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독일 실업자창업지원정책: 사회정책 속의 질서정책

        정미경 ( Mee-kyung Jung ),한종수 ( Jong-soo Han ) 한독경상학회 2016 經商論叢 Vol.34 No.4

        본 연구는 독일의 실업자창업지원 프로그램과 그 성과를 사회적 시장경제 보충원칙과 경쟁원칙에 입각하여 분석한 첫 번째 논문이다. 연구의 가설은 독일에서 실업자창업지원제도가 고용촉진을 위한 사회정책으로 실시되나 정책실행에서 질서정책적 요소를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위해 먼저 일반 실업자와 장기빈곤실업자에게 제공되는 실업자창업지원프로그램을 보충원칙과 경쟁원칙에 따라 분석하고 각 프로그램의 지원대상이 되는 인적그룹과 프로그램의 운영성과를 비교한다. 마지막으로 한국의 실업자창업지원제도와 비교하여 그 시사점을 제시한다. 연구의 대상은 사회법 2권과 3권 중 실업자창업지원관련 법, 연방고용 에이젼시의 창업지원제도 및 운영관련 자료, 독일연방 경제에너지부, 사회노동부, 독일재건은행의 창업자금지원 및 창업상담 프로그램, 각 제도의 노동시장통합효과 및 경제적 성과와 관련된 실증분석논문들이다. 연구의 결과, 독일의 실업자창업지원제도는 사회정책을 질서정책적 경쟁원칙에 따라 세분하여 운영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실업자의 생활의 안정, 창업능력의 촉진, 형평성 있는 창업자금조달지원을 통해 독일의 창업을 활성화했고 실업자가 창업한 기업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였다. 이제도는 고용촉진정책으로 실업자가 성공적으로 노동시장에 통합되도록 하였을 뿐 아니라 이들의 기업 활동을 통해 추가적인 인력고용이 창출되도록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사회정책과 질서정책의 정책조합을 실현한 실업자창업지원정책이 다른 고용촉진정책에 비해 우수한 성과를 만들었음을 보여준다. 독일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실업자창업지원정책은 보충원리를 실현하는 실업자창업지원수당이 부재하고 그 제도가 질서정책적으로 차별화되지 못하였으며 창업성공의 핵심인 창업 상담, 교육, 훈련에 대한 지원이 충분치 않아 이에 대한 제고가 필요하다. 본 논문은 새롭게 도입되는 각종 사회복지제도가 한국적 현실에 부합한 것인가에 대한 적지 않은 사회적 논란에 독일 사회적 시장경제적 정책척도를 소개한다. This study is the first that analyses programs and outcomes of start-up subsidies for the unemployed in Germany in application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and competition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This paper advances the hypothesis that the start-up subsidy policy for the unemployed in Germany is conducted as a social policy but it includes elements of regulatory policy. To verify the hypothesis, this study analyses programs of start-up subsidies for the regular unemployed (the unemployed defined by Social Security Code III) in comparison with the programs of those for the long-term unemployed in poverty (the unemployed defined by Social Security Code II). To do that, this study classifies programs of start-up subsidies for those unemployed into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competition and freedom with responsibility. Furthermore, the outcomes of the program are also differently observed and analysed. This study verifies the hypothesis. As implications, this study found that start-up subsidy policy for the unemployed in Korea should more take care of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Furthermore, the policies should be more detailed developed for different groups of the unemployed-unemployed matriarch, the long-term unemployed and unemployed youth-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competition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Additionally, this policy should more offers talks concerning business plan with specialists, and strengthens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 for the unemployed starting up. It will increase chance of success in their start-up.

