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산(離散)의 비애와 전쟁 서사 - 김요섭의 『깊은밤 별들이 울리는 종』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22 동화와 번역 Vol.43 No.-

        이 글의 목적은 김요섭을 대상으로 하여 이산(離散)의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쟁 양상과 인식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월남 작가 연구의 지평을 넓히는 것이다. 그동안 월남 작가 연구는 대개가 디아스포라 의식을 중심으로 하였다. 이는 월남 작가를 단선적으로 이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월남 작가인, 김요섭이 이산자로서 생산한 전쟁 서사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김요섭의 초기 작품 곳곳에서 고향 상실과 그리움을 담았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그러한 주제가 형성된 근본적인 원인이 전쟁이라는 점이다. 작가는 아동 독자를 대상으로 함에도 불구하고 격렬한 전쟁터를 그대로 묘사하고 참혹한 전쟁으로 인해 육체와 정신적 불구가 된 인물을 가감없이 그렸다. 이는 아동들에게 전쟁의 참상을 알리는 전쟁 교육 다름 아니다. 사실, 우리는 더이상 전쟁 경험자를 통한 전쟁 교육이 어렵기 때문에 전쟁 경험자의 직간접적인 교육을 통해 가능하다. 이런 측면에서 김요섭의 초기 작품은 해방과 분단, 한국전쟁을 배경으로 하여 역사적 사료로서 기능한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김요섭이 전쟁의 참상을 보여주면서 전쟁의 비극을 재현하기 않기 위해 반전과 평화 사상을 아동에게서 찾은 것 또한 고무적이다. 그동안 월남 작가 연구는 반공과 승공으로 일관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단선적 시각에서 벗어나 작가 김요섭과 월남 작가를 새롭게 이해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aspects and perceptions of war based on Lee San's experience for Kim Yo-seop and to expand the horizons of Vietnamese writer research through this. Until now, Vietnamese writer's studies have mostly focused on diaspora consciousness. However, it is believed that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work of Vietnamese artists in depth. Based on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this study focuses on reading the war narrative produced by Vietnamese writer Kim Yo-seop as Lee San-ja. As a result of the study, Kim Yo-seop's early works contain the loss and longing for his hometown. What is noteworthy here is that war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e formation of such a subject. Despite targeting children's readers, the artist described the fierce battlefield as it is and painted a person who was physically and mentally disabled by the harrowing war. This is no different from war education, which informs children of the horrors of war. In fact, since war education through war experienced people is no longer possible, it is possible through indirect education of war experienced people, that is, reading. In this respect, Kim Yo-seop's early works, set in liberation, division, and the Korean War, function as historical historical records. In particular, it is also encouraging that Kim Yo-seop found twists and peace in children to show the horrors of the war and not to recreate the tragedy of the war. It is true that Vietnamese artist's tendency to work has been consistent with anti-communism and success.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understand Vietnamese writer and Lee San-ja, Kim Yo-seop, away from the existing one-line understanding.

