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아시아 전통문화와 현대섬유미술 -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정경연 ( Chung Kyoung Yeon ),윤나영 ( Yoon Na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20 기초조형학연구 Vol.21 No.4

        연구자는 21세기 미디어의 발달과 함께 동시간대에 살아가고 있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혼례복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 하였으며 각기 다른 3국의 문화적 특징을 바탕으로 하였다. 이러한 특징은 섬유미술에 있어서도 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는데 동아시아인의 사회공동체 의식과 가치관은 도교, 불교, 유교 등의 종교적 신앙에서 비롯되었지만 각 나라마다의 지역적 특성에 따라 수용되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혼례복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3국의 전통문화의 연구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되었다. 한국에 대해서는 혼례복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학(鶴)과 용(龍)의 상징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고, 원삼(圓衫), 활옷(華衣), 남자 혼례복 등 전통 혼례복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여러 민족이 공존하는 중국에 대해서는 홍색용봉문치마(紅色龍鳳紋裙)와 구름문여포(雲紋女袍)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본은 색채에 대해 먼저 이해하고, 공식적인 행사나 의식에서 기모노 위에 입었던 허리끈 없는 겉옷인 우치카게(打掛) 와 최근까지도 혼례복으로도 사용되는 화문고소대(花紋小柚)를 비교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는 현대섬유미술이 얼마나 전통 문화와 어떻게 관계를 맺고 있는지 각 국가별 대표 예술가를 선정하여 문화정체성의 개념과 함께 분석하였다. 이의 결과로 제시한 세 예술가 중, 한국의 작가 서도호(Seh Do ho, 1962~)는 작가가 어린 시절을 보낸 한옥을 공간으로 재현했으며, 노방(蘆坊)과 같은 비춰지는 천에 바느질하여 중첩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고, 중국의 패션브랜드 비비안 탐(Vivienne Tam, 1995~)은 전통문화를 현대 패션에 적용한 패션디자인을 창조해 내었다. 그리고 새로운 소재를 다루는 일본작가 아라이 준이치(Arai Junichi, 1932~)의 작품에서 다민족의 전통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Researchers think they are living in the same time zone with the development of media in the 21st century. This paper is comparatively analyzed based on traditional wedding dresses from Korea, China, and Japan, and is based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ree different countries. This characteristic appeared in the same way in textile art, as the East Asian social community consciousness and values originated from religious beliefs such as Tao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can be said to be accepted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The study of the traditional culture of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centered on wedding clothes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order. About Korea, the symbols of Crane and Dragon, which are most frequently seen in wedding clothes, are understood in general, and traditional wedding clothes such as Wonsam, Hwarrot, and male wedding clothes were examined. In addition, in China, where various ethnic groups are mixed, red-colored dragon peaks and cloud-moon follicles are analyzed. Japan first understood the color symbols and looked at Uchikage, a waistless outerwear worn over kimono at formal events and ceremonies, and the Hwamungosodae which was used as a wedding suit until recently. Finally, the representative artists of each country were selected to analyze how modern textile art i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and to analyze it with the concept of cultural identity. Among the three artists presented, as a result, Korean artist Suh Do-ho(1962~) recreated the hanbok in which the writer spent his childhood as space, showed overlapping effects by sewing on a reflected cloth like a presbytery, and Chinese fashion brand Vivian Tam(1995~) created a fashion design that applied traditional culture to modern fashion. And it was once again confirmed that multi-ethnic tradition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work of Japanese writer Junichi Arai(1932~) who deals with new materials.

