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오프사이트건축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개발 및 적용

        장예은,이재만,손정욱 대한건축학회 2022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8 No.8

        This study presents the development process and application effect of project management system to efficiently manage OSC projects which are recently getting more attention. We conducted literature review, case analysis, and expert interview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SC project management and to derive the requirements and necessary functions that the management system should hav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liminary study, the OSC project management system was implemented and the effect was analyzed by applying it to the field. It was found that the management system improved the efficiency and accuracy of management work and reduced unnecessary time and effort at each stage of factory production, transportation, and on-site installa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OSC project management, derived the requirements and necessary functions of OSC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presented practical applicability by developing management system and analyzing the application effect. 본 연구에서는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OSC 방식의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 개발 과정과 적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관리시스템 개발을 위해 문헌조사, 사례분석, 실무자 인터뷰를 실시해 OSC 프로젝트의 관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관리시스템이 갖추어야 하는 요구사항과 필요 기능을 도출하였다. 도출 결과를 바탕으로 OSC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현장에 적용하여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관리시스템은 공장생산, 운송, 현장설치의 각 단계에서 관리업무의 효율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시간과 노력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OSC 프로젝트 관리의 특성을 확인하고 OSC 프로젝트 관리시스템의 요구사항과 필요 기능을 도출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관리시스템을 개발하고 적용 효과를 분석하여 실무적 적용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의 의미적·기능적 적절성 판단 및 개선방안 도출을 위한 국가 간 비교법제 연구

        장예은,이준성,Jang, YeEun,Yi, June-Seong 한국건설안전학회 2018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1 No.1

        건설안전 강화를 위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건설현장의 안전사고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시인성 높은 색채를 사용한 안전표지는 근로자가 다른 주의집중 상태로 인해 위험을 인지하지 못할 때, 즉각적으로 장기기억에 내재된 정보를 불러일으킴으로써 건설사고 예방에 기여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안전표지가 건설현장에서 효과적이고 국제적인 의사소통수단으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안전표지색채에 대한 명확하고 통일된 기준과 더불어 건설현장이 갖는 특성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영국 및 호주의 4개국의 건설안전표지 색채기준을 분석하고, 건설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안전표지 색채기준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4개국 모두 파란색을 안전색상으로 지정하고 있는데, 오늘날 건설산업에 많은 고령 근로자가 종사하는 것을 고려한다면, 고령 근로자에게 있어 구분이 어려운 푸른색 계열의 안전표지사용은 부적절하다. 또한, 건설현장은 장소에 따라 밝기가 상이할 뿐만 아니라 야간이나 지하 작업의 경우 충분한 밝기 확보가 어려우므로, 시공간의 변화에 따른 빛 조건을 보정하기 위한 허용오차나 색상 팔레트가 필요하다. Construction accidents in Korea are continuously increasing. Safety signs with high visibility color can diminish such accidents in dangerous places. In order for safety color to be more effective as a global communication means in construction sites, it needs to be checked out whether safety color standar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such as worker or work environment. This paper compared safety color standards among Korea, the US, the UK, and Australia. First, blue color was included in all, which should be corrected considering aged workers increasing in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with age, the ability to distinguish between blue, purple, and gray colors decreases. Second, Korea, which has only single code designated to safety colors, should find alternatives like tolerance to be applicable to a variety of light environments on construction sites, as the contrast which affect the visibility may decrease in dark conditions.

