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리쩌허우의 "문화심리구조"와 "역사본체론"

        임춘성 ( Choonsung Yim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6 中國硏究 Vol.67 No.-

        Li Zehou is one of the Chinese modern philosophers who established his own system of thoughts. Although In 1980``s, he has been a spiritual leader of young intelligentsia in China, but after Tiananmen Massacre he was taken as a ``new illuminati``. I think, there were some cognitive blind points in the research of Li Zehou, so we should reestimate him. The core of his thoughts`` system is the Theory of Historical Ontology. In order to grab the key point of the theory of historical ontology, I``ll considerate the cultural psychology structure, practical ration and apply Western system to China, accumulation and precipitation.

      • KCI등재

        한국 대학의 미국화와 중국 인식

        임춘성 ( Choon Sung Yim ) 현대중국학회 2009 現代中國硏究 Vol.11 No.1

        1987년 6월, 미하일 고르바초프가 페레스트로이카를 선언하면서 사회주의 실험에 종말을 고했을 때, 중국의 개혁개방에 주의를 기울이는 사람은 거의 없었다.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 중국은 사회주의 30년과 개혁개방 30년으로 나눌 수 있는데, 특히 후기는 전지구적 자본주의에 편입되는 과정이면서도 중국식 사회주의를 만들어가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나 중국의 거대한 변화는 한국 사회에 제대로 포착되지 않고 있다. 특히 해방 이후 미국화의 길을 걸어온 한국의 대학에서 중국을 제대로 인식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미국화란 "20세기 초반 미국의 다양한 제도와 가치가 새로운 자본주의 질서 재편성과 (정보) 커뮤니케이션 혁명을 토대로 세계 각 지역에 다양한 방식으로 펼쳐지고, 그 결과 수용 지역에서 자발적이거나 강요에 의해 그러한 것을 베끼고 따라잡는 현상과 과정"으로 정의할 수 있는데, 한국은 미국보다 더 미국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대학의 중국 인식에는 미국화에 기초한 중국 혐오가 만연되어 있다. 진보적 중국학자의 경우에도 `동(同)의 논리`에 사로잡혀 중국을 경계하거나 추종하고 있다. 최근 그 거대한 변화를 따라 읽으며 중국을 새로운 시각 또는 시야로 바라보려는 시도가 나오고 있다. 중요한 것은 중국을 문명사적 관점에서 바라보아야 한다는 점이다. 이 관점은 우리에게 과거를 통해 미래를 전망할 수 있게 해준다. June 1987, Mikhail S. Gorbachyov declared the perestroika and the experiment of socialism came to an end, but at that time, no one paid attention to the reform and opening of China. After founding PRC, modern China is divided into two epoch, socialism 30 years and post-socialism 30 years. The latter is a process that is not only incorporated into global capitalism and but also makes Chinese socialism. However, the huge change of China is hardly grasped by Korean society. Especially, in the Korean universities which have walked the way of americanization after liberation, it is very difficult to perceive China correctly. In fact, Korea is more american than the U.S.A. The disgust against China which is based on the americanization is prevalent in Korean universities. The critical intelligentsia are also seized with the principle of sameness, give one`s approval to China or warn against China. Recently, there is a new perspective which really hope to read the huge change of China. It will be more important to perceive China by the history of civilization. We may look forward to the future through the past by it.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중국 근현대문학의 자발적 타자, 사이노폰 문학

        임춘성 ( Yim¸ Choonsung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21 중국사회과학논총 Vol.3 No.2

