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개화기 지리교과서 『여재촬요(與載撮要)』의 집필 및 출판 과정 분석

        임은진(Eunjin Lim) 대한지리학회 2020 대한지리학회지 Vol.55 No.2

        본 연구는 개화기 학부에서 발간한 지리교과서인 『여재촬요』의 집필 및 출판 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지리교육의 근간을 밝히고자 하였다. 오횡묵이 저술한 『여재촬요』는 1권에서부터 10권까지 그 권형이 다양하다. 본 연구에서는 오횡묵이 일기 형식으로 저술한 『함안총쇄록』·『고성총쇄록』·『지도총쇄록』과 『여재촬요』의 서문과 발문을 중심으로 집필과 편집, 출판 과정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오횡묵은 가장 먼저 1892년 7월『여재촬요』를 5권으로 완성하였고, 이를 요약하여 1권의 책으로 만들고, 1893년 2월에 여재촬요의 목판 인쇄 작업을 시작하였다. 그리고 1893년 6월 이전에 이를 보강하여 8권으로 확장하였으며, 1894년 5월에 최종적으로 10권을 완성하였다.. 요약본인 1권에 대한 수정과 목판 작업은 계속 되었으며, 필사본인 5권 역시 계속적으로 간행되었다. 1896년 이후 학부에서 1권의 여재촬요가 교과서로 선정되면서 대규모로 발간되었다. 지금까지 지리교육계에서는 1권으로 된『여재촬요』는 학부에서 편집 및 출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본 연구를 통해 오횡묵이 직접 한권을 집필하고 목판 인쇄를 하였으며, 교과서로 판매되기 전부터 국가 관료를 선정하는 시험과목의 교재로 사용되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uncover the basis of geographic education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riting and publishing process of ‘Yeojaechalyo’, a geography textbook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the period of enlightenment. ‘Yeojaechalyo’, written by Oh Hueng-muk, has a wide range of volumes from one volume book to ten volumes book.This study analyzed the writing, editing, and publishing process, focus on the books written by Oh Hueng-muk in his diary form, ‘Haman-chongswaerok’, ‘Goseong-chongswaerok’, ‘Jido-chongswaerok’, and on the preface and the opening of the book, ‘Yeojaechalyo’.As a result, Oh Hueng-muk completed the books in July 1892 with five volumes of ‘Yeojaechalyo’ at first, followed by summarized it as a single book, and started on the woodblock printing work of ‘Yeojaechalyo’ in February 1893.And, it was expanded to eight volumes in reinforcement before June 1893, and finally completed with ten volumes in May 1894. And the work of the woodblock and the modification of the first volume continued, and the five manuscripts were also continued to be published. Since 1896, when ‘Yeojaechalyo’ had been selected as textbook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t had been published on a large scale. Until now, it was known in the field of geography education that the one volume book of ‘Yeojaechalyo’ was edited and published in the Ministry of education, but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book was written and printed on woodblock own by Oh Hueng-muk, and it was used as a textbook for test subjects to select state officials even before it was selected as a textbook of geography.

      • KCI등재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Eunjin Lim(임은진),Hyuksoo Kwon(권혁수)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0 사회과교육 Vol.59 No.3

        Integrated education has attracted a lot of attention both in Korea and globally.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implementing the STEAM education since 2011. Many teachers have practiced integrated education at all school leve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end of research outcomes related to social studies subject about integrated STEAM education and seek the direction of STEAM education for social studies. In this study, a meta-analysis was conducted for 109 papers related to STEAM education in social studies published as listed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10 to 2018. Results of research trends analysi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results of social studies related STEAM education have been published steadily every year. Most of these studies were master"s degree-related thesis. They were published evenly when analyzed by school grade level. Second, quantitative studies made up half of the research to see the implement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ll studies measured the effect on the affective domain of students. Third, papers of STEAM education in social studies were limited to class in the classroom. The majority of them used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Main subjects applied in convergence with social subjects were music and art. In order to further develop STEAM education centering on social studies, there is a need to go beyond academic-oriented approaches and regular curriculum. In-depth research is needed to build social educational theories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beyond the development of learning programs.

