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인학대에 대한 사회적 지원체계의 한·일 비교 연구

        장윤정 ( Yunjeong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1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노인학대 대응체계를 비교·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양국의 노인학대 관련 법률과 노인학대 대응 실무기관의 운영체계를 비교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의 노인복지법상에는 학대 문제에 대한 책임 주체가 명시되어 있지 않으나, 일본의 고령자학대방지법에서는 국가 및 지방공공단체 특히, 노인학대 대응의 일차적인 책임이 시정촌에 있음을 명확히 하고 있다. 둘째, 한국은 법률상 노인학대 행위자 지원과 관련된 직접적 조항이 없으나, 일본은 양호자에 대한 지원을 별도 조항으로 규정하고 있다. 셋째, 노인보호전문기관은 광역단위로 설치되는 노인학대 전담기관이지만, 지역포괄지원센터는 일상생활권역 단위로 설치되며 노인학대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생활지원, 개호예방사업을 수행한다. 따라서 노인학대와 관련하여 한국은 노인복지법의 개정 또는 특별법 제정에 대한 검토, 실무기관을 광역 단위가 아니라 지역밀착형으로 구축하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ocial support systems of South Korea and Japan against elder abuse and draw implications. Concretely, the acts related to elder abuse and the operating systems of working-level institutions responding to elder abuse in the two countries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ereas the Welfare of the Aged Act of South Korea does not specify those responsible for the abuse problems,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Elder Abuse of Japan makes it clear that the state and local public organizations, especially municipalities have the primary responsibility for responding to elder abuse. Second, whereas South Korea does not have any direct provision related to support for caregivers under the law, Japan stipulates support for caregivers with a separate provision. Third, whereas the elder protection agencies are agencies in charge of elder abuse installed in each wide area, a community comprehensive support center is installed in each daily life area and performs various life support and nursing care prevention projects including the elder abuse problem. Therefore, with regard to elder abuse, South Korea should review the revision of the Welfare of the Aged Act or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and should discuss on establishing community based working institutions rather than wide areal units.

      • KCI등재

        브랜드 경험요소를 적용한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특성연구

        장윤정 ( Jang Yunjeong ),이정교 ( Lee Ju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오프라인 채널에서 온라인 이커머스 비즈니스의 급속한 변화로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의 마케팅 전략이 변화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전통적 마케팅 방식에서 변화되어 매장 공간의 프로그램에 다양한 기회와 다 영역을 포함하는 확장적 개념으로 소비자 경험을 중시한 전략을 도입하고 있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에 전통적 커뮤니케이션요소와 온라인 채널이 병행되는 경험 요소를 융합한 고객 맞춤 서비스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간디자인 전략 마련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 온/오프라인 채널에 브랜드 경험 요소를 적용하여 혁신적인 공간 디자인을 위한 공간 특성을 도출하고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선행연구를 통하여 브랜드 경험 이론에서 경험 요소를 도출하고,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특성 요소를 추출한다. 도출된 특성으로 정성적 분석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고, 선정된 사례를 분석한다. 이 결과를 가지고 패션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특성과 브랜드 경험의 상관적 관계를 규명하고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디자인의 유의미한 방향에 대하여 제안한다. (결과) 이 분석의 결과 5곳의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경험의 5요소가 총체적으로 적용되고, 공간 구성 요소의 목적과 성격에 따라 5요소가 다르게 적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감성 요소에서는 분위기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전달이 두드러지며, 인지 요소에서는 브랜드와 브랜드 공간의 접근성 및 공간의 스토리로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유도하고 있었다. 행동 요소에서는 문화 및 이벤트 공간을 통해 소비자와 흥미 유발, 상호작용이 두드러졌고, 관계 요소에서는 브랜드 정체성, 커뮤니케이션 형성 등을 통해 개인의 욕망을 충족하고 긍정적 가치를 창출하고 있음을 도출할 수 있었다. 분석한 5곳의 브랜드 모두 웹사이트를 통해 다양한 활동으로 브랜드를 홍보하고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기 위해 온라인 채널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결론) 그 결과, 패션 플래그쉽 스토어는 브랜드 경험 요소와 공간 특성 요소가 복합적으로 적용되고 있고, 마케팅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오프라인 매장과 온라인 채널 요소의 상호작용을 위한 방법을 강구하여 브랜드 차별화 요소로 활용해야 할 것이다. 기업은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함에 브랜드 경험 요소와 공간 특성 요소를 전략적으로 적용한다면 지속 가능한 브랜드 관리의 방법론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rapid changes in online e-commerce businesses on offline channels have led to changes in fashion flagship store marketing strategies. It has changed from traditional marketing methods to include a strategy that emphasizes consumer experience with an expansive concept containing various opportunities and multiple areas in the program of store space. In this background, a space design strategy is required, which can meet customer-tailored services that combine traditional communication elements with online channels in the flagship store space. Thus, this study aims to derive and study spatial characteristics for innovative space design by applying brand experience elements to fashion brand flagship store on/offline channels. (Method) This research derives experience elements from the brand experience theory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as well as extracts spatial characteristic elements of fashion brand flagship stores. A model for qualitative analysis is proposed from the derived characteristics and the selected case studies are analyzed. Based on this resul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fashion brand flagship store and the brand experience is investigated, and a meaningful direction for the spatial design of the flagship store is propo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howed that five elements of brand experience were applied to five flagship stores; they were appli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character of the spatial components. In the emotional element, the atmosphere and the delivery of brand identity stand out; in the cognitive element, both the accessibility of the brand and brand space along with the story behind the space induce positive awareness of the brand. In the behavioral element, the cultural and event space have highlighted the consumer's interest and interaction; in the relational element, it has been able to derive positive value and meet the individual's desires through brand identity and communication formation. All five analyzed brands actively utilized online channel elements to promote brand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through their websites and enhanced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Conclusions) The brand experience elements and spatial characteristics elements were applied together,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arketing. In addition, we will have to take steps to interact with offline sales channels and use them as brand differentiators. Companies can use brand experience and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methodology for sustainable brand management if they strategically apply them to run flagship stores.

