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도시 발전과 초대형 교회건축 : 서울을 중심으로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14 종교와 문화 Vol.0 No.26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the construction of mega-churches in relation to the process of becoming Seoul as a metropolis which is now transforming into a postmetropolis. For this purpose, the discussion is proceeded by considering three different phase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the 1990’s, and the 2000’s. From the 1970’s to the 1980`s, Protestant churches participated in the growth machine. During the period of Gangnam development for suburbanization, some churches were able to lay the foundation to become mega size by means of constructing church buildings or moving in Gangnam area. They were successful to attract the population from the central area of Seoul. Then, in the 1990`s when Seoul was surrounded in the built environment and has many construction sites in order to circulate the overaccumulated capital, the churches in Gangnam where was the residential area of upper middle class at least also built new church buildings(or built out church buildings) and began to have many annex such as Sunday school, world mission center, social service center, and prayer hall located in countryside. Through this construction, the churches became mega-churches. Since the 2000`s Seoul has transformed into postmetropolis formulated by new landscape represented by skyscrapers and theme parks like Lotte World. It commenced with consuming the images and spectacles. In this period, the mega-churches still demand to have a bigger place for Sunday service without enough concern to the publicity of building structure and the style of religious architecture in harmony with local society and culture. Thus, the mega-church buildings can be regarded as the embodiments of their capitalistic demand to become greater and to be victorious in the competition of religious market. Moreover, currently there is an increase in the financial endangerment because of loan and bankruptcy for church building construction. This can be seen as an implosion of Korean Protestant church.

      • KCI등재

        세월호 참사 사건에 대한 기독교 담론 분석

        장형철(Hyung Chull J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6 현상과 인식 Vol.40 No.3

        이 연구는 세월호 참사 사건과 관련하여 기독교가 어떠한 담론을 형성하였는지 논의하는 것을 통하여 한국 사회 안에서 어떠한 사회적 기능을 하는지 살펴보려 한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비평적 담론 분석이론을 사용하여 기독교(천주교와 개신교)의 교구, 주교회의, 교단, 협의체 및 단체에서 세월호와 관련하여 발표한 성명서들, 선언문들 그리고 공식입장 표명 등을 분석한다. 기독교가 생산한 담론은 다섯 가지의 장르들(비판형, 당위형, 선언형, 명령형, 설득형)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텍스트에 나타나는 담론은 세월호 참사 사건에 대한 진실을 요구하고 자기반성에 집중 되어있다. 이에 따라 스타일도 의무양태를 주로 사용하여 진실을 요구하고 자기반성의 필요성을 제기하며 또한 정부의 책임성을 지적하는 주체를 드러내고 있다. 이러한 기독교 저항담론은 먼저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 안에서 텍스트들이 서로 연결되어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저항담론은 저항주체 즉 정부와 권력의 이데올로기적 호명에 응답하지 않는 주체에 의해 만들어 졌다. 또한 이러한 저항담론은 담론의 공작 과정을 통해 시민사회의 발전과 세월호 특별법 제정과 같은 구체적인 변화를 만드는데 기여 하였다. 그러므로 세월호 참사 사건의 경우 기독교는 공적담론 생산을 통해 사회변동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By employ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ory, this study analyzes the Christian discourse on the Saewol tragedy appeared in proclamations, declarations and official statements announced by Catholic dioceses and organizations as well as Protestant denominations and associations. These texts can be categorized into five different genres. And discourses represented in them are both the truth about how the tragedy could be happened and the self-reflection for reminding moral responsibility. In accordance with genres and discourses, the main style is deontic modality which helps to reveal an identity requiring the truth and provoking self-reflection. The texts themselves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Also discourses are interrelated to each other on the process producing the Christian discourse of resistance. Meanwhile, the resistance discourse was produced by the identity which does not respond to the idealogical interpellation of the government and the power but challenge them. Through the technologization of discourse, the Christian discourse on the Sewol trage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some movements for specific changes such as the legislation for inspecting the Saewol tragedy and its revision.

