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과 부모의 변화와 성장

        전상신(Jeon, Sang shin),김은경(Kim, Eun kyung) 한국자폐학회 2018 자폐성 장애연구 Vol.18 No.2

        이 연구는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의 사회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후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대상은 20쌍의 4~6학년 아스퍼거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초등학생과 부모들이다. 프로그램은 총 15회기로 아동 프로그램은 90분, 부모교육은 40분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내용은 아스퍼거 증후군 아동에게 가장 필요한 것으로 조사된 사회적 기술로 구성되었으며 ‘목표 확인-개념 정리-사회기술 설명-시범 보이기-역할놀이-과제부여’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부모교육은 ‘과제 점검-아스퍼거 증후군 특성 및 사회적 기술 설명-과제부여’의 절차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 하기 위하여 부모 집단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의 경우 사회 기술 향상과 또래관계 개선이라는 2가지 주제 영역과 6가지 하위 주제들이 추출되었다. 아동은 경청과 소통, 관찰과 대화, 다른 사람 의견 수용, 기다리며 배려하기, 긴장 풀고 학교 생활하기, 새 친구 사귀기 등의 성장과 변화가 일어났다. 부모의 경우 자녀에 대한 이해와 부모 역할 이해라는 주제 영역과 4가지의 하위 주제들로 분석되었다. 하위 주제들은 자녀 바로알고 먼저 변화되기, 잔소리 대신 설명하기, 새로운 불안과 도전하기, 사회적 지지자 되어주기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이들을 위한 사회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방향과 부모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for social skill training of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to verify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wenty pairs of Asperger syndrom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arents were enrolled in the stud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sessions, 90 minutes for children s programs and 40 minutes for parents. The program consisted of social skills surveyed as the most necessary for children with Asperger Syndrome and proceeded with the procedure of ‘goal identification-conceptualization-explanationdemonstration-role play-task assignment’. Parent education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Checking Tasks-Explaining AS Characteristics and Social Skills-Assigning Task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rough parent group interviews. As a result, two subject areas and 6 sub-themes were extracted in the case of children: social skills improvement and peer relationship improvement. In the case of parents, it was analyzed as the subject area of understanding children and understanding of parent role and 4 sub-topics.

      • KCI등재

        아스퍼거증후군 관련 국내 연구 동향과 과제

        전상신 ( Jeon Sang Sh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7 No.4

        최근 DSM-5가 새롭게 개편되면서 전반적 발달장애의 하위영역에 포함되었던 아스퍼거증후군의 진단명이 사라졌으며 자폐스펙트럼장애로 단일화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4년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아스퍼거증후군과 관련되어 있는 학술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포함 및 제외 기준에 따라 선정된 총 80편의 연구를 대상으로 발표년도, 연구주제, 연구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아스퍼거증후군 관련 국내연구는 2008년 이후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연도별 연구주제는 언어 및 의사소통, 사회성, 행동에 대한 것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특히 사회성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셋째, 연구유형은 중재연구와 특성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그 외 문헌연구도 많이 이루어졌으며 진단 및 평가에 관한 연구는 2편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유형별 연구주제는 중재연구의 경우, 사회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특성연구는 언어 및 의사소통에 대한 특성 비교연구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Recently the name of Asperger Syndrome was disappeared and was unifi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from the newly reorganized DSM-5 criteria. While controversy over its diagnosis has been ongoing, this study updated and reviewed the trends in academic researches that are related to the asperger syndrome published between 1994 and June 2016 in Korea. A total of 80 studies was selected based on inclusion criteria and exclusion criteria and was analyzed by the published year, the research topic, and the research type. The results of this review were as follows. First, the domestic researches related to asperger syndrome tended to increase significantly since 2008. Seco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were the main topics of researches and especially, social competence was the most popular topic in numerous researches. Third, the main research types were the intervention study and the characteristic study. The synthesis study was conducted in many researches. However, only two researches were included in diagnosis and assessment study criteria. Four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search topics according to the type of studies, most common topics were social competence in the intervention study and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characteristic study.

