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속가능발전의 구성개념 및 속성 ― 연속성, 양적 변화, 질적 변화를 중심으로 ―

        장석길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3 철학탐구 Vol.69 No.-

        The applica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is spreading worldwide, but without clarification of its meaning. The discussions on sustainable development have focused on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aspects. However, given the recent criticism tha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triple bottom line model is not clear, studies are required to clarify the meaning by using a new approach. Thu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onstructs (sustainability and development) and attributes (continuity, quantitative change, and qualitative change)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mpare their meaning with those of sustainability and sustainable growth, to categorize common and different attributes. In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continuity was found to mean ‘balance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change for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esources’ and ‘equity of resource use’, respectively. This illustrates that sustainable development focuses on the fair use of resources beyond quantitative increases and decreases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resources, and aims to reach a balanced state between the demand for human welfare and ecosystem capacity.

      • KCI우수등재

        An Alternative Discourse on the Shrinking City : Through the Lens of the Smart City

        장석길,Tsolmon Bayarsaikhan,김태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24 國土計劃 Vol.59 No.1

        The attention on shrinking cities has recently shifted from analyzing the causes of urban shrinkage to its context and dynamics. Hence, demand is currently increasing for strategic alternatives to the transition towards a sustainable urban system in shrinking cities. Using optimized measures based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smart city approaches are being considered as a solution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current policy responses to shrinking cities, and for transforming their urban systems in a sustainable way. However, studies on a comprehensive analysis of varied contexts and types of smart city approaches to urban shrinkage are few, as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identifying smart city strategies in only specific cases of shrinking cities.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topics and structural features of smart city discourses as an alternative to a shrinking city, through a network analysis of 264 literature samples (119 journal articles, 111 conference papers, and 34 books) that discuss smart city approaches in terms of urban shrinkage. The main topics fall into five clusters: (1) urban system, (2) innovation, (3) infrastructure, (4) environment, and (5) big data, with the systematic elements (urban system, innovation, and big data) having a higher number of nodes and link strength than the physical ones (infrastructure and environment).

      • KCI등재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환경은 보호의 대상인가, 보전 또는 보존의 대상인가?

        장석길 한국환경철학회 2023 환경철학 Vol.- No.36

        오늘날 국제사회의 발전 의제로 떠오른 지속가능성은 환경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어 이후 경제적, 사회적 측면으로 개념적 외연이 확장되었다는 특징을 보인다. 하지만, 환경에 대한 고찰이 오늘날 지속가능성 담론의 핵심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속가능성 연구에서 환경관리의 대상 및 내용에 관한 개념적 틀을 제시하는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특히, 보호, 보전, 보존 등 환경의 관리를 위한 유사 개념 간의 내용적 범위와 방향성의 차이를 탐색하는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바탕으로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환경관리에 대한 공동의 합의가 마련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에 대한 도덕적 가치(인간중심주의, 비인간중심주의)와 관리적 행위(간섭주의, 불간섭주의)를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나타난 보호, 보전, 보존의 적용 의미를 탐색하고, 기존의 환경관리, 환경철학 논의와 비교하여 지속가능성의 실현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보호, 보전, 보존의 적용 의미는 도덕적 가치 측면과 관리적 행위 측면에서 주로 보전을 가리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덕적 가치 측면에서 환경의 보호는 주로 발전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보전과 보존은 각각 자원의 이용 및 웰빙과의 비교 대상으로서 그 의미가 파악되었다. 또한, 관리적 행위 측면에서는 국제협력, 기술 등 인간의 적극적인 개입이 수반되는 간섭주의를 중심으로 보호, 보전, 보존의 용례가 대체로 유사한 맥락에서 나타났다.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plays a pivotal role in sustainability, yet the field lacks a comprehensive conceptual framework delineating its content and scope in research. This study addresses this gap by examining how key environmental management concepts such as protection,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are understood and applied within the context of international sustainability agreements. The research focuses on clarifying the moral values and management actions associated with these concepts and compares these applications with existing definitions in the literature. The findings show that, in the realm of sustainability, protection,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are predominantly concerned with moral values and management actions pertaining to conservation. Notably, protection often aligns with developmental goals, whil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are associated with responsible resource use and overall well-being, respectively. Also, these concepts typically involve interventionist management actions, encompassing active human involvement,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technological advancements.

