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농촌 “지역아동센터” 초등학생의 어휘발달

        정미란(Miran Jeong),임종아(Jong Ah Lim)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2

        연구목적: 농촌지역에 해당하는 Y군의 지역아동센터를 이용 중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언어발달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언어발달의 대표적인 지표가 되는 어휘발달 수준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Y군 내의 7개 지역아동센터의 1∼6학년 학생 130명을 대상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참가자는 1학년 33명, 2학년 19명, 3학년 24명, 4학년 30명, 5학년 14명, 6학년 10명이었다. 학년 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용어휘 점수와 표현어휘 점수 각각에 대해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전체아동의 어휘발달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정상발달, 어휘발달 약간지체, 어휘발달지체로 구분하여 빈도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수용어휘와 표현어휘 각각 학년 간 차이가 유의하였다. 또한 어휘발달 현황을 살펴보기 위해 어휘발달지체에 해당하는 빈도를 조사한 결과, 130명 중 31명(23.8 %)이 수용어휘 발달지체, 26명(20%)이 표현어휘 발달지체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농촌지역 지역아동센터의 초등학생들이 수용, 표현 어휘력 발달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언어발달 촉진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level of vocabulary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rural Community Child Centers in Y-Gun. Methods: A total of 130 students in grades 1 to 6 at seven Community Child Centers in Y-Gun participated in this study; 33 first graders, 19 second graders, 24 third graders, 30 forth graders, 14 fifth graders and 10 sixth graders.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usi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grade level, one - way ANOVA was performed for each of the receptive vocabulary score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score.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vocabulary development of the whole child, the frequency of development was classified into normal development, vocabulary at risk and vocabulary delay.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In the current status of vocabulary development, the frequency of vocabulary delay was found to be 31 (23.8%) out of 130 in the receptive vocabulary, and 26 (20%) in the expressive vocabulary. were delayed vocabulary development.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rural Community Child Centers have difficulties in developing the receptive and the expressive vocabular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ADHD 아동의 마음상태 동사 이해 능력

        정미란(Jeong, Miran),임종아(Lim, Jong 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 Vol.18 No.4

        연구목적: 마음상태 동사(mental state verb)는 인지, 감정 및 지각 등 내적인 마음의 상태를 나타내는 어휘를 말한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이 마음상태 동사를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있는지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3∼6학년 ADHD 아동 12명과 생활연령 및 언어 수준을 일치시킨 일반아동 12명을 대상으로 두 가지 유형의 마음상태 동사(감정, 인지)가 포함된 마음상태 동사 이해과제를 실시하였다. 각 문항마다 1점씩 총 48점(유형별 24점씩)만점으로 채점한 점수를 기초로 집단과 동사유형의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마음상태 동사 이해과제에서 낮은 수행을 보였으나 동사 유형과 아동집단의 수행 간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ADHD 아동들은 마음상태 동사이해의 어려움으로 타인의 마음상태에 대한 이해, 발언의 확실성 정도를 추측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 마음상태 동사의 중재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Purpose: Mental state verbs(MSVs) describe abstract inner cognitive, emotive or perceptive ev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mprehension of MSVs in children with ADHD compared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TD). Method: Twelve ADHD children in the third-sixth grade in elementary schools and 12 TD who matched their age and language leve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asked to choose a mental state verb for complete sentences. They read to a total of 48 sentences involving emotion and cognitive verbs. The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of group(2) × type(2) was performed with the obtained score. Results: The ADHD children showed lower scores than the TD. However,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between verb type and group performance.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children with ADHD may experience difficulty in guessing the degree of certainty and inferences about the state of mind of others due to difficulties in comprehension the mental state verbs. Thus, the necessity of intervention on mental state verbs is discussed.