      • 가려진 보행자 추적에 강건한 다중 객체 추적 기술

        강민성(Minsung Kang),임영철(Young-Chul L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21 한국자동차공학회 부문종합 학술대회 Vol.2021 No.6

        자율주행 자동차는 주변 환경을 인식하기 위하여 주변 객체들의 연속적인 움직임을 추정하여야 한다. 도로 주행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객체들을 추적하기 위하여 tracking-by-detection 기반의 다중 객체 추적 기법을 사용한다. 보행자의 경우 다른 보행자나 객체 등에 의해 가려짐이 발생하고, 이는 객체 검출 단계에서 미검출을 발생시킨다. 기존의 low level feature 기반의 다중 추적 기법은 객체의 겹침, 가려짐 등에서 동일한 객체들을 연관하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보행자의 겹침 및 가려짐 등이 발생하여도 지속적으로 해당 보행자를 추적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기법에서 취약한 특징 추출 단계에서 딥 특징 임베딩 기반의 재식별 기법을 사용하여, 재식별 과정에서 동일 객체 유무를 판단한다. 딥 특징을 추출하기 위하여 single-stage 기반의 객체검출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객체 검출 헤드와 객체 추적 헤드를 멀티 태스킹 기법으로 학습한다. 도로 주행 환경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기존의 low level feature 기반의 방법과 제안하는 deep feature 기반의 방법의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지리교육적 측면에서 정의(Justice)에 대한 교육 내용 및 방법 모색

        임은진 ( Eunjin Lim )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17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25 No.3

        본 연구는 지리 교육적 차원에서의 정의에 대한 접근을 통해 정의 지향 시민 양성을 위한 지리 교육 내용 선정 및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래서 본 연구는 가장 먼저 지리교육에서의 정의에 대해 철학적 기반마련을 위해 아리스토텔레스의 분배적 정의, 롤스의 순수절차적 정의, 프레이저의 3차원적 정의와 정의의 스케일에 대한 논의에 주목하였다. 그 다음으로 내용적 기반 구축을 위해 지리학에서 접근하고 있는 정의 관련논의 중 사회정의, 공간정의, 환경정의, 글로벌 정의의 개념을 선행연구 중심으로 그 의미와 위계 관계를 명료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리과에서의 정의 교육 실현하기 위한, 교육 목적, 주요 학습 주제, 수업 방법을 모색하였다. 교육목적은 비판적 사고를 바탕으로 부정의가 발생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해결에 노력하는 정의 지향 시민 양성으로 하였으며, 주요 학습 주제는 사회정의교육, 공간정의교육, 환경정의교육, 글로벌 정의 교육으로 분류하여 각 영역별로 제시하였다. 또한 주요 지리 수업 방법으로 프레이리의 이론에 근거하여 대화식 수업, 문제제기식수업, 토론학습이라고 보고 구체적인 교사와 학생 역할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method and contents selection of Geography education for training justice- oriented citizens through the approach to justice from the level of Geography education. So, this research paid attention to the discussion about Aristoteles` distributive justice, Rawls` Pure procedural justice and Freire`s 3-demensional justice and the scale of justice for the philosophical basis of the justice of Geography education at first. Afterwards, the research made clear the meaning and hierarchy for the definition of social justices, spatial justice, environmental justice and global justice being under discussion by Geography based on precedent studies,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contents. Based on it, the research tried to find educational purpose, major learning topics and teaching method for the justice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is to train the justice-oriented citizen striving for the problem solving to analyze the root cause of injustice incurred based on critical thinking. Adding on that, this research suggested the concreted roles of teacher and students as major teaching method of Geography on the assumption that it is interactive lesson, problem posing instruction or discussion learning on the basis of Freire`s theory.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임은진(Lim, EunJin),길현주(Gil, HyunJoo),이정우(Lee, Jungwoo)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19 사회과교육 Vol.5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교육과정 도입으로 신설된‘통합사회’의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분석을 통해,‘통합사회’의 성공적 현장 안착을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주요 연구 방법은 교실 현장 수업관찰 및 분석, 교사와의 심층 면담, 관련 자료 분석 등의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활용하였으며, 주요 연구 내용은 단위 학교에서‘통합사회’수업 편성 및 운영,‘통합사회’의 수업 및 평가 방법,‘통합사회’에 대한 통합적 관점의 차이, 사회과 교사들의 통합사회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노력과 요구 사항 등에 대한 것이다. 연구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과목이라 많은 어려움이 있지만, 통합사회 교과목의 취지에 맞도록 교육과정을 재구성하고, 핵심 개념과 연계된 다양한 활동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등을 실천하고자 노력하고 있었으며,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도 참여하여 통합사회를 이루고 있는 세부전공과 관련된 내용과 수업방법에 대해 서로 교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합사회 과목이 학교 현장의 성공적 안착을 위해서 교사양성제도의 개선, 교사 연수 및 교사학습공동체 활성화, 성취평가제에 따른 절대평가 실시, 지속적인 정책적 지원 등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olution to settle ‘Integrated social studies" well in school through analysis of curriculum implementation at the new ‘integrated social studie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s study performed qualitative case studies, including observation and analysis of classroom class in the field,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relevant data analysis. Specific studies included actuality of class composition,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integrated perspective, efforts and requirements for implementation of curriculum by social studies teachers in relation to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unit school.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class was able to reconfigure the curriculum to suit the purpose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curriculum, implement various activities-oriented classes and process-focused assessment linked to the core concept, and interact with each other on details and methods related to integrated social studies by participating in activities of teacher learning community, although there were many difficulties since it was a new subjec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order to execute ‘Integrated social studies’ in school successfully, improvement of teacher training system, activation of teacher training and teacher learning community, absolute evaluation according to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and continuous policy support are needed.

