm}0.42%$, respectivel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was used to obtain sixteen experimental points(including three replicates for Opuntia humifusa powder, sugar and butter) and Opuntia humifusa cookie formulation was optimized using rheology. The results of the sensory evaluation produced very significant values for color (p<0.05), flavor (p<0.05), texture (p<0.05), sweetness (p<0.05), appearance (p<0.05), overall quality (p<0.05), and the results of instrumental analysis showed significant values in sweetness (p<0.001), hardness (p<0.001), lightness (p<0.001), redness (p<0.001), yellowness (p<0.01). As a results, the optimum formulations obtained by numerical and graphical methods were found to be 3.11 g of Opuntia humifusa powder, 35.00 g of sugar and 50.54 g of butter.

      • SCOPUSKCI등재

        옥수수가루, 탈지 콩가루 및 오징어를 이용한 스낵제품의 물리화학적 특성연구

        정복미(Bok-Mi Jung),김은실(Eun-Sil Kim),이기춘(Khee-Choon Rh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0 No.2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옥수수가루를 이용하여 압출 성형 제품을 제조하여 물리적 특성을 측정한 결과 일반성분은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이 높을수록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제품의 팽화율, 전단력, 밀도를 측정한 결과 팽화율은 오징어 첨가 수준이 증가할수록 팽화율의 감소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 데 비해,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에 따른 변화는 없었다. 제품의 전단력은 오징어 5%와 탈지 콩가루 0%를 혼합했을 때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것은 오징어 7%이면서 탈지 콩가루 10%로 혼합한 제품이었다. 압출성형 제품의 밀도는 오징어 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탈지 콩가루의 수준별로 나타난 밀도는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밀도는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 측정에서 오징어 첨가수준과 탈지 콩가루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명도는 낮아졌다. 적색도는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첨가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황색도는 오징어와 탈지 콩가루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감소하여 적색도와 반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제품의 관능평가에서 외관, 향, 질감, 전반적 인지도에서 오징어 0%, 3%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얻었으며, 오징어 함유수준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extrudates combining 4 levels of squid (0, 3, 5 and 7%) with 3 levels of defatted soy flour (0, 5, and 10%). Blends were adjusted to moisture content of 27% and then extruded in a single-screw laboratory extruder at 170 rpm screw speed and 160℃ barrel temperature. The extruded materials were dried at 60℃ for 8 hr to a moisture content of 3~4% and refrigerated at 4℃ for 12 hour before examination for textural properties, expansion ratio, bulk density, shear force and Hunter color.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decreased as squid content increased whereas bulk density and shear force increased. Expansion ratio of extrudate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defatted soyflour level. Bulk density of products de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but shear force of products increased as defatted soyflour content increased. In scores of sensory hedonic evaluation of snacks, appearance, flavor, texture and overall acceptability values had lowered as squid level increased. Therefore, according to materials contents on extrudates increased, nutritional contents of this products increased and also shear force and bulk density in physical properties increased whereas expansion ratio decreased.

      • KCI등재

        돼지감자의 품종별 유기산, 유리당 및 휘발성 향기성분

        정복미(Bok-Mi Jung),신태선(Tai-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6 No.7

        돼지감자의 품종별 유기산, 유리당 함량 및 휘발성 향기성분을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감자에 함유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였으며, mal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citric acid로 나타났다. 총유기산 함량은 흰색이 2,065 ㎎/100 g, 자색은 2,482 ㎎/100 g으로 자색 돼지감자의 함량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다. 유리당은 sucrose, fructose, glucose로 나타났으며, sucrose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총유리당 함량은 흰색이 24.95 g/100 g, 자색이 11.57 g/100 g으로 나타나 흰색돼지감자의 총유리당 함량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향기성분에서 돼지감자는 품종별, 처리방법과는 관계없이 acid류 5종, alcohol류 13종, aldehyde류 19종, hydrocarbon류 12종, ketone류 15종, 기타 8종, pyrazine류는 27종, terpene류는 18종이었으며, 총 117개의 휘발성 성분이 확인되었다. 돼지감자에는 terpene류가 가장 많았으며, terpene류 중에서는 β-bisabolene이 주된 성분이었다. 두 번째로 많은 화합물은 aldehyde류였으며, hexanal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처리방법에 따른 차이로 볶은 시료에서는 pyrazine류가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2,5-dimethyl-3-ethylpyrazine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2,5-dimethylpyrazine으로 나타났다. 자색시료보다 흰색시료에 함량이 높은 화합물은 aldehyde류, hydrocarbone류였으며, 흰색시료보다 자색시료에 많은 화합물은 terpene류와 alcohol류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contents of organic acids, free sugars, and volatile flavor compounds by type of Jerusalem artichoke (Helianthus tuberosus L.). Organic acids in dried Jerusalem artichoke were mainly composed of malic acid, citric acid, and succinic acid. Sucrose, fructose, and glucose were the major sugar components of dried Jerusalem artichoke. Free sugars were more abundant in the white colored sample than in the purple colored sample. In contrast, purple colored sample contained more organic acids than the white colored one. Volatile compounds in Jerusalem artichoke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olid-phase micro-extraction method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A total of 117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in Jerusalem artichoke, and chemical classification was as follows: 5 acids, 13 alcohols, 19 aldehydes, 12 hydrocarbons, 15 ketones, 8 miscellaneous, 27 pyrazines, and 18 terpenes in all samples. Terpene was the most abundant in Jerusalem artichoke, and β-bisabolene was the main component in terpenes. The second most common compound was aldehyde, and hexanal was the highest. Pyrazines were the most abundant in the roasted samples, and 2,5-dimethyl-3-ethylpyrazine was present at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2,5-dimethylpyrazine. Compared with purple samples, main compounds contained in white samples were aldehydes and hydrocarbons, whereas the major compounds in purple samples were terpenes and alcohols.

