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피해 및 모니터링 현황

        임익균,차현석,강원철,이상빈,한규성,Im, Ik-Gyun,Cha, Hyun-Seok,Kang, Won-Chul,Lee, Sang-Bin,Han, Gyu-S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3

        본 연구에서는 전국 및 지역별 지중 흰개미 정기 모니터링 실시 기관들의 결과보고서를 바탕으로 국내 목조문화재의 지역별, 지정별 지중 흰개미 피해 및 관리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조사 내용들을 바탕으로 GI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국 2,805건의 조사 대상 목조문화재에 대한 지중 흰개미 가해흔 및 가해 진행 현황 지도를 제작하였다. 현황 지도 제작 결과, 2018년~2019년의 기간 동안 총 486건의 목조문화재에서 지중 흰개미 가해흔이 확인되었으며, 그중 143건(약 29.4%)에서 지중 흰개미 권역 유입 및 목부재 가해가 진행 중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위와 같이 조사된 피해 현황 자료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Map API를 활용한 웹 플랫폼 및 웹 어플리케이션을 제작하였다. 또한 기관별 결과보고서에서 확인된 지중 흰개미 모니터링 방안으로는 탐지견, 육안관찰, 예찰기, 극초단파 장비 등이 지중 흰개미의 유입 유무 파악 방안으로 적용되고 있으나 유입된 지중 흰개미 군체의 영역 범위를 판단할 모니터링 조사 방안은 현재 적용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지중 흰개미 군체 모니터링 조사 시, 대상 목조문화재의 가해 영역 범위 산정 등 현황 파악을 위한 염색약 처리 및 Mark-Release-Recapture법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the status of damage by subterranean termites and their management according to the region and type of domestic wooden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This was based on the survey reports of agencies conducting regular nationwide and regional monitoring of subterranean termites. In addition, u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based on the survey contents, a map was constructed of termite infestation and its progress on 2,805 wooden cultural properties that were surveyed nationwide. Based on the map produced, a total of 486 cases of termite infestation were confirmed in wooden cultural properties during 2018-2019, of which 143 cases (approximately 29.4%) were confirmed to be owing to the invasion of termites in the ground and infestation of wood materials. A web platform and an application using a mapping 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were created to increase accessibility to the investigated damage status data. The methods employed by each institution for investigating and monitoring the invasion of termites in the ground included the use of detection dogs, visual observation, installation of wood specimens made of pine, and microwave equipment.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monitoring and survey methods were not applied to determine the territorial range of the subterranean termite colonies. Accordingly, the use of dyeing and mark-release-recapture methods were deemed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such as calculating the scope of the target wooden cultural property, when monitoring subterranean termite colonies.

      • KCI등재

        유물 공간의 종합적 유해생물 관리(Integrated Pest Management)를 위한 실시간(Real-Time) 온습도 모니터링 및 유해 생물 조사 자료의 시각화

        임익균,임승덕,한규성,Im, Ik-Gyun,Lim, Seong-Duk,Han, Gyu-Seong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21 보존과학회지 Vol.37 No.5

