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직장이동행태의 시계열적 추이: 이중노동시장 검토를 중심으로

        임찬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This study divides labor market into primary labor market and secondary labor market based on skill of job using work history data of 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We examined the dualism of the Korean labor market by analyzing the constraints on the labor market transition after dividing the market into four types by adding the firm size. The main analysis method is the duration analysis model which estimates the hazard rate. First, Korea has a tendency to place the first job by education level, showing symmetry according to educational background. Second, in the analysis of the simple transition rate between the labor markets, the shift of jobs is most likely to be transferred to the secondary and small business market, and it is not easy to move to the upward labor market. Third, the hazard model estimates that controlled the heterogeneity of individual and job showed that gamma had a positive value in all models and that it is unlikely to escape the current labor market. The Korea labor market is very strict due to the level of skill and firm size, and there is a restriction on the movement of jobs, and it seems that the shift to upward labor market through job transfer is not easy.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직업력(work history)자료를 이용하여 직무의 숙련(skill)을 기준으로 노동시장을 1차(primary labor market)와 2차(secondary labor market)로 구분하고, 기업규모를 추가하여 4가지 시장유형으로 구분한 후 각 노동시장간 전환에 따르는 제약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우리나라 노동시장의 이중구조(dualism)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해자드확률(hazard rate)을 추정하는 기간분석모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나라는 첫 일자리 배치가 학력수준에 따라 할당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하지만 노동시장 진입이후 학력요인은 일자리 이동에 더 이상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노동시장간 단순 전환율 분석결과에서는 노동이동 결과 2차·중소기업군 시장으로 내몰릴 가능성이 가장 높았고, 상향 노동시장으로 이동이 쉽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과 직업특성이라는 이질성을 통제한 해자드모형 추정결과에서는 모든 모형에서 gamma가 양의 값을 보임에 따라 현재 노동시장을 벗어날 가능성이 희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노동시장은 숙련수준과 기업규모별로 상당히 경직적이어서 일자리 이동에 제약이 따르고 일자리 이동을 통해 상향 노동시장으로의 전환이 쉽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후보

        산학협력의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임찬영,박복미 한국기업교육학회 2007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9 No.2

        산학협력 과정에서 대학과 기업이 갈등하게 되는 근본적 원인은 본질적으로 두 조직이 이질적 영역에 속하기 때문이며, 또한 이들의 협력관계를 지원하는 인프라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대학과 기업의 협력관계를 자원의존과 상호작용 측면에서 접근하고, 산학협력 장애요인을 조직 내 요인, 조직간 요인, 외부환경적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장애요인으로는 조직 내부 요인으로 2가지 차이, 조직 간 요인으로 4가지 부족, 외부환경적 요인으로 1가지 부족 문제를 도출하여, 총 2가지 차이와 5가지 부족으로 정리하였다. 조직 내 요인인 2가지 차이점은 1) 대학과 기업 조직의 목표, 활동, 문화의 차이, 2) 산학협력 목적과 동기에 있어서의 차이이다. 그리고 조직 간 요인과 외부환경적 요인에 해당하는 5가지 부족은 1) 정보(교류) 부족, 2) 산학협력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3) 상호간의 신뢰부족, 3) 내부역량 부족, 5) 협력관계를 지원하는 인프라 부족을 지적했다. 이들 요인은 각각 산학협력의 성공여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또한 상호간에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관계에 있었다. 즉 정보 부족 문제를 해결하면 상대방에 대한 신뢰가 형성되고, 조직 간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뢰를 형성함으로써 산학협력에 대한 인식부족 문제와 역량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정보(교류), 신뢰, 인식, 역량 부족 문제는 산학협력 인프라를 구축함으로써 극복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approached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s from resources dependency and interaction perspectives, and analyzed obstruction factors. First, the study pointed out differences between universities and companies' goals, activities and culture, and second, it pointed out differences in cooperation participation goals and motives. It presented insufficient points such as 1) lack of information (exchange), 2) lack of awareness on the need for and importance of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s, 3) lack of co-trust, 4) lack of internal structure capacity, and 5) lack of an infrastructure to support cooperative relations. These factors were each selected as factors that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whether or not industry-academy collaborations succe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ndustry and academy had a relationship of co-effect.