      • KCI등재

        월남 아동작가와 디아스포라적 상상력 -강소천의 1950년대 작품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0 동화와 번역 Vol.40 No.-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고찰한 것이다. 강소천은 북한에서 생활 근거를 박탈당하고 고향을 떠나 남한 사회에 정착하면서 작고하기 전까지 한 시대를 주도하였다. 월남 작가인 강소천의 작품을 규율하는 근본 요소는 디아스포라 의식과 상상력을 부인할 수 없다. 그동안 전후 월남 아동작가의 작품은 유사한 관점으로 균일하게 연구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디아스포라 의식과 연결하여 규명하게 되면 작가 개인의 문학적 정체성을 고찰하는 동시에 해방 이후의 역사와 문학(사)을 보다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직시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사실, 본 연구는 월남 아동작가들의 디아스포라 의식을 찾고 그것이 작품에 어떻게 현상(現象)했는가를 고찰함으로써 작품을 보다 폭 넓게 읽으려는 데서 출발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살핀 바에 의하면, 강소천 작품의 많은 부분에서 디아스포라적 상상력을 띄고 있었다. 작가는 한편으로 이산자로서의 근원적 정체성을 찾지만 다른 한편으로 응축된 몸부림을 내재하였다. 이는 분단 현실에 대한 단순한 대응이 아니라 망명자로서의 죄의식에서 기인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지배문화와 지배체제에 동조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하지만 이를 망명자라는 기표, 즉 전후 디아스포라 의식의 표상과 작품화라는 측면으로 분석한다면 또 다른 시각을 제공할 수 있다. 강소천의 작품 곳곳에서 디아스포라 의식에 따른 귀향과 향수의 세계, 전후 현실에 대한 환멸의 서사, 환상의 초월과 탈주의 세계를 담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월남 작가들에게 씌워진 프레임, 즉 반공 이데올로기적 편견에서 벗어나 한층 근원적으로 작가와 작품을 이해하는 시각이 제공되었으면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asporic imagination shown in the works of Kang So-chun,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 Kang So-cheon led an era until his death in North Korea, when he was deprived of his living grounds and left his hometown to settle in South Korean society. The fundamental element of discipline in the works of Kang So-chun, the North Korean refugee writer, cannot deny diasporic consciousness and imagination. It is true that the works of post-war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writers have been studied uniformly from a similar perspective. However, if it is identified in connection with the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be said that it is more critical and objective to examine the literary identity of the individual writers and to face up to the history and literature after liberation. In fact, this study started with a broader reading of the works by looking at the diaspora consciousness of North Korean refugee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and looking at how it was developed in their works. Based on this problem consciousness, Kang's works contain plenty of diasporic imagination. On the one hand, the author seeks the fundamental identity of the disciple, but on the other, embodies condensed strugg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result of a sense of guilt as a refugee, not just a response to the reality of division. Of course, he created works that sympathized with the ruling culture and system. However, if this is analyzed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exile, namely the expression and work of post-war diaspora consciousness, it can provide another perspective. Kang So-cheon's works include a world of homecoming and nostalgia following diaspora rituals, a narrative of disillusionment with the post-war reality, and a world of fantasy and desertion. Through this study, I hope that by evading the frame, or anti-communist ideological prejudice, these existing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will provide more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their works.

      • KCI등재

        윤석중 동요 / 동시 개작 양상 연구 - 1930년대 작품집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21 동화와 번역 Vol.41 No.-

        본 연구는 윤석중의 1930년대 작품집을 대상으로 원작과 비교 분석하여 개작 양상을 살피고, 이를 기반으로 그의 문학적 특징과 의미를 재정립하는 것이 목적이다. 윤석중은 ‘모든 것이 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 시인’이다. 1920·30년대 당대의 민요풍과 정형률에서 벗어나기 위해 일상의 소재를 통해 다양한 실험을 하고 새로운 시풍을 만들고자 하였다. 이 과정에서 개작은 필수적인 도구였다. 그는 동일 작품을 지속적으로 개작을 하면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한다. 가령, 의성어 의태어를 활용하여 사물을 직접 지칭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에서 느낄 수 있는 다양한 묘미와 분위기를 자아내 독자의 흥미와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시어 개작과 연의 삭제와 추가 등을 통해 작품의 밀도를 높인다. 전체적인 맥락과 분위기 등과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시어를 개작하고, 어린이에게 적합하지 않은 과격한 의미와 내용을 삭제하면서 어린이의 마음을 헤아리고 있다. 어른의 눈으로 세계를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생기발랄한 동심의 눈으로 세계 / 대상을 바라보면서 작품의 완성도를 위해 노력을 기하고 있다. 특히, 윤석중은 나라 잃은 현실 속에서 자라나는 어린이들에게 무엇을 주어야 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그는 당시 비극적 현실을 슬픔으로 나타내기보다 웃음과 위안을 주는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이를 위해 윤석중은 사회·문화적 상황을 염두에 두고 우회적인 방식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윤석중은 시대 변화에 따다 그때그때 적실하게 개작을 하면서 작품의 변화를 주고 다양한 방식과 실험으로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하였다. In this study, Yoon Seok-joong's works in the 1930s were compared to the original works to examine the adapted works. Yoon Seok-joong is a poet who thought everything could be a poem. In the 1920s and 30s, various experiments were conducted through everyday materials and new poetry styles were planned to be created to escape from the folk songs and stereotypes of the time. Adapting songs and poems was an essential tool in this process. He continues to adapt the same work and builds his own world of work. For example, by using the onomatopoeia to express objects indirectly rather than directly, it creates various flavors and atmospheres that can be felt in the poem, drawing the reader's interest and attention. It also increases the density of the work through the adaptation of the poem and the deletion and addition of the kite. The poem is adapted to harmonize with the overall context and atmosphere, and the child's mind is understood by removing radical meanings and contents that are not suitable for the child. Instead of looking at the world with the eyes of an adult, he is making efforts to complete the work by looking at the world and objects with the eyes of a lively childhood. In particular, Yoon Seok-joong shows what to give to children growing up in the reality of losing their country. He expressed the tragic reality of the time in a way that gave laughter and comfort rather than sadness. To this end, Yoon Seok-joong is revealing in a circumstantial wa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times. As such, Yoon Seok-joong changed his work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created his own world of work in various ways and experiments.