      • KCI등재

        불어권 언론 매체의 동해 표기 명칭 고찰

        임은진(Lim, Eunjin),이상균(Yi, Saangkyun) 한국지역지리학회 2016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22 No.4

        지명은 특정 물리적 공간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사회적이고 정치적인 권력 관계를 표상하고 있다. 특히 동해는 우리나라 영역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명일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는 일본해와 경쟁관계에 있는 지명이다. 우리나라는 국제사회에서 동해 지명 확산을 위해 다방면으로 노력하고 있으며, 점차 그 권력을 확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랑스 를 제외한 주요 불어권 국가의 방송사・신문사의 실제 기사와 방송 내용 분석을 통해 동해 관련 표기 명칭의 현 상황을 도출하고, 프랑스에서 생산된 표기 명칭이 불어권 각 국가로 확산되는 과정과 영향력을 지명의 권력 관계 측면에 서 밝히고자 하였다. 불어권 국가 중 북아프리카의 알제리, 서유럽의 벨기에, 룩셈부르크, 캐나다 퀘벡을 주요 연구 지역으로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북아프리카 알제리와 룩셈부르크 언론 매체는 동해 표기에 비호의적인 경향을 보인 반면, 벨기에와 퀘벡은 비교적 호의적이었다. 대체로 불어권 국가들은 프랑스의 AFP 통신으로부터 보도 자료를 제공 받고 있었는데, 동일한 기사라 하더라도 각 국가나 언론사에 따라 일본해 단독 표기를 고수하려는 매체가 있기도 하 고, 경우에 따라 동해를 병기 표기하려는 의지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이를 통해 지명 확산과 전파의 사회적・정치적 이해 관계와 지명에서 나타난 권력관계, 대중적 지정학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The name of a place represents the social and political power relations as well as showing a certain physical space. In particular, the East Sea is not only a representative name of areas represent our country, but also the name of place being in competition with the Sea of Japan internationally. Korea is committed in many ways to spread the name of East Sea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gradually expand its name pow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ames used in the newspapers and broadcasting in Francophone countries except France by analyzing the newspaper articles and broadcasting contents, and to illuminate how the names of the East Sea produced in France, and the discussion about the names were diffused in Francophone countries and what kind of influence they had on those countries. This study selected Algeria in North Africa, Belgium and Luxembourg in West Europe, and Quebec in Canada for the research areas. As a result, while Algeria in North Africa and Luxembourg are showing inhospitality to the name East Sea, Belgium and Quebec are taking a flexible attitude toward this name. In general, most Francophone countries are provided with press releases from AFP in France. Even in same article provided by AFP, The result shows that some media stick to use the name Sea of Japan solely, and others demonstrate a will to use both name East Sea and Sea of Japan simultaneously. This study was able to show that the diffusion and spread of the place name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cial, political interests and powers, the mess geopolitics in pop cultural materials.

      • KCI등재

        한중 여대생의 기초화장품 구매인식과 용기디자인 선호도 비교

        임은진 ( Eunjin Im ),임윤경 ( Yun Kyoung Lim ),하준호 ( Junho Ha ) 대한미용학회(구 대한미용과학회) 2018 대한미용학회지 Vol.14 No.2

        If customers in the past wanted a balance between price and brand of cosmetics, the contemporary customers take into account the functions and even exterior designs of a cosmetic item. The current study targeted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Korea and did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tudents' cognizance on basic skin care product container design factors. To this end, a survey was carried out among the Korean and Chinese female college students of a college located in Chungcheong province for 3 weeks, starting from the 25th of October, 2017.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treated through data coding and data cleaning before analysisusing SPSS v. 21.0 statistial package program. First, analysis of the preference for basic skin care products container shape, revealed that the rectangular shape(58.7%)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both type of the college students. Second, for mouth type of analysis, the 'tincture-mouthed'(32.4%) showed the highest score. For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the preference was for tincture-mouthed type, while the Korean students preferred the tube-mouthed type. Third, analysis on 'the material of container' showed the highest score(M=3.58). The Chinese college students gave more importance on color, packaging design and the material than the Korean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students gave more importance on quality, price/quantity and brand when buying basic skin care products, and quality, price/quantity highly affected their re-purchasing. On the other hand, the Chinese students emphasized on quality, packaging design and brand when buying the basic skin products, and packing design had a large influence on their re-purchasing behavior. Furthermore, both th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laid stress on color, packing design and material and container designs but the ratio of Chines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Koreans.

