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전자우편 분석 연구

        전미화(Quan, Mei-hua),김월휘(Jin, Yue-hui) 우리말글학회 2014 우리말 글 Vol.61 No.-

        본 연구는 한국어 전자우편 쓰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외국인 유학생들의 전자우편에 나타난 특성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외국인 유학생들이 학교와 일상생활에서 관계 맺는 다양한 부류의 사람을 대상으로 쓴 전자우편 112편을 구조와 표현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구조적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의 전자우편에는 제목을 쓰지 않거나 서론과 결미 부분에서 인사말과 보내는 이의 서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었고, 사연 부분에서는 화용적 기능에 따라 나타난 구조가 학습자 별로 너무 다양하여 전자우편 쓰기라는 장르에 대한 지식이 보편화되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표현적 측면에서 높임법의 사용은 선어말어미의 활용이 압도적으로 많은 반면 오류는 조사의 사용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양한 결속기제가 사용되고 있었으나 구와 문장 간의 결속력을 확보하는 데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첫인사와 끝인사에서 관용적인 표현을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그러한 표현이 정확한 인사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제적인 전자우편 쓰기에서의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여 한국어 쓰기 교육에 유용한 교육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email writing in the Korean language. It has been carried out by observing the features shown in the emails of overseas students. To attain this aim, a thorough analysis has been conducted on the structure and expression level of 112 emails written by overseas students in their efforts to establishing relationship with various people in their daily school liv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structural level show that certain items are found missing in the emails written by overseas students, such as a lack of titles or introduction in the beginning of the email, as well as no greeting words and signature at the end. Various structures are presented in accordance with the function of the text in the body part. Moreover, skills on email writing have not been popularized yet and complement suffix is very flexible in the use of honorifics at the expression level. However, most mistakes take place in the use of auxiliary words. Though lots of conjunctions are used, there is also an abundance in incorrectly joining phrases and sentences, such as the common expressions of first-time greetings and end greetings. Those ways of expressions, however, cannot form fluent and accurate greetings. This research probes into the features and crucial points of real-time email writing. It constitutes useful teaching materials and has great importance in teaching Korean writing in the future.

      • 중국 대학의 한국어 졸업논문에 대한 분석과 제언

        전미화 ( Quan-meihua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8 한국어교육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졸업논문을 작성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졸업논문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졸업논문 쓰기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은 학습자 차원과 교사의 차원에서 살펴보았다. 졸업논문을 분석한 결과 학습자들은 논문의 형식 및 작성 방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고 논문 쓰기에 필요한 기술을 적절하게 사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한편 교사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한 결과 학습자들의 한국어 능력의 부족, 논문 주제에 대한 지식의 부족, 논문 작성 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족이 논문 지도의 어려움을 초래하는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나고 있었다. 또한 교사가 자신의 전공과 다른 분야의 논문을 지도할 경우 해당 분야에 대한 이론적 지식의 부족으로 느끼는 어려움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한국어 졸업논문 쓰기 교육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구체적인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problem appeared in graduation thesis written in Korean of university of China. Based on it, to suggest direction for teaching writing of graduation thesis is the aim of this research. The problems appeared in writing of graduation thesis are examined with dimentions of learners and teachers. At the very first, I analized the graduation thesis.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the learners lack knowledge of forms and writing methods for thesis, and they aren't able to use skills for writing thesis appropriately. Meanwhile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for teachers, it is discovered that a shortage of learner's Korean proficiency, a lack of knowledge for thesis topic and methods for writing thesis are the biggest causes that leads to the difficulties of guiding thesis. In addition, when the teachers have to guide thesis that isn't about the same subject as their major, they have difficulties cause of lack of theoretical knowledge about relevant field.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suggested that the necessity of systematic education for writing graduation thesis written in Korean and the concrete way for it.