      • KCI등재

        생활중심 발명체험활동이 아동의 발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정미경(Chung Mee Kyung),최경은(Choi Kyung Eun),강종표(Kang Jong Pyo),곽혜란(Kwak Hye Ran),정진현(Jung Jin Hyu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이 연구는 생활중심 발명 체험 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의 발명태도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창의적 문제해결식 수업 모형에 근거하여 초등실과 의생활, 식생활, 생활자원과 관리 단원과 연계된 생활중심발명 체험활동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용 활동지와 과 교사용 지도서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 실험반 1학급에, 일반 수업은 비교반 1학급에 적용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t-검증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명 태도를 보면, 첫째, 발명 태도에 대해 실험집단 평균점수가 3.94 이며, 비교집단의 평균점수는 3.19로 이 두 집단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t=-5.180, p=.000)를 보여 실험집단이 더욱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생활중심 발명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발명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발명 태도의 하위 요인의 경우, 인지적 태도를 제외한 관심적 태도(t=-4.479, p=.000), 실천적 태도(t=4.39, p=.000), 정서적 태도(-3.674, p=.001) 에서 통계적의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생활중심 발명 체험활동 프로그램이 발명태도의 하위요인 중 관심적 태도, 실천적 태도, 정서적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수업만족도를 살펴보면, 생활중심 발명체험활동을 적용한 실험반의 수업만족도는 총 7개 문항 모두에서 ‘만족 한다’ 이상의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즉, 생활중심 발명체험활동은 학생들에게 발명의 개념, 발명이 인간생활에 미치는 영향, 흥미성, 발명과의 직접적 관련성 인식, 발명에 대한 학습의 필요성, 참여도, 친구들에게로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는 바가 큰 체험활동이라 할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볼 때, 첫째, 실과수업과 연계한 생활중심 발명체험 프로그램은 아동의 발명태도를 증진시키고 만족도를 높이는 수업으로서 매우 효과적이라고 결론지을 수 있으며. 발명에 대한 태도 요인 중 인지적 태도 요인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지 않아 앞으로 발명에 대한 인지적 태도를 고양시킬 수 있는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ment and the effect on Inven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life. To achie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 developed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clothing & Textiles, Food & nutrition, life resource & consumption for student s and teacher s. The program step based on creative solving instruction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argeted on 6 grade students of C elementary school in Imsil of Jeonbuk area. It was conducted for 9 hours over 3 weeks and applied to the program designed improving the invention attitude & satisfaction. Through before and after conductive examination, I analysed the invention attitude test using the t-test. In this stud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first, by using the developed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life, experimental group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the invention attitude(p<.001). As an regard to the invention attitude sub-factors, experimental group took a more positive attitude than the control group the attentional attitude(p<.001), practical attitude(p<.001), emotional attitude(p<.01) except cognitional attitude. Second,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the developed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life, the students highly satisfied on the invention activity in 7 questions. So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life is contribute to students for understand of concept of invention and effects of invention to human life, interesting to invention, cognition of invention, necessity of invention learning, participation, enlargement of base to their friends. The findigs of the study suggest that invention activity program based on life is very effective to enhance the inven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student.

      • KCI등재

        독일 두알레 아우스빌둥(Duale Ausbildung) 기업성과와 Peter Drucker의 CSO(Corporate Social Opportunity)