      • KCI등재후보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 및 건강관리 실태 조사에 관한 연구 - 5대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를 중심으로 -

        정복미(Bok-Mi Jung),임상선(Sang-Sun Lim),김은실(Eun-Sil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1 No.3

        본 연구는 도시 직장인들의 생활습관과 건강관리를 파악하기 위하여 5대 도시(부산, 여수, 창원, 진주, 인천)의 직장에 근무하는 20~60세의 남녀 직장인 965명을 대상으로 1997년 3월부터 10월까지 건강 및 생활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신의 건강상태 평가에서 ‘좋다’는 43%, ‘보통’은 52%, ‘나쁘다’는 4.1%로 답하였다. 대체로 남성이 여성보다 건강상태가 ‘좋다’고 답하였다(p<0.01). 평소에 좋지 않은 부위 또는 질병상태는 조사대상자들의 42%가 위가 좋지 않은 것으로 답하였으며, 다음으로 간, 비만, 신경질환 순이었다. 위 질환은 남녀의 비율이 비슷하였으며, 간, 폐 질환과 당뇨병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높았고, 비만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높았다(p<0.001). 지역별, 연령별, 직업별 모두 위 질환이 많았으며, 다음으로 간 질환이었다(p<0.01). 아침운동은 ‘항상 한다’고 답한 사람은 전체의 10%, ‘가끔 한다’는 26%, ‘전혀 하지 않는다’가 63%로 나타났다.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인천이었고, 창원에서는 가장 낮았다. ‘전혀 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여수이며, 가장 낮은 비율은 창원이었다(p<0.001). 남성이 여성에 비해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고 있었으며(p<0.001). 41~50세에서 아침운동을 ‘항상 한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21~30세에는 ‘전혀 하지 않는다’고 답한 비율이 가장높았다(p<0.001). 운동의 종류는 산책이 33%, 조깅이 25%, 체조 14%, 골프 6.4%, 줄넘기, 테니스 순으로 나타났다. 줄넘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운동비율은 남성들에서 높았으며(p<0.001), 41~50세에서는 산책이, 21~40세에서는 조깅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수면시간조사에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한 시간은 5~8시간이었다. 5대 도시 직장인들이 정기적으로 가장 많이 복용하는 약은 비타민제, 다음으로 보약, 소화제 순이었다. 직장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보약을 더 많이먹었으며,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 변비 약을 정기적으로 복용하였다(p<0.001). 직장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좋은 건강관리방법은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라고 답한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운동, 소식, 보약 순이었다.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높게 나타난 지역은 부산이었고, 그 외 지역은 운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다(p<0.0001). 남성들은 운동을 건강관리의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고, 여성들은 규칙적인 생활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답하였다(p<0.001). ‘흡연을 한다’는 41%, ‘하지 않는다’는 59%로 답하였고, 진주를 제외한 다른 지역에서는 흡연을 하지 않는 비율이 더 높았다(p<0.001). 남성은 여성에 비해 흡연율이 높았으며(p<0.001), 20대는 약간 낮았으나 30대 이후에는 흡연비율은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01). 직업별로는 회사원, 공무원, 전문직은 비 흡연율이 높았으며, 자영업, 생산직, 영업직, 서비스직에서는 흡연율이 높게 나타났다(p<0.001). 알코올 섭취조사에서 술을 ‘마신다’고 답한 사람은 대상자의 78%, ‘마시지 않는다’는 22%였으며, 남성은 조사대상자의 85%, 여성은 67%가 술을 마신다고 답하였다(p<0.001). 21~30세에서 술을 가장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마시는 술의 종류로는 소주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맥주, 위스키 순이었다. 소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진주, 맥주를 가장 많이 마시는 지역은 부산이었으나, 모든 지역에서 소주와 맥주의 비율이 비슷하게 나타났다(p<0.01). 남성들은 여성에 비해 소주를, 여성들은 남성에 비해맥주를 즐겨 마셨으며(p<0.001), 21~30세에서는 소주보다 맥주를, 31~50세에서는 맥주보다 소주를 더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본 연구 결과 도시 직장인들은 건강은 보통이상으로 답하였으나, 위 및 간이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운동하는 비율이 낮았으며, 음주비율이 높으므로 도시직장인들을 대상으로 건강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습관을 고쳐 건강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This study was to evaluate health management and life habits of the urban salaried workers. The results showed the followings: There were more men than women who thought their health good (p<0.01). Stomach disease was the highest in the subjects, and the second was liver disease (p<0.001). Of respondents, 10% always exercised in the morning, 26% often, and 63% never. Men took exercise more regularly than women (p<0.001). The kinds of exercises were walk (33%), jogging (25%), physical training (14%), golf (6.4%), rope jumping, and tennis. Men ate healthy drug more than woman. Most of men thought that sports were the best for health management. Women considered that having regular habits was the best for control of her health. The smoking rate of respondents was 41%, and the rate in Chinju showed higher than the other area (p<0.001). Man smokers were more than women (p<0.001). Drinking rate of respondents was 78%. Men enjoyed soju, while women liked beer (p<0.001)