      • 연구논문 : 인터넷 정보를 활용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의 내용 지식 구성 방안 연구

        전미화 ( Mei Hua Quan ) 시학과 언어학회 2014 시학과 언어학 Vol.26 No.-

        This study started with the problem about the lack of ability for information utilization when Korean learners writing for academic ai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solution in constructing the content knowledge and to suggest an example of an actual course, focusing on Internet information generally used in writing. Above all, it rearranged the concept of ‘the content knowledge’, and looked into characteristics of Internet information and methods of information retrieval. Also, it pointed out that the exact cognition in methods of the content knowledge and the critical thinking about information is necessary to get valuable, in both quality and quantity, content knowledge when we match utilization of internet information with writing.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process of content knowledge comprised of six stages; the awareness of Internet informatio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searching tools and searching words; the evaluation and sorting of searched information, knowledge integration, knowledge organization, writing the first draft. And an actual course is composed of activities which can utilize the needed strategies to compose the content knowledge at different stages. The study considered the stage of information retrieval as an important thing, which has not been discussed concretely before. Furthermore, it grafted this stage onto the part of education. Owing to these fac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revealed.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쓰기 내용 지식 구성 과정 연구

        전미화 ( Mei Hua Quan ),최정순 ( Jeong Soon Choe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0 No.-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쓰기에 필요한 내용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는지,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지적인 활동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학습자들이 내용 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은 사고구술법 및 사후 인터뷰 기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사고구술 및 인터뷰 자료의 분석 기준은 내용 지식의 개념과 인지적 쓰기 이론을 토대로 하였다. 분석 결과 학습자들이 쓰기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제 파악하기, 계획하기, 작성하기, 수정하기’ 네 단계가 서로 순환적으로 일어나고, 각각의 단계에서 내용 지식의 세 유형인 기존 지식, 상호텍스트적 지식, 통합된 지식이 모두 구성되었으며, 내용 지식을 구성하기 위해 학습자별로 다양한 전략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쓰기 과정에서 무엇을 어떻게 쓸 것인지에 대한 계획이 이루어지지 않은 채 자료를 찾아 주제를 파악하는 경우가 많았고, 또한 자료의 내용을 일차적으로만 이해한 후 쓰기에 활용하고 있어 주제에 대한 의미의 재구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앞으로 내용 지식 구성에 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for analyzing how the Korean learners having the academic purpose compose content knowledge for writing and how their cognitive activities occur during the composing process of content knowledge. The composing process of content knowledge was analyzed through a think-aloud method and an interview. The criteria of analysing these data was based on the concept of content knowledge and the theory of cognitive writing. The analysis result showed when the Korean learners write, they have four steps: grasping a topic, planning, writing and correcting. At the each step, the learners composed three types of the content knowledge: existing knowledge, inter-textual knowledge, and integrated knowledge. Also, the learners used different strategies during composing these content knowledge. Most of learners, however, tended to grasp topics without planning what and how they write. Also, they understood the data contents superficially, and then utilized them for their writing, As a result, it revealed that the meaning of the topic wasn``t reconstructed properly. These problem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educate how to compose content knowledge systematically.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내용 조직 양상 연구