        정미경 ( Mee-kyung Jung ),안세화 ( Se-hwa Ahn ) 한독경상학회 2021 經商論叢 Vol.39 No.2

        본 연구는 독일 두알레 아우스빌둥(Duale Ausbildung)이 페터 드루커(Peter Drucker)의 이론에 부합, 기업의 사회적 기회(CSO)를 창출하여 기업이 사회적 책임을 이행하면서 이윤을 높여 경쟁력을 향상한다는 가설을 제기한다. 가설의 입증을 위해 본 연구는 2016년 독일 직업교육보고서 ‘기업 관점에서 본 두알레 아우스빌둥의 비용과 편익(Kosten und Nutzen der dualen Ausbildung aus Sicht der Betriebe)’을 비롯하여 기업 차원에서 아우스빌둥의 비용과 편익을 연구한 문헌과 아우스빌둥의 노동시장 효과를 연구한 문헌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우스빌둥은 노동시장에서 청년층의 고용효과를 40%까지 향상하고 노동자의 삶의 질과 연관성이 높은 임금을 유의하게 향상함을 확인하였다. 기업차원에서는 아우스빌둥이 훈련생 1인당 전체 평균 5,398유로의 순 비용은 발생시키나 아우스빌둥을 하지 않는 기업은 숙련인력을 외부에서 채용하는 비용으로 평균 8,715유로를 지출하여 한해 훈련생 1인당 기업에 주는 편익이 평균 3,317유로에 달함을 확인시켜주었다. 본 연구는 아우스빌둥이 양질의 청년 일자리 창출이라는 사회적 과제 이행에 기여하고 기업에 직접적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으로 기업의 사회적인 기회를 창출함을 확인, 연구의 가설을 입증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독일 아우스빌둥의 비용과 편익을 산출하는 모형을 제시하여 국내 듀얼시스템(Dual System, 아우스빌둥과 일학습병행제)의 기업 차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론을 모색하는데 기여한다. 이로써 기업은 아우스빌둥의 성과를 평가하고 프로그램의 지속, 수정 및 보완, 그리고 확대 여부를 판단할 자료를 확보하게 될 것이다. This study hypothesizes that Germany’s duale ausbildung creates corporate social opportunity (CSO) according to Peter Drucker to enhance competitiveness by increasing profits while fulfilling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o test the hypothesis, the thesis uses the 2016 German Vocational Education Report "Kosten und Nutzen der dualen Ausbildung aus Sicht der Betriebe," data on the cost and benefits of ausbildung at the corporate level, and literature on the labor market effects by ausbildung in German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usbildung improved the employment effect of young people up to 40% and significantly improved wages, which are highly related in the quality of life of workers. The average net cost of carrying out ausbildung for a company is 5,398 euros per trainee, but companies that do not engage in ausbildung spend an average of 8,715 euros in hiring skilled workers from the external labor market. This figure shows that the direct benefit of ausbildung amounts to 3,317 euros. In other words, it contributed to thecreation of direct profits for the company. This study verified the hypothesis by confirming that ausbildungcontributes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social task of creating high-quality youth jobs and creates social opportunities for companies in a way that directly generates profits for the company.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is study contributes to suggesting a method for evaluating the corporate-level performance of ausbildung in Korea by introducing the German ausbildung cost-benefit model. Through this results of study, Korean companies will be able to decide whether to introduce ausbildung based on accurate data on the costs and benefits of ausbildung.