      • KCI등재

        최근 청년문화의 특성과 선교적 함의에 대한 고찰 - 인구학적 특징과 소비문화 형태를 중심으로 -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0 대학과 선교 Vol.43 No.-

        이 연구는 변화하는 청년 인구와 문화를 이해하고 그들을 위한 선교의 방향과 전략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통계에 의하면 한국사회의 청년 인구(20대)는 중장년 인구보다 적으며 주로 수도권과 도시에 거주하고 있고 또한 30대 1인 가구와 함께 20대 1인 가구도 수도권과 도시에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오늘날 청년선교가 수도권과 도시를 중심으로 실행되어야 하며 그들의 개인주의적 성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20대연구소의 “20대 소비&라이프 스타일 트랜드”의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청년 소비문화의 형태와 특성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청년들은 소비를 통해 자기만족을 경험하기보다는 인정욕구와 자기 불일치를 경험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 소비행위 자체가 주체적이지 않다고 논의하였다. 또한, 데이트 어플리케션과 같이 SNS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이미지 소비는 청년들을 내현적 자기애에 빠지게 하여 대인관계의 만족도를 낮춘다고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과 비판을 바탕으로 하여 청년선교의 주요방향과 전략으로서 영성교육과 신앙공동체의 형성이 제시되었다. This article aims to suggest the main subjects and strategies of the Christian youth mission through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youth population and consuming culture. The statistics show that the youth population is smaller than the middle-age population. Most youths are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They like to form one-person households. These statistics imply that youth mission must consider their geographical preference and individualistic character. And, through critical analysis of a social survey “Consumption and Life Style of the Twenties”, it is found that youth need approval and can experience self-discrepancy on their consumption rather than assuring their subjectivity and self-satisfaction. Also, youth consumption of images on SNS, such as date applications, can result in covert narcissism related to the decease of interpersonal satisfaction. Based on these analyses, it is worth suggesting spirituality education and forming the Christian community as the main subject and strategy of youth mission.

      • KCI등재

        세계화 시대에 전환하는 지역 문화 정체성을 이해하기 위한 한 시도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08 담론 201 Vol.11 No.3

        새로운 사회현상과 과정으로서의 세계화는 지역 사회와 문화의 전환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세계화로 인해 지역문화 정체성 전환은 단순히 타문화에 대한 복사나 거부라는 양자 선택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 논문은 이러한 지역문화 정체성 전환의 과정을 `혼성화`라고 부르며, 이렇게 전환된 지역문화 정체성의 특성을 혼성성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지역전통, 지역인들의 상상력, 그리고 그들의 지리적 장소에 대한 이해가 어떤 기능과 역할을 하는지 질문하고 대답하려 한다. 혼성성로서의 지역문화 정체성은 언제나 고정 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언제나 잠정적이며 전환 중에 있다. 논자는 이러한 지속적인 혼성화 과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로 `이미 짜 여진 구조이며 새로이 짜 여지는 구조인` 아비투스에 의한 지역인들의 사회 문화적 행위라고 논의한다. Globalization as a socio-cultural process and phenomenon in the contemporary world effects on local societies and cultures in many ways. By the impact of the global, locality (local cultural identity) has been changed. This changed locality seems to neither merely mimic nor resist the global. This article aims to research how the locality is transformed in the era of globalization. More specifically, it attempts to answer some crucial questions such as `Is it still valuable to discuss local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Does local tradition still function important role in order to produce new locality?`, and `What is the role of imagination and geographical location`. By means of responding to them with theoretical exploration, this article introduces cultural hybridity as a crucial characteristics of locality in the era of globalization. Then, naming the whole process of continually transforming locality `hybridization`, this article carries on the argument that hybridization is proceeded by cultural practice of the locals. And this cultural practice is deeply influenced by habitus as structuring structure and structured structure of human behaviors in everyday life.

      • KCI등재

        IMF 경제위기 이후 초대형 교회 목회자들의 설교에 나타난 부(富) 담론 분석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4 담론 201 Vol.17 No.1

