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기업의 내부 문화마케팅이 직원의 문화예술 수용에 미치는 영향

        임승희(Seunghee 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2 문화산업연구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al cultural marketing on employees’ performing arts adop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cultural marketing, cultural involvement, cultur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 and experiential benefit), and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in terms of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internal cultur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involvement. Similarly, internal cultur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ither psychological benefit or experiential benefit perception. Also, results suggest that either cultural involvement or psychological benefit perception affects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positivel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internal cultural marketing on employees’ performing arts adop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focuses on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internal cultural marketing, cultural involvement, cultural benefits (psychological benefit and experiential benefit), and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in terms of performing arts adoption process. Findings of this research show that internal cultur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ultural involvement. Similarly, internal cultural marke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either psychological benefit or experiential benefit perception. Also, results suggest that either cultural involvement or psychological benefit perception affects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positively.

      • KCI등재후보

        전통예술 공연 시장 확대를 위한 관객 유형화와 관객 유형 변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승희(Im, Seunghe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4

        본 연구는 전통예술 시장 확대를 위해 전통예술 시장에 주목하여 전통예술 공연 관객층을 유형화하여 관객 유형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관객 유형을 전통예술 공연에 대해 소극적 관객층을 보다 적극적인 관객층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전통예술 공연 관객층을 확대하고 나아가 전통예술 공연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관객의 행동 특성인 관람빈도와 심리적 특성인 관심도에 따라 전통예술 공연에 대한 저빈도 관람-저관심형, 고빈도 관람-고관심형, 고빈도 관람-저관심형, 저빈도 관람-고관심형으로 관객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구분된 관객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과 공연 구매행동의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정규교육 이외 전통문화예술교육 경험과 관련한 동호회 참여 경험이 관람빈도 및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과 전통문화예술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은 저빈도 관람 관객을 고빈도 관람 관객으로 전환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전통문화예술교육과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은 전통예술에 대해 관심도가 낮은 관객층을 관심도가 높은 관객층으로 전환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통예술 공연에 대한 관심 및 관람 빈도에 전통문화예술교육보다는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전통예술 공연 관심보다 관람 빈도 변화에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전통예술 관람 행동과 관심도간의 상호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증가는 전통문화공연의 저빈도 관람 관객을 고빈도 관람 관객으로 유형 변화 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문화예술의 관람빈도 증가는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저관심 관객을 고관심 관객으로 전환시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라는 심리적 요인과 관람 빈도라는 행동적 요인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times, with the advent of the importance on cultural prosperity,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number of an increase of both theoretical and public attempts to extend performing art market.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audiences in performing art market has been an important issues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y and policy. However, until now, there has been a few attempts to examine aud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typology of the audiences based on the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s among audiences’ typology and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their typology. Results showthat audiences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ing and the interest on traditional arts: low frequency-low interests, high frequency-low interests, low frequency-high interests, and high frequency-high interests. Also, this study examines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are different among audiences’ cluster.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experience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s and cultural club particip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for changing the audiences’ typology using logit analysis. 본 연구는 전통예술 시장 확대를 위해 전통예술 시장에 주목하여 전통예술 공연 관객층을 유형화하여 관객 유형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관객 유형을 전통예술 공연에 대해 소극적 관객층을 보다 적극적인 관객층으로 변화시키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전통예술 공연 관객층을 확대하고 나아가 전통예술 공연 시장을 활성화할 수 있는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관객의 행동 특성인 관람빈도와 심리적 특성인 관심도에 따라 전통예술 공연에 대한 저빈도 관람-저관심형, 고빈도 관람-고관심형, 고빈도 관람-저관심형, 저빈도 관람-고관심형으로 관객을 유형화하였다. 또한 구분된 관객 유형에 따라 인구통계적 특성과 공연 구매행동의 특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정규교육 이외 전통문화예술교육 경험과 관련한 동호회 참여 경험이 관람빈도 및 관심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문화예술교육과 전통문화예술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은 저빈도 관람 관객을 고빈도 관람 관객으로 전환시키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전통문화예술교육과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은 전통예술에 대해 관심도가 낮은 관객층을 관심도가 높은 관객층으로 전환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전통예술 공연에 대한 관심 및 관람 빈도에 전통문화예술교육보다는 관련 동호회 참여 경험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영향력은 전통예술 공연 관심보다 관람 빈도 변화에 더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한편, 전통예술 관람 행동과 관심도간의 상호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 증가는 전통문화공연의 저빈도 관람 관객을 고빈도 관람 관객으로 유형 변화 시키는데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문화예술의 관람빈도 증가는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저관심 관객을 고관심 관객으로 전환시키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전통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라는 심리적 요인과 관람 빈도라는 행동적 요인은 상호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In recent times, with the advent of the importance on cultural prosperity, there has been a considerable number of an increase of both theoretical and public attempts to extend performing art market. In particular, understanding of audiences in performing art market has been an important issues to establish effective strategy and policy. However, until now, there has been a few attempts to examine audiences within the context of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the typology of the audiences based on the behavior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the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Also, this study identifies the differences among audiences’ typology and factors affecting the change of their typology. Results showthat audiences i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marke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number of viewing and the interest on traditional arts: low frequency-low interests, high frequency-low interests, low frequency-high interests, and high frequency-high interests. Also, this study examines tha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erforming arts viewing behavior are different among audiences’ cluster. In addition, this study identifies that the experiences of traditional culture educations and cultural club participation are significant factors for changing the audiences’ typology using logit analysis.