      • KCI등재

        독일통일 직후 노동시장통합에서 직업훈련 촉진 정책의 성과: 사회적 시장경제 보충원칙과 경쟁원칙을 중심으로

        정미경 ( Mee Kyung Jung ) 한독경상학회 2016 經商論叢 Vol.34 No.1

        본 연구는 독일통일 직후 동독지역에 실시된 직업훈련 촉진 정책이 질서자유주의에 입각하여 단기적으로 보충원칙(Subsidiaritatsprinzip)에 따라 사회 정책적으로 작동하고 장기적으로 경쟁원칙(Wettbewerbsprinzip)에 근거 공정한 경쟁 질서를 향상하여 고용을 촉진하였다는 가설을 검정한다. 문헌연구와 실증분석의 결과 통일직후 동독지역에 실시된 직업훈련 촉진조치는 단기적으로 동독지역 근로자의 고용을 촉진하지 못했으나 국영기업의 민영화과정에 발생한 실업위기에 대응 근로자가 준 고용상태에서 생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또 장기적으로 동서 간 기술과 숙련을 공정하게 분배함으로서 동독지역 근로자의 고용경쟁력을 높였음을 발견하였다. 프로빗 회귀분석은 1991년에서 1993년 사이 실시된 공식적 향상훈련이 1999년 근로자의 1차적 정규노동시장고용을 16~26% 향상시켰으며 그 효과는 여성에게 두드러짐을 보여준다. 반면 이러한 고용효과는 재훈련과 남성의 훈련에서는 상대적으로 약하게 나타났다. 이는 당시 직업훈련 촉진 정책이 동독지역의 통일특수에 힘입어 호황을 누린 건설산업에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남성 재훈련자의 70%가 건설산업의 기술 인력으로 양성되었으나 통일특수가 사라지자 양성된 기술 인력이 다시 실업상태에 빠진 것이다. 통일 직후 독일의 직업훈련정책에 대한 본 연구는 통일이후 남북노동시장의 통합을 촉진시키는 방안으로 직업훈련을 촉진할 필요성과 이 과정에 적절한 산업인력정책의 필요성을 동시에 제기한다. This paper studies the effect of the policy of promoting vocational training in the process of German reunification. By means of literature research and Probit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vocational training promotion policy scarcely enhance employment after the reunification in the East German region in the short term. But the training enabled workers facing unemployment to keep their standard of life thanks to subsidies/allowances which were paid for participation in training during a severe recession. In this way, the policy could apply the principle of subsidiarity. In the medium to longer term, the training promoted employment in the regular labor market. The policy could thus partially achieve the goal of a competitive market economy orga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ordoliberalism. But this positive employment effect was more apparent to female participants and to the training program for Specific Professional Skills and Techniques. The retraining had no positive employment effects. The employment effects are generally weaker for male than female. The cause seems to be the failure or lack of a mid- to long-term industrial policy for the East German economy: 70% of male workers in East German region after reunification participated in retraining program in the area of construction sector, whose boom ended when rebuilding east Germany appeared to be completed. The German experience provides lessons for Korean reunification; it shows how important a proper industrial policy and a proper training program would be for an integration of the labor markets of the North and the South.

      • KCI등재

        문화적 전통이 직업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에서 이원화 직업교육은 발전 가능한 것인가

