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임현화(Hyunhwa Lim),김인용(Inyong Kim),정윤화(Yoonhwa Jeong)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1

        갯기름나물 뿌리를 물(PJRDE)과 에탄올(PJREE)로 추출하여 각각의 시료를 전자공여능과 수소공여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과 인간 간암 세포인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활성산소종의 억제 활성과 항산화 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및 총 페놀 함량은 PJREE에서 많았고, hydrogen atom transfer(HAT)와 electron transfer(ET)에 의한 항산화 활성도 PJREE에서 높게 나타났다. 갯기름나물 뿌리 추출물은 H₂O₂에 의해 산화스트레스가 유발된 HepG2 세포의 세포생존율을 증가시켰다. 특히 PJREE에서 높은 세포생존율과 세포 내 ROS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된 HepG2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인 SDO, GPx, GR은 PJRDE와 PJREE 처리군에서 증가하였으며, CAT 효소는 PJREE 처리군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갯기름나물 뿌리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수소공여능과 과산화수소를 처리한 HepG2 세포를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항산화 작용을 통해서 간세포의 산화스트레스에 대한 보호효과가 있다는 점에서 천연 생리활성물질로 갯기름나물 뿌리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root extracts were investigated in oxidatively stressed HepG2 cells. P. japonicum Thunberg root was extracted with distilled water (PJRDE) and 95% ethanol(PJREE); their antioxidant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he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the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and the oxygen radical absorbance capacity (ORAC) assay. The extracts were evaluated for cellular anti-oxidation and protection using cell viability, intracellular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PJREE contained high amounts of bio-active compounds such as total phenol (5.64 mg gallic acid equivalent/g) and flavonoid (664.2 μg quercetin equivalent/g) and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ssay (95.5% at 1,000 μg/mL),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87.2% at 2,000 μg/mL), FRAP (39.8 μmol FeSO4/g), and ORAC (133.4 μmol TE/g). The extracts also enhanced antioxidant enzyme activity such as superoxide dismutase (SOD), catalase (CAT), glutathione peroxidase (GPx), and glutathione reductase (GR) in the oxidatively stressed HepG2 cells. The activities of SOD, CAT, GPx, and GR were measured at 85.8%, 68.7%, 90.8%, and 105.4%, respectively, with PJREE (1,000 μg/mL).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xtract (PJREE)strongly induces antioxidant activity of the enzymes including SOD, CAT, GPx, and GR and is composed of effective antioxidant compounds against H₂O₂-stressed HepG2 cells.

      • KCI등재

        교실수업 상황에서 학생 창의성을 촉진하는 교수·학습 특성 탐색

        조연순(Cho, Younsoon),정혜영(Chung, Hye Young),백은주(Baek, Eun Joo),최규리(Choi, Kyoulee),임현화(Lim, Hyunhwa) 한국교육방법학회 2011 교육방법연구 Vol.23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이 창의성을 나타내는 일반 수업의 교수·학습 과정에는 어떤 특징이 나타나는지 탐색하여 창의성 촉진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의 시사점을 찾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학교 세 곳의 14학급에서 저·중·고학년의 사회과·과학과 수업을 집중 관찰하였다. 연구 결과, 수업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도입 부분에서는 배울 주제가 무엇인지 발견하도록 하였고, 전개 부분에서는 학생들의 생각을 통해 지식을 탐색하고 내면화하도록 하였으며, 마무리 단계에서는 새로운 문제를 제시하면서 내면화된 지식을 적용할 수 있는 기회를 주었다. 이 모든 단계의 공통점은 실생활 맥락 제공, 학생들의 호기심과 흥미 유지, 지식의 발견 및 촉진, 비판적·확산적 사고 촉진이었으며, 모든 단계에서 교사의 발문이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창의성이 가장 많이 나타났던 수업은 전체 차시가 단절되지 않고 하나로 연결되어 있으며, 학생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자료와 활동을 다양하게 제시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점들은 창의성 촉진을 위해 일반적인 교수·학습에서 고려해야할 중요한 요소로 간주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that creativity emerges and find the implications for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to promo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instructions at schools. To fulfill the research purpose, the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has implemented; observation of social studies and science instructions of the 14 classrooms including lower, middle, and higher grades in three elementary school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teaching-learning processes were differed in the beginning, development, and concluding stages. In the beginn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students various familiar materials to find the theme of the lesson rather than providing it directly.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ers tried to let the students explore the concepts (knowledge) and internalize it. Then in the concluding stage, the teachers provided new situations which the students could apply (externalize) the internalized knowledge. The common factors found in all of the three stages were; 1) providing the contexts of authentic situations, 2) keeping th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s, 3) promoting students to discover new knowledge, and 4) facilitating critical and divergent thinking. Also in all of the three processes, questions raised by teacher were critical to nurture creativity. These factors found in the stud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teachers want to facilitate students' creativity in regular subject matter teaching.

      • KCI등재후보

        문제 중심 학습(PBL)을 위한 문제개발 절차 연구 : 초등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조연순,이혜주,백은주,임현화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교실수업 적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문제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문제개발 과정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문제중심학습에서 문제개발은 교육과정적 측면에서 ‘무엇을 학습의 내용으로 끌어들일 것인가’를 계획하는 단계로 규정하였다. 이후 문헌연구를 통해 ‘문제’의 인지심리학적, 교육학적 함의를 찾아 문제의 본질을 규명하였다. 또한 문헌연구와 현장교사와의 협의를 통해 문제개발에 요구되는 요소를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일반적인 절차를 설정하였다. 첫째, 현행 교육과정 목표와 내용을 고려한다. 둘째, 학습자의 사전지식과 호기심 등의 특성을 파악한다. 셋째, 문제를 발견, 선정하고, 적절성을 판단하기 위해 문제지도를 그린다. 넷째, 학습자에게 주어질 역할과 상황을 설정한다. 다섯째, 문제 제시의 형태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검토한다. 이와 같이 선정한 절차에 따라 초등학교 4,5,6학년 과학교과의 네 단원을 개발하였으나 본고에서는 우리나라 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6학년 과학 ‘일기예보’ 단원을 중심으로 문제중심학습의 문제 개발 단계를 제시하였으며 각 단계에서 현실적으로 고려하여야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he problem design and to investigate the procedure of problem design for implement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a classroom. Problem design can be an initial step in problem-based learning because problem design means that the teacher needs to think about something suitable to learn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In other words, problem-based learning is rather considered as a curriculum than an instruction strategy. In order to design problems the whole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was established first. The nature of problem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search of cognitive psychological and pedagogical literatures on "problems". As the result, five factors of problem design were drawn and general procedure wa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he present curriculum needs to be considered. Second, the learners' characteristics such as comprehensions, misconceptions, curiosities etc. need to be understood. Third, the teacher needs to find an idea for the problem. Then the teacher needs to draw a possibility map and a curriculum map. Also he(she) needs to check the relevance with curriculum and judges propriety of that idea. Fourth, a role and a situation need to be identified. Fifth, the type of problem presentation should be selected and a scenario should be made and proved. According to the above procedure, four science problems for 4th, 5th, 6th grades were developed. In this paper, however, 'Typhoon" problem for 'weather forecast' unit of the 6th grade based on the 7th national science curriculum is described in detai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