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도서관 공간특성 및 청소년 이용태도 조사연구

        장아리 ( Chang Ah Ri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4 No.-

        현재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로의 변화를 도약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활용실태를 보면 공공도서관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청소년들이 획일적으로 계획된 열람공간에서 많은 시간 교과학습을 하는 경우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은 청소년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하여 다양한 형태의 학습환경 계획방안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실태와 공간특성 현황을 파악하고 청소년 이용자의 이용특성 및 선호도를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향후 공공도서관 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 청소년 이용공간의 공간배치특성 파악과 평면분석, 청소년이용자의 공공도서관 이용특성을 연구 범위로 하였다. 조사방법으로는 현장방문을 통한 사진촬영과 도면파악을 통해 사례조사방법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도서관의 학습공간인 자료열람실의 평면특성을 살펴보면 자료대출형의 형태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자료열람공간이 부족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청소년의 성별과 학령에 따라 학습환경으로서의 공간 이용특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전반적인 공공도서관 학습공간의 이용결과로는 주로 학업관련공부를 목적으로 공공도서관을 이용하는 경우가 과반수로 가장 많았으며 학습공간 이용에 있어 자료실에서의 자유로운 개인학습공간 배치 확대를 선호하였으나 이는 사례조사에서 파악된 바와 같이 현재 자료실에 열람과 개인학습을 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한 실태를 반영한 결과로 판단할 수 있다. The learning space for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requires various forms of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learning spa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public libraries by investigating users’ attitude and preference.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lan of the space used by adolescents in public libraries and investigated their attitude of using public libraries. For the investigation, we visited a public library, took pictures and identified a plan for case study and conducted a survey of adolesc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lan characteristics of the learning space of a public library were mostly material lending types. Therefore, the space for reading materials was found to be lacking.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using attitude depending on the sex and school age of adolescents. Third, adolescents use public libraries primarily for academic work related study. They prefer to expand the free study space in the materials room. This is because there is not enough room for reading and personal learning in the current materials room.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대학생의 전공계열을 고려한 대학도서관 공간계획 적용요소에 관한 연구

        장아리 ( Ah Ri Chang ),황연숙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5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통해 공간계획요소를 개발하여 대학생의 전공주제를 고려한 대학도서관의 디자인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이라는 특성상 대학도서관의 이용자들은 뚜렷한 전공주제를 가지고 있으며, 전공주제에 따라 학습양식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학습양식에 적합한 학습환경이 필요하며 이는 이용자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학습양식 및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항목들을 구분하여 차별화 된 자료실을 계획해야 한다.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를 위해 대학생 총 143명의 설문응답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공계열에 따라 공간요소 중요도 평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이공계열의 학생들이 인문사회계열의 학생들보다 중요도 점수가 높았다. 특히 이공계열 학생들은 디자인 관련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으며, 인문사회계열 학생들은 사회적 요소에 대해 중요하게 여겼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현재 획일적으로 계획되어 있는 대학도서관 학습환경을 대학이라는 특성을 고려한 전공주제별 이용자의 관점에서 차별적인 공간계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할 것이다. 도출된 공간계획요소를 평가도구로 하여 향후 대학도서관의 공간평가와 이용태도조사를 통해 전공주제에 따른 차별적인 공간모델 계획의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rests on the development of spatial factors for subject reference libraries within academic libraries. The study will be based around the evaluation of data collected from 143 surveys carried out by students on a diverse range of undergraduate courses. The result of the study revealed meaningful distinctions in the evaluation of importance of spatial factors across majors and departments. As a general rule, students in the natural sciences valued their spatial factors more than students in the humanities or social sciences. The former group especially appreciated design factors, whereas the latter group focused on the social aspects of their studies and being able to communicate with other students. Universities should consider the outcome of these results and allow for the design and construction of study spaces, which are currently uniform, so that they may reflect the needs of each unique field of study.

      • KCI등재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가구계획 및 배치유형 분석

        장아리(Chang, Ari),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2

        University libraries aim to improve not only educational effects but also the general quality of colleges. A primary way of pursuing this goal is through providing professors and students with sufficient amounts of available references and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academic purposes. However, even though university libraries are intended to be us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ifferent fields, they tend to provide mostly books. This limited offering of resources means that they are not distinguishing themselves from regular libra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basic data for the spatial design of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a college library. Included in the design are recommendations for the type and placement of the furniture in the room. The summary of results for this and the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layout of data space and reading space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can be categorized into both document-oriented (document centralized and document categorized) and reading-oriented (reading centralized, all, and group types). The public reading seats and private reading seats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according to their ratio, can be divided into private reading, public reading, and distributed reading sections. The ratio of open-spaced tables is higher for groups of four or more people, but users often sit separately from others in order to ensure privacy. Unfortunately, this practice results in seating gaps that do not make efficient use of space. The result is that the public reading seats are less efficient than the private reading seats in terms of spa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cubicles.