      • KCI등재

        초등학교 3~6학년 일반학생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구문인식 비교

        정미란(Mira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3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 부진학생(poor comprehenders)은 단어 해호화와 재인능력은 연령에 적합한 수준이나 읽기이해력은 연령에 비해 지체되는 특성을 보인다. 본 연구에서는 주어진 어절들을 배열하여 어순에 맞게 문장을 구성하는 과제(word-order task)를 이용하여 일반학생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구문인식능력을 비교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 40명과 일반학생 40명을 대상으로 복문으로 구성된 26문항의 문장구성하기 검사를 실시하여 집단(2), 학년(2)에 따른 전반적인 수행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명사절을 안은문장, 부사절을 안은문장, 관형절을 안은문장 3가지 종류의 문장에 대해서 문장의 종류 별로 각각 집단(2), 학년(2)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전반적으로 일반학생은 읽기이해 부진학생에 비해 문장 구성하기 수행력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5, 6학년은 3, 4학년에 비해 문장 구성하기 능력이 유의하게 높았다. 3가지 종류의 문장에 대해서 살펴본 결과, 명사절을 안은문장은 집단의 주효과만 유의하였고 부사절을 안은문장과 관형절을 안은문장은 집단, 학년의 주효과가 유의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 부진학생이 문장구성하기에서 보인 결과를 통하여 그들의 구문인식능력의 특성과 그에 따른 읽기 이해의 어려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언어청각장애연구』, 2010;15;337-347.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yntactic awareness skills of poor comprehenders using a word-order task. Relative to their peers, the poor comprehenders had normal word decoding and recognition skills but delay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Methods: Eigh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3-6 participated in the present study. Among the participants, 40 were poor comprehenders and 40 wer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using a word-order task containing a variety of complex-sentence types in a total of 26 items. In order to test the developing changes in syntactic awareness skill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3rd and 4th graders in the younger group and 5th and 6th graders in the older group. For whole items, a two-way ANOVA of subject group (2) x grade (2) was conducted. Additionally, for each of the three complex-sentence types that included a subordinate clause, noun-clause, adjective-clause, relative-clause, a two-way ANOVA of subject group (2) x grade (2) was conducted. Results: For whole items,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group and age. For complex-sentences embedding a noun-clause, a significant main effect was found for group only. In contrast, for complex-sentence types embedding an adjective-clause or a relative-clause,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group and age. Discussion & Conclusion: The performances of the poor comprehenders on the word-order task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ir syntactic awareness skill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syntactic awareness for reading comprehension is further discussed.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2010;15;337-347)

      • KCI등재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 발달

        정미란(Jeong Mira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6 특수교육논총 Vol.31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발달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용․표현 어휘력 발달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학령기 어휘발달과 관련이 높은 요인을 확인하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방법: 초등 1∼4학년 다문화가정 아동 43명을 대상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령 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어휘발달 현황을 조사하였으며 연령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1, 2학년과 3, 4학년 두 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수용․표현어휘 점수에 대해 각각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어휘발달과 관련이 높은 변인을 찾아보기 위하여 여러 변인들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수용․표현어휘의 학년 집단 간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 연령의 증가와 더불어 수용․표현어휘력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연령 별 표준편차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수용․표현어휘발달지체에 해당하는 아동이 각각 20%였다. 상관분석 결과 수용어휘와 표현어휘는 서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으며 수용․표현어휘 모두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은 아동 자신의 연령이었으며 그 외 수용어휘와 유의한 상관을 보인 변인으로 어머니의 거주기간이 추가되었다.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vocabulary development in school-aged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bility and related factors. Fourty-Three children in 1-4 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order to test the developing changes in vocabulary,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1st and 2nd grades in the younger group and 3rd and 4th grades in the older group.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using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REVT). We conducted two t-tests for reception and expression of vocabulary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related factors such as mother’s age, scholarship,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1) Children with Receptive vocabulary delay were 20% and Children with expressive vocabulary delay were 20%.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3) The Vocabulary abilities thes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of mother, children’s age and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ies each other.

      • KCI등재

        세계사 교과서의 르네상스 서술 변화와 근대 기점 문제

        鄭美欄(Jeong, Miran) 역사교육연구회 2016 역사교육 Vol.140 No.-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changes and meaning of world history by introducing the theory of ‘New World History’. The study reviews match and chasm for a Renaissance narrative between the 7th, 2009, 2011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world history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Renaissance narrative was changed from inclusion to exclusion, and exclusion to re-inclusion in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Besides, the view of the Renaissance in the Curriculum had an effect on world history textbooks. Second, the Renaissance narrative was written in the textbooks continuously, which was different to the curriculums. Regulatory power of the curriculums was refracted by the textbook publishers. Third, the Renaissance narrative in the textbooks was influenced by the author’s specialty in the Western History. Fourth, the Renaissance narrative paralleled the explanation of the core contents and added new and various types of supplementary materials. Fifth, the narrative was different than the modern period and the concepts were written by the Curriculums and textbooks. Until now, the discussion has progressed to some extent about the need and direction of the Overcoming Euro-centrism. However, the alternative content system and specific description were poor. In other words, the 2009 revised World History National Curriculum and world history textbooks in high school expressed ‘New World History’, which was meaningful and showed a realistic possibility.