      • KCI등재

        스마트도시 계획요소 분석: 스마트도시 국가 종합계획과 지역계획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석길,김태형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3

        지역스마트도시계획은 스마트도시법에 따라 상위 계획인 국가 종합계획의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반영해야 하며, 계획의 수립 및 추진 과정에서 지역의 특수한 여건을 고려함과 동시에 국가 종합계획과의 정합성을 확보해야 한다. 현재까지 국가 종합계획과 지역계획의 동향 및 키워드를 비교 분석한 연구는 일부 수행되었으나, 계획의 기본방향 및 추진전략을 구성하는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위계에 따른 정합성을 세부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의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인증 스마트도시의 지역계획을 대상으로 계획요소에 대한 반영 여부 및 반영 내용을 검토하였다. 나아가, 인증 도시별 계획요소 특성을 유형화함으로써 지역계획 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3차 국가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의 추진과제별 계획요소를 도출하고, 계획요소 기반의 분석틀을 설정하여 8개 지역계획과의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14개 추진과제에 대한 26개 계획요소가 도출되었으며, 대부분의 인증 도시에서 적극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계획요소로는 ‘스마트도시형 도시재생 뉴딜사업 추진’, ‘통합플랫폼 조기 확산’, ‘민・관 협력 거버넌스 활성화’, ‘스마트도시 교류협력 강화’ 관련 요소가 나타났다. 반면, 과반수 이상의 도시에서 미흡하게 다뤄진 계획요소로는 ‘기존도시 스마트화 확대’, ‘과감한 규제 혁신’, ‘스마트도시 산업기반 구축 지원’, ‘스마트도시 해외수출 전략 수립’ 관련 요소가 도출되었다. 이에, 향후 기존 도시의 스마트화 확대를 위한 스마트도시 서비스의 적용 단위별(도시-단지-솔루션) 실증사업 발굴과 규제 혁신 등 혁신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제도적 지원 기반 구축, 그리고 민관협력을 바탕으로 한 스마트도시 해외진출 활성화 전략의 마련이 요구된다. A municipality-level smart city plan should be in line with the visions and strategies outlined in the National Comprehensive Plan, which functions as a higher-level plan under the Smart City Act. Hence, during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a municipality-level plan requires considering the unique conditions of the region while ensuring consistency with the National Comprehensive Plan. However, there are few studies that analyze the consistency concretely based on smart city planning elements, which consist of the visions and strategies.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planning elements of the National Comprehensive Plan and examines whether the municipality-level plans of certified cities reflect the elements. To achieve this,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planning elements for each strategy of the 3rd National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review their consistency with the eight municipality plans, resulting in the definition of 26 plan elements for the 14 strategies. The finding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promote demonstration projects for individual application units of smart city services to expand smart initiatives within existing urban areas. Also, the establishment of a supportive institutional framework is crucial to foster an innovation ecosystem. Furthermore, a strategic approach is essential to facilitate the international export of smart city models through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 KCI등재

        지방소멸 대응 정책의 특징 및 변화 분석: 일본의 마을·사람·일자리 창생 종합전략 및 기본방침을 사례로

        장석길,양지혜,김태형,Jang, Seok-Gil Denver,Yang, Ji-Hye,Gim, Tae-Hyoung Tommy 한국지역학회 2024 지역연구 Vol.40 No.1

        To respond to local extinction, South Korea,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identified depopulated areas in 2021 and launched the Local Extinction Response Fund in 2022. However, due to its early stage of implementatio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policy response to local extinction at the central government level remains a challenge. In contrast, Japan, facing similar issues of local extinction as South Korea, has established a robust central government-led response system based o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Act and the Comprehensive Strategy and Basic Policy on Community-Population-Job Creation. Hence, this study examines Japan's policy responses to local extinction by analyzing the first and second periods of the Comprehensive Strategy and Basic Policy on Community-Population-Job Creation. For the analysis, topic modeling was employed to enhance text analysis efficiency and accuracy, complemented by expert interviews for valida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first-period strategy's topics encompassed economy and society, start-up, local government, living condition, service, and industry. Meanwhile, the second-period strategy's topics included resource, the New Normal, woman, digital transformation, industry, region, public-private partnership, and population. The analysis highlights that the policy target, policy direc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policy shifts.

      • KCI등재

        경상북도 스마트축소 전략의 구성요소 분석 :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장석길,김태형 재단법인 경북연구원 2023 대구경북연구 Vol.22 No.2

        인구 데드크로스 등 지방 중소도시의 소멸이 가속화됨에 따라 도시축소 적응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축소도시의 감소한 인구 규모에 적합하도록 도시의 인프라 및 서비스를 적정규모화하고, 거주민의 수요에 따라 대안적으로 활용하는 스마트축소는 도시축소 적응 전략의 대표적인 예시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연구들은 스마트축소 개념에 대한 이론 분석과 문헌조사 기반의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전략의 적용 측면에서 경험적 분석을 바탕으로 스마트축소의 이론적 논의를 검토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축소 대응을 위한 적응적 전략의 주요 사례인 경북을 대상으로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수행하여, 스마트축소의 대표 전략인 노후·유휴자원 활용 및 생활서비스 공동이용의 구성요소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축소를 위한 노후·유휴자원 활용 전략은 주로 수도권-경북 등 전역적 규모에서의 시스템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들을 다루고 있으나, 생활서비스 공동이용의 경우 경북-인접 지역 등 국지적 규모에서 개인 대상의 서비스 제공과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주로 포함하고 있다는 특징을 보인다. With the rapid decline of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strategies regarding adaptation to urban shrinkage are gaining increasing attention. One such strategy is “smart shrinkage”, which involves right-sizing urban infrastructure and services and utilizing them in alternative ways for the remaining residents. Previous studies tended to focus on analyzing the concept and cases of smart shrinkage through literature reviews. Few studies examined the theoretical discuss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particularly in terms of strategy applica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ll this gap by conducting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components of smart shrinkage strategies based on a case of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province is widely known for its employment of adaptive strategies for urban shrinkage. In-depth interviews with expert practitioners found that the use of vacant lots and properties and the shared use of convenience services are two representative strategies of smart shrinkage although their geographical scopes differ.