      • KCI등재

        한국 현대 태피스트리 작가 연구 - 송번수(宋繁樹) -

        정경연(Chung Kyoung Yeon),피경지(Pi Kyeong Ji)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한국 근현대 공예는 실용성보다 작가 고유의 창작성을 표현하려는 순수미술로의 성격이 두드러 진다. 태피스트리는 서양에서 발달한 직물 중 하나로 한국에서는 20세기 중반부터 섬유미술 작가들에게 작품세계를 표현하는 새로운 기법으로 받아 들여졌다. 1980~90년도에 수직(手織)기법을 활용하는 작가들이 증가하였고 따라서 다양한 작품들이 발표되면서 한국 현대 섬유미술의 주요한 영역으로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섬유미술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적 전환점으로서 진지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되었으며, 태피스트리 작가 연구를 통하여 수직기법이 가진 조형성과 가치를 분석하여 섬유 미술 분야의 학문적 기초 자료로 남기고자 하였다. 송번수의 예술세계를 조망함에 있어서 판화와 태피스트리, 환경조형물은 별개로 유리된 것이 아니라 매체적 실험과 조형적 표현욕구 속에 상호보완적인 관계망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인식은 대단히 의미 있는 해석이 아닐 수 없다. 1960년대 이후 판화의 조형적 변주들은 고스란히 이식되어 태피스트리로 옮겨지거나 판화 혹은 태피스트리 작업 자체에서 드러나는 장르 특징적 성격을 지니면서 뚜렷하게 부각되었다. 따라서 송번수의 예술세계에서 판화와 섬유미술이라는 모더니즘의 형식적 장르구분은 의미를 상실한다. 그에게 중요한 것은 매체나 기법의 문제가 아니라 ‘무엇을 표현할것인가’에 관한 끊임없는 예술적 질문과 실험이기 때문이다. 필자는 이러한 그의 생애와 작품세계고찰을 통해 시대적 배경을 기록하고 수직 작품의 특징적인 조형성을 분석하여 한국 현대 섬유미술의 단면을 기록하고자 한다. 연구범위는 태피스트리 작품으로 한정하고 작가와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그와 관련한 태피스트리 문헌연구로서 논을 완성 하였다. Modern and contemporary Korean crafts have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pure art, which express the artists’ unique creativity, rather than practicality. Tapestry is a textile-based form of artwork that has been developed in the West, and it was transmitted to Korea around the mid-20th century as a new technique by which textile artists could express their artistic ideas. During the 1980s~90s, many artists started to use a hand-weaving technique and presented various artworks accordingly, developing into a major area of Korean modern faber art. Such phenomena have marked an important historical turning point in the history of Korean faber art and serious research on this field is needed. In this paper the formativeness and value of hand-weaving techniques will be analyzed through research on tapestry artists, and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will serve as the basic data in the field of faber art. In the artworks of artist Song, Burn-soo, printmaking, tapestry and environmental sculptures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m within an inter-complementary network as the artist’s desire to experiment with media and express his ideas through sculpture. In the 1960s, the formative variation of printmaking began moving wholly to tapestry, or took up a form of genre as revealing the work of printmaking or tapestry. Accordingly, in the art world of artist Song, Burn-soo, the formal classification of genre of modernism such as printmaking or fabric art loses its meaning. This is because what is important to him is not a matter of media or technique, but of ceaseless artistic questioning and experimenting with regard to “What to express.” This writer attempts to record this aspect of Korean modern faber art by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nd-woven artwork and to record the historic background by examining Song’s life and art. The scope of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tapestry work through interviews with the artist an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of his tapestry work.

      • KCI등재

        한국 초고공예에 관한 연구 : 강화 화문석을 중심으로

        정경연(Chung, Kyoung-yeon),유금자(You, Kum-J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4