        이 연구는 IMF 경제위기 이후 커다란 변화를 겪게 된 한국사회에 종교 특히 개신교는 경제적인 부에 대한 어떤 이해를 제공하였는지 초대형 교회 목회자의 설교를 분석하는 것을 통하여 알아본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그들의 부에 대한 설교가 사회적으로 무엇을 의미하고, 설교 안에서 어떠한 종교적 부(富) 담론이 만들어 졌으며, 그 담론이 어떠한 사회적 영향력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설교 안의부 담론이 한국사회의 지배적 담론과 어떻게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분석은 페어클로프의 비평적 담론분석이론을 사용하여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를 보면 초대형 교회 목회자들의 부 담론은 기독교인이 되면 부자가 된다는 확신과 부자가 되고 나서 해야 하는 행동을 제시하며 부자의 완전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부 담론 속에서 부는 하나님이 주신 축복으로 표상되며, 나아가서 부자가 되는 축복을 받는 가장 분명한 방법은 십일조를 포함한 헌금이라는 해석이 제시되고 있다. 그리고 설교자들은 돈 대해서 부정적 진술을 하는 인식양태와 함께 십일조와 현금 등을 통해 완전하고 진정한 축복을 받은 부자가 된다는 의무양태를 사용하여 중산층 이상의 청중들이 자신을 부자 기독교인으로 자기동일화를 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개신교의 부 담론은 한국사회 전체에서 지배적으로 작동하는 신자유주의적 부 담론과 종속적으로 연결이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부 담론 안에서 중산층 이상의 신자는 자신을 부자로서 자기동일화 할 수 있지만 가난한 신자는 타자가 되어 배제된다. 그리하여 이러한 개신교 부 담론은 종교의 궁극적 가치인 보편적 사랑과 사회적 정의의 실천을 어렵게 하며 나아가서 이데올로기화된 종교 담론이 되어버릴 수 있다. This research aims to discuss how the economic wealth is conceived in Korean Protestantism since the IMF economic crisis by means of analyzing the dicourse of wealth appeared in the sermons of ministers of Korean mega- churches. More specifically, this research attempts to reply some questions such as ``what is the social implication of these sermons?``, ``in what way was the wealth discourse produced in those sermons?``, ``how can this wealth discourse have some effects on Korean society?``, and ``how can this religious discourse have an interaction with the dominant social discourse? By employ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ory of Fairclough, this article discusses that the wealth discourse in the ministers`` sermons leads the belief of which the blessed are the rich. Also it causes the rich to perform social behaviors in order to approach the perfection of the blessed. The discourse also represents that the economic wealth is the blessing of God. In tandem, there is an interpretation of which tithing and making financial contribution to the church can guarantee the blessing of wealth. And utilizing their own epistemic and deontic modality, the minsters lead their audience, the rich or upper middle class, to identify themselves as rich Christians. This wealth discourse of Korean Protestantism is subject to the dominant social discourse of wealth produced under the strong influence of neo liberalism after the IMF crisis in 1997. In this religious wealth discourse, the lower middleclass and the poor can be excluded and become the others. If so, the wealth discourse cannot imply the universal love and social justice for everyone and endangers to become a religious ideology.

      • KCI등재

        종교와 사회적 자본

        장형철(Hyung Chull Jang)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3 현상과 인식 Vol.37 No.1/2

        이 연구는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어떠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이 시민사회에 어떻게 기여 할 수 있는지 논의한다. 기윤실의 자료와 여타의 자료를 분석해 보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주로 개신교 안에서 창출되며 개신교 안으로 재투자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해 한국 개신교의 사회적 자본은 사적인 관계성 속에서 얻게 되는 신뢰와 개신교인 자신들만을 위한 제한된 호혜성의 규범 그리고 교회 안으로 닫힌 네트워크를 통해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적 자본은 당연히 개신교 공동체 안의 사람들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이익을 준다. 그러나 사회 전체적으로는 그렇지 않다. 그러므로 시민사회에 기여하기 위해서 한국 개신교회는 공적 신뢰를 회복하고, 타집단에 관용적인 태도를 갖고, 공공영역에서 신뢰 있는 행동을 하도록 하는 제도를 세우고, 그리고 다른 집단과의 연계를 만드는 약한 유대의 네트워크를 만들어야한다. 그리고 이전의 결속형 사회적 자본뿐만 아니라 연계형 사회적 자본을 창출하여 균형을 갖는 것 또한 중요하다. This article attempts to characterize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and to explore how it can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Mainly analyzing the data from the social survey of Christian Ethics Movement of Korea(기윤실), I argue that Korea Protestant churches have created social capital and have reinvested it into their own congregations only. Specifically, the social capital of Korean Protestant church is produced by the trust in private relationships, the norm of limited reciprocity, the network closed into church. This social capital may effectively and efficiently give some benefits to their own congregations but not to Korean civil society. Thus, in order to contribute to Korean civil society, the Protestant church in Korea must achieve public trust, develop the attitude to the others from exclusivity into tolerance, establish some institutional safeguards, and build weak ties to bridge other particular groups in Korean society. Also it is necessary to have the balance between boding social capital and bridging social capital.