      • KCI등재

        쑥부쟁이 분획물의 in vitro 암세포증식 억제 및 QR 유도효과

        정복미(Bok-Mi Jung),임상선(Sang-Sun Lim),박윤자(Yun-Ja Park),배송자(Song-Ja Ba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5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4 No.1

        본 연구는 약용 및 식용 식물로 사용되고 있는 쑥부쟁이 추출물과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와 QR 유도 효과를 실험하였다. 쑥부쟁이의 metanol 추출 및 용매 분획물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MTT assay로 실험한 결과, 3종의 인체 암세포주, 간암세포주인 HepG2, 자궁경부암 세포주인 HeLa 및 유방암 세포주인 MCF-7에서 모두 쑥부쟁이의 ethyl ether 분획층인 AYMEE층과 ethyl acetate 분획층인 AYMEA층에서 암세포 성장 저지 효과가 제일 컸다. 특히 HepG2 세포주에서는 AYMEE를 200 ㎍/mL 첨가시켰을 때 94.5%의 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났으며, 농도를 증가 시킬수록 그 효과가 커져 500 ㎍/mL에서는 97.7%의 저지효과를 보였다. MCF-7 세포주와 HeLa 세포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경향이었다. Butanol층인 AYMB와 메탄올층인 AYM에서는 대체적으로 낮은 농도에서는 효과가 약하였으나 300 ㎍/mL 이상에서는 높은 암세포 성장저지 효과를 보였다.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암 예방 지수인 QR 유도 활성을 측정한 결과, 다른 분획층에 비해 비극성 용매층인 hexane 분획층, AYMH에서 QR 유도 활성을 증가시키는 경향이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inhibitory effects on cell survival and quinone reductase induced activity of Aster yomena (AY) on human cancer cells which, using methanol, was extracted and fractionated into five different solvent types: hexane (AYMH), ethylether (AYMEE), ethylacetate (AYMEA), butanol (AYMB) and aqueous (AYMA) partition layers.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cytotoxicity of various Aster yomena partition layers on HepG2, HeLa and MCF-7 cells by MTT assay. Among various partition layers of Aster yomena, AYMEE and AYMEA showed the strong cytotoxic effects on all cancer cell lines we used. The quinone reductase (QR) induced activity on HepG2 cells, AYMH at a does of 100 ㎍/mL was 2.46 times more effective compared to the control value of 1.0.

