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주간보호시설 공간구성 평가방법 연구

        권은정(Kwon Eunjung),정강화 (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4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발달과 함께 사회 환경이 급속이 변화하였고 의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노인에게 각종 보호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노인주간보호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의 노인 복지환경 조성 및 시설의 고급화와 바람직한 공간으로 그 기능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기존 시설의 실내공간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규명해 개선해야 할 부분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설가운데 서울시 에 위치한 규모가 비슷한 4곳을 선정하여 운영자와의 인터뷰와 체크리스트를 통한 관찰조사로 평가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시설의 현황 분석 결과 급식공간과 지원공간은 비교적 잘 갖추어져 있었다. 위생적으로 취사 및 조리를 할 수 있는 설비와 노인들의 동선에 용이하였으며 응급호출 시스템이 대부분 잘 갖추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동공간은 많은 문제점이 발견되어 개선이 가장 시급하다. 복도의 폭이 좁아 이동에 불편함을 주며 출입구와 문턱에 높이차이가 크고 바닥표면 또한 미끄럽고 딱딱하여 위험해 보였다. 이상과 같이 현재 운영되고 있는 노인주간보호시설은 노인들의 공간으로의 개선이 많은 부분 필요하다. 만성질환노인 치매노인 허약노인 등 다양한 질병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을 고려한 종합적인 시설 으로의 발전을 위하여 세심한 건축적 배려와 법적기준의 강화가 절실히 요구된다. The social condition has been rapidly changed with the fast economic development in our country the ratio of senior citizens in population structure has increased because of expansion of average life span caused by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Our country has been implementing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to make them get special care and support. This study figures out the interior space of existing centers investigates the problems and makes suggests for improvement in order to create a welfare condition and high qualification of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s and also to satisfy that function. Selecting 4 small-sized places located in Seoul among centers managed now this study evaluates and analyzes them by an observation method through interviews with managers and checklis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al condition on the surveyed centers feeding space and support space are comparatively well-equipped.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facility for culinary cooking is placed to reduce senior citizens' movements and emergency calling system is largely well equipped. In addition the tiles on the ground are well selected not to be slippery. However in the space for movement a lot of problems are revealed so there is an urgent needs to solve them. The width of corridors is narrow which makes the movement inconvenient differences in height of entrances and thresholds are big and the surface of the ground look dangerous because it is slippery and hard. Likewise existing day care service centers for senior citizens requires a lot of improvements as a special space for them. For the development toward more comprehensive centers considering seniors with chronic disease seniors with Alzheimer's disease seniors with feeble health more careful architectural consideration and reinforcement of legal standards are urgently needed.

      • KCI등재

        신도시와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가이드라인 비교분석

        황계화(Huang Guihua),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신도시는 현대사회에서 급격히 늘어난 도시화 문제를 해결하고자 형성된 도시로서 역사적 배경과 문화적 측면에 있어서 기존도시와 뚜렷한 차이점을 갖고 있다. 반면 현재 실현되고 있는 신도시와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에 대해 비교해 보았을 상호간의 디자인 요소의 차별성을 두지 못했으며 도시기능 및 정체성을 표현함에 있어 부족함이 있다고 본다. 이에 본 연구 논문은 신도시의 기능적 역할과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사전조사로써 우선 기존도시의 가로시설물 개선사례 및 신도시 가로시설물디자인에 대해 분석 하였다. 또한 이를 통해 사례 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이 어떠한 기준치와 요소에 의해 디자인 되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며 향후 신도시의 가로시설물 디자인의 경향에 대한 기초연구의 자료가 되겠다. Having distinctive differences from existing towns in terms of historical background and cultural aspect new towns have been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resolving the issues incurred due to dramatically expanded urbanization in modern society. However it seems that no significant differences have been made in designing the landscape facilities of new and existing towns. Also the functions and identity of a town have not been satisfactorily expressed in those facilities. With these reasons in this study I have analyzed first the improvement cases of landscape facilities in existing towns and those facilities newly constructed in new towns as a preliminary research to build the guidelines for landscape facilities design emphasizing the functional roles and identity of new town. In addition the bases and elements applied to the process of building the guidelines for designing the landscape facilities of sample town will be research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playing a fundamental role in researching the future design trend of landscape facilities in new towns.