        정미경 ( Mee Kyung Jung ),이상근 ( Sang Keun Lee ) 한독경상학회 2020 經商論叢 Vol.38 No.1

        막스 베버(Max Weber)는 특정한 종교적 신앙의 내용이 특정 ‘종교관’과 근대 경제윤리 체제 형성, 즉 자본주의 정신을 긍정적 또는 부정적으로 형성시켰다고 한다. 베버는 자신의 연구에서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는 동일한 뿌리를 지닌 서양의 종교임에도 불구하고, 프로테스탄트 사회에서는 근대적 자본주의가 발전하였고, 가톨릭과 유교문화에서는 근대적 자본주의가 발전하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이러한 베버의 가설에 대해, 20세기 후반부터 유교문화권인 동아시아 국가(한국, 대만, 홍콩, 싱가포르, 중국)들이 급속한 산업화와 눈부신 경제성장을 달성하면서 유교가 자본주의 발전에 긍정적이었다는 신유교이론이 등장하게 되었다. 신유교이론에 따르면, 충효와 윗사람에 대한 공경, 학문에 대한 존경과 높은 교육열, 근검절약하는 노동윤리, 시험제도와 실력주의 엘리트 중용, 세상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와 수기치인(修己治人)의 자기 수양 등이 동아시아 자본주의 발전에 긍정적인 요인들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유교가설에 사후적인 관점에서는 맞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 유교문화와 근대 자본주의 정신과의 관계에서는, 유교문화에 내재되어 있었던 부정적 요인들이 외부 환경(자본주의)과 연결되어 긍정적 방향으로 변화되어 자본주의 발전에 기여하였다는 것이다. 한국은 경제개발 과정에서 유교문화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였던 전통적 가치 및 행위유형을 버리게 하였고 대신 근대적 가치와 행위유형으로 발전시켰다. 이러한 노력들이 신유교 문화로 발전되면서 자본주의 발전에 유리한 직업윤리를 가능하게 하였고, 이를 통해 한국은 경제개발에 성공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개신교 문화에서 오랫동안 자리 잡은 독일의 아우수빌둥 제도가, 한국사회에 뿌리 깊게 자리하고 있는 인문을 우선시 하는 유교 문화적 요인들을 실용중심으로 변화시키고 새로운 직업훈련 문화로서 안착할 수 있는지에 살펴보고자 한다. Max Weber stressed that the contents of certain religious beliefs have shaped certain religions and modern economic ethics systems, namely the capitalist spirit,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In his writings, Weber analyzed that Catholicism and Protestantism have identical roots in the same religions. But Protestant society developed modern capitalism positively and Catholic and Confucian cultures did not develop capitalism. In response to Weber’s analyses of religious beliefs, a Neo-Confucian theory emerged where Confucianism was positive for capitalist development after East Asian countries (Korea, Taiwan, Hong Kong, Singapore and China) with a similar Confucian culture achieved rapid industrialization and spectacular economic growth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ccording to Neo-Confucian theory, Confucian society has respect for elder people, filial piety and academic study, willingness for high education, frugal labor ethics, effective test system for hiring of state officers,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world and self-discipline, and these factor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in East Asia. This Confucian hypothesis seems true from a postmodern point of view. But if we look closely at Confucian culture and the modern capitalist spirit, the transformation of negative factors inherent in Confucian 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success of economic development. During the modernization of its society, Korea removed and modified the negative values of Confucian culture and changed these negative factors to positive values to make a modern society. With these efforts, Korea could develop a new Confucian culture and modern vocational ethics favorable to the development of capitalism, which enabled Korea to succeed in modern society. In this thesis it is examined whether Germany’s Ausbildung system, which has long been established in Christian culture, can transform and establish the heritage of the academic-first spirit deeply rooted in Korean society into a practical cultur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고등교육이 여성의 임금에 미친 영향: 한독 인적자본과 여성임금 비교연구

        정미경 ( Mee Kyung Jung ) 한독경상학회 2015 經商論叢 Vol.33 No.1

        본 연구는 고등교육(대학교육)이 한국과 독일의 여성임금에 미친 영향을 연구한다. 인적자본의 임금효과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여성을 자녀가 있는 엄마와 자녀가 없는 여성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서 기존의 연구를 심화시켰다. 이 논문은 신고전주의 임금이론에 따라 대졸 여성에 대한노동시장수요가 높은 독일에서 여성의 임금이 높고 대졸여성에 대한 노동시장수요가 낮은 한국에서 여성의 임금이 낮다는 가설을 검증한다. 이를 위해 2004년~2007년 한국노동패널과 독일사회경제 패널에서 26세~55세 여성자료를 샘플로 임의효과모델(random effects estimation)을 사용하여 다음의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한국의 여성대졸자는 고졸자에 비해 교육의 임금효과가 45% 높다. 이를 자녀가 있는 여성과 자녀가 없는 여성으로 나누면 전자는 40%, 후자는 46% 높은 교육의 임금효과를 보여준다. 독일의 여성대졸자는 고졸자에 비해 교육의 임금효과가 30% 높고 자녀가 있는 여성은 49%, 자녀가 없는 여성은 18% 높은 교육의 임금효과를 보였다. 연구결과는 본 연구의 가설과는 반대로 한국의 대졸 여성은 자신의 고등교육으로 인해 상대적은 높은 임금을 받고 독일의 대졸여성은 자신의 고등교육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적은 임금을 받음을 보여준다. 독일에서 대졸여성의 교육의 임금효과가 낮은 이유는 자녀가 없는 대졸여성이 높은 노동시장수요에 반해 교육의 임금효과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한국과 독일, 두 나라 모두자녀가 있는 대졸여성의 교육의 임금효과가 높은데 그 이유는 대졸 엄마의 높은 유보임금(reservation wage)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higher education on wages for women with and without children in South Korea and Germany. The hypothesis advanced is that women`s wages would be higher in Germany, wher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is higher, and in South Korea, where demand for higher education is lower, wage levels will be lower, according to the neoclassical theory of demand and supply in the labor market. Using 2004~2007 data for women aged between 26 and 55 taken from KLIPS and GSOEP, random effects estimation found the following: In South Korea, university education has a 40 percent higher wage effect for non-mothers and a 46 percent higher effect for mothers than graduation from senior high school. This is 45 percent for women overall-mother and non-mother. In Germany, university education for mothers has a 49 percent higher effect on wage, compared to 18 percent higher for non-mother. This is 29 percent for women overall. In Korea, educated women have higher wages due to their education. In Germany, educated women have lower average wages due to their education which contradicts the hypothesis of this study. For this low educational wage differential in Germany, educated women without children seem to endure low wages in exchange for the higher demand for higher education in the labor market. Mothers` wages are strongly enhanced by their higher education in both countries. The reason for higher wage would be higher reservation wage for educated mothers. The novelty of this study is the finding that educational wage differs between mothers and non-mothers in South Korea and Germany.

