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거형태가 음주행위에 미치는 영향: 성별과 연령에 따른 차별적 효과

        임정재(Lim, Jeong-Jae),이민아(Lee, Min-Ah) 한국보건사회학회 2013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3

        본 연구는 동거형태가 음주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 이러한 동거형태의 효과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0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의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동거형태의 효과를 명확하게 분석하기 위해 세대 간 동거여부를 고려하여 총 8가지의 유형으로 동거형태를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주에 미치는 동거형태의 효과가 성별과 연령에 따라 달라진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을 때는 동거형태의 효과가 명확히 드러나지 않았다. 그러나 표본을 성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은 배우자와 함께 동거하지 않는 모든 동거형태의 경우가 준거집단인 부부만 사는 경우에 비해 음주행위의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동거형태와 연령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살펴본 결과, 남성은 윗세대와 함께 사는 두 가지 동거형태의 경우가 부부만 사는 경우에 비해 연령이 증가할수록 음주행위수준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반면, 여성은 배우자 없이 홀로 윗세대 및 아랫세대와 동거하는 경우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부만 사는 경우에 비해 음주행위수준이 크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음주행위, 나아가 문제음주에 대하여 동거형태, 성별, 연령 등을 고려한 세분화된 정책마련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함의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living arrangement on drinking behaviors and analyze if living arrangement has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2010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data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Beyond previous studies, we measure 8 different types of living arrangement according to whether or not respondents live with spouses, parents, and/or offsprings. The findings show that living arrangement has differential effects depending on gender and age. The subsample analysis across men and women shows that all types of living arrangement without spouses a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drinking behavior. Also,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age and living arrangement for men and women are detected. Although age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drinking in general, for men living with parents increases drinking relative to living with offsprings as age increases. For women, however, living with parents and offsprings dramatically decreases drinking as age increases compared with those who live with spouses only. Finally, we discuss the findings based on different gender-related norms and responsibilities over the life course and social control of drinking.

      • KCI등재후보

        청소년의 온라인 매체 이용이 신뢰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

        임정재 ( Jeong Jae Lim ),강정한 ( Jeong Han Kang ),김상돈 ( Sang Don Kim ) 고려대학교 한국사회연구소 2011 한국사회 Vol.12 No.2

        본 연구는 2009년 실시한 『청소년기 핵심역량 진단조사』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온라인 미디어의 유형별 이용정도가 사회자본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우리는 특히 사회자본의 여러 차원 중 신뢰와 사회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러한 영향력을 추정하기 위해 신뢰는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와 대인 신뢰로, 사회참여는 도구적 참여와 이타적 참여로 구분하여 네 가지 종속변수를 구성하였다. 온라인 미디어를 통한 상호작용 유형은 일대일(이메일 교환),일대다(1인 미디어 운영), 다대다(게시판 및 채팅 참여) 세 가지로 구분한 후, 유형별 온라인 미디어 이용이 각 종속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분석결과 다대다 소통은 일대일이나 일대다 소통과 구분되는 효과성을 보였다. 우선, 이타적 참여 횟수에 대해서는 세 유형의 온라인 미디어 사용빈도가 모두 긍정적 효과를 미쳤으며 도구적 참여횟수에 대해서는 다대다만이 효과가 없었다. 또한, 일대일과일대다 온라인 미디어 사용빈도는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에 긍정적 영향을, 다대다온라인 미디어의 사용빈도는 대인 신뢰에는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정리하자면, 청소년의 도구적 참여활동과 공공기관에 대한 신뢰는 사회자본으로서 의 역할수행에 미흡한 것으로 보이며, 정책적 관점에서 보았을 때, 다대다 온라인공론장을 활성화하여 청소년의 이타적 사회참여와 대인간 신뢰를 높이는 방향으로 사회자본 형성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nalyzes 『Korean Assessment of the Key Competencies of Youth in 2009』 to examine the effects of online media on the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We first choose two types of social capital, social participation and trust, and then divide each type into two respective sub-types: social participation into instrumental and altruistic participations; and trust into governmental and personal trust. We also divide the types of online social media usage into three: one-to-one (email exchanges), one-to-many (blogs etc.), and many-to-many (discussion board etc.). Statistical analyses find that many-to-many media type has distinctive effects from those of one-to-one and one-to-many. First, altruistic participations are promoted by all the three types of online media while instrumental participations are not promoted by many-to-man type. Second, governmental trust is increased by one-to-one and one-to-many types while personal trust is only enhanced by many-to-many media activities. Promoting many-to-many social media as online public sphere will improve teenagers` participation in voluntary activities and trust to others.

