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Arts PROPEL 프로젝트 학습에 기초한 미술 감상 교육과정의 분석적 탐구

        강현석 ( Hyeon Suk Kang ),이자현 ( Ja Hyu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5 중등교육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미술에서의 감상교육이 그동안 매우 소극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져 온 문제를 비판하고, 보다 적극적으로 감상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이해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미술 감상은 미술 작품의 창작이나, 미술적 지식의 습득, 개인의 반성과 분리되어서 이루어지는 활동이 아니다. 그것은 곧 작품의 지각을 통한 학습자 개인의 내면화, 세계와의 대화를 의미하며, 그런 점에서 감상은 앎과 생활이 하나로 이루어지는 매우 통합적인 활동이다. 그러나 기존의 미술 감상 교육은 이 점에 대하여 소극적이었으며, 특히 작품 창작, 지식의 습득, 미적 판단과 비평을 통한 반성이 통합적으로 이해되지 못하였다. 이 문제는 기존의 감상교육에 대한 전환을 요청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입장에서 미술감상의 문제를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해주는 Arts PROPEL 프로젝트 학습법에 기초하여 미술 감상교육의 문제를 논의해보고, 거기에 기초하여 미술감상 교육과정의 문제를 분석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curriculum of arts appreciation on the basis of Arts PROPEL Project.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n the line of conception of aesthetic value, aesthetic experience, and artistic growth. The issue about the nature of art education is very important because the aesthetic value and experience influence on the art curriculum, especially on the appreciation. So, the biased conception of appreciation often brings about many problems in curriculum making and development in arts. Eisner have criticized the tendency of art education biased on the art production. The content structure of arts is made of three domains,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Production, comprehension, and criticism are important factors in art education. Among the rest, criticism has been less emphasized in arts education. But the domain of appreciation is more emphasized in the 7th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By the way, we have misconception of the nature of appreciation education. We argue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be reconceptualized on the basis of Arts PROPEL which focused integrative learning, portfolio evaluation, and artistic developmentally practice. On the basis of Arts PROPEL Project, the curriculum of appreciation can be changed into new mode of art education. This work should be base on the reconception of appreciation, integrative learning of PROPEL, appreciation as reflective evaluation, and internalization of knowledge on arts.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integrative possibility of appreciation curriculum. The appreciation curriculum we construct should be interpreted as a whole system not summative one. In the future we should consider the conception and curriculum of appreciation in the line of a educative experience and world making.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에 대한 내러티브 비판 : 2022 개정의 역량교육에서 질 높은 지식교육으로의 전환적 통합

        강현석(Hyeon-Suk Kang)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21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2022 국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과제를 내러티브 비판이라는 논의방식을 통하여 탐색한 것이다. 현 시점은 2015 개정 국가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시점이다. 소위 2015 개정 교육과정은 깊은 이해와 역량중심 교육과정을 강조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개정되고 적용되는 과정에서 많은 혼란이 존재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그 중심에는 역량교육에 대한 오해, 역량과 지식교육의 관계에 대한 대립적 시각, 역량교육의 구체적 구현 방향에 대한 비체계적인 안내 및 입안 과정 등이 그것이다. 장차 향후 2022 개정 교육과정 개정에서는 역량교육에 대한 섣부른 담론에서 보다 깊은 지식을 추구하는 제대로 된 지식교육 내러티브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기존 단편적인 지식교육의 문제에 대한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을 역사적 오류가 존재하는 역량교육으로 접근하기보다는 제대로 된 질 높은 지식교육으로 전환하면서 역량과 지식교육을 통합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점을 논의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tasks of 2022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under the use of narrative criticism as research method. Now it is under the application of 2015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which emphasizes deep understanding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ere are many criticisms in right and valid applying understanding and competency-based curriculum to implementing curriculum at practical context. This study focus on change of curriculum development into valid implementation of competency and understanding curriculum. In the future, revision of national curriculum pursues the balanced cooperation of competency education and knowledge education.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제7차 교육과정 체제에 가정된 교수활동 분석을 통한 수업평가 기준 설정의 기초 연구(1)

        강현석 ( Hyeon Suk Kang ),정재임 ( Chae Im Ch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04 중등교육연구 Vol.52 No.2

