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正祖 활쏘기와 古風

        장을연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7 규장각 Vol.51 No.-

        조선 제22대 왕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그 규모의 방대함과 내용의 상세함이라는 측면에서 역대 왕들과 비교가 무색할 정도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 기록을 종합정리하려는 시도가 없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 정조 활쏘기에 대한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실록 등의 관찬사료는 물론이고 각 처 박물관이나 개인 소장 자료를 조사․분석하여 정조 활쏘기의 전체적인 면모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정조의 활쏘기 기록은 12개 년(1787~1798)에 걸쳐 262건에 달하는데, 많은 건수가 ‘古風紙’라는 낱장문서이다. 고풍지는 ‘古風’이라는 왕의 활쏘기 풍습에서 생산된 문서로, 정조대에 성행하다가 급격히 사라졌다. 고풍지는 활쏘기 내역 외에도 정조가 신하에게 주는 하사품과 이를 지급한 관청의 인장, 정조의 手決(sign)이 포함된 활쏘기 현장의 생생한 현장자료이다. 이 외에도 비석이나 현판, 이를 인출한 탁본첩 등 다양한 형태로 남아 있다. 본고에서 시도한 정조 활쏘기 기록의 정리․분석과 문헌학적 측면의 고찰은 군사학이나 체육학 등 타 학문분야 관점의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에 따라 새로운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冊文의 筆寫本에 관한 서지학적 고찰

        장을연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보 Vol.0 No.33

        일반적으로 ‘冊文’은 金, 玉, 竹의 片에 글을 새겨 繪粧한 工藝品 또는 儀物의 개념으로 인식되는 측면이 강하였다. 따라서 책문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도 美術史나 工藝史的 관점의 접근이 부각되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冊文은 보다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貼 형태의 筆寫本과 拓印本 책문이다. 이들은 특정 책문을 제작할 때 일괄적으로 작성되며, 특히 필사본은 그 작성 단계에 따라 성격과 형식, 貼을 구성하는 요소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책문 제작의 전체적인 과정을 조망할 수 있게 해준다. 본고는 책문의 필사본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을 통해 책문의 다양한 존재 양상을 확인하는 데 목적을 두어 작성되었다.

      • KCI등재

        奉謨堂 奉安 冊文의 현전본 고찰

        장을연 한국고문서학회 2019 古文書硏究 Vol.55 No.-

        奉謨堂은 1776년 列聖의 御製, 御筆 등 典謨資料를 보관하기 위해 설치된 藏書 시설이다. 이후 대한제국기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장서의 증가와 관리의 편의 등을 이유로 장소의 이동과 건물의 확장, 관리 부서의 변동 등 많은 변화를 겪어왔다. 그러나 전모자료를 보관하는 특수 시설로서의 역할을 유지하였다. 봉모당 장서는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 한국학중앙연구원) 藏書閣으로 이관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 과정에서 봉모당 장서가 타 자료와 혼재되면서 온전한 봉모당 장서의 원형을 파악하기 어렵게 되었다. 봉모당 장서의 원형 복원은 봉모당 자료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다. 본고는 봉모당 장서의 여러 종 가운데 冊文類를 대상으로 봉모당 서목과 장서각 소장품을 비교하여 봉모당 장서 원형 복원을 시도하였다.

      • KCI등재후보

        藏書閣 소장 冊文拓印本의 현황과 특징

        장을연(Jang Eul-yo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09 장서각 Vol.0 No.22