      • 과열도 변화에 의한 NH₃ 냉동장치의 성능특성 연구

        전상신(Sang Sin Jeon),권일욱(Il Wook Kwon),하옥남(Ok Nam Ha) 대한기계학회 200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4 No.4

        Nowadays CFCs and HCFCs refrigerants are restricted because it cause depletion of ozone layer. Accordingly, this experiment apply the NH₃ gas and not CFCs and HCFCs for refrigerant to study the performance characteristic from the superheat control and improve the energy efficiency from the high performance. The condensing pressure of refrigeration system is increased from 14.5bar to 16bar by 0.5bar and superheat temperature is increased from 0℃ to 10℃ by 1℃ at each condensing pressure. As the result of experiment, when the superheat temperature is 1℃ at each condensing pressure, the refrigeration system has the high performance.

      • KCI등재

        상황이야기 중재자 자폐성 장애 아동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

        전상신(Jeon, Sang Shin),김은경(Kim, Eun Kyung) 한국특수교육학회 2009 특수교육학연구 Vol.44 No.1

        본 연구에서는 상황이야기 중재가 자폐성 장애아동의 자발적 발화에 미치는 효과와 중재가 끝난 후에도 효과가 일반화되고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일반학교의 특수학급에 입급된 초등 1-2학년의 자폐성 장애 아동 3명이며, 실험설계는 대상자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중재는 각 아동의 능력과 특성에 맞게 제작된 상황이야기 책을 함께 읽는 것으로 각 대상아동들의 특수학급에서 쉬는 시간에 실시하였다. 목표 행동에 대한 관찰은 수업시간에 이루어졌으며 교사와 또래들과의 상호작용 중 나타나는 대상아동들의 자발적 변화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폐성 장애 아동의 자발적 시도 발화와 자발적 반응발화를 증가시켰으며 중재가 이루어지지 않은 다른 장소에서도 일반화되었고 중재가 종료된 후 유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황이야기 중재는 자폐성 장애 아동에게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상황이야기의 틀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social intervention increases the spontaneous utterance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For this purpose, thre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were selected and multiple prov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has been used. The intervention was practiced in classroom during the break time. Evaluation was made for 15-minute observation session of education activities using event recording system and anecdotal records. The evaluation was made after intervention. The 2 generalization s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ization across setting. Two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mpleted, maintenance effects were evaluated in the same setting as the baseline con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spontaneous initiation-utterance for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Second,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programs were effective to increase the spontaneous response-utterance for th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Third,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s period was generalized in three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Fourth, frequency of spontaneous utterance increased during intervention period was maintained after stopping the intervent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s effective for increasing spontaneous utterance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and also for generalizing and maintaining the spontaneity. More than 60% of the studies that applied social story intervention focused on reducing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However,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expanding communicative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tic disorder like increasing their spontaneous utterance. Moreover, it is also significant for presenting target children's changes more concretely by analyzing the collected materials based on visual analysis and anecdotal records. Follow-up studies should continue to research systematically and scientifically based on the existing studies.

      • KCI등재

        자폐성장애 감각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전상신(Jeon, S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연구는 자폐성장애의 감각에 대한 국내 연구의 전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9년 6월까지 학술지에 게재된 관련 연구들을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총 48편을 수집하였다. 선정된 논문들은 게재년도 및 학술지, 연구자 전공, 연구 유형, 연구대상을 분석하였다. 특성연구는 중재대상, 조사변인, 조사도구와 결과를 분석하였으며 중재연구는 중재대상, 중재환경, 중재전략, 종속변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폐성장애 감각 연구는 1989년 처음으로 발표되었으며 학술지는 주로 ‘정서·행동장애연구’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많이 게재되었고 연구자들의 전공은 작업치료 전공의 재활학과 특수교육학이 많았다. 연구는 중재연구와 특성연구가 중심이었으며 대상은 유아 및 초등생이 많았다. 특성연구는 14편이었고 주로 또래 아동들과의 감각 특성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주로 사용된 도구는 단축감각프로파일(SSP)과 감각프로파일(SP)이었다. 중재연구는 29편이었으며 유아 및 학령기의 자폐성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환경은 센터 내 치료실이었고 중재자로는 작업치료 전공의 연구자들이 많았다. 중재전략으로는 Ayres의 감각통합훈련이 이루어졌고 그 외 감각-기반중재도 적용되었다. 종속변인으로는 감각조절의 향상 및 상동행동의 감소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lated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until June 2019 to find out the general trend of domestic research on the sense of autism spectrum disorder. A total of 48 piec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The selected papers analyzed the publication year, journal, researcher s major, research type, and research subject. In the case of the characteristic study, the subjects, the variables, the research tool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al study, the subjects of the intervention, the mediation environment, the intervention strategy,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research on sensory autism was first published in 1989. The journals were published mostly in the Research on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s’ and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and the researcher s majors were rehabilitation and special education. The study was centered on experimental and characteristic studies, with a large number of infants and elementary students. There were 14 trait studies, mainly comparing sensory traits with peer children, and the main tools used were SSP and SP. There were 29 experimental studies, children and children with autism disorders in school age. The environment was in the center s treatment room, and there were many occupational therapy researchers as mediators. As a intervention strategy, Ayres s sensory integration training was conducted and other sensory-based mediations were also applied. Dependent variables mainly included improvement of sensory control and reduction of homology.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was discussed.