      • KCI등재

        전공특성에 따른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이용태도 및 공간 계획에 관한 연구

        장아리(Chang, Ari),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4 No.4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premise that th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s in need of major modification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needs of various major. Th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will be able to support university library users who are inclined to use the general reading room. Therefore, the study presents spatial planning for the average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by taking into account student majors. This could be a guideline for the construction and renovation of university libraries in the future. The summary of results for this study and the conclusion are as follow: 1)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should be, partially connected with the humanities/social scienc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order to provide an open-concept reference room. In the shared area connecting the two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needs to be installed a staff counter and subject specialist librarian service booth for users of both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2)For humanities/soci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partially connect with the natural science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In the connecting area between the two rooms, plan an open-concept lounge for resting and reading. 3)It is best to plan subject specialization room for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eparate from the subject specification room of other majors. Structurally separate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from the building or plan a separate room in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building. Users of art/music/physical education majors showed a high preference for a spatially separated and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which proves that an art/music/physical education library need to be planed based on the specialized library structure found in law school libraries or medical school libraries. Plan the center of the room with open-concept based reading room. Use wall-sides, partitions, or shelves to create reading space separate from the shelving area.

      • KCI등재

        대학도서관 자료실의 자료영역 및 열람영역 면적계획과 이용자 만족도 연구

        장아리(Chang, Ari),황연숙(Hwang, Yeon-Sook)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4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3 No.5

        The subject specialization room will be able to support university library users who are inclined to use the general reading room. This study is the research of the area planning for university library"s subject specialization room. For the evaluation, 431 users from 15 university libraries in 14 universities located across Seoul were surveyed.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Frequency, percentage, mean, t-test, f-test were us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 Subject specialization rooms in university libraries can be classified via the analysis of spa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area ratio of data space and reading space in a subject specialization room, the subject room can be separated into data-loaning and data-reading types. Old libraries are more likely to be data-loaning types, where reading room is small and there are a lot of bookshelves. The annual increase in library collections causes space for bookshelves to decrease. As a result, space for reading has been gradually transformed into space for stacking data.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ways to maintain enough space for both reading and stacking data. One way includes movable compact shelving, which can partially replace existing fixed shelves.

      • KCI등재

        논문 : 대학도서관 주제자료실의 실내공간특성에 관한 사례 연구

        장아리 ( Ah Ri Chang ),황연숙 ( Yeon Sook Hwa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공간특성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도서관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대학도서관의 특성과 변화를 수용하고 보다 전문화되고 차별화 된 도서관 환경의 방향을 이끌 수 있도록 현재 계획되어 있는 자료실의 공간특성을 파악하여 차별화 된 계획방안이 필요하다. 사례조사를 위해 서울소재 14개 대학교의 도서관을 선정하여 현장방문과 사진촬영, 도면파악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주제자료실은 건물 진입으로부터의 접근성에 대한 배려가 개인학습을 위한 일반열람실에 비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신축 및 리모델링 된 대학도서관은 주제자료실이 개인학습 및 멀티미디어 활용 등 다른 기능의 공간들과 서로 근접하도록 계획하는 특징을 보이는 곳이 많았으며, 건물의 물리적 한계로 층을 분리하여 계획하더라도 중정과 중앙계단 등을 이용해 오픈된 형태로 연계성을 높이는 사례들이 나타났다. 2)신축 및 리모델링 된 대학도서관의 경우 대학의 상징성을 표현하기 위하여 그래픽디자인 및 색채디자인을 적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공용열람가구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용열람가구는 4인 또는 6인 이상의 열람책상과 열람의자로 이루어진 가구로 자료실의 열람영역에 열배치 형으로 공용열람책상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반면 1인을 위한 프라이버시 보호의 개인열람석 비중은 낮게 나타났다. The present study aims at understan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cademic libraries and providing basic resources for future constructions of such spaces. The sample survey selected for this study includes 14 university libraries located in Seoul. We visited the locations, took pictures, and examined the architectural plans. 1) The access to subject specialization is rather inadequate from the building entrance as compared to the general reading rooms. The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gone through remodeling and recent construction have their subject specialization be built close to individual learning and multimedia facilities. 2) In case of university libraries that have been newly remodeled, graphic designs and color designs have been applied to emphasize the symbols of each university. 3) Most subject specialization provides public reading spaces. These spaces are formed with furniture (desks and chairs) allowing four or six or more people to sit arranged in row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