      • KCI등재

        노인의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른 적응군집화 및 집단판별에 기여하는 변인

        정미경(Mi-kyung Jung),이규미(Kyu-mee Lee) 한국노년학회 2011 한국노년학 Vol.31 No.1

        본 연구는 노년기 부정적 경험인 상실경험과 발달과업인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라 노년기 적응을 군집화하고 어떤 개인ㆍ환경적 변인들이 영향력 있게 군집을 잘 판별해주는지 파악하였다. 그리고 판별된 변인들의 수준 에 따라 상실경험에 대한 자아통합감의 결과가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60세 이상 245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자료를 표집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들은 인지적, 정서적, 의지적, 영적, 사회적 차원의 다차원적 변 인들이 포함된 개인변인들(일반적 자기효능감, 사회적 자기효능감, 신체적 자기효능감, 실존적 영성, 종교적 영성, 낙관주의)과 환경변인들(정서적지지, 정보적지지, 물질적지지, 평가적지지, 사회적 활동)을 연구에 사용하였 다. 자료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ANOVA, 군집분석, 단계적 판별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 수준에 따른 노년기 적응은 4개로 군집화 되었으 며 둘째, 군집을 타당하게 판별해 주는 변인은 낙관주의, 신체적 자기효능감, 실존적 영성, 정서적지지로 나타 났다. 셋째, 판별된 변인들의 수준에 따라 자아통합감의 결과가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arch the clustering and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groups by the level of the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among the elderly. In addition, the study aimed to confirm the moderating effects of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The subjects were 245 elderly aged 60 or above, most of whom were socially active with comparatively high education levels. Six individual variables(physical self-efficacy, general self-efficacy, social self-efficacy, existential spirituality, religious spirituality, optimism) and five environmental variables(emotional support, instrument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ppraisal support, social activity) were us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o data analysis, ANOVA, Stepwise Discriminant analysis, Cluster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wo-way analysis of variance was employed. First, the subjects were 4 cluster into overcome group, crisis group, stable group and vulnerable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loss experience and ego-integrity. Second, optimism, physical self-efficacy, existential spirituality and emotional support were seen to be significant variables in discriminating the groups. Third, the ego-integrity became higher as the variables related to resilience were increased.