        Plant and straw crafts are originated from making daily life tools with natural materials that primitive people could get from their natural environment. Korean plant and straw crafts are cultural assets of Korean people, which are based on the nature and natural conditions of Korea. They are characterized with application of straws that are surplus of farming since Korea was a nation of rice farming. Along with straws, stems and vines from plants and the bark of a tree, which are obtained from nature of Korea and have strong fiber, are used as well. Hwamunseok among plant and straw crafts was produced for special ruling class, and it was produced in several areas before the time of Goryeo Dynasty, but now it is barely carried on in Hampyeong in Jella Namdo and Kanghwagun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e time when hwamunseok in Kanghwagun becomes popular like today was after year 1700. Kkotdotjari is first form of hwamunseok in Kanghwa. However, this kkotdotjari means rush mat fringed with cloth woven with yongsucho which is different from hwamunseok. Kanghwa played a role of a capital of Goryeo after invasion of Mongolia in the time of Goryeo Dynasty and produced hwamunseok in order to cover the goods that were presented to the king of China and the demand of royal family and special classes in China. As a result, hwamunseok in Kanghwa developed new ways of weaving poetry and prose with wancho, which is the way of weaving that the longitude is moderately woven to be outward. Currently, wangcho is grown in songhaemyeon, yangsamyeon, kilsnagmyeon, and naekamyeon in Kanghwa, and among them, dangsanli and yangoli are the places where the highest number of private houses produce wancho crafts. The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No. 103 wancho master craftsman Lee Sang Jae, a wancho hwamunseok function initiator Seo Soonnim and members of Wancho Preservation Association mainly produce the works by centering on these areas. Great affection for wancho crafts transmitted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plays a great role in wancho crafts in Kanghwagun. The researcher thinks that we need to give meaning to hwamunseok which is tangible cultural asset which is far from the life of people now and reinterpret it so that we understand how we can create new values of this that is appropriate to the time. From this perspective, this research attempts to seek for value of Kanghwa hwamunseok among other traditional plant and straw crafts that represent Korea, the reality of its production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초고공예(草藁工藝)는 원시인류가 자신들의 자연환경에서 얻을 수 있는 자연재료를 가지고 생활용구를 제작하여 생활에 활용한 것에서 유래한다. 한국의 초고공예는 한국의 자연과 그 자연조건을 기반으로 한 한국인의 문화적 자산이다. 한국의 초고공예에는 한국이 벼농사 국가로서 농사의 잉여물인 볏짚의 활용이 두드러진 특징이다. 볏짚과 더불어 한국의 자연에서 얻은 섬유질이 강한 풀의 줄기나 덩굴, 나무껍질 등이 사용되었다. 화문석은 초고공예품 중에서 특수한 지배 계층을 위해서 제작된 것으로, 고려시대 이전부터 여러 지역에서 생산되었으나 지금은 전라남도 함평과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겨우 그 맥을 잇고 있다. 강화군의 화문석이 오늘날처럼 유명해진 시기는 1700년 이후이다. 강화군 교동면의 꽃돗자리가 오늘날 강화 화문석의 전신이다. 그러나 이 꽃돗자리는 지금의 강화 화문석과는 다른 용수초를 가지고 짠 등메를 의미한다. 강화는 고려시대 몽고 침략 이후, 고려의 수도 역할을 하면서, 중국에 진상품과 왕실과 특수층의 수요를 충당하기 위해서 화문석을 제작하였다. 그 결과, 강화의 화문석은 용수초 대신 완초를 가지고 노경소직에 시문하는 새로운 방식을 개발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현재, 완초는 강화군의 송해면, 양사면, 길상면, 내가면 등에서 재배되고 있으며, 그중에서 당산리, 양오리 일대는 완초공예품을 제작하는 민가가 가장 많은 곳이다. 중요무형문화재, 제103호 완초장 이상재, 완초 화문석 기능 전수자 서순님, 그리고 완초 보존회 회원들의 완초공예품 제작 활동이 이곳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강화군의 완초공예는 조상대대로 해 오던 완초공예에 대한 애정이 큰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동시대인들에게 생활에서 멀어진 우리의 소중한 유형문화적 자산인 화문석에 대해서 의미를 부여하고 재해석하여 이 시대에 걸맞은 새로운 가치 창출을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해서 고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는 이런 관점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초고공예품 중에서 강화 화문석의 가치와 제작 실태와 그리고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 KCI등재

        루이즈 부르주아 바느질 작품 연구

        정경연(Chung, kyung-yeun),김혜란(Kim, hye-r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6 조형디자인연구 Vol.9 No.2

        The study examines what needlework represents and symbolizes as a non-artistic technique in the contemporary art. Firstly, the study explores work of Louise Bourgeois (1911~). Since the 1930s, she has produced artwork in various genres including painting, printing, sculpture, installation work and textile sculpture, all with consistent theme of creation. When an artist shows distinct changes in using materials and methods who had worked with the same theme for a long time, we can interpret it as a new attempt or change in the artist's philosophy. It deserves our attention to see how Bourgeois used to mainly produce large-scale installation work made of bronze mold and marble pieces, but began to produce a series of textile sculpture figures since the mid-1990s, made of old fabric and clothes, which she employed only as part of objets in the installation work before. The study analyzes symbolic meaning of severed body parts and needlework in Bourgeois's work, examines its relation with the tradition of expressing severed body parts that has been present in modern and contemporary Western art to clarify the context of Bourgeois's work.