        중화인민공화국은 공식적으로 중국 대륙 내의 문학을‘한어(漢語)문학 (Chinese literature)’이라 하고 대륙 밖의 중국어 문학을‘화문(華文)문학(literature in Chinese)’이라 일컬었다. 화문문학이 문자에 초점을 맞춘 것이라면, 언어에 초점을 맞춰‘화어(華語)문학’이라 하고, 창작 주체에 초점을 맞춰‘화인(華人) 문학’이 라고도 한다. 한어문학은 대륙에서 다수자 문학이지만, 화문문학/화인문학은 현지 (거주국)에서 소수자 문학이다. 스수메이(史書美) 등은 다수자 문학으로서의‘한어 문학’과 대립하는, 소수자 문학으로서의‘사이노폰 문학’(sinophone literature)을 차별화할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중국 근현대문학의‘자발적 타자’라는 관점에서‘사이노폰문학’을 고찰하려 한다. 우선 기존의 한족 중심의 중국 근현대 문학사 담론의 배제와 복원 그리고 팽창 경향을 약술한 후 스수메이의 논술을 중심으로 사이노폰 연구와 사이노폰 문학 연구를 탐토(探討)하고, 주요 쟁점인‘디아스포라 반대’(against diaspora)에 초점을 맞춰 비판적으로 고찰 하고자 한다.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officially referred to literature within the Chinese continent as ‘Chinese literature(中國文學)’ and Chinese literature outside the continent as ‘literature in Chinese 華文文學).’ If Hwawen literature is focused on language, it is also called ‘Huaren Literature(華文文學),’ focusing on the creative subject. Chinese literature is a majority literature on the continent, but Huawen/Huaren literature is a minority literature in the local(resident country). Shu-mei Shi argues for the need to differentiate ‘Sinophone literature’ as minority literature, which is at odds with Chinese literature as a majority.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Sinophone literature as a other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First of all, we will review the tendency to otherization and expand in the discourse on modern Chinese literature and explore the concept of Sinophone, focusing on Shumei Shih’s discussion.

      • 왕후이의‘모더니티에 반(反)하는 근현대성’과 ‘신계몽주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

        임춘성 ( Yim Choonsung ) 성균관대학교 성균중국연구소 2019 중국사회과학논총 Vol.1 No.1

        왕후이(汪暉)는 현재 영어권에 가장 많이 소개되었고 한국에서도 유명세를 탄 중국학자다. 루쉰(魯迅)연구에서 시작해 사상사와 사회과학을 넘나들고, 중국에 국한되지 않고 아시아를 사유하며 소수자에도 관심을 기울여 티베트와 오키나와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인문사회과학 학자다. 그의 탁월함은 ‘키워드를 통한 아젠다의 제시’에서 두드러진다. 왕후이가 신좌파의 기수로 떠오른 것은 마오쩌둥 사상을 ‘모더니티에 반하는 근현대성’ 이론으로 재해석하고 ‘신계몽주의 사조’를 비판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왕후이는 문제적이다. 왕후이를 제대로 문제화(problematization)하기 위해서는 그의 핵심 개념인 ‘모더니티에 반하는 근현대성’과 ‘신계몽주의 비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Wang Hui is a Chinese scholar who is now most widely introduced in the English-speaking world and very famous in Korea. He is a scholar of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o started his academic career with Lu Xun’s research, crossing into the history of thought and social science, not only focusing on China but also thinking about Asia and paying attention to minorities especially in Tibet and Okinawa. His excellence is remarkable in ‘presentation of agenda through key words’. Wang Hui’s emergence as a delegate of New Left is a reinterpretation of Mao Zedong’s theory as ‘Chinese modernity against Western European modernity’ and criticizing the ‘New Enlightenment.’ Wang Hui is problematic. In order to properly problematize Wang Hui, it is necessary to review his core concept of ‘modernity against modernity’ and ‘criticism of New Enlightenment’.