        전미화 ( Meihua Qu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에서 내용 조직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중고급 쓰기 텍스트 40편을 수집하여 전체 글과 삼단 구조의 측면에서 내용 조직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텍스트는 적절한 삼단 구조로 구성되었고,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거나 서론이나 결론이 없는 경우도 일부분 나타나고 있었다. 서론, 본론, 결론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용이 부적절한 경우, 문장이 연결되지 않는 경우, 논리성이 결여된 경우 등의 문제를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문제는 중급에서 고급으로 올라가면서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르에 따른 쓰기 교육과 텍스트 구조에 대한 교육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연구 결과는 중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양상을 살피고 쓰기 교육에서의 기초 자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tents organization in writing of Korean learners at universities in China. In order that to happen, we have collected 40 pieces of writing texts of beginners, intermediated, advanced levels and analyzed them in the aspect of whole texts and three-stage structure of the writing. The analysis of the results was that there are not only most of the texts consists of proper three stage-structures but also there are some inaccurate parts or omitted an introductory chapter or a conclus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introduction, body, and conclusion of the texts, we could find some issues, if it has an improper contents, there is no coherence between the sentences or there is a lack of logicality. The issues that we found are inclined to decrease as intermediate learners to advanced level. To figure out the matter, a teaching for writing and text structure should be conducted together, and there is a further significance through this study in that it will serve as the basic material for writing teaching for students who study Korean in universities in China.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단락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전미화 ( Quan Meihua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이 단락을 구성할 때 나타난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한국어 단락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단락의 개념 및 구성 요소와 단락을 구성함에 있어 지켜야 할 원리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한국어 단락 쓰기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여 학습자들이 단락 쓰기에서 보여준 문제들을 정리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단락 쓰기지도 절차와 내용을 제시하였다. 선행연구를 검토한 결과 한국어 학습자들은 단락을 구성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보이고 있었다. 첫째, 단락 및 단락 구성에 관한 이해가 부족하다. 둘째, 주제문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뒷받침 문장을 적절하게 배열하는 데 어려움을 느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단락 쓰기 지도 절차를 “단락 이해하기”, “단락 내 주제문 정하기”, “뒷받침 문장 생성하기”, “뒷받침 문장 전개하기”로 구성하고, 각 단계에서 진행할 수 있는 지도 내용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쓰기 과정 중의 일부분으로서 논의되어 왔던 단락 쓰기를 중요하게 여기고, 단락 쓰기에 초점을 두어 단계별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problems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 face while constructing paragraphs and to suggest a plan for Korean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First, the study looks into the concept of a paragraph and its components, and crucial principles of paragraph construction. Then, the study examines previous studies on Korean paragraph writing, summarises difficulties Korean language learners have writing paragraphs, and based on this suggests procedure and content for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The result of previous studies examination shows that Korean language learners experience the following problems in paragraph writing. Firstly,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of paragraph as a concept and its components. Secondly, learners find it difficult to clearly present topic sentence and properly arrange supporting sentence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 study constructs Korean paragraph writing instruction procedure in following stages: "understanding paragraph", "determining the topic sentence of a paragraph", "creating supporting sentences", "developing supporting sentences", and briefly presents contents of instruction which can be used for each stag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views paragraph writing as an important part of writing process and provides step-by-step instruction plan focused on paragraph writing.

      • 외국인 대학원생의 논문 쓰기 발달 양상 연구

        전미화 ( Quan Meihua ) 한국어교육연구소 2017 한국어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외국인 유학생의 논문 쓰기 능력이 학기에 따라 어떻게 발달하는지, 그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외국인 대학원생 두 명이 석·박사과정에서 학기말 과제로 제출한 논문을 수집하고 형식, 내용, 표현의 세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형식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학기가 증가함에 따라 목차를 구성하는 능력이 점차 향상되었다. 그러나 참고문헌을 제시할 때 이에 대한 중시가 다소 부족하여 자료의 배열 규칙은 알고 있으나 규칙에 따르지 않는 경우가 나타나고 있었다. 내용적 측면에서 학습자들은 서론이나 결론을 구성하는 데 필요한 내용들을 적절하게 제시하지 못하였는데 이러한 문제점은 학기에 관계없이 대부분의 논문에서 나타났다. 먼저 서론 부분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빠짐없이 기술하고 그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나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면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의 필요성을 설득력 있게 내세우는 데 실패하고 있었다. 또한 결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과정에 대한 설명과 연구 결과에 정리가 부족하여 전반적인 연구 내용을 간단명료하게 요약하지 못하고 있었다. 표현적 측면에서는 학기에 따라 서론 및 결론 부분에서 정형화된 표현의 사용이 풍부해졌으나 양적으로 균형을 이루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논문을 다양한 측면에서 깊이 있게 분석하지 못하였지만 향후 논문 쓰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foreign students' writing ability develops according to semester. In order to do so, we have collected thesises submitted by two foreign master's and doctoral course students as end of semester assignment and analyzed it in terms of form, content, and express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rom the formal point of view, learners gradually improved their ability to construct table of contents as the term increased. However, as for reference literature presentation, the importance of it was somewhat lacking, therefore the students knew the rules of data arrangement but did not follow the rules. In terms of content, students did not adequately present the contents necessary to construct an introduction or a conclusion. This problem appeared in most papers regardless of semester. In the introduction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research were described. However, examination of previous research was not carried out carefully, so the necessity of research failed to be convincing. The conclusion lacked explanation of purpose and process of the study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not summarized clearly. In terms of expressiveness, the use of formalized expressions in introduction and conclusion part was enriched by semester, but it was not balanced quantitatively. This study could not deeply analyze student's papers in various aspects, however it has significance in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further studies on thesis writing education.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통사적 복잡성 발달 양상 연구