      • KCI등재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문법성 판단

        정미란(Miran Jeong),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4

        배경 및 목적: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특히 문법발달에서 지체되며 문법에 대한 메타언어 인식 역시 지체된다고 보고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메타언어 인식 중 조사 오류를 탐지하는 능력을 일반아동의 능력과 비교하였다. 방법: 생활연령이 6~7세인 단순언어장애 아동 15명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15명, 언어연령일치 아동 15명을 포함한 총 45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에, 로, 을)에 오류가 있는 문장에 대한 문법성 판단과제를 실시하여 반응정확도와 오류탐지를 측정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생활연령일치 아동 뿐만 아니라 언어연령일치 아동에 비하여서도 A'으로 측정한 반응정확도가 낮았으며 반응시간이 느렸다. 조사별로 분석한 결과, 오류탐지 빈도에서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는 ‘-가, -에, -로’의 빈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일치 아동 간에는 ‘-로’만 빈도 차이가 유의하였다. 오류탐지 반응시간에 있어서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는 ‘-가, -에, -로, -을’ 모든 조사에서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였고,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언어연령일치 아동 간에는 ‘-가, -에, -로’에서 반응시간의 차이가 유의하였다. 언어연령일치 아동과 생활연령일치 아동 간에는 오류탐지 빈도와 반응시간에서 모든 조사에서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조사 오류탐지에 있어서 일반아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조사라도 반응시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연구 결과를 제한된 처리용량 가설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grammaticality judgment skills of Korean- speaking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SLI) were investigated, focusing on their detection of erroneous case-markers. Methods: Fifteen children with SLI between the ages 6.2 and 7.8 years, 15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chronological age(CA), and 15 normal children with matched language age(L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asked to judge the grammatical correctness of 48 short sentences, half of which contained incorrect case-markers and the other half were grammatically correct. In addition to the accuracy of responses, reaction times(RTs) of the participants’ decisions were measured. Four types of case-markers, including nominatives “-i/ga,” accusatives “-ul/lul,” a locative “-e,” and an instrumental “-ro” were systematically changed to generate the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Results: In terms of accuracy, the SLI children were significantly less accurate than the CA children in detecting the errors of “-i/ga, -e, -ro,” and less than the LA children in detecting the errors of “-ro.” In terms of RT measure, the SLI children were slower than the CA children in detecting the errors of all four case-markers and slower than the LA children in detecting the errors of “-i/ga, -e, -ro.”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between the two normal groups both in accuracy and in RT measures. Discussion & Conclusion: The SLI children showed significant difficulties in grammaticality judgments compared not only to the CA matched children but also to the LA-matched younger children. Such group differences were more extensive in the RT data than in accuracy data.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limited processing capacity hypothesis for SLI children’s language deficits.