      • KCI등재

        포스트사회주의 중국의 역사 인식 - 리쩌허우의 근현대 사상사론 다시 읽기

        임춘성 ( Yim Choonsu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17 中國硏究 Vol.70 No.-

        In this article, I have divided the Chinese modern long-term modernization into the short-term 40 years(post-socialist period), the mid-term 70 years(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and the long-term 180 years(capitalism), using the concept of Fernand Braudel`s time and the time zone of East Asia as a reference system. Taking the above discussion as a premise, I examined the modern theory of ideological history of LI Ze-hou with a view to the question of the historical recognition of China in the post-socialist period. He regarded the entir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China as a process of development of the advanced revolutionary ideology. He focused on the duality of each advanced ideology. Each advanced ideology had limitations that could not escape the feudal ritual rooted in the small-scale agricultural economy while having socialist utopian character. These limitations persist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hich led to the creation of a `historical satire`. LI Ze-hou outlined the internal dynamics of China`s modern revolution as a dual task of enlightenment and rescue. The mutual promotion of anti-feudalism enlightenment and anti-imperialism rescue is a great accomplishment of the 5.4 New Cultural Movement. But it was a variation duet of the desperate need to escape from the crisis. The new era of reform and openness should revive the deep lessons of history and seek `transformational creation;`. It is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the critical succession of the `5.4` spirit in order to fulfill the task of the anti-feudalism enlightenment which was lost or weakened by the reservation of the past revolutionary process. Furthermore, as a goal of transformative creation, LI presented the situation of `Confucianism in the 4th period`, and insisted on `apply Western system to China` as a specific method

      • KCI등재

        중국근현대문학사 최근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임춘성(Yim, Choon-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1 외국문학연구 Vol.- No.41

        지금 중국근현대문학사는 새롭게 구성되고 있다. 이전의 관행이었던 5ㆍ4기점이 부정된 지 오래고 범위도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기점 면에서 첸리췬 등의 ‘20세기중국문학사’가 1898년을 기점으로 제시했고 판보췬은 1892년으로 앞당겼으며 옌자옌은 1890년으로 설정하고 있다. 왕더웨이에 따르면 1851년 태평천국 시기로 앞당겨진다. 『해상화열전』을 기준으로 본다면 5ㆍ4에 비해 약 30년 가까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이다. 문학사 범위도 지속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삼분법 시기의 셴다이문학사는 좌익문학사였지만, 20세기중국문학사에서 우파문학을 복권시켰고 ‘두 날개 문학사’에서 통속문학을 복원시켰다. 여기까지는 이른바 ‘국가’ 범위라 할 수 있다. 21세기 들어 중국근현대문학사는 자기 변신을 통해 초국적으로 팽창하고 있다. ‘중국문학’으로부터 ‘중어문학(漢語文學)’으로 그리고 ‘중국인문학(華人文學)’으로 자기 변신하고 팽창하면서 재구성 단계에 들어섰다. 이들 담론은 중국근현대문학사를 고정된 실체로 보기보다는 유동적인 개념으로 이해함으로써 포스트주의와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그러나 가능한 모든 범주를 아우르는 통합의 움직임은 자연스레 범위 밖에 있는 것을 배제하는 움직임과 동시에 진행된다. 이런 움직임이 이 글에서 최근 중국의 논의를 흥미롭게 고찰하면서도 우려를 금치 못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중요한 것은 어느 기점과 어떤 범위가 타당한가라는 질문보다, 그 기준이 무엇이고 기점과 범위에 대한 논의를 통해 중국근현대문학사를 바라보는 시야 perspective를 어떻게 확보할 수 있는가라는 문제설정일 것이다. 이제 중국근현대문학사는 기존의 고정된 관행에서 벗어나 다양한 담론들이 각축할 수 있는 담론 공동체를 형성해 재구성의 단계로 접어들었다. Recently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is being reconstituted. It has been a long time to deny May forth 1919 as a starting point which was the custom and its limit has been continually expanded. In the aspect of the starting point, Qian Li-qun(錢理群)'s ‘20th century's Chinese literature’ suggested 1898 as a starting point, Fan Bo-qun(范伯群) antedate it to 1892, and Yan Jia-yan(嚴家炎) set it up to 1890. According to David Wang(王德威), it was antedated to 1851(太平天國). If we take a Haishanghualiezhuan(海上花列傳) as a standard, the starting point was about 30 years earlier than May forth. In fact, Xiandai literature history in the trichotomy era was a left-wing literature history, and a right-wing literature was rehabilitated in the 20century's Chinese literature history, and a popular literature was reconstructed in the ‘two-wings literature history’. These discourses are still in the boundary of the nation-state. Entering the 21st centry,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is expanding transnationally through the self-transformation, from Chinese literature to Hanyuwenxue(漢語文學) and Huarenwenxue(華人文學). These discourses take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not as a concrete substance but as a fluid concept. But the movement of integration which embrace all categories is used to be simultaneously proceeded with the movement of exclusion. I suggest, more important thing is, not a question that which is proper starting point and limit, but a problematic what is the standard and how can we secure the perspective which help us observe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Nowaday the history of modern Chinese literature is free from the existing custom and build the discourse community in which various discourses may compete each other and enter into the reconstitution stage.

