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영·유아교사의 메타인지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임포스터의 매개효과

        황영진,박윤현,유수연,장여혜,김진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이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메타인지와 직무열의 간의 관계에서 임포스터가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목적의 달성을 위해 전국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 혼합연령반과 장애통합반을 포함한 1~5세반 담임교사 27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은 구조방정식모형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인지가 증가할 때 임포스터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임포스터가 증가하면 직무열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영․유아 교사의 메타인지가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임포스터가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유아 교사의 메타인지는 임포스터를 통해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심층 있게 다뤄지지 못했던 영․유아 교사의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메타인지와 임포스터를 살펴보고, 인과관계를 밝혀냄으로써 임포스터가 영․유아 교사의 중요한 개인 내적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척도의 타당화

        김대웅,박윤현,유수연,황영진,장여혜,김진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3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3 No.10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기 위하여 유아 교사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문문항을 개발하고, 유아교사 215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t 검정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은 네 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네 개 하위요인을 발달상 긍정적 효과, 교사효능감, 사회적 요구와 교사역할, 교사부담으로 명명하였다. 각 요인별 문항 개수는 4개, 4개, 4개, 3개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하여, 인공지능 활용의 유아 발달상 이점, 인공지능 활용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부담을 살펴볼 필요성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 척도의 타당화

        김대웅,박윤현,유수연,황영진,장여혜,김진욱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인식을 측정하는 유아교사용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설문 문항을 개발하고, 유아교사 215명의 응답을 분석하여 타당화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확인적 요인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독립표본 t 검정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인공지능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 인식은 네 개 하위요인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요인의 문항 내용을 고려하여, 하위요인을 교육적 기대(4문항), 교사효능감(4문항), 사회적 책무(4문항), 교사부담(3문항)으로 명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공지능 활용의 교육적 기대감, 인공지능 활용 능력에 대한 자기 평가,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교사역할 인식, 인공지능을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부담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를 비교하는 데 필요한 타당화된 척도를 개발하였다는 함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s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Survey questions were conducted to 215 preschool teachers and responses were analyzed and validated using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 test. Four factors affect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e of AI were found: educational effectiveness (four items), teacher efficacy (four items), social accountability (four items), and teacher burden (three items). The factors were used to examine pre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the educational use of AI. It includes AI’s benefits for children’s development, teachers’ self-evaluation of their ability to use it, teachers’ perception of social demands on its usage, and the burdens on teachers in utilizing AI.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a validated scale for comparison with various studies about teachers’ percep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