      • KCI등재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단어 유추

        정미란(Mira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3

        배경 및 목적: 읽기이해 부진(poor comprehension)이란 음독 능력은 또래에 비해 지체되지않으나 언어이해력은 지체되는 읽기장애의 한 유형을 말한다. 읽기이해 부진학생의 어휘 처리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어 유추 검사를 실시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학생 40명과 일반학생 40명을 대상으로 ‘범주, 기능, 순서, 유의어, 반의어’ 유형 각 10개문항, 총 50 문항의 단어 유추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집단(2), 학년(2), 유추 유형(5)에 따른수행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결과: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일반학생보다 유의하게 낮은 단어유추 수행력을 보였으며 두 집단 모두 학년의 증가에 따른 단어 유추 수행력이 증가하였으며,각 유추 유형 별 수행력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집단 × 학년 × 유추 유형의 3원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것은 두 집단의 학생이 학년의 변화에 따라 유추 유형별 수행력의 변화 양상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학생들은 ‘기능’을 제외한 모든 유추유형에서 학년 간 차이가 유의하였으나, 읽기이해 부진학생은 순서, 기능, 반의어 유형에서만학년의 증가에 따른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 부진학생이 단어 유추수행에서 보인 결과를 통하여 그들의 어휘발달 특성과 그에 따른 읽기 이해의 어려움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Background &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verbal analogical reasoning skills of poor comprehenders. Relative to their peers, these poor comprehenders had word decoding skills within the normal range with delayed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Methods: Eighty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3~6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m, 40 were poor comprehenders and 40 wer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using a verbal analogy task containing five types of verbal analogies: synonyms, antonyms, linear order, category,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For each analogy type, ten items were generated; the total number of items was 50. To assess the developing changes in verbal analogy skills, the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age: third and fourth graders in the younger group and fifth and sixth graders in the older group. We conducted a three-way analysis of variance of participant group (2) × grade (2) × analogy type(5), where the analogy type was a repeated measure. Results: Significant main effects were found for group, age and analogy type.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group, grade and analogy typ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normal children exhibi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in all analogy types except for functional relationships, whereas the poor comprehend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ade groups in antonyms, linear order and functional relationships. Discussion &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on the analogical reasoning task were interpreted in terms of their vocabulary skills. Implications for interventions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학령기 ADHD 아동의 인지 동사 이해

        임종아(Jong Ah Lim),정미란(Miran Jeong)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1 특수교육논총 Vol.37 No.4

        연구목적: 인지 동사는 ‘알다’, ‘생각하다’, ‘판단하다’와 같은 정신적이고 심리적인 내면의 흐름을 표현하는 어휘를 말한다. 이러한 인지 동사의 이해는 타인의 의도와 판단 등의 정신 활동의 추측과 관련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타인의 마음이해와 화용능력에 특히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DHD 아동의 인지 동사 이해능력을 살펴봄으로써 이에 대한 평가와 중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3~6학년 ADHD 아동 12명과 일반아동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아동들은 제시된 문맥에 맞는 인지 동사를 선택하는 24개 문항의 과제를 수행하였다. 채점된 점수는 두 아동집단 간 비교를 위해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고 오류 유형과 오류 문항의 빈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ADHD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문맥에 맞는 인지 동사를 선택하는 능력이 저조하였다. 오류 유형은 일반아동과 유사하게 대체로 의미 관련 오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몇몇 문항의 오류 빈도가 특히 높아 일반아동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기도 하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에 대해 인지 동사의 구문 및 의미적 특성과 ADHD 아동의 화용적 어려움을 관련지어 살펴보고 인지 동사를 포함한 마음상태 어휘의 평가와 중재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Purpose: Cognitive verbs refer to expressions of a person’s mental and psychological state, such as ‘know’, ‘think’, and ‘judge’. The understanding of such cognitive verbs is related to speculation about mental activities such as the intentions and judgments of others. In this study, we aimed to confirm the need for evaluation and intervention by examining the cognitive verb comprehension abilities of children with ADHD, who are known to have particular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others" minds and issues with pragmatics abilities. Method: A total of 12 children with ADHD and 12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the 3rd to 6th grad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hildren performed a task that included 24 questions involving choice of appropriate cognitive verbs for a given context. The scores were compared by performing an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 frequency analysis of the error types and items. Result: The children with ADHD had a lower degree of understanding of cognitive verbs that fit the context than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Similar to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error type for the children with ADHD was found to generally be choice-meaning-related, but the frequency of errors for some items was especially high, showing a different pattern from that of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Conclusion: Regarding these results, the syntactic and semantic characteristics of cognitive verbs were considered in relation to the pragmatic difficulties of children with ADHD, and the importance of the evaluation of and interventions for mental state-related vocabulary, including cognitive verbs, was discussed.