      • KCI등재

        문학인류학적 관점에서 고찰하는 상하이 민족지(1)

        임춘성(Yim, Choons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4 외국문학연구 Vol.- No.56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이 글은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 텍스트로 설정했다. 민족지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민족지와 문학 텍스트의 유사성을 이론적으로 점검해보았다. 이 연구의 기본적인 전제는 다음과 같다. 흔히 허구라고 인식된 근현대소설 텍스트를 인류학적 텍스트로 설정해보자는 것이다. 그리고 인류학자가 현지에 들어가 일정 기간 참여관찰을 통해 조사하고 핵심인물을 인터뷰해서 민족지를 기록하듯이, 작가 또한 현지조사와 참여관찰 그리고 인터뷰를 하는데, 이런 과정을 거친 작품을 민족지로 설정해 보자는 것이다. 전기를 생애사로, 소설가를 현지 조사하는 인류학자로, 소설 텍스트를 민족지로, 작중 인물을 정보제공자로 설정하는 것이다. 물론 모든 텍스트와 작가를 민족지와 인류학자로 볼 수는 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참여 관찰 participant observation’의 자세를 취하는 관찰자 화자와 시점이라 할 수 있다. 이 글은 최근 중국 근현대문학의 효시로 각광받고 있는 『해상화열전(海上花列傳)』을 상하이 민족지로 가정하고, 19세기 말 상하이 조계와 기루, 상하이의 새로운 주체 상인과 기녀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해상화열전』의 민족지 성격을 고찰했다. 그리고 『해상화열전』을 성찰과 개탄의 다성적 텍스트로 파악하는 동시에 그것을 잘 구현하고 있는 천삽(穿揷)과 장섬(藏閃)의 문학 장치의 효용성을 점검했다. This article take a novel text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a fiction as a ethnography text. As an ethnographist went into the field, investigated it for a definite period of time through the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ing key persons, lastly wrote a ethnography, an author did a field work,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terview. In order to first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nsidering a literary work as an ethnography, the research looks into the role of imagination and the mechanism of fictionalization. History of Shanghai literature is in fact a significant part of China’s modern and contemporary literary history, so much that it is difficult to consider it as an independent realm. On the other hand, ‘literary Shanghai,’ a term designating Shanghai found within the literature and also the literal text which represents Shanghai, is an approach similar to the notion of ‘Shanghai ethnography,’ which is why the research has reviewed several related texts. After theoretically examining the similarity between the ethnography and the literature text, this article analyzed Shanghai Flowers(海上花列傳) by HAN Bangqing(韓邦慶) which was spotlighted as the beginning of Chinese modern literature. This study supposed that Shanghai Flowers is a good Shanghai ethnography and analyzed its ethnographic aspect from the concession and the geisha house, the merchant and the geisha of Shanghai in nineteenth century. Finally this article took Shanghai Flowers as a polyphonic text and made an inspection of the virtue of its literature apparatus, which HAN called it ‘chuancha(穿揷)’ and ‘cangshan(藏閃)’.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