        '冊文'이라 하면 일반적으로 실제 儀禮에서 사용된 工藝品 형태의 儀物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 전시나 도록을 통한 공개나 연구자의 연구가 이를 대상으로 삼아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책문은 이 외에도 拓印本과 筆寫本 형태로도 존재하므로 책문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위해서는 이들에 대한 연구도 반드시 진행되어야 한다. 본고는 이 가운데 탁인본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다만 연구의 대상 자료는, 현재 가장 많은 책문탁인본을 소장한 藏書閣 소장본(1783년부터 1926년 사이에 제작된 총 118종 219건)으로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책문 연구를 위한 선행 작업으로 책문의 분류(형태별, 내용별)를 시도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서각 소장탁인본의 형태별, 내용별, 시대별 분포를 살펴본 후에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작업과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책문의 사료적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노력하였다. 그 동안 책문은 역사적 사실이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고 대상에 대한 의례적인 칭송이 강하다는 내용적 특징으로 인해 그 사료적 가치가 낮게 평가되어 온 경향이 있었다. 그러나 책문은 단순히 특정 의례 행위의 결과물에 지나는 것이 아니다. 고종의 先代 追尊이나 神貞王后에게 尊號를 올린 사례 등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책문에는 당대의 갈등이 상징적으로 반영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숨겨져야 했던 것 또한 一面의 역사적 현실이었다. 즉 책문은 그 표면에 드러나지 않은 은유와 상징을 읽을 수 있을 때 사료적 가치를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것이다. 본고는 책문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를 위해, 그 일환으로 필사본이나 공예책문을 제외한 '탁인본'만을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다만 지면 관계상 탁인본의 제작(과정과 투입된 재료) 및 용도에 관해서는 언급하지 못하였음을 밝혀둔다. When considering 'Chakmun'(冊文), the utensils with craft-work forms used in the real rite usually in the past, first come to mind, because, releases by exhibitions or pictorial records, or studies of researchers have mainly focused on it so far. However, there are different kinds of Chakmun such as Takyinbon and transcribed copy, so we need to study on them as well as Chakmun to make it understand as a whole. Therefor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akyinbon among them. But targeted materials of this study were defined to the collection(219 items of 118 kinds produced between 1793 to 1926) of Changseogak, where now, possesses the most volume of Chakmun Takyinbon. First for preceding works of Chakmun study, it was classified into its form and contents, and based on such works, i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examined after considering morphological, content and periodical distribution of Takyinbon in possession of Changseogak. With these works, this research has a purpose to illuminate Chakmun's values as historical data. So far, Chakmun's values as historical data have tended to be undervalued, because its historical facts are not outwardly disclosed and it includes strong eulogies on the objects by courtesy. However, Chakmun is not just outcome of certain rite performances. As shown in the examples such as honoring after death of the previous generation by Gojong or eulogistic title of Queen Sinjeong, Chakmun not only, symbolically reflects the troubles of those days, but shows that many things hidden are also historical reality. In other words, when understanding metaphors and symbols undisclosed on the surface of Chakmun, we can properly know its values as historical data.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only focus on 'Takyinbon' excepting for transcribed copy or Chakmun of crafts in order to study on Chakmun totally. But, for want of space, in this study, production (process and materials) and use of Takyinbon were not mentioned.