      • KCI등재

        스토리텔링과 공공디자인의 통합 방안에 관한 연구

        박문형(Park Moonhyoung),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3

        지자체들의 공공디자인에 대한 관심은 인과적으로 공공 디자인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렇지만 긍정적 부정적 반응이 상존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공공디자인의 현재 상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에 대한 개선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개선 방안의 방향은 현재 각광받고 있는 스토리텔링이라는 이론을 통하여 공공디자인과의 통합화를 추구하여 통합 방안을 만들고자 하였다. 스토리텔링과 공공디자인이 통합하기 위해서는 두 분야의 접점을 찾고 그것을 연결 고리로 해서 통합 방안의 맥을 찾았고 그 연결 고리를 스토리텔링의 유형이라 정하고 그것을 분석하여 공공디자인을 적용하는 방식을 설정하였다. 이런 흐름을 스토리텔링과 공공디자인의 통합 방안 가설로 프로세스를 제안한다. 지자체 입장에서도 프로세스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것이 통합 가치라고 본다. 통합 가치는 형태 기능 산업 가치라고 분류 정리하였다. 또 프로세스에서는 스토리텔링과 공공디자인의 통합을 통하여 스토리텔링의 OSMU(One Source Multi Use) 방안을 구축할 수 있다. About public design of the local authority organizations brought the development of public design with the overcharge where is the interest. However the affirmative and negative effect coexists. In order to understand this situation from this research to observe the current status and a problem of public design in order to seek a improvement program about report him.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program to lead currently footlights an integrated plan the theory which is a storytelling which is getting the integration of public design and pursues in order to make. The storytelling and public design to respect integrate to find the point of contact of two fields it with the linkage that linkage to seek the pulse of integrated plan was a type of storytelling and the method which applies a public design analyzes it to decide set. Proposes a process with integrated plan construction of this flowing storytelling and public design. Local authority organization position process leads and sees as integrated value that is the possibility of getting. The integrated value arranged as form function and industrial value classification. Also from process integration of the storytelling and public design will lea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will construct OSMU (One Source Multi Use) plans of the storytelling.

      • KCI등재

        어포던스(Affordance)의 디자인 적용 사례 연구

        박문형(Park Moonhyoung),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생태심리학자인 제임스 깁슨에 의해 만들어진 조어인 어포던스는 인간을 둘러싼 환경과 인간과 물체 사이를 관계 짓는 다양한 분야로 파급되어 발전되었다. 그 중에 디자인도 영향을 받은 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어포던스가 어떤 개념인지를 주요 학자들의 논점을 먼저 살핀 다음 환경디자인 건축 제품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로 적용되는 사례를 살펴보고자 한다. 어포던스가 적용된 사례를 통해서 앞으로 디자인을 전개함에 있어서 도움을 받고자 한다. 적용 사례는 첫째 어포던스를 먼저 이해하고 진행한 디자인과 둘째 시작할 때에는 어포던스의 개념의 적용이 없었으나 실제 디자인이 완성되었을 때에는 결과적으로 어포던스의 개념이 보이는 디자인을 보고자 한다. 어포던스의 개념이 대중화하지 않았지만 디자인 조형 활동 후 어포던스 개념이 적용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디자인을 살펴보아 어포던스의 긍정적인 가치를 찾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두 가지 경우를 모두 향후 디자인 적용하는데 의의를 가지고자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디자인도 단순한 조형 활동에 머무른 것이 아닌 철학적 토대 위에 축척되고 가치있는 활동이 되고자 한다. By James Gibson who is a mode of life psychologist was made and affordance where is a parent language between the environment which surrounded the human being and the human being and the object relationship spread in the various field which makes and was developed. As one field where to among the rest also the design undergoes an influence there is a possibility of saying. From this research affordance is what kind of concept after observing the important the disputed point of scholar first observes the instance which is applied in environmental design construction and the product design etc. various field and the reporter does. The instance where affordance is applied leads develops a design in the future to be in order to receive a help. The application instance first understands affordance first with the design which processes second when starts although there was not application of affordance concepts when the actual design was completed affordance concepts are visible resultantly designs the reporter. affordance concepts did not popularize after design moulding activity affordance concepts were applied to try to observe the design which is the possibility of judging in order to seek the value which affordance is affirmative. This to lead two kind cases all hereafter design in order to have the questionable matter which applies. Like that do with in order for to become the activity which is the value to be accumulated to philosophic base place where the fact that also the design stayed to a simple moulding activity is not.

      • KCI등재

        실내공간에서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 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

        양보람 ( Yang Boram ),정강화 ( Chung Kangwha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1 No.-