      • KCI등재

        기업 교육훈련 투자결정과 근속-임금프로파일의 성별차이

        임찬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7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6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skill-related wage contracts on gender wage gap. One of the main causes explaining the gender wage gap is tenure. The tenure explains the gender wage gap in two respects. One is quantity of tenure and the other is return rate of tenure. This paper examines the gender gap in firm-specific human capital under fixed-wage contracts, focusing on the rate of return. We used the wage decomposition method to analyze the hypothesis related to human capital investment by analyzing the sample by gender and age, and to derive the policy implic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er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ge and the analysis period. First, the tenure slope of female residents is faster than that of men. Second, the slope of the old women becomes equal to that of men as the age increases. Third, after the financial crisis, the slope of women 's tenure has become more slow than that of men. Although wage contracts related to job skills were not explained by gender wage gap as a discriminatory factor, it was confirmed that discriminatory factors of gender wage gap were increasing due to worsening economic conditions after financial crisis. 본 연구는 숙련(skill)과 관련 임금계약이 성별임금격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성별임금격차를 설명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는 근속(tenure)이다. 근속은 두 가지 측면에서 성별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친다. 하나는 근속기간이고, 다른 하나는 근속수익률이다. 본 연구는 고정임금계약(fixed-wage contracts)제 하에서 기업특수적 인적자본으로서의 근속수익률, 즉 근속기울기를 분석하고, 근속-임금프로파일의 남녀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방법으로는 임금격차 요인분해(wage decomposition)를 활용하였고, 표본을 성과 연령별로 나누어 비교분석함으로써 인적자본투자와 관련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근속-임금프로파일 기울기는 성과 연령, 그리고 분석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첫째, 여성 기업 잔류자의 근속-임금프로파일은 남성 잔류자에 비해 가파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성의 근속-임금프로파일 기울기는 여성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남성과 같아진다. 셋째, 금융위기 이후 여성의 근속-임금프로파일 기울기는 남성에 비해 보다 완만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금융위기 이전 직무숙련과 관련된 임금계약은 성별임금격차에서 차별적 요인으로 설명하기 어려웠지만 금융위기 이후 기업의 인적자본에 대한 투자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적 요인이 커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비인지적 요인이 취업에 미치는 영향: 구직기간과 근속기간 분석을 중심으로

        임찬영 한국자료분석학회 201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0 No.6

        본 연구에서는 구직기간과 근속기간에 미치는 비인지적 요인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한국노동연구원의 노동패널 18차 삶의 인식에 대한 부가조사자료에는 개인의 비인지적 특성을 묻는 질문문항이 들어있다. 노동패널자료를 사용하여 big5 성격특성과 통제소재 변인에 대한 내적일치도를 살펴보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직기간과 근속기간 등 절단(censored)이 있는 표본을 포함하고 있는 자료의 분석에 적합한 비례위험해저드모형을 사용하였다. 추정결과 성격특성과 통재소재 등 비인지적 요인이 개인의 노동시장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직기간 분석에서 성격요인 중 성실성이 성인구직자의 구직기간을 길게 하여 실업탈출률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업과 같은 불확실한 상황에서는 성실성으로 표현되는 신중함이 구직에 필요한 정보해석을 잘못하거나 왜곡할 수 있고, 결단성의 결여로 실업탈출에 제약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근속기간 분석에서는 내적통재 소재자의 경우 근속기간이 길어 직장이탈가능성이 낮았다. 내적통재소재자는 내가 열심히 하면 조직에서 성공과 승진이 가능하다고 믿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조직에 의해 더 선호될 수 있으며, 내적통제 경향이 강할수록 스스로의 행동에 대한 동기부여와 자제심이 크기 때문에 한 직장에 오래 머물 수 있는 요인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non-cognitive factors on job tenure and tenure using KLIPS. We examin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big5 personality trait and of the locus of control, and use the parameterized proportional hazards model. As a result, we confirmed that non-cognitive skill such as personality traits and locus of control affect individual labor market performance. Conscientiousness has shown that the job seeking period of adult job seekers is lengthened, thereby lowering the unemployment rate. It can be understood that high attentiveness under uncertainty can misinterpret information, and that lack of decision restricts escape from unemployment. In the tenure analysis, people with internal locus of control tendency were less likely to leave the job due to longer tenure. Those who have internal control can not only be preferred by the organization but also the internal control tendency seems to be the factor that maintains the long-term job because of the motivation and self-control of their actions.

      • KCI등재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실력이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남녀 임금격차를 중심으로