      • KCI등재

        1960년대 아동문학 장(場)의 형성과 상업적 재편의 상관성 연구 전집 선집을 중심으로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8 동화와 번역 Vol.35 No.-

        본고는 1960년대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과 아동문학의 분화라는 측면에서 주목하였다. 한국아동문학사에서 1960년대는 본격 아동문학의 시대 혹은 아동문학의 번성기라고 할 정도로 양적인 면에서나 질적인 면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가 산출된 시기이다. 각종 아동 전문 일간지 창간과 다양한 형태의 잡지들이 간행되면서 아동문학 장(場)이 한층 풍성하고 새롭게 재편되었고, 그 결과 아동문학은 이전 시기에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활기를 갖게 된다. 이 과정에서 아동문학의 상업적 재편이 진행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는데, 특히 전집과 선집 발행을 통해 1960년대 아동문학장이 형성되고 전개되었다는 점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960년대 다종다수의 전집 선집 발행은, 당대 아동문학과 그 장 형성에 일정 정도 영향을 끼쳤다. 이는 다방면에서 진행된 독서운동과 독서교육이 아동 전집 선집의 발행을 추동한 것이기도 하지만 아동문학가들이 다양한 작품으로 아동에게 접근한 것은 사실이다. 그것이 상업화라는 사회 문화적 환경에 빚어진 것이라 하여도 아동문학(장)을 문학으로 접근하고 사회에 영향력을 미친 것은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편찬자와 친분이 있는 작가는 작품의 질과는 상관없이 수록되었고, 또한 문단의 권력가인 작가가 선집을 주로 하는 경우가 빈번하여 작품의 질을 담보할 수 없다. 아울러 전집과 선집에 편중된 단편 수록도 예의주시하게 된다. 단편은 다종다수의 작품 수록으로 인해 다채로운 작품을 많이 읽힐 수 있는 힘을 갖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분량상 호흡이 긴 내용을 담기 힘들기 때문에 소재, 주제의 협소함 등은 부정적으로 여겨진다. It was noted in the 1960s in terms of commercial reorganization and differenti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history of Korean children's literature, the 1960s was a period of remarkable achievements in terms of both quantity and quality. It is called such as the era of children's literature or the period of prosperity of children's literature. With the publication of various types of magazines,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richer and redecorated; as a result, children's literature has become a new activity that has never been seen before. The commercial reorganiz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can be witnessed in this process, especially in the 1960s, when the field of children's literature was formed and developed through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In the 1960s, the publication of the complete collection and selection of various types of books had a certain effect on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formation. While various reading campaigns and education combined the publication of complete works of children and selections, it is true that children's literature writers have approached children with various works. Even if it is a result of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of commercialization,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developed children's literature with established literature and influenced on their society. However, the author, who has an acquaintance with the editors, is often included regardless of the quality of the work, and can not guarantee the quality of the work because the author, who is the authority of the literary circle, often makes selections. In addition, short stories that are concentrated on the complete works and selections will be closely investigated. These short stories have the power to read a lot of various works due to the number of works, but on the other hand, they are not considered to contain long amounts of breathing, so they are considered to be limited in material and topic.