        실내공간에서 빛은 단지 밝기를 제공한다는 의미를 넘어 하나의 소재로 인식되고 있다. 실내공간에서는 빛을 확산이 중요하기 때문에 조명기구에 있어 확산성과 빛의 효과를 고려한 투과면 소재의 선택이 필요하다. LED가 실내공간으로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LED의 특성에 최적화된 조명기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LED는 소형화된 점광원, 글레어 방지를 이유로 빛의 확산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ED 조명 확산소재로써 패브릭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패브릭의 확산효과를 활용한 LED 조명 디자인의 특성 및 경향을 연구하기 위해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준은 형태적 특성과 표현 특성으로 분류했다. 사례들을 형태적 특성으로 분석한 결과 패브릭을 활용한 LED 조명이 독립적인 조명기구형태에서 공간에 일체화된 형태로 확장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패브릭의 표현 특성인 드레이프성, 신축성, 촉감에 따라 다른 확산면이 형성되어 빛 확산효과가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LED 조명의 확산소재로써 패브릭이 디자인적 측면에서 형태적 자유도와 다양한 빛 확산효과의 장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패브릭 소재의 활용을 통해 스마트 라이팅 테크놀로지를 이질감 없이 자연스럽게 실내 환경에 적용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e light in interior space is being recognized as a material itself rather than just a thing that provides the brightness. Because of importance of the diffusion of light in interior, the choice of material considering the effects of diffusion and transmission of light is needed in lighting fixtures. In particular, there has to be an urgent research in regard to a mechanism of the diffusion of light on account of minimized light point resource, straightness of the light, and the protection of glare. Accordingly in this study, selected cases were analyzed to present a possibility of the usage of fabric as diffusing material and study characteristics and tendency of LED lighting design utilizing diffusion of fabric. Basis of analysis is classified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and expres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analysis according to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re was a tendency that the LED lighting utilizing fabric extends from a form of independent lighting fixture to a form unified in a space appeared. Also various diffusion surface formed and diffusing effect of light appeared to express characteristics of fabric such as drape, stretch, and tactile impres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abric, a diffusing material of LED lighting has an advantage of morphological freedom and various lighting diffusion effects as in design aspect. It is expected to have smart writing technology applied to an interior environment in a natural way without a sense of difference through a utilization of fabric material.

      • 실내용 모듈형 LED 조명 시스템 디자인에 관한 연구

        안현정(Ahn Hyunjeong),정강화(Chung Kangwha),왕이추(Wang Yeechew),장염정(Jang Yeomjeong),허빙(Heo Bing)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11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1

        This study tries grafting formation fundamentals to an illumination external design, led structurally and diversely functioning assembly of module. This study plans design of light emitting diode(led) apparatus by following prerequisite. A module forming whole composition shows a characteristic of fractal expanding self-similarity with a patten in view of form and a process collectively forming the whole by a module shows a characteristic communicating with evolution biology theory reproducing self-similarity through natural selection by a gene, A minium module of heredity.

      • KCI등재

        건축파사드와 LED 조명의 일체화 경향에 관한 연구

        김주현(Kim Juhyun),양보람(Yang Boram),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0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0 No.2

        LED를 이용한 건축조명설계 사례는 최근 증가하고 있으며 건축과 LED조명기구와의 설계 적용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LED 광원의 소형화에 따른 디자인의 유연성과 조명기구와 건축과의 밀착도가 높아져 일체화된 설계형태가 많이 보여지고 있다. 이러한 설계형태는 조명이 건축에 덧붙여진 부수적 요소가 아닌 건축의 일부로 스며들어 주간의 조명기구에 대한 스텔스 효과와 건축 마감의 완결성을 보여준다. LED를 적용한 건축의 사례를 통해 건축적으로 완성도 있는 설계방식과 디테일을 분석하고 조명과 건축이 일체화되는 창의적인 건축조명설계의 새로운 경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LED has been more and more used for architectural lighting and various R&D programs are conducted to increase the design adaptability of LED lighting product to architecture. Particularly the trend to make LED light source compact has led to more flexible designs and high integration of lighting and buildings. As a result designs combining lighting with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ntents design and sides of visual and cognitive are made frequently. Such designs allow us to realize lighting is imbued with architecture not a secondary or additional factor demonstrating stealth effect of lightings and highlighting beauty of completed buildings. Through case studies on LED-applied architectures I'd like to analyze design methods and details to improve architectural accomplishment and share new trends on creative design of architectural lighting making lighting and architecture in one.

      • KCI등재후보

        간판조명 개선을 위한 절감효과 분석 연구 : 형광등 간판과 LED 간판을 중심으로

        조연제(Cho Younje),윤주영(Yoon Jooyoung),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2