      • KCI등재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자연, 환경, 생태의 의미

        장석길 한국환경철학회 2022 환경철학 Vol.- No.33

        Sustainability research has historically focused on solv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its conceptual extension has been expanded through the discussions of economic and social aspects. However, the meanings of nature, environment, and ecology, which are addressed as the main targets i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re still confusing both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This can also lead to confusion about the meanings of the concept themselves, such as natur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nature, environment, and ecology appeared in the conceptual frameworks of sustainability, and compare them with those in the concept of natural sustaina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ecological sustainability. The results show the change of the meanings and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in the concept of sustainability, and it can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practice of environmental discourse through the conceptual agreement on the target and method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which is one of the main strategies for realizing sustainability. 역사적으로 지속가능성 연구는 환경문제의 해결에 초점을 두어 왔으며 경제적, 사회적 측면의 논의를 통해 개념적 외연(外延)을 확장시켜 왔다. 하지만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주요하게 다뤄지는 대상인 자연, 환경, 생태의 의미는 학술적, 실무적으로 여전히 혼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자연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생태적 지속가능성 등 개념 자체에 대한 의미 혼동으로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한계를 보여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개념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친 개념적 틀에서 나타난 자연, 환경, 생태의 의미를 살펴보고, 이것을 자연적 지속가능성, 환경적 지속가능성, 생태적 지속가능성 개념과 비교하여 지속가능성 개념에서 나타난 환경의 의미 변화 및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는 지속가능성의 실현을 위한 주요 전략인 환경보존의 대상 및 방법에 대한 개념적 합의를 통해 환경 담론의 실천을 위한 이념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 KCI등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의 지속가능성 요소 분석

        장석길(Seok-Gil Denver Jang),김태형(Tae-Hyoung Tommy Gim) 한국지역개발학회 2023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35 No.5

        최근 도시의 주요 목표인 지속가능성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ICT 기반의 스마트도시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으며, 이를 위한 대안으로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개념이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환경 보호 등 스마트도시가 초래할 수 있는 지속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이 제기됨에 따라,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개념에서 다뤄지는 지속가능성 요소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내용분석을 사용하여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를 다룬 국내 연구보고서(17편)를 대상으로 적용 분야별(경제, 사회, 환경, 거버넌스, 인프라) 지속가능성 요소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자체(서울시) 사례분석을 통해 스마트도시 계획에 나타난 추진과제를 중심으로 지속가능성 요소의 반영 여부와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속가능성 요소와 관련하여 대부분의 도시모형에서 공통적인 목표로 나타나는 삶의 질 향상은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에서는 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다뤄지고 있으며, 도시경쟁력의 강화는 경제 분야에서 스마트 기술을 통한 지속가능성 제고를 중심으로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프라 분야의 지속가능성 요소는 기초서비스 제공, 통합플랫폼 구축, 공간구조 변화로, 스마트 기술을 바탕으로 나머지 네 분야의 지속가능성 요소의 실현을 위한 물리적, 시스템적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With the widespread application of ICT, the role of smart cities has gained attention as a pathway to achieving urban sustainability, a paramount objective of cities. In response, the concep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has emerged as an alternative approach. However, due to raised concerns about the sustainability of smart cities (particularly, environmental protection), further discussion regarding the sustainability elements within the concept of a sustainable smart city has become required. Hence, this study conducted content analysis to examine sustainability elements across domains (economy, society, environment, governance, and infrastructure) within 17 research reports on sustainable smart cities. Additionally, the study employed a case analysis of a local government’s smart city plan (Seoul), focusing on whether the plan actually addresses the sustainability elements through its projects. The findings show that the element rela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 shared objective in numerous city models, was primarily addressed within the social domain of sustainable smart cities. Also, the element of enhancing urban competitiveness found its focus within the economic domain, utilizing smart technologies to facilitate sustainability. Moreover, The elements of the infrastructure domain encompassed the provision of essential services, the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platform, and the reconfiguration of spatial structures, were identified as offering a physical and systemic basis for the remaining four domains, empowered by smart technolog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