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 감염관리 지식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미치는 영향

        장옥선,박점미,Jang, Ok Sun,Park, Jum-mi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ealth belief,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the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affs in long term care hospital. Data from 146 nursing staff working at eight nursing hospitals in C city were collected for the period during September, 2020. Examining the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the subjects, the general information showed that the ease of use of infection control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β=-.198, p<.05), health belief (β=.124, p<.05), perceived susceptibility(β=.104, p<.05) which is a subgroup of health belief, perceived benefits(β=.111, p<.05) had an effect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건강신념과 감염관리 지식 및 수행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위치한 8개 요양병원에 재직중인 간호인력 146명이었고 자료수집은 2020년 9월에 시행되었다. 연구 결과, 감염관리 개인보호구 이용 용이성(β=-.198, p<.05), 건강신념(β=.124, p<.05), 건강신념 하위 변인인 지각된 민감성(β=.104, p<.05), 지각된 유익성(β=.111, p<.05)이 감염관리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요양병원 간호 인력의 감염관리 수행도를 향상을 위하여 개인의 건강신념 중 지각된 민감성을 이용하여 감염관리 수행도를 높일 수 있는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과 기존의 교육방법과 다른 요양병원의 특성에 맞는 다양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도입 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

        장옥선(Jang, Ok-sun),서현아(Seo, Hyun-ah)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2021 어린이문학교육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 도덕적 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어린이집의 조직건강,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간의 인과관계, 그리고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P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상관관계, 회귀분석, 매개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이 높을수록 조직헌신도 높아진다.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건강이 높을수록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도 높아진다. 셋째, 어린이집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이 높을수록 조직헌신이 높아진다. 넷째, 어린이집 조직건강과 보육교사의 조직헌신 간의 관계에서 원장의 도덕적 리더십은 부분매개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보육교사가 교육현장에서 보다 조직에 헌신적으로 종사하기 위하여 원장의 도덕적인 리더십이 더욱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effectively medit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at institut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this end, the study examin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at moral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health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well as the meditating effect of the first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00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who worked for s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located in P city. Through a survey of those teachers, the study obtained data that were in turn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the mediation effect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etter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leads to a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ir teachers. Second, a better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institute improves the moral leadership of the institute’ directors. Third, the higher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contributes to a higher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fourth, the moral leadership of the directors partially medit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organizational health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ir teachers. When considering these findings carefully, this study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because it determined the fact that the director of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e need to have more moral leadership so that the teachers of those institute would show mor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ractice.

      • KCI등재

        부모의 심리통제·행동통제와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유아 친사회성의 매개효과

        장옥선 ( Jang¸ Ok-sun ),서현아 ( Seo¸ Hyun-ah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1 유아교육연구 Vol.41 No.5

        본 연구는 부모의 심리통제ㆍ행동통제와 유아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친사회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시에 소재한 유치원 학부모 252명을 대상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수집한 자료는 기술통계와 상관관계분석, 회귀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부모의 심리통제는 유아의 친사회성을 낮추고, 부모의 행동통제는 유아의 친사회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행동통제는 유아 놀이성을 높이고, 심리통제는 유아 놀이성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친사회성은 놀이성을 높인다. 넷째, 부모의 심리통제와 유아 놀이성 간의 친사회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였고, 부모의 행동통제와 유아 놀이성 간의 유아 친사회성은 부분매개역할을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유아의 놀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모들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친사회성이 더욱 요구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tating effect of pro-sociality 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or behavior control and children’s playfulness. For the purpose, the study surveyed 252 parents of children who were currently attending preschools located in P city, and collected data. This study processed the data by us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regressive mediat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lowers children’s pro-sociality. In contrast, the former’s behavior control improves the latter’s pro-sociality. Second, parents’ higher behavior control leads to children’s higher playfulness. Third, the higher pro-sociality is, the more playfulness is. And fourth, pro-sociality has a whole mediation effect 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ren’s playfulness. However, the effect of pro-sociality on mediating relationships between parents’ behavior control and children’s playfulness is partial. As implicated by these findings, this study is meaningful since it ascertained that children’s higher playfulness requires better parenting attitude and higher pro-sociality.

      • KCI등재

        대학 온라인 토의수업의 실제와 효과에 대한 연구

        김현영(Hyeon-Yeong Kim),장옥선(Ok-Sun Jang),이수정(Soo-Je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8

        본 연구는 현재 대학에서 진행되고 있는 온라인 토의수업의 활용 실태 및 효과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지역 총 4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토의수업의 운영 실제와 그 효과에 관한 인식을 진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교차분석, F검증, T검증, Scheffe 검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COVID19 사태 이후 대학에서는 ‘비실시간 녹화수업’과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 방식이 주로 진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온라인수업 방식에서 ‘실시간 쌍방향 화상수업’은 ‘토의수업 선호도’에 정적 영향을 주며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온라인 토의수업 참여에 대해 대학생들은 창의사고능력 확대를 위한 기반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토의방식과 절차에 대한 학습자의 충분한 인지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원활한 의사소통과 교류를 통한 강화가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rrent status an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classes in universitie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a total of four universitie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o diagnose their perceptions of the operation of online discussion classes and their effect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ross-analysis, F-test, T-test, and Scheffe test by applying SPSS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non-real-time recorded lessons’ and ‘real-time interactive video lessons’ were mainly conducted at universities after the COVID19 crisis. Second, in the online class method, ‘real-time interactive video class’ had a positive effect on ‘debate class preference’ and was found to be more meaningful. Third, college students recognized participation in online discussion classes as a foundation for expanding creative thinking skills, suggesting that strengthening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and exchanges based on learners’ sufficient cognitive processes on discussion methods and procedures is more helpful.

      • KCI등재

        토의(discussion) 기반 수업에 대한 대학 내 인식 연구

        김윤정(Kim Yun Jeong),장옥선(Jang Ok Sun),김현영(Kim Hyeon 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대학에서 집단사고의 과정으로 활용되고 있는 토의 기반 수업에 대한 인식과 전반적인 참여 현황 및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5일까지 4주에 걸쳐 수도권 지역 학습자 4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하고, 추가로 교수자 2인의 인터뷰를 보충자료로 분석하였다. 양적-질적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토의 기반 수업은 주로 교양과목에서 활용되고 있었으며, 전공수업에서는 학습자의 토의 수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에 비해 적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들의 토의 기반 수업 효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전공계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특히 자연공학계열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셋째, 교수자는 토의 기반 수업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학습자 반응과 수업 내용에 따른 적용의 어려움과 부담감을 토로하였다. 인재 양성 기관으로서 대학은 학습자와 교수자의 요구에 맞는 토의 기반 수업에 대한 비전 및 교수방법에 대한 구체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의 방향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learner-instructor awareness and participation in discussion based class, which are used as the process of group thinking at a university. For this purpose, a survey of 437 learners from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supplemental interview data of two instructors were analyzed. The analysis results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are as follows. First, discussion based class was mainly used in liberal arts subjects, and major classes were found to be inadequate compared to positive perceptions of learners discussion class. Second, learners positive perception of discussion based teaching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ir majors, especially low in the case of natural engineering field. Third, the instructor recognized the necessity for discussion based instruction, but expressed the difficulties and burdens of application according to the learner s response and the contents of the class. The university, a human resources training institution, need to provide specific and strategic approaches to vision and teaching methods for discussion based instruction that meet the needs of learner and instructor. The results of this study aim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activation of effective discussion based class in line with the tim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