      • KCI등재

        전국교육대학교 실과 심화교과 가정영역 운영실태 분석

        정지윤(Jung Ji Yoon),정미경(Chung Mee Kyung),김현주(Kim Hyun Ju) 한국실과교육학회 2005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18 No.4

        This study wishes to offer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at 11 education universities. For this, ratio of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composition of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composition and education contents of home economics area in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were analyzed.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ing: Credits of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about graduation credits were shown a lot of difference from 12.24% to 20.68% and home economics area’s credits about credits of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were shown a lot of difference from 23.8% to 52.3% between 11 education universities. Irrigation term began from 3 term to 5 term and finished in 8 term. 5 education universities composed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to essential subject. It is thought in more efficient structure that compose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to essential subject. Education target of home economics area fosters ability that reser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an guide home economics area’ education contents efficiently at primary school. Teachingㆍlearning contents of clothing & textiles division were practice of sewing machine, needle work, bamboo needle, crochet lace, skill embroidery, quilt, nature dyeing and theory of clothing & textiles. Main teachingㆍlearning methods were lecture and practice and valuation methods were various in attendance, assignment, examination, practice process etc. Teachingㆍlearning contents of dietary life division were nutrition, food, cooking, table setting, food culture, table manner etc.. Main teaching learning methods were lecture and practice and valuation methods used mainly attendance, examination, assignment. Main teachingㆍlearning content of housing life area was housing. Main teachingㆍlearning methods were lecture, practice and evaluated by test, assignment, attendance. Main teachingㆍlearning content of household management division was family/household management. Main teachingㆍlearning methods were lecture, announcement, discussion and used various valuation methods such as attendance, test, assignment, announcement. In results of above, most home economics area’ education contents in practical art education as the second major were similar but desire that home economics area’ education contents are consisted more systematically.

      • KCI등재

        신체만족도와 정숙성이 초등 예비교사들의 노출패션 착용에 미치는 영향

        진현정(Jin Hyun Jeong),정미경(Chung Mee kyung),최경은(Choi Kyeong Eun),정지윤(Jung Ji Yoon) 한국실과교육학회 2013 한국실과교육학회지 Vol.26 No.4

        본 연구는 초등 예비 여교사 276명을 대상으로 노출 패션 착용 실태를 조사하고, 정숙성과 신체만족도가 노출 패션 착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전반적으로 자신의 신체에 만족하지 않으며 신체부위별 만족도는 학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노출을 많이 하지 않으나 노출 패션 중다리가 노출된 의복을 비교적 많이 착용하고, 배꼽을 노출하는 옷의 착용을 가장 꺼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숙성의 하위차원은 시선 거부, 보수성, 타인 배려, 사회적 적합성으로 나타났다. 정숙성의 하위차원이 노출 패션 착용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결과 정숙성의 하위차원 중 보수성이 노출패션 착용에 가장 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체만족도가 노출 패션 착용에 미치는 영향은 키에 대한 만족도가 뺴꼽이 드러나는 상의 착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실루엣과 자세에 대한 만족도가 몸의 윤곽이 드러나는 옷의 착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만족도를 체형 만족과 얼굴 만족 요인으로 구분한 후 만족하는 집단과 만족하지 못하는 집단으로 유형화하여 노출 패션 착용의 차이를 고찰한 결과 체형에 만족하는 집단이 체형에 불만족하는 집단보다 다양한 노출 패션을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에 만족하는 집단은 신체윤곽이 드러나는 옷을 착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amines the actual practice of wearing revealing clothes and the effects of modesty and body satisfaction on doing so. Data were obtained from 276 female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OV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given below. First,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mostly unsatisfied with their bodies and no grade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body satisfaction. Subjects mainly tended to wear mini skirts and shorts; they tended not to wear clothes that revealed their navel among five categories of revealing clothing. Second, it was found that modesty consisted of the following four factors: avoidance of others attention, conservativeness, consideration of others, and social appropriateness. The conservativeness factor had the most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earing revealing clothes. Satisfaction with heigh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wearing clothes that reveal the navel, whereas satisfaction with body silhouette and posture has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wearing body-conscious clothing. Third, after segmenting body satisfaction into two factors(body satisfaction and face satisfaction) through factor analysis,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a satisfied group and non-satisfied group based on body and face satisfaction factors. The body-satisfied group was found to wear more revealing clothes of various types than the non-satisfied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