      • KCI등재

        신여성과 회심 -은봉 박인덕을 중심으로

        장형철(Hyung Chull Jang) 한국종교사회학회 2020 종교와사회 Vol.8 No.2

        은봉 박인덕이 신여성이라는 자기정체성을 형성하고 여성 계몽운동가이며 교육가로서의 삶을 사는 데 있어서 기독교 신앙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노년의 나이에 회심을 통하여 박인덕의 삶과 신앙은 변화한다. 박인덕의 회심은 전반적으로 보면 평생 진행되는 점진적 회심에 가깝다. 물론 박인덕이 신비한 영적 체험을 한 것은 갑작스러운 회심의 모습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박인덕의 회심은 단발적인 사건은 아니다. 박인덕의 회심은 감정적 폭발이었다가 잠시 후 가라앉은 것이 아니라 삶의 위기를 겪고 성공과 실패를 하면서 신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여 영적 체험의 날에 정점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회심을 통해 위기를 극복한 박인덕은 1963년 67세의 나이에 “한국의 베뢰아”라는 꿈을 인덕실업고등학교를 설립함으로써 실현하였다. 이것은 개인적인 꿈의 실현뿐만 아니라 신앙과 회심의 사회적 결과라고 볼 수 있다. Christian faith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life of Induk Pahk forming her self-identity as a New Women, living as an activist of Women Enlightenment and an educator. Particularly, her life and faith were changed through conversion at the age of 61. Induk Pahks conversion can be categorized as a gradual conversion proceeded in her whole lifetime, although a part of her spiritual experience is similar to some features representing sudden conversion. Her conversion is not a single event. It was not merely an emotional explosion sank soon. It seems her conversion had been gradually processed through experiencing successes and failures in her life and reached the zenith on the day of spiritual experience. Overcoming the crisis of her dream “Berea in Korea” through the conversion, Induk Pahk established Induk Vocational High School in 1963 when she was 67. This is not merely a realization of a personal dream. But it is also a social embodiment of her faith and conversion.

      • KCI등재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해 시행된 비대면 예배에 대한 한국 개신교인들의 태도와 인식 그리고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

        Hyung Chull Jang(장형철) 한국종교사회학회 2021 종교와사회 Vol.9 No.2

        2020년 코로나19 대유행에 대응하는 정부의 방역 대책으로 인해 한국 개신교회는 온라인 예배를 포함한 비대면 예배를 급작스럽게 그리고 전면적으로 시행하였다. 이 연구는 이 비대면 예배라는 커다란 예배 변화와 이에 대한 개신교인들의 태도와 인식 그리고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먼저 이 연구는 기독교 역사 속에서 어떻게 예배가 변화하였는지 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이번 코로나 사태로 인한 예배 변화와 다른 점을 파악한다. 그러고 나서 목회데이터 연구소에서 2020년 실시한 설문조사의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개신교인들은 비대면 예배에 대한 어떠한 태도와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온라인 예배의 가능성을 논의한다. 전체적으로 보아 한국 개신교인들의 온라인 예배를 포함한 비대면 예배에 대한 참여율은 높고, 참가 태도는 적극적이며, 온라인 예배나 가정 예배로 주일 예배를 대체할 수 있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많다. 그러나 비대면 예배의 만족도는 낮은 편이고 긍정적 인식과 부정적인 인식이 병존한다. 이러한 태도와 인식들로 미루어 보아 현장 예배가 여전히 강조된다고 하더라도 온라인 예배는 포스트 코로나 즉 뉴노멀 시대에도 지속될 수 있으며 그 역할과 기능 그리고 영역을 확장할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서 인터넷이 현대인의 삶 속에서 그 영역을 계속 넓혀가고 있고 디지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는 상황 속에서 온라인 예배는 이전과는 다른 “개인의 종교성”과 “공간적 근접성 없는 동시성”에 기반할 것이며 이에 따라 새로운 예배 공동체의 모습이 만들어질 수 있을 것이다. Due to the government’s quarantine measures in response to the Coronavirus pandemic of 2020,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suddenly and fully implemented non-face-to-face Services, including online Service. This study is about Non-face-to-face Service as a great change in Christian Service, the Protestant attitude and perception of it, and the possibility of online Services. First, it examines some changes in Christian Service in history and identifi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m and the great change caused by the Coronavirus crisis. Going forward, it seeks to grasp the Korean Protestants attitudes and perceptions towards non-face-to-face Sunday service by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2020 survey conducted by the Ministry Data Institute. Regarding the analysis of results, it discusses the possibility of online Services. Overall, the participation rate of Korean Protestants in non-face-to-face Services, including online Services, is high. The attitude of participation is active, and Sunday Services can be replaced by the online Services or family worship at home. However, the satisfaction level of non-face-to-face Services is low. There are positive and negative perceptions on it. These attitudes and perceptions demonstrate that online Service can persist in the post-Coronavirus or New Normal era even though Korean Protestant churches emphasize offline Services. And it looks possible to extend its role, function, and domain. Furthermore, as the Internet continues to expand its reach in human life and digital technology develops rapidly, online Services will be based on “individual religiosity” and “simultaneousness without spatial proximity,” thereby creating a new worship community.