      • SCOPUSKCI등재

        천년초 줄기의 항균, 항산화 및 항암효과에 관한 연구

        정복미(Bok-Mi Jung),신미옥(Mi-Ok Shin),김형락(Hyung-Rak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는 천년초 줄기를 이용하여 항균, 항산화, 항암 등 천년초의 생리활성 효과를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천년초 줄기의 추출물중 gram 양성균인 4가지 균주(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Clostridium perfringens, Bacillus cereus)에서 항균 효과가 나타난 것은 메탄올과 핵산층이었으며, 4가지 균주 중 Bacillus cereus를 제외한 3종에 대해서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냈다. 천년초 줄기의 peroxynitrite(ONOO<SUP>-</SUP>) 제거능 측정결과 핵산층을 제외한 메탄올층, 부탄올층, 수층의 항산화 활성은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항산화 효과가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 추출물의 각 용매별 DPPH 유리기 소거능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소거능도 유의적으로(p<0.05) 증가하였으며, 부탄올>메탄올>수층>핵산층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 줄기의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에서 피부암 세포의 경우 50~100 μg/mL의 농도에서 메탄올층과 핵산층이 수층과 부탄올층에 비하여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간암세포인 HepG2의 경우 추출물 100 μg/mL의 농도를 기준으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p<0.05) 높았고, 핵산층>부탄올층>수층의 순으로 나타났다. 대장암세포인 HT-29 역시 메탄올층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나타났다. 유방암세포인 MCF-7은 메탄올층>핵산층>수층>부탄올층 순으로 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볼 때 천년초 줄기의 항균, 항산화, 항암 효과가 높게 나타나 줄기를 활용한 항균제품이나 여러 가지 가공제품을 개발하는데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ntimicrobial,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of Opuntia humifusa (OH) stems. OH stems were extracted with hexane, methanol, butanol and water. The methanol and hexane fraction exhibite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ies on three strains of microbes, Rhodococcus equi, Staphylococcus aureus, and Clostridium perfringens. In the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NOO<SUP>-</SUP>) of OH stems,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methanol, butanol and water fraction but not hexane fraction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OH stems were high in the butanol fraction compared with other fractions. Anti-proliferation effects on the B16-F10, HepG2, HT29, and MCF-7 cell lin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thanol and hexane fractions than in the water and butanol fractions at 100 μg/mL concentration of extra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OH stem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with biological activity.

      • KCI등재

        전남 신안에서 재배되는 비금 섬초의 품종별 식품성분

        정복미(Bok-Mi Jung),강은아(Eun-A Kang),신태선(Tai-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0

        본 연구는 내륙과 섬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의 성분과 관능평가를 비교하기 위하여 육지에서 재배하는 포항초와 전남 신안군에 위치하고 있는 비금 섬초의 품종별 일반성분, 무기질 함량, 게르마늄 함량, 유기산 함량, 유리당 함량, 비타민 A, C, E 함량, 색도측정,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성분은 수분과 회분은 포항초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 단백과 탄수화물, 조 섬유에서는 비금 섬초의 중생종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은 포항초는 칼륨, 아연 함량은 높게 나타났으며, 칼슘, 철, 마그네슘, 망간, 나트륨 함량은 낮게 나타났다. 비금 섬초의 경우 중만생종은 칼슘, 칼륨, 망간, 나트륨 함량이 포항초에 비해 높았으며, 만생종은 철분, 마그네슘, 망간, 아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중생종은 철분, 구리, 아연 함량만 높게 나타났으며, 조생종은 철분과 구리 함량을 제외하고 다른 성분은 낮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게르마늄 함량의 경우 비금 섬초의 만생종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생종, 중생종, 중만생종에서는 비슷하게 나타난 반면, 포항초에서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기산의 함량은 옥살산, 구연산, 말산, 개미산의 함량은 비금 섬초의 만생종과 조생종에서 대체로 높게 나타났으며 포항초는 호박산, 초산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유산, 주석산은 포항초와 비금 섬초에서 모두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당 함량은 유당을 제외한 모든 당이 비금 섬초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조생종과 만생종에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중생종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으며, 비타민 C 함량은 비금 섬초가 포항초에 비해 3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E 함량은 중만생종을 제외한 비금섬초에서 포항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데치기 전 명도는 포항초와 섬초의 종별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고, 적색도는 중만생종과 만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황색도는 만생종과 조생종이 높게 나타났다. 데친 후 명도는 비금 섬초의 중만생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조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적색도는 만생종과 중생종이 가장 높았으며, 중만생종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황색도는 만생종이 가장 낮았고, 조생종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포항초와 비금 섬초의 종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데친 후 관능평가를 한결과 색을 제외한 맛, 단맛, 질감, 좋아함에서 포항초에 비해섬초의 조생종이 유의적으로(p<0.05)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components of Bigum spinach growing in Jeonnam Shinan.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Pohang spinach of inland and jo-saeng, chung-saeng, man-saeng, chungman-saeng spinach of Bigum located on Jeonnam Shinan. We analyzed proximate composition, mineral content, germanium, organic acid, free sugar, vitamin A, C, and E contents. We conducted the sensory evaluation after blanching and color changes of before and after blanching of 5 kinds of spinac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moisture and ash cont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Pohang spinach than Bigum spinach. Crude protein, carbohydrates and crude fiber contents were higher in Bigum spinach than Pohang spinach. In mineral contents, potassium and zinc contents were higher in Pohang spinach than Bigum spinach whereas calcium, iron, magnesium, manganese, sodium contents were higher in Bigum spinach than Pohang spinach. Germanium contents was 14.06~27.16 ppb in Bigum spinach whereas not detected in Pohang spinach. In organic acid contents, man-saeng and jo-saeng of Bigum spinach were high in oxalic acid, citric acid, malic acid and formic acid contents. Succinic acid and acetic acid contents were high in Pohang spinach. Almost all free sugars were higher in Bigum spinach, especially jo-saeng and man-saeng, than Pohang spinach except lactose. Vitamin A contents was similar with Pohang and Bigum spinach except chung-saeng but vitamin C and E contents were higher in Bigum spinach than Pohang spinach. Color L (light) after blanching was significantly higher in chungman-saeng than other spinaches. Color a (redness) was significantly lower in chung-saeng and man-saeng than others and chungman-saeng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s. Color b (yellowness) was low in man-saeng and high in jo-saeng of Bigum spinach. In case of sensory properties after blanching, taste, sweet, overall preference were significant higher in Bigum spinach except chung-saeng than Pohang spinach.