      •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임은진 ( Eunjin Im ),김종건 ( Jonggun Kim ),신용철 ( Yongchul Shin ),남원호 ( Won Ho Nam ),임경재 ( Kyoung Jae Lim ),이광야 ( Kwangya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최근 우리나라에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고 작물생육에 필요한 관개용수로만 인식되던 농업용수의 개념이 농촌생활환경개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지역용수로의 포괄적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다. 농업용수는 식량생산 이외의 효용을 위한 다원적 기능을 가지며 농촌지역의 각종 생산활동과 생활조건의 유지개선을 위한 농업용수의 다원적 기능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농업용수에서 발생하는 회귀수는 유역의 용수공급계획, 하천 유황의 예측, 관개용수 사용량 결정, 하천 건전화 방지, 수생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농업용수의 효율적 사용 및 환경생태유지를 위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농업용수 중 하천으로 회귀하는 수량을 의미한다. 본류의 생태 유량 확보에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기여하고 있으며 본류 하천의 환경 보전 기능을 하고 있다. 또한, 수생태계 보호 및 생물 다양성 확보 등 환경 생태 유지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지만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 저수지 유역을 대상으로 농업용수 회귀 수량이 하류 하천 수생태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수량은 관개용수량, 배수량, 침투량, 담수심 등 물수지 항목을 논물수지 모형에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하류 하천의 생태유량 산정을 위해 대사저수지 하류에 위치한 생물측정망 자료를 통해 대표 어종을 선정하였다. PHABSIM 모형을 이용해 모의 대상지역 특성 자료 및 인근 소하천 생물측정망 자료를 바탕으로 HSI 기반 대표 어종 서식처 환경에서 최적 생태유량을 산정하였다. 이를 통해 추정된 농업용수 회귀 수량에 따른 필요 유량이 어류 서식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사저수지 하류 하천에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차지하고 있는 기여도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최적 생태유량과 비교한 결과 농업용수 회귀수량이 수생태(어류)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농업용수 회귀수량은 하류 하천의 하천유지수량뿐만 아니라 하천 환경생태유지에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지역이해 프로젝트 수업 설계 및 적용

        이영진(Youngjin Lee),임은진(Eunjin Lim)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2021 사회과교육 Vol.60 No.3

        본 연구는 신 지역지리 관점에서 지역 이해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하여 학습자의 지역 이해와 핵심역량 함양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지역학습과 프로젝트 학습의 이론적 연결고리를 밝히고, 2015개정 교육과정 통합사회 교과의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이해, 지역의 변화와 역동성, 지역의 불평등 문제뿐만 아니라 공간적 스케일을 확대한 세계적인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하는 ‘지역 이해 프로젝트’ 수업을 개발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살기 좋은 지역 조건 제시하기’, ‘우리지역 변화 토론하기’, ‘지역의 불평등 개선하기, 인권 영화제 활동’이라는 3개의 대주제로 구성되었으며, 각각의 대주제별로 핵심 역량에 기반한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3~5차시 수업으로 구성된 1년간의 연속적인 활동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이것을 전라남도 신안군에 있는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한 후 핵심역량 함양과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본 프로젝트가 교과 학습과 핵심역량 함양에 도움이 되었으며, 특히 핵심역량 중 공동체역량과 의사소통역량이 가장 많이 신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리 지역의 문제가 세계적인 문제와도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학생들이 인식하게 되어 세계시민성 함양에도 기여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gional understanding project classes from a new regional geography perspective and apply them to actual classes to analyze learners" understanding of regions and their key competencies. First, the theoretical link between regional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was identified. Next, we analyzed the achievement criteria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tegrated society curriculum and developed a "Regional Understanding Project" class to examine regional understanding, regional change and dynamism, regional inequality, and global problem of expanding spatial scale. The project consisted of three major themes: "Presenting Living Regional Conditions", "Discussing Changes in Our Areas", and "Enhancing Regional Inequality, Human Rights Film Festival Activities". It was developed to have a one-year continuous activity consisting of three to five major subjects. After applying this to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in Sinan-gun, Jeollanam-do, Korea, key competency building and learning effects were analyzed. Survey analysis showed that this project helped students foster curriculum learning and key competencies, especially community and communication skills among core competencies. It also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global citizenship as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problems in our region could be linked to global probl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