      • KCI등재

        연구논문 : 온라인 여론조사의 편향 성격과 보정방법 탐색: 2014년 서울시장 선거 사례

        임정재 ( Jeong Jae Lim ),강정한 ( Jeong Han Kang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5 조사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최근 사용이 확대되고 있는 온라인 조사를 선거여론조사에 활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편향의 성격을 파악하고 보정방안을 모색하고자 온라인 조사를 이용하여 선거결과 예측을 실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2014년 서울시장 선거 전후에 걸쳐 실시된 다섯 차례의 패널조사와 선거 후 실시된 유선전화조사의 결과를 실제 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온라인 조사의 횡단적·종단적 편향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온라인 조사에서 의심되는 응답자의 진보편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2년 대통령선거 투표행태를 설문에 포함시켰다. 분석의 결과 대통령선거시의 응답자의 연령별 분포는 실제 서울시내 투표결과와 거의 일치하였고, 다섯 차례 조사에 걸친 응답자 탈락에도 불구하고 이 분포는 종단적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이처럼 온라인 응답자의 진보편향이 횡적, 종적으로 크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울시장 후보중에는 진보적인 박원순 후보에 대한 지지율이 실제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자료를 이용하여 서울시장 선거결과를 예측하기 위해 연령, 성별, 그리고 2012년 대선 투표율 분포 등을 활용하여 가중치를 적용한 결과 지지율이 실제 후보별 득표율에 가까워졌으나, 뚜렷이 과소표집되어 높은 가중치가 적용된 고연령층의 박원순 후보 편향이 특히 심했기 때문에 보정 정도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편향은 온라인 응답자 섭외가 특히 힘든 고연령층을 확대 및 대체 표집하는 과정에서 심화된 것으로 추론되며, 고연령층 섭외가 쉽고 정몽준 후보 지지율이 특히 높았던 유선전화조사의 편향과 대조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 조사의 편향에는 기존에 주장되어 온 일반적인 진보편향보다는 해당 선거에 대한 관심편향(자기선택오차)이 특정 후보에 대한 지지와 연관될 위험이 고연령층처럼 응답협조가 어려운 집단에서 더두드러짐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아직은 모집단 정의가 불가능하고 비확률표집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온라인 조사가 향후 선거 여론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및 해결해야 할 과제를 토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of cross-sectional and longitudinal biases from online panel survey for election polls and tries correcting these biases. It particularly focuses on possible bias toward liberal candidates in online survey. For empirical analysis, we conducted a panel survey of 5 waves for 2014 City-Mayor Election in Seoul during 4 months, using a pool of online respondents in a survey company. We also conducted a 1-time telephone survey by the same survey company to compare with online panel. In both surveys, we ask respondents` choice in 2012 Presidential Election in order to examine and correct for ideological bias. Analysis revealed that our online respondents did not show bias in the last presidential election, which was also largely robust against panel attritions throughout 5 waves. We, however, observed bias toward a liberal candidate in a mayor election, particularly for the group of 60s and older. The bias was moderately corrected by weights on age and gender, but remained notably. At the same time, bias in online survey was lesser than that of telephone survey, except for respondents in their 60s and older. The poor contacts and cooperations of older people in online survey led to replacement sampling and presumably sorted into selective respondents with higher interest in the mayor election even if those respondents cannot be characterized as generally liberal. We discuss possibilities and remaining problems for online election poll in the future. The fast increasing access to online device among older people is one of those possibilities whereas inability to define a population and consequent nonprobability sampling are problems.