      • KCI등재

        제노사이드 재현의 의미와 향후 과제 - 『나무도장』과 『무명천 할머니』를 중심으로-

        장영미(Jang YoungMi) 돈암어문학회 2021 돈암어문학 Vol.40 No.-

        이 글은 제주 4‧3사건을 소재로 한 그림책을 대상으로 역사적 사건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으며 계승 담론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4‧3의 본질과 향후 과제를 고찰한 것이다. 연구 결과, 『나무도장』과 『무명천 할머니』 두 작품 모두 잔인한 학살과 비극을 날 것 그대로 재현하면서 4‧3사건의 본질과 역사적 의미를 담았다. 사건 후 겪는 양상은 다르지만, 등장인물들이 국가 폭력, 즉 제노사이드에 의해 피해자와 가해자의 경계에서 상흔과 트라우마를 안고 살아간다는 점이 유사하다. 이러한 제노사이드는 과거의 비극적 역사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금도 여전히 개인과 사회를 관장하고 있다는 것이 문제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랜 시간이 흘렀음에도 이들이 트라우마로 인해 피폐한 삶을 산다는 것은 주목을 요한다. 다시 말해 대량학살과 같은 4‧3사건의 본질과 진실 규명, 올바른 인식 확산이 필요하다. 우리가 비극적 역사를 기억하고 그것을 들여다본다는 것은 더이상 비극을 되풀이하지 않기 위해서다. 이러한 문제의식이 본 연구의 출발점과 닿아있다. 물론 지금도 4・3사건의 본질과 진실 규명을 위해 다양한 곳에서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희생자들의 무고한 죽음과 피해에 비견하면 여전히 미진하다. 이는 4・3사건과 직접 관련되지 않은 우리 모두의 관심이 필요하다는 의미라 할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nature of 4・3 incident and future tasks by examining how historical events are remembered and the discourse of succession for picture books based on the Jeju 4・3 incident. Both 『Wooden Stamp』 and 『Mumyeongcheon Grandmother』 contained what the 4・3 incident was, why it happened, what happened at the time, and the historical meaning of the 4・3 incident. Although the patterns experienced after the incident are different, it is similar in that the characters live with scars and trauma at the boundary between the victim and the perpetrator by state violence, that is, Genoside. It is problematic that these Xenosides are not only in the tragic history of the past, but still in charge of individuals and society. It is worth noting that even after a long time, they live a devastated life due to trauma. In this respect, it is necessary to find out the nature and truth of the 4・3 incident, such as genocide, and to spread correct awareness. Remembering the tragic history and looking into it is to avoid repeating the tragedy anymore. This awareness of the problem is in contact with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Of course, efforts are still being made in various places to find out the nature and truth of the 4・3 incident, but they are still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innocent deaths and damage of the victims. This can be said to mean that we need all of our attention that i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4・3 incident.