      • KCI등재

        진정성 지각에 따른 직원 참여형 CSR 효과

        임승희(Seunghee, Im) 한국상품학회 2015 商品學硏究 Vol.33 No.6

        본 연구는 직원이 자원봉사자로 직접 CSR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직원 참여형 CSR 활동의 효과 규명을 주요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직원의 자원봉사 활동에 따른 효과를 내부 효과에 초점을 맞추어 조직 신뢰와 조직 만족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직원이 참여하는 CSR 프로그램에 대해 진정성 지각이 자원봉사 참여 효과를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연구 결과, CSR 활동으로 기업의 지원하는 자원봉사 참여 정도가 높은 직원이 낮은 직원 보다 조직에 대한 신뢰와 만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진정성 지각 수준 역시 CSR 효과 창출에 영향을 미쳐, 진정성 지각 수준이 낮은 직원보다 높은 직원의 조직 신뢰와 만족 수준이 높았다. 또한 진정성 지각은 직원의 자원봉사 참여 정도가 조직 신뢰와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진정성 지각이 낮은 경우에는 직원의 자원봉사 참여 정도가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 조직 신뢰와 조직 만족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진정성 지각이 높은 경우에는 자원봉사 참여 정도가 낮은 집단보다 높은 집단의 조직 신뢰와 조직 만족 수준 모두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진정성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CSR의 참여 행동의 내부 효과를 설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으로 의미 있으며, 직원 참여형CSR 프로그램 전략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실무적으로도 기여하고 있다. In recent days, CSR activities that companies support employee volunteerism are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internal effects of employees’ volunteering in terms of organizational trust and satisfaction. In particular, this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moderating role of authenticity on the internal effects of employees’ volunteering. The results indicate that employees with higher participation for volunteering show more organizational trust and satisfaction compared to employees with lower petrifaction. Also, employees with higher authenticity perception of CSR have more trust and satisfaction on organization compared to employees with lower authenticity perception of CSR. Furthermore, findings suggest that authenticity moderate the relationship the effects of employee volunteering on either trust or satisfaction. It means that the level of participation on volunteering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either trust or satisfaction when the authenticity perception of CSR is low, while level of participation on volunteeri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either trust or satisfactionwhen the authenticity perception of CSR is high. This research has its theoretical contributions in that it tries to extends CSR effects research as identifying the effects of employee volunteering. Fromamanagerial perspective, the research provides useful guidelines howa participatory approach to develop CSR programs is beneficial.

      • KCI등재

        서비스 진정성의 구성 차원

        심재원 ( Shim Jaewon ),임승희 ( Im Seunghee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9 유통경영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서비스 진정성의 다차원적 특성에 주목하여 서비스 진정성에 내재된 구조적 특성을 밝히고, 다항목 척도 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신뢰성과 타당성이 있는 서비스 진정성 측정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 수행을 위해 진정성과 관련한 폭넓은 분야의 선행연구 고찰과 FGI를 통하여 서비스 진정성의 구성 차원과 각 차원별 측정 항목을 추출하였다. 이후 두 차례의 조사 과정을 거쳐 추출한 항목들을 정제하며 서비스 진정성의 내재된 구조적 차원을 발견하였다. 1차 조사에서는 212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를 통해 추출한 항목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며 항목을 정제하였다. 그리고 2차 조사에서는 1차 조사 과정을 통해 정제된 문항들에 대해 일반인 300명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 조사 과정을 통해 항목들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재확인하였다. 이러한 절차를 거쳐 본 연구는 서비스 진정성의 구성 차원을 진실성, 공감성, 일관성, 신뢰성으로 규명하고 총 16개의 측정 항목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서비스 진정성에 내재된 차원의 특성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서비스 진정성을 보다 본질적으로 이해 가능하게 하였으며, 신뢰성과 타당성이 검증된 측정 도구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서비스 진정성 관련 이론적 연구를 촉진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문적으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service authenticity and develop measures to adequately capture multi-dimensional construct of service authenticity. Initial item development was conducted through extensive previous literature reviews and focus group interview. The items were then examined empirically with two separate samples. The first survey sampled 212 college students and found that items formed reliable and valid scales for each of the constructs and separated into distinct four factors. For the second survey, 300 consumers were sampled and results supported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cale as a measure of service authenticity. From these results, this research suggests the sub-dimensions of service authenticity as integrity, empathy, consistency, trust with 16 measurement items.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ervice authenticity scale for scholars are discussed.