      • KCI등재

        한국 현대공예가 연구

        정경연(Chung, Kyoung-yeon),오화진(Oh, Hwa-ji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1

        Today the world of contemporary craft faces revolutionary themes in its creative activities and education. These relate to the 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craft, initiated around the time of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in 1945, and the Korean War in 1950. From then to today is a period that has witnessed confrontational politics between left and right, to root out colonial elements, and many examples of drastic industrialization and modernization. The craft community has endured this period, adapting itself, continuing its evolution. And just as our society has witnessed remarkable growth, our craft world has also shown astounding development. In respect to its use value and development, traditional craft is less developed than creative craft, which emphasizes pure Western, modernist aesthetics. This has created an identity problem for craft, causing internal criticism within the craft world. It seems necessary now for the craft world to explore realistic alternatives, pursue creative, pure form, and also craft with practical value, and educational potential. This study explores ways to attain equilibrium through an examination of the history of contemporary craft in Korea, gained from valuable documents recording the living testimony of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raft artist. Through this examination, we expect to gain insight into what formed the mainstream of contemporary Korean craft, and Korean craft history as a whole. And this will allow us to shed light on the work of these artists. Contemporary craftsman Lee Shin-ja has been chosen to represent the first generation of Korean craft artist as she was recognized early as talented craftsman; she witnessed the growth of contemporary Korean craft as craftsman and educator; she assumed leading role in contemporary Korean craft. The methodology and practice of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hrough investigation of critical articles, news articles, and interviews with the artists. Based on this material, the impact of these artists on the Korean craft has been clarified. We cannot delay the work of also chronicling their vivid testimonies any longer, concerning the birth and alteration of contemporary Korean craft. Such interviews containing the assessment and prospect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contemporary Korean craft can be used as the materials to study and analyze craft history. This study aims to help enhance present and future craft education by preserving such objective materials.

      • KCI등재후보

        과정미술(Process art)에서 나타나는 섬유의 가변성 연구 -로버트 모리스, 에바 헤세 작품연구 중심으로-

        정경연 ( Kyoung Yeon Chung ),송윤진 ( Yun Jin Song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4 예술과 미디어 Vol.13 No.4

        미니멀리즘이 주된 경향이었던 1960년대 미국 미술계는 1967년부터 뉴욕을 중심으로 재료와 작가의 존재에 갈증을 느낀 작가들이 생겨났고, ‘과정미술(Process Art)’라는 새로운 경향이 등장했다. 이는 두 차례의 특별전, <레오카스텔리 화랑의 9명의 미술가(9 at Leo castelli)>전, <반일루젼: 절차/재료(Anti-Illusion:Procedure/Material)>전을 통해 미술계에 알려졌다. 과정미술가들은 작품의 제작 과정을 중요시하고 이를 주제의식과 연관시키려 했다. ‘과정’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형태가 변하는 재료가 필요했고, 유연하고 환경에 취약한 섬유의 특징은 장점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로버트 모리스(Robet Morris, 1931-, 미국)와 에바 헤세(Eva Hess, 1936-1970, 독일)는 각각 펠트와 실 뭉치, 유리섬유, 라텍스 등 미니멀리즘의 작가들이 사용하던 것과 확연히 다른 특질의 재료를 사용하였다. 이들은 재료에 대해 다각적으로 연구하였고, 여러 형태의 가변성에 대한 생각을 작품에 도입했다. 모리스는 아트포럼지에 ‘반 형태’라는 글을 기고하면서 과정미술의 이론적 배경을 수립하는데 큰 역할을 했고, 헤세는 작품이 변형될 뿐 아니라, 해체 되어 소멸되는 과정까지 제작 의도에 포함시키면서 범위를 확장시켰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과정미술에서 활용된 섬유의 가변성에 대해 로버트 모리스와 에바 헤세의 작품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여러 양식이 혼합된 형태로 나타나는 현대미술에서 작가들은 재료와 기법, 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작품을 구상하고 전개한다. 특히, 섬유미술가들은 전통적인 섬유의 범위에서 벗어나 다양한 재료를 작품에 반영한다. 때문에 재료의 특성을 면밀히 연구하고 전문적인 수준의 지식을 쌓는다. 이러한 섬유미술의 경향에서 재료에 대한 본질적인 연구에 본 논문이 선행 연구 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재료적 물성을 활용한 작품을 분석하는데 방법론적인 측면의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The art world in the United States in 1960, when the Minimalism was the main stream, artists who were thirst for materials and the presence of artists have arisen around New York since 1967, and a new trend of ``process art`` has emerged. It has known to the art world through two special exhibitions: <Nine artists of Leo Castelli gallery>, <Half illusion: procedure/material>. The process artists emphasized the production process of arts and tried to associate this to subject consciousness. In order to visualize an abstract concept such as ``process``, flexible materials that are able to change in terms of time and space, and fiber was a good material as it is flexible and vulnerable to environments. In particular, Robert Morris (1931-, United States) and Eva Hesse (1936-1970, Germany) used materials that were apparently different materials from Minimalists`` one such as felt, balls of string, glass fiber, and latex. They established and applied the idea of variability of various forms by studying about materials in a variety of ways. Morris played a big role to establish a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process art by contributing a ``half form`` to an art forum magazine. Hesse expanded the scope of process art by including the fragmenting and disappearing process as well as transforming one.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about the variability of fiber in process art centered on artworks of Robert Morris and Eva Hesse.Artists of contemporary art that is mixed with various forms map out their works free from the bondage of a formula. In particular, fiber artists reflect a variety of materials on their works out of the range of the traditional fiber. To do this, they closely research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have a knowledge of professional level. In that sense, I hope this study on the variability of fiber in process ar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production of creative artworks. In addition to this, I suggest a methodological data in analyzing artworks utilizing material properties.