      • KCI등재

        대한제국기 김책(金冊)의 현황과 양식적 특징

        장을연 ( Eul Youn Jang ) 한국고문서학회 2015 古文書硏究 Vol.46 No.-

        본고는 大韓帝國期에 제작된 16건 金冊의 현황을 정리하고, 금책의 제작 과정과 樣式的特徵(材質, 규격, 문양, 書寫式, 繪粧등)을 관련 儀軌기록을 통해 살펴보는 데 주력하였다. 아울러 책문의 다양한 존재 양상을 드러내기 위해 금책 筆寫本과 拓印本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금책은 옥책이나죽책과 비교하여 재질이나 형태적 차이에서 기인하는 몇 가지 필연적인 결과 외에는 큰 차이를 확인하기 어려웠다. 이는 의례의 견고한 보수성 때문으로 보인다. 1897년 9월 17일, 高宗은 大韓帝國을 宣布하면서 스스로 皇帝에 登極하였다. 이로써 王室儀禮에도 큰 變化를 겪게 되는데, 冊文制度도 그 하나이다. 그동안 王朝國이었던 조선은 왕실의례에, 皇室의 金冊은 사용할 수 없었고, 玉冊과 竹冊만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고종이 황제로 등극하여 明聖王后를 皇后로, 王世子와 王世子嬪을 皇太子와 皇太子妃로 冊封하면서 처음으로 金冊을 사용하였다. 이후 金冊은 1910년 7월 24일 興親王과 興親王妃冊封에 이르기까지 13년간 총 16件이 제작되었다. 이 기간동안 玉冊은 尊號, 諡號, 廟號를 올리거나 哀冊으로 사용되었고, 竹冊은 金冊이 그 역할을 대신하면서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또 책문은 1926년 순종이 사망하자 그해 4월 20일 황태자 이은이 尊號‘孝皇帝’, 諡號‘文溫武寧敦仁誠敬’, 廟號‘純宗’을 함께 올린 옥책을 마지막으로 역사에서 사라졌다. 책문은 王(皇)實工藝品이자 儀物인 동시에 일종의 文書이다. 또 왕(황)실 최상위의 특정 인물을 위해 제작된다는 점에서 그 상징적 의미가 매우 크다. 따라서 일반 문서와는 달리 제작이나 취급에 엄격한 통제와 행정 및 의식 절차가 수반되고, 다수의 工匠이 동원된다. 문서의 측면에서도 종이와 먹뿐만 아니라 나무, 각종 금속과 비단, 안료 등이 사용된 복합재질의 문서라는 점이 매우 특징적이다. 본고가 금책을 문서학적 측면에서 주목하면서도 이에 수반되는 행정적·의식적 절차나 材料, 紋樣, 繪粧등다양한 문제를 다룬 것도 이러한 책문의 복합적인 성격 때문이다. This paper focuses on organi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16 gold investiture books created during the era of the Korean Empire and review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materials, size, design, format, and decorative binding, etc.) of these gold books by examining related records on royal protocols. Simultaneously, hand-copied editions and rubbing editions of the abovementioned gold investiture books are examined in order to reveal the diverse conditions of letters of investiture. This paper concentrates on gold investiture books from the aspect of diplomatics but it also deals with various other issues involved with gold investiture books such as administrative and ritual procedures or materials, design, and decorative binding, etc. due to the complex characteristics of these letters of investiture. On September 17, 1897, Gojong ascended to the status of emperor by proclaiming the beginning of the Korean Empire. Royal protocols thereby had to undergo great changes, of which the letter of investiture system was one. Until then, it was forbidden for Joseon, as a dynastic kingdom, to use gold investiture books, which only the imperial household could use; Joseon could only use jade or bamboo investiture books during royal protocols. And because Gojong`s status changed to that of emperor, gold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the very first time during the investiture of Queen Myeongseong, crown prince, and crown princess as empress, imperial crown prince, and imperial crown princess, respectively. Since then, in the following 13 years until the investiture of King Heungchin and Queen Heungchin on July 24, 1910, a total of 16 gold investiture books were produced. During this period, jade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granting eulogistic titles, posthumous titles, and posthumous shrine titles, or as official eulogy upon death, but bamboo investiture books were no longer used after gold investiture books took over their role. In addition, jade investiture books were used for the last time by imperial crown prince Yi Eun to honor Sunjong with the eulogistic title of "Emperor of Filial Piety," posthumous title of "Emperor Who Reviews What Has Been Learned, Protects Peace with Arms, Cultivates the People with Benevolence, and Reveres Ancestors with Sincerity," and posthumous shrine title of "Emperor of Purity" on April 20, 1926, upon the death of Sunjong, and letters of investiture disappeared into history in the same year. Letters of investiture are not only artistic crafts and ritual utensils of the royal (imperial) household but act simultaneously as a type of official document. Furthermore, the symbolic significance attached to them is great because they are created for a few specific persons at the top tier of the royal (imperial) household. Unlike other official documents, therefore, the production or handling of these documents is accompanied by strict control and administrative and ritual procedures, as well as mobilization of many artisans. As type of document, these documents are unique in that composite materials such as wood, various metals and silk, and pigments were used on top of paper and ink.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re does not seem to be much difference between gold, jade, and bamboo investiture books other than a few minor differences arising from variations in materials used or state of existence. The fact that little difference exists between the various investiture books may be related to the strongly conservative nature of royal protocols.