      • KCI등재

        고기능 자폐성 장애 및 아스퍼거 장애의 사회성 관련 국내․외 중재연구 분석

        전상신(Jeon, Sang Shi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최근 10년(2008~2017) 동안 발표된 고기능 자폐성 장애와 아스퍼거 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성 중재를 실시한 국내·외 단일대상연구를 분석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총 34편(국내 14편, 국외 20편)을 수집하였다.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에 대해 일반적인 연구 특성, 독립변인과 종속변인의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질적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의 질적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첫째 연구는 최근 10년간 매해 꾸준히 발표되었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가장 많이 실행되었다. 연구 방법은 국내는 치료실이라는 다소 분리된 환경에서 행동간 중다 기초선 설계 적용 연구가 많았고, 국외는 자연스러운 환경인 통합학급에서 대상자 간 중다 기초선 설계가 많이 적용되었다. 둘째, 독립변인은 인지중심의 중재가 가장 많았으며 그 중 상황이야기 중재가 많았다. 종속변인인 구체적인 사회성으로는 의사소통 기술을 가장 많이 교수하였다. 셋째, 분석연구의 질적 지표는 21가지 항목 중 평 균 19개(92%) 이상의 지표를 충족시키고 있었으며 총 34편의 연구 중 22편의 연구가 평균 이상의 질적 지표를 충족하였으며 21개 지표를 모두 충족한 연구는 10편이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ses written from 2008 to 2017 in order to look at the general features and trends of the single subject researches on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high functional autistic disorder or asperger disorder in domestic and foreign subjects.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34 treatises(14 domestic papers and 20 overseas papers) were collected. For the purpose, research were analyzed in terms of participants, research design, setting, independent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and e aluated them using quality indicators of single subject research to a standard for e idence-based practice(EBP) suggested by Horner et al.,(2005). As a result, firstly, the research has been published e ery year for the last 10 years, and th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he mos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mestic research were carried in the treatment room as a setting and multipl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were used. Overseas research has been applied to multiple baseline across participants design in integrated class which is a natural environment. Second,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cognitive - centered interventions. Third, the qualitative indicators of analytical research met the average of 19 (92%) out of the 21 items. Of the 34 studies, 22 studies met the above - average quality indicators and all 21 indicators were met It was ten. Future research is discussed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 KCI등재

        인지행동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Kim, Ji Sun),전상신(Jeon, Sang Sh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인지행동 놀이치료가 ADHD 아동의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ADHD로 진단받은 아동 중 정상범위의 지능을 가졌으며 중복장애가 없고 다른 중재를 받은 적이 없는 아동으로, 독립변인인 인지행동 놀이치료와 종속변인인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또래관계의 기능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인지행동 놀이치료 프로그램은 주의집중과 자기통제 및 또래관계 향상에 초점을 맞추어 구성하였고, 한 회기 당 40분씩 주 2회, 총 16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결과 인지행동 놀이치료가 ADHD아동의 주의집중력과 자기통제력 및 또래관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인지행동 놀이치료의 구조적이며 직접적 지도와 목표 지향적이라는 점이 비교적 단기간에 ADHD 아동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on attention,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DHD. Method: The subjects were children diagnosed with ADHD who had a normal range of intelligence, did not have overlapping disabilities, and had no other interventions. A cas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unctional relationship. The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program was focused on attention,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 skills improvement, and was conducted twice a week for 40 minutes per session, for 16 sessio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cognitive-behavioral play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attention concentration, self-control, and peer relation skills in children with ADHD. Conclusion: The structural, direct guidance and goal-oriented aspect of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changes of ADHD children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