      • KCI등재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디자인 활용에 관한 연구

        정경연 ( Chung Kyoung-yeon ),김수 ( Kim Soo-youn ) 한국영상미디어협회 2018 예술과 미디어 Vol.17 No.2

        본 연구는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디자인 활용가치에 대해 탐구함으로써, 텍스타일 산업의 다양한 소재 개발 및 제품 적용에 기여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목적달성을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등장배경과 개념, 방염의 기술적 원리,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법적근거 등을 포함한 사회적 사용 확산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방염기능성을 갖춘 텍스타일 디자인을 실재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원단의 사례를 분석하였고,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을 소재로 제작한 실용적 상품에 대해 방염원단의 디자인적 활용 가치를 분석하였다. 원단 회사와 각 회사의 원단들 및 원단이 활용된 디자인 제품에 관한 정보는 각 온라인 사이트를 통하여 수집하였고, 연구자가 직접 관람한 2018 HEIMTEXTIL(하임텍스타일) 박람회의 2900여 개 업체 중 방염원단을 취급한 전리품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은 기능적으로, 심미적으로 급격히 발전하고 있는데, 특히 본 연구에서는 독일, 아일랜드, 미국, 인도, 그리고 우리 나라의 방염원단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서 현재 세계적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의 디자인이 재질과 색상 개발 면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러한 텍스타일 디자인의 발달은 제품 디자인에 적용함으로써 활용 가치를 인정받게 되는데, 본 연구는 현재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을 소재로 하여 제작되는 제품들을 가방류, 선박 및 자동차류, 소파 등의 인테리어 제품류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방염원단 활용 제품들로 아웃도어 의류와 전기회사 작업복을 고찰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의 제언은 크게 세 가지로 볼 수 있다. 첫째는 방염기능성 텍스타일이 더욱 대중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필수불가결한 전제조건이 바로 대량생산과 그로 인한 원가절감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방염제도 기준 강화에 대한 필요성이고, 셋째는 방염기능성 텍스타일 디자인 능력 향상에 대한 요구이다. 방염이라는 반드시 필요한 기능과 그 기능이 강화되면서도 디자인적 활용가치를 추구하는 목적의 본 연구가 현 시점에 실효성있는 정책 수립을 위하여 유의미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aterials and application of products in textile industry by exploring the value of design use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For the purpose of achieving research objectives, this study theoretically examined the spread of social use including the background and concept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the technical principles of flame-resistance, and the legal basis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In addition, cases of fabric were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actual design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ce functionality, and the value of design use of flame-resistant fabric was analyzed for practical products made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Information on fabric companies, fabrics of each company and design products using such fabrics was collected through each online site. Among 2,900 companies at the 2018 HEIMTEXTIL exhibition that the researcher visited in person,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rophies which handled flame-resistant fabrics.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is rapidly developing in terms of functionally and aesthetically, and expecially in this study, German, Irish, American, Indian and Korean flame-resistant fabrics. Through this process, it was found that the world’s textile design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has achieved remarkable results in the field of material and color development. As such developments in textile design are being recognized for its application to product design, this study examined the products manufactured using textiles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by dividing them into bags, ships and automobiles, and interior products such as sofa.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outdoor clothing and working clothes of electric companies using flame-resistant fabrics and presented future directions.There are three main suggestions in this study. First, the essential preconditions for more popular use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are mass production and resulting cost reduction. Second, the need for an enhanced standard on flame-resistant system, and third, the need for improving the design capability of textile with flame-resistant functionality.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aimed at promoting the design value while enhancing the necessary function of flame-resistance will have a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an effective policy at this time.