        수장고 및 전시 공간의 종합적 유해생물 관리를 위하여 실시간 온습도 센서 및 모듈을 이용한 환경 데이터 수집, 실내 부유 진균류 농도 및 곤충 유입 자료의 데이터 시각화를 부여 정림사지 박물관 유물 공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실시간 온습도 모니터링 시스템은 30분 단위로 측정 데이터를 수집하였으며 연동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측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측정된 온습도 데이터가 미리 설정한 범위를 초과하였을 경우, 푸시 알림을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현황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상시적 관리 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를 통해 8월 중 유물 권장 온도 범위를 초과한 상황의 즉각적인 인지 및 조치가 가능하였다. 수장고 내부 공간에 따른 시기별 부유진균류 농도 데이터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제시한 생물학적 유해환경요인 권고기준(안) 기준으로 범례화하여 시각화한 결과, 수장고 1층과 2층 유물 공간 모두 위험 기준인 80 C.F.U./m<sup>3</sup> 이하의 부유 진균류 농도가 유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곤충 유입 조사 결과, 수장고 내부에는 곤충이 포획되지 않았으며, 전시공간의 경우, 딱정그리마, 알락귀뚜라미, 알락꼽등이 등의 곤충이 포획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구역별 포획 곤충의 개체 밀도에 따른 시각화를 실시한 결과, 곤충의 주요 유입 경로가 외부 출입구 및 화장실 구역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collection using real-time sensors and data loggers was conducted for integrated pest management in the collection storage and exhibition space of the Jeongnimsaji Museum, Buyeo. The real-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monitoring system collected measurement data every 30 minutes and enabled real-time confirmation of the data through a linked application. I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measured in the real-time temperature and humidity monitoring system exceeds the set range, a push notification was sent to the mobile phone of the person in charge to provide status information to establish a continuous management system. Through this, it was possible to immediately recognize and take action when the temperature range exceeded the recommended relic temperature in August. We performed data visualization on the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us in the storage area and the inflow path and density of insects. Based on the recommended criteria presen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data on the spatial and temporal concentration of airborne fungus inside the collection storage were found to be maintained at a value below the standard recommend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80 CFU/m<sup>3</sup>). Also, as a result of the insect inflow survey, no insects were captured inside the storage area, and in the case of the exhibition space, insects such as Scutigera coleoptrata, Loxoblemmus arietulus, Diestrammena asynamora, Koreoniscus racovitzai were captured.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visualization according to the individual density of captured insects by area,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inflow paths of insects were the external entrance and the toilet area.

      • 국내 서식 지중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의 섭식 수종 및 선호도 평가

        임익균 ( Im Ik-gyun ),구준모 ( Koo Jun-mo ),최재완 ( Choi Jae-wan ),조수원 ( Cho Soo-won ),한규성 ( Han Gyu-seong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청주시 소재 산림에서 채집한 흰개미의 가해 수종 및 선호도를 평가하였다. 채집된 흰개미의 COI 바코드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분자생물학적 종 동정 결과, 모두 지중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로 확인되었다. 또한 채집 당시 함께 수집된 가해 시료들의 수종 식별을 통해 수종을 파악한 결과, 산림에서 R. speratus는 소나무류, 잣나무류, 상수리나무류, 벚나무속 등 다양한 수종을 섭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목조문화재 목부재로 사용된 주요 수종 9종을 대상으로 선호도를 평가한 결과, 낙엽송, 소나무, 잣나무 순으로 가장 높은 섭식률을 보였으며 밤나무에 대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 대한 결과는 향후 목조문화재 목부재에 대한 R. speratus의 유입 가능성 및 위험도 산출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염색 시약 표지(Marking)에 의한 지중 흰개미(Reticulitermes speratus) 모니터링

        임익균 ( Im Ik-gyun ),한규성 ( Han Gyu-seong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본 연구에서는 연결망을 통해 이동 및 서식하는 흰개미의 생태적 특징을 이용한 군체 영역 산정을 위해 흰개미 표지(Marking)를 실시하였다. 표지 시약 Sudan Red 7B를 대상으로 섭식 기간 및 농도 조건별 시료 섭식량, 표지 지속성, 생존율, 전이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해당 시약의 흰개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함과 동시에 적정 표지 시약 선정을 위한 평가 방안을 정립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0.5%의 섭식량이 가장 높고 생존율에서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시약의 농도가 2%로 높아짐에 따라 섭식량이 감소하는 경향이 확인되었다. 5일 표지, 2% 조건에서는 생존율이 85% 이하로 하락하였다. 그러나 표지 지속성의 경우, 5일 표지, 2% 조건에서 7일로 가장 길게 유지되었다. 무처리 개체와 3일 동안의 영양교환(Trophallaxis) 기간에도 무처리 개체로 전이가 일어나지 않아 해당 표지 시약은 개체 간 전이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 수행한 흰개미 표지 효과 평가 방안을 이용하여 다양한 표지 시약을 대상으로 흰개미 군체 활동 및 방제 처리 영역의 효율적인 산정을 위한 적정표지 시약 선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