      • KCI등재

        혼성화 이론으로 바라본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 -새로운 개신교 문화담론을 향한 한 시도

        장형철 ( Hyung Chull Jang ) 한국사회역사학회 2012 담론 201 Vol.1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개신교의 성장과 감소를 문화적 혼성화 이론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하여 지금까지의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적이고 윤리적인 비판과는 다른 새로운 개신교 종교문화 담론을 시도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이논문은 혼성화 이론을 탐구한다. 그리고 나서 문화적 혼성성을 중심으로 한국 개신교를 성장과 감소의 시기로 나누어 분석한다. 먼저 성장의 시기에는 개신교가 자본주의의 영향 아래에서 타종교 전통과 결합하거나 또는 민중신학과 같이 사회운동에 민감한 양상을 드러내며 독특한 한국 개신교만의 문화적 혼성성을 형성 하였다. 반면에 감소의 시기에 한국 개신교는 근본주의적 성격이 강화되고 자본주의 적 가치에 전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한국 개신교는 문화적 혼성성을 잃어가고 있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the growth and decline of Korean Protestantism in terms of cultural hybridization. It also attempts to produce a new academic discourse on Korean Protestantism rather than replicating similar socio-ethical critiques in regard to modernism. Thus, the article initially considers theories of cultural hybridization. Afterwards, it analyzes the growth and decline by observing how Korean Protestantism has formulated its own cultural hybridity. In the period of growth, Korean Protestantism constituted the cultural hybridity by means of encountering with other religious traditions and produced a local theology such as minjung theology within socio-political concern. Whilst, most Korean Protestant churches have put an overemphasis on the purity of Gospel, namely fundamentalism, and have been captured by the capitalist value in the period of the decline. Presumably, these two factors lead lessening the cultural hybridity of Korean Protestantism.

      • KCI등재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현상에 대한 뒤르케임주의적 한 이해

        장형철(Jang Hyung Chull)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연구 Vol.33 No.-

        이 논문은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추모를 뒤르케임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이 논문은 이번 추모현상들을 개인에게 외재하고 또한 동시에 구속력을 갖는 사회적 사실로 보았다. 그리고 이번 추모가 개인에 대해서 갖는 구속성은 개인들로 하여금 집단 흥분과 사회의 성스러움을 경험하도록 만들어 주는 구체적인 추모행위들 즉 시민의례를 통해서 가능 했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민의례 안에서 이루어진 상호집중과 상호동조를 통해 이번 추모는 매우 강렬하고 거대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시민의례를 통해서 만들어진 도덕은 각각 다르며 이는 각 각 다른 사회적 결과를 낳았다고 보았다. 김수환 추기경 추모의 경우는 사랑과 용서라는 도덕을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끌었고, 반면에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의 경우는 민주주의를 위한 저항의 도덕의식을 이끌어 내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번의 추모에서 주체로서의 개인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짐을 관찰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ocial commemoration of Bishop Su Hwan Kim and the former President Mu Hyun Ro from a Durkheimian perspective. Firstly, the article begins with a discussion that the commemoration can be regarded as a social fact which is external to the individuals, and also constrains them to join social commemoration. Then, it argues, the commemorative practices, called as civil rituals, led collective experience of the Sacred of Korean society by means of attending the funerals, visiting Myungdong Cathedral or civil mourning sites on the streets, and being eager to upload(and watch) one's own UCCs on the cyberspace in terms of expressing and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e more civil rituals are passionately practiced by the participants' mutual entrainment, the more the solidarity among the participants get strengthened. Next, the article observes that the morality generated from performing the civil rituals in respective cases, brings about some social consequences such as social integration and the resistance to the government. Finally, it points out individualism as an emerging characteristic in practicing social commemoration through civil rit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