      • KCI등재

        1960년대 아동문학장의 형성과 문학권력 연구 - 신춘문예를 중심으로 -

        장영미 ( Jang Youngm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 2017 동화와 번역 Vol.33 No.-

        본 연구는 1960년대 신춘문예를 대상으로 하여 당선작(가작)의 작품 경향을 살피고 그에 대한 심사위원들의 심사평을 살폈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1960년대 아동문학장의 형성과 문학권력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제도적인 차원의 등단제도인 신춘문예는 다른 시대도 그러하지만, 1960년대 신춘문예는 문화 제도권 내에서 상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우수한 신인 발굴과 문단의 저변확대, 문학의 지형도 확장 등 강력한 등단 제도로 군림하면서 문화제도적 토대를 조성하였다. 이전의 문인이 신춘문예와 같은 등단제도를 거치지 않고 작가로 입문하는 방식을 염두에 둔다면, 1960년대 신춘문예는 문인의 재정비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1960년대 신춘문예가 등단제도의 제도화가 새로운 문학의 모색과 탄생에 얼마만큼 실질적으로 기여했는가는 여전히 의문으로 남는다. 고정된 심사위원들의 오랜 재임 기간 등은 부정적인 요소도 부인할 수 없다. 특히, 신문사마다 매년 같은 심사위원 선정은 유사한 작품 경향을 양산하여 참신한 신인과 문학작품발굴이라는 취지를 퇴색시키고 있다. 보다 큰 문제는 심사위원들의 문학권력이다. 가령, 1960년대 신춘문예 심사위원들은 대개가 아동문단에서 비중 있는 자리에 있었으며 이는 새로운 작품 양산이라는 취지를 등에 업고 문학권력을 양산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런 점을 보더라도 신춘문예는 문학 권력의 한 축을 장식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사실, 문학권력을 제대로 비판하기 위해서는 등단제도를 문제 삼아야 한다. 즉, 등단제도는 문학 장으로의 진입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여기서 문제는 등단제도를 중심으로 해서 거대한 권력을 형성하여 발현되는 또 다른 폭력이다. 문학의 가치는 정치성이 아니라 문학 본연의 참목적으로 기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즉, 문학의 독자성을 염두에 둔다면 문학과 문학권력은 별개의 것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tendency of the awarded works (runner-ups) in the 1960s`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and the judges` evaluation. Based on this contest, this study investigates the formation of the children`s literature in the 1960s and the problem of literature power. In the 1960s, the Contest played a pivotal role as one of the cultural institutions by making their debuts as new writers, expanding literary territories, and the topography of literature. That mean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Annual Spring Literary Contest in the 1960s contributed to the search for and the birth of new literature. However, it is still dubious whether this system works as a new platform for discovering new writers and new kind of literature. What is noteworthy is the judges` power on selecting award-winners. Also, the fact that the judges for this contest function as the similar contests might result in their literature powers. In fact, in order to properly criticize literary power, it is necessary to question the system of legitimation. In other words, the signing system allows entry into the field of literature. The problem here is another violence that is manifested by forming a huge power centering on the maritime system. The value of literature should function not for politics but for literary purposes. In other words, if the identity of literature is taken into consideration, literature and literary power should be separate.

      • KCI등재

        마해송 동화의 동성사회성 연구 - 1950∼1960년대 중·장편 동화를 중심으로 -

        장영미 ( Jang Youngmi ) 성신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硏究 Vol.43 No.-