      • KCI등재후보

        A Comparative Study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Jang Yunjeong(장윤정),Kang Youngkol(강영걸) 韓國保健社會硏究院 2010 保健社會硏究 Vol.30 No.2

        연구자는 공공부문 사회복지사(사회복지전담공무원)와 민간부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수준을 분석 · 비교할 목적으로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경상도 지방(부산, 대구, 경남, 경북)에서 근무하고 있는 공공 · 민간 사회복지사 331명을 대상으로 우편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1. 연구의 표본을 구성하고 있는 331명 전체의 직무만족 수준은 5점 만점 척도에서 3.2546이다. 비교대상이 없기 때문에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지만, 대부분의 사회복지사들이‘만족한다’(4점)와‘그저 그렇다’(3점) 사이에 동그라미를 친 것을 감안한다면 직무만족 수준이 그다지 높은 편도 그리고 형편없이 낮은 편도 아니라고 할 수 있다. 2. 엄기욱, 박인아(2007)와 고수정(2006)의 연구결과와 같이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민간사회복지사보다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이 자신의 직무에 만족하지 않는 이유는, 신현자(2003)의 주장과 같이, 업무과중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업무과중’변수를 방정식에 포함했을 때 민간 · 공공을 나타내는 더미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변한 사실에서 업무과중의 역할을 알 수 있다. Social workers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Korea’s social welfare system since they are the very workers who take virtually full responsibilities for providing welfare services to target clients in Korea. Even if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would not be working without social workers, their contributions do not seem to have been sufficiently appreciated. A phenomenon symbolizing a discrepancy between their perceived contribution and the clients’appreciation has often surfaced in the form of complaints about their jobs, pays, human relations, and working conditions. Typical problems, with which social workers in general have been confronted,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Yoon & Kang 윤혜미 · 강홍구, 2004: 1-2; Ko 고수정, 2006: 474) : 1. Working conditions prevent social workers from sufficiently displaying their expertise, which could worsen service quality and hamper efficiency and responsibility. 2. As standards of license qualifications are less rigorous and social workers’roles are not duly specified, the role ambiguity could pose a serious problem. 3. Social workers do not often receive legally-guaranteed pays and fringe benefits because of employers’financial difficulties. Hence, pay levels of social works would be much lower than those of comparable occupations. 4. The lack of standardized job explanations could force them to do their jobs according to their own judgements. Such ambiguities could lead to serious confusions in terms of their professional identity.

      • KCI등재

        치매에 대한 태도 결정요인에 관한 한일 비교

        장윤정(Jang, Yunjeong) 한국노년학회 2014 한국노년학 Vol.34 No.2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의 노인입소시설 케어워커를 대상으로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치매지식이 치매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검증하였으며 나아가 치매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있어 한일 간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 하였다. 조사는 한국의 케어워커 320명, 일본의 케어워커 35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를 활용한 우편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에는 t-test,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한일 간에 노인에 대한 태도 및 치매지식, 치매에 대한 태도를 비교한 결과 치매지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치매에 대한 태도와 노인에 대한 태도는 한국에 비해 일본의 케어워커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치매에 대한 태도에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큰 변인을 살펴보면 한국은 치매지식(β=.305 p<0.001), 일본은 노인에 대한 태도(β=.348 p<0.001)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노인에 대한 태도와 치매지식은 한일 양국에서 공통적으로 치매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probe the effects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knowledge of dementia on attitude toward dementia of care workers who work in nursing homes in Korea and Japan. Furthermore,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whether there's a difference between Korea and Japan in terms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 dementia. Data were collected from 320 careworkers in korea and 350 careworkers in japan. The collected data has been analyzed by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level of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s well a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dementia, no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in terms of knowledge of the dementia, but for attitude toward the disease and toward the elderly, the care workers in Japan were generally found to be more positive. Next, in terms of factors that determine the attitude toward the dementia, first, a careful examination of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ttitude towards the dementia found that the knowledge of dementia in Korea is (β=.305 p<0.001) and the attitude towards the elderly in Japan is (β=.348 p<0.001). Second, attitude toward the elderly and knowledge of the dementia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influences attitude toward the dementia, both in Korea and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