        임찬영 한국노동연구원 2015 노동정책연구 Vol.15 No.4

        This study analyzes the wage impact of math skills and how it works male and female wage gap. This study uses data from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 and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in 2005. The main finding is better math skills have higher wages. The one grade rise of math score of CAST increases about 1.6% pay rise based on hourly wage. And it have 2.4% pay rise effect in the 4-year college sample. Math abilities and interests reduce the wage gap between men and women in the labor market. To alleviate gender wage gap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need some improvement of education policy such as the enhancing math interests and job design in the fields of mathematics. It can be contribute to cultivating female work force of science and engineering.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조사(KEEP) 자료와 2005년 대입 수능(CSAT) 수리표준점수를 이용하여 수학실력이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고, 그 효과가 남녀 임금격차에 어떻게 작용하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능 수리 1등급 상승은 시간당임금 기준으로 약 1.6%의 임금상승 효과를 보였고, 표본을 4년제로 제한할 경우, 임금상승 효과는 2.4%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에 대한 태도 및 수학실력이 남녀 임금격차에 미치는 효과에 있어서는 수학 관련 요인이 차별적 격차를 줄이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남녀 임금격차를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 임금격차 완화를 위해서는 노동시장의 제도개선과 함께 수학에 대한 학습동기를 키워주고, 수학 활용 직업에 대한 미래 비전을 제시하는 등의 교육정책 역시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통해 여성이 다양한 분야에서 인적자본투자를 행하고, 이공계 여성인력을 확보하며, 양성평등을 달성함으로써 국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 KCI등재

        ARIMA 모형을 활용한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 분석 및 예측 연구

        임찬영(Chan-Young IM),김희철(Hee-Cheul Kim)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2019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Vol.12 No.3

        본 연구에서는 예금은행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매년 문제가 야기되는 지속적인 증가율을 정성적으로 파악하고, 다시 안정세를 보일 수 있는 특성요인을 파악하고자 향후 주택담보대출에 대해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증가율 추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고자 예측 연구를 실행하였다. 빅-데이터 분석에 많이 쓰이는 R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ARIMA 모형의 모수를 (0,1,1)(0,1,1)[12]로 추정하였을 때, MAPE와 RMSE의 검정 결과 기준으로 가장 최적의 ARIMA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모수를 통해 향후 5년 (60개월간)의 추정치를 예측한 결과, 평균 4.5%대의 증가율을 나타냈다. 그러나 이는 사회 환경요인의 요인을 반영하지 않은 예측 값이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 환경요인을 활용하여 외부 충격요인에 대한 구조적 모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추후 관련연구들은 이와 같은 한계들을 극복하여 진행될 필요가 있으며 정책적인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많은 실증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prediction study to qualitatively identify the continuous growth rate that causes problems every year for deposit bank mortgage loans, identify the characteristic factors that could once again stabilize, and come up with measures for future quantitative analysis of mortgage loans and growth trends. Based on data analysis using the R program, which is widely used for big data analysis, the parameters of ARIMA model (0.1,1)(0.1,1)[12] were found to be most suitable. In these indicators, estimates over the next five years (60 months) increased 4.5% on average. However, this has limitations that do not reflect socio-environmental factors, which require further study of these limitations.

      • KCI등재

        가계 소비지출구조의 패널 분석 :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과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임찬영(Chan-Young L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3 No.3

        본 논문은 가구주의 노동시장 특성이 가계 소비지출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노동패널 자료에 준이상수요체계(AIDS) 모형을 적용하여 2005~17년까지의 비목별 구성비 함수를 추정하고 지출 탄력성을 계산하였다. 추정 결과 노동시장의 직업지위와 고용상황이 가계 소비에 여실히 반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직업지위가 낮은 단순노무직과 비정규직 가계는 식비, 주거비, 보건의료비, 교통비 등 생활필수품의 비중이 높고, 반면 가구주의 직업지위가 높은 가계는 외식비, 피복비, 교양오락비의 비중이 높았다. 지출 탄력성 계산 결과 필수재 성격의 비목에서는 직업지위가 낮거나 비정규직인 경우 지출 변화에 민감하였다. 선택재인 외식비와 교양오락비는 하위 직종일수록 탄력성이 컸고, 기타 지출과 내구재 및 생필품비는 상위 직종일수록 탄력성이 커서 비목별로 직업 간 민감도에 차이가 있었다. 향후 보건의료, 교양오락, 외식비 등에서 소비 증가 가능성이 높다. 하위직 근로자나 비정규직 등 노동시장 취약계층의 소비복지를 위해서는 의식주 관련 재화의 가격안정과 공공 복지확대뿐 아니라 노동시장에서 안정적 소득창출과 고용안정 등의 처우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labor market on the structure of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By applying the almost ideal demand system(AIDS) to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e demand function for 11 item was estimated from 2005 to 17, and expenditure elasticity was calculat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job and employment status were reflected in household consumption. In general, households with low job status or non-regular workers had a high proportion of daily necessities such as food, housing, health care, and transportation. On the other hand, households with high job status had a high proportion of spending on eating out, clothing, and entertainment expenses. Also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ensitivity of spending between jobs by consumption category.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consumption will increase in health care, cultural entertainment, and eating out in the future. For the consumption welfare of the vulnerable in the labor market,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the prices of goods related to food, clothing and housing, and to expand public welfare, as well as to create stable income and stabilize employment in the labor mark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