      • KCI등재

        유희적 상호작용성을 기초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연구

        장예은 ( Yeaeun Jang ),최익서 ( Ikseo Cho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기술의 발달로 공간의 역할은 빠르게 변하고 있다. 이에 대한 현상으로 공간디자인에서는 스토리텔링과 놀이, 체험 등의 요소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희적 상호작용성을 기초로 한 공간 스토리텔링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연구방법) 가장 먼저 유희, 상호작용, 스토리텔링에 대한 이론을 차례로 고찰한다. 이를 통해 디자인 과정을 연구하고, 공간디자인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분석 요소들을 도출한다. 도출된 분석 요소들을 토대로, 국내외 사례를 분석한다. 사례 연구 결과를 통해 유희적 상호작용성의 유형을 구분한다. 이러한 유형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 과정에 따른 방법론을 제시한다. (결과) 이론 고찰과 사례 분석 결과, 유희의 유형에 있어서는 미미크리(모방)에 기초를 둔 공간들이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공간디자인 분야에서, 규칙성을 강조해 경쟁을 통한 재미를 얻는 체험보다는 비일상적이고 환상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일탈의 즐거움을 주는 유형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호작용 방식에 있어서는 매체의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매체 종류에 따라 참여자가 사용하는 신체 영역이 달라졌다. 사용하는 신체의 영역에 따라 긴장성에도 차이가 발생했다. 신체의 운동성보다는 신체의 위치가 긴장성에 더욱 큰 영향을 주었다. 또한 매체의 가변성이 클수록 시간성을 강조할 수 있었다. 매체의 외관도 긴장성에 영향을 주었다. 매체의 변화 과정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경우보다 확인할 수 없는 상호작용의 경우에 긴장감 강하게 발생했다. 소리를 활용한 상호작용은 상대적으로 미미했다. 전체적인 요소들은 긴장감 형성에 영향을 주었고, 그에 따라 즐거움의 성격과 크기가 달라졌다. (결론) 유희적 상호작용성 공간 스토리텔링을 하기 위해서는 우선 목적에 따라 놀이의 유형을 선정해야 한다. 그 후, 유형에 맞는 적합한 매체를 선택해야한다. 매체 선택에 따라, 상호작용에 사용되는 감각이 달라진다. 또한 참여자가 움직이는 신체 영역이 정해진다. 이때 외관, 소리, 질감 등을 고려해야 하며 상호작용 시간을 예측하고 디자인해야 한다. 외관, 소리, 질감 등의 요소는 공간의 영향을 받는다. 때문에 공간디자이너는 각각의 디자인 요소들의 유기적인 관계를 이해하고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oles of space are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technology. As part of this phenomenon, elements including storytelling, play and experience are increasingly present in spatial design. These spaces are expected to constantly increase. Thus, this study begins by suggesting spatial storytelling guidelines based on playful interactivity. (Method) First of all, theories related to play, interaction, and storytelling are examined. The design processes is then researched and the analytical factors to be considered in spatial design process are derived from this. Based on these analytical factors, domestic and foreign cases a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ypes of the playful interactivity spatial storytelling are classified. Methodology related to the design process are proposed as a result. (Results) Having examined the theories and analyzed the case studies, in terms type of play,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the spaces based on mimicry (imitation) was the greatest. This means that more types employ the joy of escapade through abnormal and fantastic interaction than through enjoyable experiences based on competition by emphasizing regularity in the spatial design field. In terms of the form of interaction, the media has the greatest influence. The body part used by participan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 of media. The degree of tonicity varied according to body part. The part of body had greater influence on tonicity than body motility. Temporality was also emphasized as the variability of media increased. The exterior of media also influenced tonicity. There was higher tonicity in where which the variation process of media was unidentifiable than the opposite cases. The interaction using sound was relatively insignificant. Overall, the elements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tension and the character and degree of joy were found to be different. (Conclusion) For playful interactivity spatial storytelling, play and type should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pace. The most media suitable for the type must then be selected. The senses used during interaction differ according to the media selected. The body parts which participants move are also selected. Exterior, sound, and texture must be considered and design should be conducted once interaction time has been predicted. The elements - exterior, sound, and texture - are influenced by space. Spatial designers must therefore organizationally understand respective design elements and comprehensively take them into account.

      • 플립-플롭(Flip-flops) 보행이 건강한 성인의 시-공간적 변수와 발목 관절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장예은(Ye-Eun Jang),김하경(Ha-Kyung Kim),김정은(Jung-Eun Kim),김예담(Ye-Dam Kim),유승연(Seung-Yeon Yu),박재영(Jae-Yeong Park),김동우(Dong-Woo Kim),오재섭(Jae-Seop Oh)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 2022 한국임상움직임치료학회지 Vol.2 No.1

        Background: The flip-flop, popular for its light design and convenience, has practical advantages, but is unstable compared to closed shoes. This feature of the flip-flop causes a change in walking patterns. In previous studies, there are many studies on the kinetic and kinematic characteristics of flip-flop walking; however, there are various conclusions on the effect of flip-flop walking on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and ankle motion change during flip-flop walking.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lip-flop walking on spatio-temporal variables and ankle motion compared to sneakers walking. Methods: Twenty-one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Xsens-DOT was used to track body movements. Steplab was used to analyze, visualize, and quantify tracked data. Participants were instructed to walk naturally in sneakers that fit their feet, and 50 steps were measured, five steps later for adaptation. In the same way,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wearing flip flops.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sneakers walking and flip-flop gait.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α = 0.05.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alking speed and stride length in spatio- temporal parameter. However, compared to sneakers walking, the maximum toe distance during flip-flop walking decreas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p < 0.05). The ankle mo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both toe off angle and heel contact angle during flip-flop walking (p < 0.05). Conclusions: Walking wearing flip-flops increases the risk of falls and reduces push off capacity. Therefore, people who are fatal to falls and vulnerable to fatigue should not walk wearing flip-flops.

      • KCI등재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한 연구: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인식 명확성, 회복탄력성을 중심으로

        장예은(Jang, Ye Eun),김향미(Kim, Hyang Mi),김혜정(Kim, Hye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해외에서 다문화를 경험하며 성장기를 보낸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 대학에 재학하거나 휴학 중인 귀국 대학생 총 254명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끼치는 심리적인 요인들(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인식 명확성, 회복탄력성)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귀국 대학생들의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인식 명확성, 회복탄력 성이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기개념 명확성, 정서인식 명확성, 회복탄력성은 대학생활 적응의 하위 요인인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 결과는 귀국 대학생의 성 공적인 대학생활 적응을 모색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가지며 그들에 대한 교육연구의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sychological factors influencing successful college adaptation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in Korea who spent adolescence abroad. For this reason,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college adaptation (self-concept clarity, emotional clarity, resilience) of 254 returnee college students, who are attending college or on a leave,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As a result, returnee students self-concept clarity, emotional clarity, and resili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college adaptation. Moreover, these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ub-factors such as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and personal-emotional adjustment. These results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to help returnee college students to successfully adapt to college life and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s for the study of returnee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