      • KCI등재

        레베카 메델(Rebecca Medel)의 Early Grids(1980s-1990s)조형 분석-투영효과를 이용한 섬유표현 형태중심으로-

        정경연 ( Kyoung Yeon Chung ),이수 ( Su Ye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현대예술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과학기술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현재 많은 예술 분야가 과학기술을 작품에 도입하여미를 창출하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섬유예술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현대 섬유예술은 과거의 면사를 이용하여 짜거나 염색하는 등의 전통적인 기법에서 벗어나 좀 더 다양한 재료를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평면작품에서 벽에서 내려트리는등의 부조 형태나 공간을 활용한 설치작품으로 공간에까지 표현의 영역을 확장한다. 공간은 조형물로부터 인간이 존재하는 방향, 위치, 거리 등의 영향을 미쳐 인간이 시각적으로 인지하는 심적인 경험을 하게 한다. 그 연결 매개체가 투영이다. 투영에 의한 공간 표현은 작가의 미적 경험을 조형적으로 표현하고 의미를 전달하는 데 중요한 수단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투영을 이용한 공간표현의 대표적인 섬유예술가 레베카 메델(Rebecca Medel, Denver, Colorado, 1947)를 선정하여 작가의 초기(1980s-1990s)작품을 중심으로 분석 연구하였다. 1980s-1990s 에 나타나는 작품을중심으로 재료 측면과 기법적인 측면으로 구분하여 작품에 사용된 재료와 물성을 분석하며 표현 방법을 찾아보았다. 본연구는 투명소재를 빛의 투과에 따라 재료가 갖는 물리적 성질이 다르게 표현된다는 투영의 개념을 전제로 하여 시작하였다. 그 결과 조형물과 공간의 관계에서 명암의 차이는 깊이를 주어 거리의 차이를 느끼게 하였다. 또한, 공간은 빛의 위치에 따라 영향을 미쳤다. 빛은 공간의 방향감과 깊이에 영향을 주면서 공간의 다양한 변화를 만들어 낸다. 공간에 있는 조형물은 빛이 오는 방향과 빛의 양, 재료의 성질에 따라 대상을 다르게 인지하도록 하므로 사용된 재료가 빛을 흡수하는 정도는 작품의 표현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는 과학기술의 발달로 과학과 예술이 융합하는 새로운조형예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투영 효과를 활용하여 명암과 거리의 차이를 느끼게 함으로써 조형물과 공간의관계를 표현하는 다양한 변화들이 새롭게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을 통해서 현대 섬유예술의 재료와 표현형태가가지는 의미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 이론들을 정리 및 제시하고 있으며 이것을 통해 새로운 조형예술로 발전하는데가능성을 보여줄 것이다. Along the passage of time, modern art has been much affected by science and technology. At present, science and technology are invited to many genres of arts to create beauty. Such phenomenon is easily found in textile art. From the traditional techniques such as weaving and dying with cotton yarn in the past, the modern textile art has much evolved to plane art works using more diverse and complicate materials, installation arts such as relievos hanging down from a wall or using the space. Space makes a human emotionally experience what he recognizes visually from a form by affecting orientation, position and distance in which he is. The medium to the experience is projection. Spatial expression through projection is an important tool by which an artist communicates and deliver his or her esthetic experiences in form. In this respect, the researcher selected Rebecca Medel (Denver, Colorado, 1947), who is a representative textile artist creating spatial expression through projection and his early works (1980s-1990s). With the early works of his, this study looked into the materials and their properties in an effort to understand his expression techniques at two angles: material and artistic technique. This study is first based on projection concept that transparent material has physical properties that turn different by penetration of ligh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demonstrated that intensity deference - or light and shade - make it feel difference in distance through dep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form and space. In addition, space was affected by light. Light makes various changes to space, affecting the sense of orientation and direction. A structure in a space is recogniz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rection and amount of light and the texture of a material, so the degree to which the material absolves light is closely related to the expressing effects of a work. In the modern times, when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 and improve, attention is more being paid to a new formative art in which they are converged. Especially, various attempts are made to make change in space where the relationships between a structure and space are expressed using the differences in light intensity and distance through projection effect. The present study summarizes and suggests the fundamental theorie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meanings of the materials for the modern textile art and expressions, and opens up the possibility that a new formative art can be created based on it.