        본 연구는 간판조명을 LED조명으로 대체함으로써 얻어지는 에너지 절약과 그에 따른 CO2 배출 저감효과를 분석하여 에너지절약형 간판 보급 확대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2009년 전수조사 현황에 따르면 총 광고물의 수량은 526만개로 2007년 대비 21%가 증가했으며 수도권 및 대도시의 광고물 수량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전기를 사용하는 간판은 총 간판 수량의 74%를 차지하고 표본조사 분석 결과 LED의 제작 비율이 점차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전기를 사용하는 간판 중 가로형 세로형 돌출형 간판이 전체 조명간판 중 93.2%를 차지하고 있어 이를 토대로 형광등과 LED의 단위면적당 소비전력량을 비교분석한 결과 1㎡당 소비전력량은 LED간판이 형광등 간판의 약 26%에 해당하며 연간소비전력량은 형광등 간판이 8,018GWh LED간판은 2,102GWh이다. 따라서 형광등간판을 LED간판으로 100% 교체 시 5,915GWh의 에너지 절감 효과를 볼 수 있고 이산화탄소는 약251만톤 전기요금은 약 4,135억원의 절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에너지 절약을 할 수 있는 간판조명의 개선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법체계의 명확화 민간주도 사업 방식으로 전환 인식의 제고 등의 개선 방안이 요구되어진다. This study aims to search for improving solution to expand distribution of energy saving signs by analyzing energy saving effect by replacing sign lighting with LED lighting and subsequent CO2 emission reducing effect. According to 2009 complete enumeration the total number of advertisement was 5.26mn 21% increased compared to 2007 substantial portion of which are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and big cities. In addition signs using electricity accounts for 74% of the entirety and ratio of LED manufacturing is gradually increasing according to sampling survey. Horizontal vertical and projected types comprise 93.2% of the entire signs operated by regular electricity. Up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nergy consumption per 1㎡ of fluorescent and LED light LED sign is about 26% of fluorescent light sign and annual measurement of fluorescent light sign is 8,018GWh whilst LED sign is 2,102GWh. Therefore switching fluorescent light sign to LED sign completely can bring 5,915GWh of energy saving effect along with 2.51m tons of CO2 emission and 413.5bn KRW of electricity fee decrease. Given the fact government is required to support enthusiastically and to define the legal system for sign lighting improvement in order to curtail CO2 emission and save energy. Then it should be switched to private project led by civilians while enhancing their awareness.

      • KCI등재후보

        빛공해에 따른 조명간판의 관리방안 연구 : 간판제작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한 규제방안을 중심으로

        조연제(Cho Younje),윤주영(Yoon Jooyoung),정강화(Chung Kangwha)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1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1 No.3

        Chaotic signboards on the street make pedestrians unpleasant making light pollution by light reflection. Even though it is inevitable for stores to use lighting boards to compete each other where many stores are concentrated the government's management is necessary because the boards are exposed to the public. Today the percentage of illegal advertisement is over 50% and this is because institution related with advertisement has loopholes so we can't expect that lighting pollution will be lessened under the current regulation regime. By studying the current institution and regulations we conclude that we may minimize regulations and maximize characteristics and artistic values of signboards by regulating size and numbers of signboards by regions. In terms of lighting pollution excessive brightness of lighting signboards is closely related with brightness movement lighting color and ways of installment. Therefore it is clear that guidelines are necessary. However signboards are usually manufactured by petty and small producers so they can't follow the recommended brightness because tools for bright measurement are expensive and because there are variety of measuring methods. Hence it is pragmatic that institutional regul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licensing registering and managing in the process of signboards production. In other words,'integrated management system' with pre-registering regulation should be implemented which is based on the design process of signboards. This will secure the individual design of signboards and manage lighting pollution and detailed standards for the signboards production should be studied. 우리나라의 상업지역 내 옥외광고물 중 조명을 사용하는 간판들은 무질서한 난립으로 인해 보행자에게 불쾌감과 빛 반사로 인한 빛공해를 유발하고 있다. 이는 상가가 밀집하여 경쟁하는 구조에서 불가피한 일이라 할 수 있지만 공중에게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있다는 점에서 관주도 하의 관리가 요구되어진다. 현재 우리나라의 간판현황에서 불법광고물의 비율은 50% 이상으로 이는 불법이 자행될 수밖에 없는 제도에 문제가 있다고 여겨지며 현 옥외광고물의 제도 하에서는 간판조명의 빛공해가 개선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빛공해에 따른 발광광고물은 현행제도와 규제를 분석한 결과 간판의 개성과 예술성을 고려하고 규제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은 지역·권역별로 광고물의 수량 면적에 따른 크기 등을 제한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빛공해에 있어 간판조명의 지나친 밝기는 휘도와 움직임 광색 설치방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이에 따른 가이드라인의 기본 지침의 설정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영세한 우리나라의 간판 제작실정에 비춰볼 때 휘도를 측정하는 기기의 비용문제와 다양한 측정방법으로 인해 권장 휘도를 따를 수 없다. 그러므로 실질적 적용을 위해서는 간판의 제작과정에서의 허가 및 신고 관리부분에서의 제도적 규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간판을 제작하는 디자인 프로세스를 기반으로'사전신고제'를 통한'통합관리시스템'이 규제방안으로 제정되어야 한다고 결론지었다. 이는 간판의 개별디자인은 살리고 공중을 위한 관리의 규제는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연구되었으며 향후 제도적 측면에서 규제할 수 있는 간판제작에 대한 구체적 기준마련이 요구되어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