        This study is a preliminary research to establish criteria for instruction evalu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teaching activities proposed in the 7th Curriculum. The curriculum supposes particular teach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particular curriculum model assumes components of desirable teaching activities which are consistent with itself. The analysis of teaching activities is very crucial to establish criteria to evaluate teaching activities because components of desirable teaching activities mean criteria. As you see above, curriculum, instruction, and evaluation can be seen as an important chain to understand problems of school educa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riteria for instruction evaluation consist of five broad levels, which are established to reflect the logic and practical aspects of instruction evaluation at once. The five levels of criteria for instruction evaluation are as follows: 1. The first level: Evaluation areas(Plans for instruction,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instruction,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 2. The second level: The components of evaluation (The area of plans for instruction, The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instruction, The evaluation of instruction, 3. The third level: The criteria for evaluation, 4. The fourth level: The sub-criteria for evaluation, 5. The fifth level: Rating scale (Kyungpook National Univ./Kyungpook Girls` High School)

      • KCI등재

        뇌신경과학 기반의 백워드 설계 방안과 사례 개발 : UbD가 뇌신경과학을 만나다

        강현석(Kang, Hyeon-Suk),이지은(Yi, Ji-E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21 창의력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새로운 학습과학의 요체인 뇌과학 기반의 인지심리학을 기저로 하는 새로운 교육과정 설계 방식에 주목하였다. 기존 피상적 학습을 극복할 수 있는 심층적 이해중심 학습의 구현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는 백워드 설계와 뇌신경과학 간의 관련성을 이론적 차원에서 문헌 분석을 통해 탐구하고,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뇌 친화적 교육과정 설계 방안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뇌의 학습의 특징과 원리 및 백워드 설계의 목표, 단계, 원리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하여 뇌 학습 원리와 백워드 설계의 관련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백워드 설계의 모든 단계마다 뇌 학습의 원리를 적용하여 통합 설계 원리 12가지(1단계: 3개, 2단계: 3개, 3단계: 6개)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통합 설계 원리를 적용하여 사회과 뇌신경과학 기반의 백워드 설계 사례를 개발하여 제시하였으며,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a new approach of curriculum design based on the neuroscience and cognitive psychology which has been recently emphasized as a new learning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ackward design and neuroscience. The former is highly acclaimed as a means of implementing understanding-centered learning that can overcome superficial learning, the latter is developing tool of educational design and neuroscience. As research method, this study firstly adopted literature review at the theoretical level, and secondly adopted research synthesis at practical level to propose a brain-friendly curriculum design method. The researchers analyzed the features of brain-based learning and backward design, respectively. After tha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12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stage 1: three principles, stage 2: three principles, stage 3: six principles) were proposed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brain-based learning to every step of backward design. Finally, a case and exemplar of backward design based on neuroscience of social studies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 integrated design principles.

      • KCI등재

        교육과정 우수학교 정책의 성과와 발전 과제

        강현석 ( Hyeon Suk Kang ),전호재 ( Ho Jae Jeon ) 안암교육학회 2013 한국교육학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2003년부터 시행된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 정책의 성과와 발전 과제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00대 교육과정 우수학교에 선정된 학교의 사례를 분석하고, 선정된 학교의 교장과 담당 부장 교사에 대한 설문 조사와 심층 면담을 통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한 후에 정책의 방향에 근거한 분석 기준을 마련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책에 대한 교장의 반응은 정책 전반에 긍정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고, 교사들의 반응은 다소간 엇갈리지만 긍정적인 변화 속에서 장기적인 변화를 기대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학교장은 교육 과정 차별화와 특성화로 자율적이고 전문적인 학교 문화를 창출할 수 있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인식과 기대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에, 부장 교사들은 정책 추진 절차상 보고서 작성의 형식성을 개선하는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점과 보다 장기적이고 전문적인 정책 의제를 발굴할 것을 요청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몇 가지 개선 방향과 정책상의 제언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들이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장차 교육과정 정책의 본질과 그 성격을 분명히 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This study is to search outcome analysis and tasks of the curriculum policy related 100 excellent schools since 2003. Curriculum policy is important to improve student`s achievement and overall growth in educational process. Every country effort to manage educational enterprise and political risk. In line of these educational policy, every country try to implement high quality idea and actions. We can see major factors affecting national curriculum and schooling. Curriculum discretion is important mechanism in handling national curriculum and school curriculum. Autonomous curriculum management is encouraged within national and local control of educational policy. Since 2003 Ministry of Education select and support 100 excellent school related to curriculum management. With this curriculum policy school solve the curriculum problem. We haven`t got any further information about merits and demerits of curriculum policy at present. Now we should analyze the outcome of this curriculum policy and suggest better actions for enduring articulation with educational idea. In this paper we found any problems in managing this policy and propose various policy-making procedures.