        최근 여성주의는 여성 우월주의가 아니라, 휴머니즘이라는 시각으로 변하고 있어서 고무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성주의는 편향된 시각과 인식으로 우리 사회·문화적 환경 곳곳에 포진하고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는, 남성 작가인 마해송 동화의 표면적 담화 구조 이면에 작동하는 ‘동성사회성’의 구조와 그 작동방식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마해송 동화에서 무엇보다 두드러지는 것은 경쟁에서 밀려나는 남성 인물들의 피폐한 모습이 ‘분열된 남성’으로 제시된다. 남성을 생산자로 규정짓고 여성은 변덕스럽고 유약하다는 사회 일반의 성차별적 관습이 마해송 동화에서 재현된 것을 목격할 수 있다. 특히, 여성(엄마)은 철저히 외부자로 그려지고, 가정의 해체와 파괴의 책임이 여성(엄마)에게 있는 것처럼 암시되기도 한다. 가부장제 사회에서 엄마가 주 양육자인 현실은 어린이들 스스로 자신이 처한 갑갑함이 여성(엄마)의 문제 때문이라고 생각하게 만들고 있다. 아울러 일련의 텍스트들에서 남성 주인공들은 주로 무기력을 동반하는 병리적 상황에 놓여 있으며, 그러한 병리적 상황을 매개로 해서만 여성 (어린이)인물들은 보조적인 역할로 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사실, 우리 사회가 여러 면에서 근대화되고 민주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과 여성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전근대의 완고한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그 단적인 사례가 ‘여성멸시, 여성혐오’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양상은 진보적이라고 호명되는 마해송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을 발견하면서 문제적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Feminism is encouraging in recent years because it is not women's chauvinism, but humanism. Nevertheless, feminism is spreading throughout our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ith biased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From this perspective, the study looked at the structure of 'homosexual sociality' behind the surface discourse structure of the Mahaesong fairy tale, a male author, and how it works. According to the research, what stands out more than anything else in the Mahaesong fairy tale is that the impoverished images of male characters being pushed out of competition are presented as “divided men.” It can be seen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practice of society, which defines men as producers and women as fickle and weak, is reproduced in Mahaesong fairy tales. In particular, women (mother) are thoroughly portrayed as outsiders, and it is also implied that women (mother) are responsible for the dismantlement and destruction of the family. In a patriarchal society, the reality that mothers are the main caregivers makes children think that the powerlessness they face is due to women's problems. In addition, a series of texts confirm that the male protagonists are mainly in pathological situations accompanied by lethargy, and that female (child) characters only play an auxiliary role in such pathological situations. In fact, despite the modernization and democratization of our society in many ways, the perception of men and women still remains stubborn in the pre-modern era. The case in point can be called “female contempt, misogyny.” This aspect is problematic, finding that Mahaesong, who is called progressive, is not much different.

      • SCOPUSKCI등재

        식품 중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유사물질 모니터링

        이현숙(Hyunsook Lee),이준구(Joongoo Lee),김진철(Jinchul Kim),오재호(Jaeho Oh),장영미(Youngmi Jang),김미혜(Meehye Kim) 한국식품과학회 2011 한국식품과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는 국내/수입 유통되는 식품과 건강기능식품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 혼입 농도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전국에서 유통중인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총 226건을 구입하고 24종의 발기 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을 HPLC/PDA 및 LC-ESI-MS-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고체 및 액체 시료의 전처리는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시료에서 확립된 시험법을 이용하여 식품과 건강기능식품 226건을 수거하여 모니터링한 결과, 5건의 성기능 표방 제품에서 acethylvardenafil, sildenafil, tadalafil이 검출되었다. 분석 결과, 검출량은 acethylvardenafil이 1종에서 21,476 ㎎/㎏(15 ㎎/capsule)이었으며, sildenafil이 2종에서 각각 52,778 ㎎/㎏(29 ㎎/capsule), 71,535 ㎎/㎏ (48 ㎎/capsule)이었고, tadalafil이 4종에서 9,772 ㎎/㎏(6 ㎎/capsule) -55,545 ㎎/㎏ (33 ㎎/capsule)이었다. 따라서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중의 발기부전치료제 및 그 유사물질에 대한 지속적인 실태조사가 요구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onitor the concentrations of 24 anti-impotence drugs and their analogues in variou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with the aim of ensuring the safety of the foods and supplements. The measurements were done in 226 samples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photodiode array detector (HPLC/PDA) and liquid chromatography-electrospray ionization tandem mass spectrometry (LC-ESI-MS/MS). Five male sexual function enhancing products have been detected as follows: acethylvardenafil (21,476 ㎎/㎏; 15 ㎎/capsule from one sample), sildenafil (52,778 ㎎/㎏, 29 ㎎/capsule in one sample; 71,535 ㎎/㎏, 48 ㎎/capsule in one sample), and tadalafil (9,772-55,545 ㎎/㎏, 6-33 ㎎/capsule in four samples). A sustainable monitoring of anti-impotence drugs and their analogues in variou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 is recommen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