      • KCI등재
      • KCI등재

        전남 여수 돌산지역에서 재배되는 천년초의 부위별 식품성분 분석

        정복미(Bok-Mi Jung),한경아(Kyung-Ah Han),신태선(Tai-Sun Shi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1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0 No.9

        천년초의 부위별 영양성분을 알아보고자 전남 여수시 돌산읍의 라파엘 농장에서 재배되고 있는 천년초의 열매, 줄기, 꽃을 동결건조한 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중 조 단백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 지방 함량은 열매, 조 회분은 줄기, 조 섬유는 열매와 줄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 함량 중 칼슘, 칼륨, 마그네슘, 나트륨, 망간은 줄기, 철분과 아연은 열매와 꽃, 구리는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구성 아미노산의 경우 열매는 pro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줄기는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고, 꽃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leucine, lysine 순으로 높았으며, 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꽃, 줄기, 열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포화지방산은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단일 불포화지방산은 oleic acid와 palmitoleic acid, 다 불포화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linolenic acid로 나타났다. 유리당의 주된 성분은 sucrose, fructose, glucose였으며, 당 함량은 열매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꽃, 줄기 순으로 나타났다. 천년초의 주된 유기산으로는 malic acid와 citric acid로 나타났으며, 유기산 총 함량은 열매, 꽃, 줄기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비타민 A의 함량은 꽃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은 열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지금까지 천년초의 가공제품은 주로 열매를 이용하였으나 줄기와 꽃에도 영양성분이 풍부하므로 앞으로는 줄기와 꽃을 이용하여 가공제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od components of the fruit, cladodes, and flowers of freeze-dried Cheonnyuncho harvested from Yeosu, Jeonnam in Korea. The major components of freeze-dried Cheonnyun-cho in proximate composition were carbohydrates and crude ash. Ca, K, and Mg were the predominant minerals in Cheonnyuncho. Calcium content was higher in the fruit and cladodes than in the flowers. Two major amino acids, glutamic acid and aspartic acid, made up over 25% of the total amino acids in Cheonnyuncho. Palmitic acid and stearic acid were most abundant out of all the saturated fatty acids in Cheonnyuncho. Th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of the fruit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lowers and cladodes. The major unsaturated fatty acid of Cheonnyuncho was oleic acid. The cladodes contained unusually high amounts of linoleic acid compared to the fruit and flowers. The major free sugar in the fruit was sucrose, whereas that of the cladodes and flowers was fructose. The total free sugar content was the highest in fruit, followed by cladodes. The most abundant organic acid in the fruits and cladodes was malic acid, while that of the flowers was citric acid. Vitamin A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flowers whereas vitamin C concentration was highest in the fru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