      • KCI등재후보

        淸代 조선왕실 冊封誥命과 조선 敎命의 형태 비교연구

        장을연(Jang Uel-youn)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장서각 Vol.0 No.24

        본고는 중국 明 · 淸代의 誥命과 朝鮮 敎命의 형태를 비교 · 분석하고, 동시에 그 제도적 연원을 추적함으로써 두 문서의 상호 관련성을 고찰하고자 작성되었다. 주지하다시피 중국과 조선의 문물제도는 그 영향관계가 매우 밀접하며, 이것이 문서의 제도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라는 사실은 이미 고문서학계의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증명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고명과 교명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그동안 이에 관한 언급은 있었으나 비교 · 분석을 통한 실증적인 고증은 활발하지 못하였다. 고명과 교명은 임명문서, 특히 해당 국가체제에서 최고의 신분층에 대한 임명이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들 문서는 왕실의 권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즉 고명과 교명은 일반적으로 종이에 서사되는 대부분의 문서와는 달리 비단에 다양한 문양을 일정한 방식으로 배치함으로써 정교하고 화려하며 예술적으로 수준 높은 면모를 갖추고 있다. 이러한 문서의 형태적 특징은 명문화된 제도에 근거를 두고 있는데, 『명회전』의 誥勅式樣 조항이 그것이다. 이 조항은 청과 조선에 거의 그대로 수용되었다. 그러나 실물에 반영된 모습은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특히 조선의 교명은 織造와 繪粧에 있어 명청의 官僚任命誥命과 藩國王室冊封誥命의 장점을 두루 수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고는 고명과 교명의 실물 형태의 비교 · 분석과 함께 명 · 청의 법전 기록을 통해 중국에서의 고명제도의 변천, 儀軌 · 實錄 · 文集 등의 기록을 통해 교명의 형태가 조선에서 정형화되어가는 과정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교명의 형태적 특징이 단일재질이 아니라 다양한 재질이 복합되어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冊文과 함께 복합재질 문서 연구의 한사례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This paper intended to consider the mutual relations between Gomyung form of Ming·Qing Dynasty Period and Gyomyung form of Joseon by comparing·analyzing them and tracing their institutional source. As everyone knows, many researchers of ancient classics already approved that the impact relation between Chinese civilization and institutions and Joseon’s was very close and it was same as document’s institutions. This situation is same as Gomyung’s and Gyomyung’s. But it has been mentioned till now but positive historical investigation was not active through comparison·analysis. Gomyung and Gyomyung have the common characteristic of appointment document, especially the appointment for the highest position in national system. Therefore, those documents express the authority of royal family symbolically. In other words, Gomyung and Gyomyung arrange various patterns on the silk fabric under the certain way, dislike the most documents described on the paper generally, so they have elaborate, splendid and high-qualified aspect artistically.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those documents are based on the stipulated institutions. For example, it can be the Gochiksikyang(誥勅式樣) article of Myunghoijeon. This article was accepted to Qing and Joseon as it is. But, the figure reflected to actual material shows great difference. Especially, Joseon’s Gyomyung seems to accept strong points of bureaucrat appointing Gomyung and national royal family installation Gomyung in Ming and Qing widely, for weaving and drawing(繪粧). This paper intended to chase the process Gyomyung’s form was standardized in Joseon, through comparison·analysis of Gomyung/Gyomyung’s actual forms, Ming·Qing’s law books (冊文), Gomyung institution’s transition in China and records of Uigwe(儀軌), annals(實錄), works collection(文集), etc. This study can be one example of studying on books and complex quality’s documents because this study was written under the fact that Gyomyung’s typical characteristic is mixed by various qualities, not single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