      • KCI등재

        음주친구가 청소년의 음주시작에 미치는 영향:: 사회학습이론과 친구연결망 효과를 중심으로

        임정재(Jeong-Jae Lim) 한국보건사회학회 2016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41

        최초 음주시작 연령이 빠를수록 성인기에 알코올 관련 문제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연구들은 청소년의 음주를 단편적으로 접근하여왔다.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음주시작에 초점을 맞춰 그 경향을 알아보고, 사회학습이론과 사회연결망적 접근을 바탕으로 하여 음주친구가 청소년의 음주시작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더불어 음주친구의 효과가 유유상종으로 인한 동류선호의 결과인지, 친구연결망을 통한 확산의 결과인지 그 맥락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Korea Youth Panel Survey)중 초등학교 4학년 패널 5개년도 자료(2003-2007년)를 이용하여 카플런-마이어 생존분석과 이산시간 사건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카플런-마이어 생존분석 결과 음주친구는 청소년의 음주시작 생존자 함수를 급격히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산시간 사건사 분석 결과, 이러한 음주친구의 영향력은 다른 비행이론에서 제시되는 변수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도 매우 강건하게 나타났다. 한편, 음주친구의 효과와 분석기간(연령)간의 상호작용효과를 살펴본 결과, 분석 후기로 진행될수록 음주친구의 효과는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의 친구연결망 내 음주친구의 존재가 음주를 학습 가능하게 하고, 이로 인해 음주시작이 연결망 내에서 확산될 가능성이 존재함을 함의한다. The early age of drinking onset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cohol problem in adulthood. Therefore the alcohol drinking onset during adolescence should be paid more attention and developed further academicall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riends who drink to alcohol drinking onset in South Korean adolescences and examine the context of effects within friends network(homophily or diffusion). A 5-year (2003-2007) panel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And I carried out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on age of alcohol drinking onset and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to find out a possibility of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who drink and alcohol drinking ons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urvivor function of alcohol drinking onset differs greatly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friends who drink. And based on the discrete-time event history analysis, the effect of friends who drink is strongly associated with alcohol drinking onset. Furthermor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duration (age) and friends who drink are detected. These findings imply that friends who drink within friends effect on learning of drinking and evidence of diffusion within friends network