      • KCI등재

        현대미술에 나타난 펠트 연구

        정경연(Chung, Kyung-Yeun),김혜란(Kim, Hye-Ra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07 조형디자인연구 Vol.10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raditional esthetic qualities of felt as materials for modern plastic art as well as its artistic possibilities. First, I looked into the history of felt through cultural investigation of human beings and felt. By doing so, I intended to shed light on sentimental values of felt for human beings in the cultural relationship between people and felt. For this, historical evidence on ancient felt was collected and compiled. Besides, the development and values of felt in terms of history and cultural anthropology are also included in the basic research backgrounds with reference to various books on the history of textile published home and abroad. Next, I investigated how felt has been used in modern art since it went through different production procedures than traditional woven fabric.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d the properties that modern artists have focused on. In analyzing the matter of felt in modern art work, its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three: First, Joseph Beuys’s work is chosen for its primitive symbolism of felt. Through his work the meaning of ‘protection’ and ‘disruption’ were analyzed. Second, Joan Livingstone was selected as an artist who compared the intrinsic properties of felt to the characteristics of a human body. It was analyzed how the objectification process of identification through a human body in her wor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and society are expressed through felt. I centered on how the intrinsic sentimental, functional and aesthetic qualities of felt are interpreted in relation to the subject matter of an artist. Based on the findings, I examined a possible expansion of aesthetic expression in plastic art based on the art works made of non-woven fabric materials.

      • KCI등재

        현대예술과 패션의 아트콜라보레이션 유형연구

        정경연 ( Kyoung Yeon Chung ),한지 ( Ji Yeon Ha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4

        예술과 패션은 사회와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형태로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왔다.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예술작품에 무형의 가치와 의미를 대중과 나눌 수 있는 소 통의 장이 되므로 다양한 형태의 유형 연구가 필요한 시대이다. 최근 패션 산업 전반에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있어 효과적인 접근방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콜라보레이션에 대 한 이론적 정립과 학술적 경향을 파악하기 위해 전문서적과 학술 논문 자료를 중심으로 연 구하고 자료의 수집은 아티스트와 패션 브랜드 공식 웹 자료를 기반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생성과 전개 연구를 토대로 사회적 배경과 콜라보레이션의 성행 관계를 분석하고, 트랜드에 부합하는 자료조사를 위해 2010년 이후 이루어진 복수의 성공사례를 수집하여 그 유형의 형식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을 분석 함으로서 아트콜라보레이션의 유형별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아트콜라보레이션은 유형별로 마케팅 형태와 사회적 기능에서 차이점을 나타냈고 아티스트는 영역 확장, 아이덴티티 구축, 홍보 효과의 공통점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아트콜라보레이션 발전과 진행에 효과적인 접근 방 법과 체계화를 위한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Fashion and art have developed, changed and interacted on each society as forms of various art collaboration. Studies on various types of art collaboration are required to share the meaning and value in art works with the public. This study is supposed to be used as data base to offer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the development and process of constantly increasing art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field lately. Research method is based on specialty publication and academic thesis to investigate the academic tendency and theoretical establishment for collaboration. And data collection stands on artist and fashion brand official websites. The study is aimed at investigating prevalence relation between collaboration social background based on formation and development in art collaboration. For data collection fitting trend, th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ypes of art collaboration was figured out by collecting several successful cases since 2010 and investigating the 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cas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between marketing forms and social function according to type of art collaboration and artists had something in common such as expansion of area, identity development and promotion effect. The result is expected to be base data to present effective approach and systematization for development and progress in art collabo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