        전미화 ( Meihua Qu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중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들의 쓰기 통사적 복잡성 발달 양상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학습자들의 쓰기 텍스트를 수집하여 문장 길이와 문장 확장의 측면에서 복잡성을 분석하였다. 문장 길이에 따른 복잡성은 어절 수를 측정 지표로 삼았다. 그 결과 작문 당 어절 수 및 문장 당 어절 수는 단문을 지나치게 사용한 개별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숙달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장 확장에서는 문장당 절 수와 대등절 수 및 내포절 수를 측정하였다. 문장 당 절 수와 대등절의 수는 학기에 따라 증가와 감소를 반복하였으나 초중고급 단계로 구분하였을 때에는 순차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문장 당 내포절의 수는 고급이 중급보다 낮은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는 중국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고 한국어 쓰기 교육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yntactic complexity development of Korean learners’ writing at universities in China. In order that to happen, we have collected the writing texts of Korean learners, analyzed the complexity in the aspect of the sentence length and sentence extension. We employed the number of word segments as a measuring indicator for its complexity in terms of the length of sentences. Except for cases of the excessive using of short sentences, each number of word segments of an essay and a sentence seem to be increasing as the learners’ proficiency rises. In respect of the sentence extension, we measured the number of sentences, coordinate clauses and embedded clauses. Although the number of clauses and coordinate clauses in each sentence has repeatedly shown a rise and fall depending on semester, its figures are gradually increasing when it was classified by grades; elementary, intermediate and advanced. The group of advanced learners has shown lower figures in number of the embedded clauses than the group of intermediate. This study is targeted at Korean learners at the universities in China, and there is a significance in the possibility of being used as a basis reference for writing education of Korean.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쓰기에 나타난 내용 조직 양상 연구

        전미화 ( Quan Mei Hua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6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5 No.-

        This study is aimed to look into aspect of contents organization appeared in writing of Chinese student studying abroad. For that, I had comparison analysis in thirty three Korean-Chinese text whether paragraphs of the text are divided properly or not and how unitarity, coherence, completion, emphasis are realized in the contents. As a result, the problems that found in contents organization of Korean writing appeared in order of completion, coherence, emphasis and unitarity. The problems in contents organization of Chinese writing appeared in order of completion, unitarity, emphasis and coherence. The student`s awareness of text structure and paragraph composition is lacked in Korean writing, and they find it hard to express topic sentence clearly and arrange supporting sentences properly. In Chinese writing, the lack of awareness of paragraph composition was the biggest problem. To solve these problems in Korean writing, basic education about structure of writing and composition of paragraphs, and Korean writing education for composing contents in dimension of text and paragraph will be needed. (Paichai University)

      • KCI등재

        중국 대학 한국어 학습자의 기계번역 사용 과정 연구

        전미화 ( Quan Mei Hua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 2022 언어사실과 관점 Vol.57 No.-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how Korean language learners at Chinese universities use machine translation and to analyze the cognitive activities that take place in the process. To this end, learners in the Korean language department performed tasks of translating Chinese into Korean using machine translation, and think-aloud data spoken by learners and the translation results were analyzed. As a result, learners mainly used Papago and Youdao; translated into the units of sentences or paragraphs; used various strategies in the translation process, including modifying input language, dividing original sentences, re-searching vocabulary, confirming sentence constituents, and comparing translation results. Corrections of the translation results were made mainly at the vocabulary level to secure form accuracy, semantic clarity, and semantic fluency. The correction of sentences was insignificant, and especially in the case of complex sentences, there were many cases where errors were not detected or corrections failed even if they were detected. This study has examined the process of using machine translation by Korean language learners at Chinese universities, which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based on machine translation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