      • KCI등재

        연구논문 : 응답자의 성격특성과 성향점수 매칭기법을 활용한 모바일 조사 향상방안 연구

        강정한 ( Jeong Han Kang ),강예원 ( Yewon Kang ),임정재 ( Jeong Jae Lim ) 한국조사연구학회 2014 조사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성격특성변수를 활용하여 성향점수 매칭방법을 실시하고 성향점수 가중법을 보완하여 모바일 조사의 추정치 보정을 향상시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모바일 조사회사의 협조하에 모바일 조사자료를 수집하고, 한국종합사회조사(KGSS)의 2009년 및 2011년도 자료를 준거자료로 삼아 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준거자료와 사회 인구학적 변수를 매칭시켜 모바일 응답자를 표집하여 성향점수 추정에 사용되는 변수를 성격특성 10문항만으로 최소화하였다. 다음으로 실험집단으로 설정한 KGSS 응답자와 유사한 성향점수를 가진 모바일 응답자를 매칭으로 추출하여 모바일 응답자의 주관적 정치성향을 보정하였다. 분석의 결과 성향점수 매칭방법은 가중법과 일관되며 다소 향상된 추정결과를 보였는데, 인근이웃 매칭방법의 경우 자료 간 정치성향의 차이를 보정 전에 비해 33.6%, 성향점수 가중법에 비해 9.4%를 줄였으며, 두 자료 간 성격특성의 분포 또한 가장 동일하게 조정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성격특성은 가변성이 적은 응답자 특성으로서 성향점수 계산에 유용함을 보였으며, 둘째, 신속성을 요구하는 모바일 조사의 특성에 맞게 적은 문항수를 보정방식에 활용 하였으며, 셋째, 매칭기법을 통해 보정의 직관성을 높이고 가중법을 포함한 성향점수 활용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는 데 있다. This study aims to reduce estimation biases from mobile survey by employ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based on respondents` personality. Firstly, we selected 2009 and 2011 Korean General Social Surveys(KGSS) as reference data and then sampled mobile survey respondents by one-to-one matching to those of 2011 KGSS based on sociodemographic dimensions. Secondly, we chose subjective political orientation as an outcome variable for estimation whose mean values are statistically identical between the two years of KGSS but more conservative than that of mobile respondents. Thirdly, we performed propensity score matching by 10 items of personality in a consistent way with propensity score weighting and produced a comparable but better performance than that of weighting. Our conclusions are threefold: First, personality traits are stable enough to be a basis of propensity score. Second, combining pre-survey matching by sociodemographic traits and after-survey matching by the small number of items can provide a cost-effective way of bias correction by coping with impatient mobile respondents. Third, propensity score matching provides us with more intuitive tools than weighting to improve the validity of propensity score methods.

      • KCI등재

        한국 미혼 남녀의 결혼 시기와 결혼 가능성에 관한 연구

        오지혜(Ji Hye Oh),임정재(Jeong Jae Lim) 한국사회학회 2016 韓國社會學 Vol.50 No.5

        본 연구는 미혼 남녀의 결혼 시기와 결혼 가능성이 인적자본에 따라 다른지 살펴보기 위해, 노동패널 17개년도 자료를 이용하여 카플런-마이어 생존분석과 이산시간 생존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남성은 자신의 인적자본이 많아질수록 결혼 가능성이 증가해 기존의 인적자본 논의를 지지하고 있었다. 반면 여성은 취업 여부와 상관없이 고졸 여성의 생존자 함수가 가장 낮고 전문대졸 여성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경제력 및 학력과 같은 인적자본으로부터 결정적 영향을 받고 있지 않았다. 특히 전문대졸 여성은 30세를 전후로 생존자 함수가 완만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기존의 연령규범에 대한 새로운 해석이 필요해 보였다. 사회적으로 일정 연령이 되면 결혼해야 한다는 ‘연령규범’이 여성 전반이 아니라 유독 전문대졸 여성에게 강한 것이다. 이는 인적자본이 낮은 여성에게 배우자로서 요구하는 남성의 또 다른 배우자 기준이 반영된 것으로, 전문대졸 여성은 이른 시기에 결혼하여야 결혼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점들을 미루어볼 때, 앞으로의 결혼 연구는 미혼 남녀 안에서도 집단을 구분한 세부적 연구가 필요하며, 나아가 파트너에 대한 선호 기준과 가치관이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patterns of timing and possibility of marriage using the “human capital theory.” A 17-year (1998-2014) panel data from KLIPS was analyzed for this study under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and discrete-time survival analysis. Results show human capital theory being supported as there exist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an’s marrying tendencies and his human capital. That is, the possibility of a man marrying increases as his human capital increases. However, a different pattern was noted on women which could not be explained by the theory. First, the possibility and timing of marriage for them are not influenced by whether she and her partner have jobs. Unlike men, women’ marriage are not affected by a specific economic resource. In addition, while survivor function of women high school graduates is low, and those who finished junior college have high, the latter group experiences its survival function to gradually decrease by the age of 30, making the demand to get married earlier true for female college degree holders. This reinforces a norm in the Korean society. On the other hand, men’s preference for women who have low human capital as partner is also reflected. With this result of study, further studies in marriage would need to divide groups among unmarried men and women to reveal the specific patterns of marriage. Researchers would also need to consider each sex’s preferred standards and values for a partn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