      • KCI등재

        역량중심 교육의 실효적 방안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이지은(Ji-Eun Yi)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한국 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비판과 대안에 대한 연구가 최근 들어 매우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다. 특히 학교 교육과정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다양한 측면에서 전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 중의 한 가지가 역량중심 교육이다. 학계에서도 많은 논의와 비판적 담론이 형성되고 있지만, 기존 주입식 교육과 타성에 젖은 무기력한 지식 교육에 대한 대안으로 현실적인 힘을 얻고 있는것도 사실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역량 교육은 전통적 지식교육의 대안으로 등장하고 있다. 역량교육이 표방하고 있는 가치는 교육적으로 의미가 크다고 본다. 다만 최근에 여러 가지로 제기되는 방안들이 매우 추상적이고 막연하다는 점이다. 동시에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되는 백워드 설계 역시 진정한 이해력을 기르기 위해서 강조되고 있다. 그런데 역량교육이나 이해중심 교육과정, 백워드 설계가 각각 따로따로 논의되고 있어서 많은 혼란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역량교육과 백워드 설계를 통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초점을 둔다. 특히 역량중심 교육을 백워드 설계의 틀에 통합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탐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문헌 분석과 비판적 논의 형식을 채택하였다. 본 연구의 핵심적인 양 주제는 진정한 지식교육을 추구하고 학습자들의 진정한 앎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많다. 양자를 총합하여 학교교육의 본질을 회복하는 일에 다양한 방안을 고민할 때이다. There are many discourses about Korean education and curricular problem in academic community. The very important thing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about competence-based education. This study focuses the integrat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into backward design. According to the result of recent research, these two dimensions have been approached separately by irrational tool. Competence-based education emphasized authentic understanding in line of conceptional lens of the competence. It further focuses on enduring understanding as structure of knowledge by backward design and teaching for understanding. This study explores the integrative methods of competence and backward spirit. Competence-based educ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uselessness of invaluable knowledge. Backward design aims at authentic understanding. These methods have many similarities in designing schooling. But each of the three parts is separately studied in curriculum studies. From this problem, many researchers suffer from invalid aspect of understanding. The integration of competence-based education to backward design is key factor in reforming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integration method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philosophical analysis. Competence-based education should proceed to not integrative stance but conflicting tenet from the viewpoint of promoting authentic knowledge education.

      • KCI등재

        Efland의 Lattice 모형이 교육과정 설계에 주는 시사점 탐구

        강현석(Hyeon-Suk Kang),이자현(Ja-Hyun L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5 美術敎育論叢 Vol.19 No.3

        교육과정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교육내용의 선정과 조직에서 비롯된다. 특히 내용 조직과 관련하여 다양한 학습이론들이 조직 방법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최근에 비약적인 발전을 보이는 인지이론과 구성주의는 이 문제에서 타당한 기초를 제공해주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인지와 교육과정 문제에 대해 Efland는 기존의 계층적인 학습을 가정하는 나선형 모형을 비판하고 다원적이고 비순차적인 학습을 보장해주는 Lattice 모형을 제안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모형의 배경과 주요 특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과정설계에 가능한 적용 방안을 논의해보는 데 초점을 둔다. 그리고 래티스 모형의 발전을 을 위하여 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와 나선형의 본질에 입각한 보다 타당한 논의에 기초하여 통합적인 모형의 개발을 제안하고 있다. 향후 래티스 모형의 장점과 단점을 보완하여 학교교육에서 보다 나은 미술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학생들에게 가치 있는 교육과정을 제공하려는 노력은 멈출 수 없는 것이며, 인간 사고와 지식의 다양성에 기초하여 보다 풍부하고 다양한 교육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the suggestion of art curriculum design on the basis of Arthur D. Efland's lattice curriculum model. Curriculum design concerns with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learning experience and content through interrelating various curriculum elements. In particular, spiral pattern as a mode of organization has been challenged by current theory of constructivism, Recent views of learning and cognition are contrasted with the learning theories of the late 1950s and early 1960s. There are many critics about spiral pattern in art curriculum in the line of the nature of art knowledge and structure of knowledge. Here is that Bruner's idea are contrasted with current theoretical efforts. Current cognitive views, though still indebted to Bruner, differ markedly, suggesting that a sufficient base of knowledge must be in place before advanced knowledge acquisition is fruitful(Efland, 1995). Now arts curriculum should be reconsidered by cognition and structure of knowledge. Efland(1995) suggest lattice curriculum model may b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cognitive reflexibility theory. So, according to his argument, curriculum design of art should be estabilished in the line of lattice model rather than spiral model. In deliberation of his suggestion, we discuss the nature and value of lattice model and examine the validity of that model. In the future curriculum model of art need to be integrated model of spiral and lattice on the basis of the nature and structure of art knowledge. We are look forward to seeing new picture of arts curriculum nested in structure of knowledge and cogn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