      • KCI등재

        5~7세 아동과 성인의 문법성판단 : 조사 오류를 중심으로

        황민아(Mina Hwang),정미란(Mira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2 No.2

        Grammaticality judgment is widely used to reflect the development of metalinguistic awareness of children. In this study, grammaticality judgment skills of Korean- speaking children and adults were investigated.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normally developing children ranging from 5-7 years old and college students. Their task was to judge the grammatical correctness of 48 short sentences, half of which contained incorrect case-markers and the other half were grammatically correct. In addition to the accuracy of responses, reaction times (RTs) of the participants’ decisions were measured. Four types of case-markers, including nominatives “i/ga”, accusatives “ul/lul”, a locative “e,” and an instrumental “ro,” were systematically changed to generate the grammatically incorrect sentences. Results: The participants’ sensitivity to grammatical errors was enhanced with age while their RTs decreased with age. They were most sensitive to errors of case-markers in nominative positions, followed by locative, instrumental and accusative positions. Errors in nominative positions had the shortest RTs while errors in accusative positions had the longest. Discussion & Conclusion: In terms of the patterns of response accuracy across the four types of erroneous case markers, the children 5-7 years old were similar to the adults. In terms of RTs, only the 7-year-old children were similar to the adults.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acquisition of case-markers in Korean. 문법성판단은 메타언어 인식의 발달을 연구하는데 많이 이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메타언어인식 중 조사 오류를 탐지하는 능력의 발달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5~7세 일반아동과 성인을 포함한 140명을 대상으로 조사에 오류가 있는 문장에 대한 문법성판단과제를 실시하여 반응정확도와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결과: 아동들은 연령이 증가할수록 A'으로 측정한 반응정확도가 증가하였고 반응시간은 감소하였다. 성별의 차이는 반응시간에서만 여자가 남자보다 유의미하게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에 오류가 있는 문장에 대한 오류 탐지 빈도와 반응 시간을 조사별로 분석한 결과, 오류탐지 빈도에서는 “-가”의 오류를 가장 잘 탐지하였고, “-에,” “-로,” “-을” 순으로 낮아졌다. 오류 탐지 반응시간의 경우 “-가”의 오류를 가장 빨리 탐지하였고, “-로”와 “-에”에 대한 반응시간은 서로 비슷하였으며 “-을”에 대한 반응시간이 가장 느렸다. 논의 및 결론: 조사별 오류 탐지 빈도에서는 5~7세 아동들 모두 성인과 유사한 반응 양상을 보였지만, 반응시간에서는 7세 아동의 반응양상만이 성인과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아동의 조사습득 과정에 비추어 논의하였다.

      • KCI등재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이해와 정의하기

        장종윤(Jongyun Jang),정미란(Miran Jeong),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4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9 No.1

        배경 및 목적: 동음이의어는 하나의 음운 형태이나 다른 의미를 갖는 단어들을 일컫는 것으로 학령기 아동의 어휘능력의 질적인 측면을 평가하기 위해 유용하게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의 어휘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동음이의어 이해와 정의하기 과제에 대한 수행력을 비다문화가정 아동의 수행력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초등학교 저학년 다문화가정 아동과 비다문화가정 아동 각각 12명씩 총 24명을 대상으로 문장 내에서 동음이의어의 두 가지 의미를 이해하고 구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이해'과제 40문항과 개별 단어 수준에서 단어의 두 가지 의미를 정의하는 '정의하기' 과제 20문항을 통해 두 집단의 동음이의어 어휘 능력을 평가하였다. 두 집단의 동음이의어 과제 수행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과제 별로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다문화가정 아동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하여 동음이의어 이해 과제와 정의하기 과제 모두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여주었다. 논의 및 결론: 다문화가정 아동은 표준화된 언어 검사 결과 정상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동음이의어 이해와 정의하기 능력에서는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다문화가정 아동의 동음이의어 발달과 관련하여 사회, 문화적 맥락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Objectives: Studies on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have shown that they experience some degree of difficulties in vocabulary skills. Homonyms are words that have one phonological form but two or more distinct meanings, and are considered useful for assessing the vocabulary knowledge of school-aged children.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differed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in comprehending and defining homonyms. Methods: Twenty-four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grades 2 and 3 participated in this study. Twelve children were from multicultural families (MCF) and the other twelve were from non-multicultural families (NMCF). The language development levels of all participants were within normal limits based on the results of a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and a sentence comprehension test. They performed a homonym comprehension task as well as a homonym definition task. In the comprehension task,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cide on whether the homonym used in a pair of sentences had the same meaning. In the definition task, the children were asked to define a given homonym. Results: The children from MCF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s than children from NMCF on both the homonym comprehension task and the definition task. Conclusion: Although the two group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their performances on the standardized vocabulary test, the children from MCF exhibited weaker vocabulary knowledge compared to the children from NMCF in their use of homony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