      • KCI등재

        영화 유형별 영화 흥행 성과 예측 요인의 비교 연구

        김소영(So-Young Kim),임승희(Seunghee Im),정예슬(Yeseul Jung)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영화 흥행 성과 예측 모형을 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 각각에 적용하여 영화 유형별 상이한 예측 요인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 각각에 대해 영화 흥행 성과 예측 모형을 적용한 결과, 두 회귀식은 구조적으로 다른 것으로 검증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두 회귀식의 회귀계수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스크린수, 관객 평가, 장르는 예술 영화와 상업 영화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흥행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감독 명성, 상영등급, 전문가 평가, 배급사 영향력, 영화 제작국, 그리고 개봉 시기는 예술 영화의 흥행 성과에 대해서만 유의한 예측 변수로 검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different determinants according to the types of motion pictures; art film and commercial film. We found that the regression equations of two types of motions pictures are structurally different. More specifically, we identified that the number of screens, viewers' evaluation, and genres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both in the commercial and art film. However, director, ratings, critics, power of agency, nationality, and the timing of release affect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ust on the art films.

      • KCI등재

        몽골 공연장의 내부 서비스품질이 내부 고객만족과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공연 관여도의 조절 효과

        오랑거(Urangoo Tumursukh),임승희(Seunghee 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21 문화산업연구 Vol.21 No.3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몽골 공연장의 내부 서비스품질과 내부 고객 반응간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몽골의 대표적인 공연장인 몽골 국립 오페라‧발레 극장의 조직 구성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몽골 공연장의 내부 서비스품질 차원인 신뢰성, 유형성, 확신성, 응답성, 공감성은 내부 고객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내부 고객만족은 외부 고객에 대한 고객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내부 고객만족은 내부 서비스품질과 고객지향성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결과는 몽골 공연장의 내부 서비스품질 수준이 조직 구성원의 만족을 통해 외부고객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한 것으로, 내부 마케팅 성과가 외부 마케팅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서비스품질의 유형성과 공감성이 내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공연 관여도에 의해 조절되었다. 즉, 조직 구성원의 공연 관여도 수준이 높을 때 서비스품질의 유형성과 공감성이 내부 고객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은 강화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ervice quality of performing art center and internal customers’ responses in Mongolian. The study was conducted in Mongolian and sampled employees from National Academic Theatre of Opera and Ballet of Mongolia. The study found that reliability, tangibility, assurance, responsiveness, and empathy, which are dimensions of internal service qual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orientation. In addition, the study fou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orient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outcomes of internal marketing can also have a positive effect on outcomes of external marketing as internal service quality increases customer orientation through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Furthermore, involvement in performing arts moderated the association between tangibility, empathy,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show that involvement in performing arts can strengthen the link between internal service quality and internal customer satisfaction.

      • KCI등재

        공연장과 공연상품간 적합성이 공연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박명진(Park, MyungJin),임승희(Im,SeungHee ) 한국상품학회 2014 商品學硏究 Vol.32 No.3

        연구목적: 브랜드 확장이론 연구들은 원브랜드 제품과 확장 브랜드 제품 간의 적합성(perceived fit)이 확장 제품 평가에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원브랜드 제품과 확장 브랜드의 관계를 공연장과 공연상품으로 설정하고, 공연장과 공연 상품간의 적합성이 공연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 때 공연장과 공연상품의 적합성을 기능상의 적합성(장르 적합성)과 이미지상의 적합성으로 구분하고, 공연장과 공연상품 간 적합성이 공연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소비자의 공연상품 친숙도가 조절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연구 설계 및 방법론: 본 연구의 실험은 2(기능적 적합성: 일치 vs. 불일치) * 2(이미지 적합성: 일치 vs. 불일치) * 2(소비자 친숙성: 고 vs. 저)의 집단간 요인으로 설계되었다. 실험에는 총 176명(남: 54.9%, 여: 49.1%, 평균 연령: 23세)의 국내 대학생이 참여하였으며, 실험의 참가자들은 각 실험 조건에 무작위로 할당되었다. 분석 및 연구 결과: 뮤지컬의 경우 기능적 적합성이 낮은 다목적 공연장 보다는 기능적 적합성이 높은 뮤지컬 전용극장에서, 그리고 작품의 이미지와 유사한 이미지의 공연장에서 상연하는 것이 뮤지컬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소비자의 공연상품 친숙도가 높은 경우가 낮은 경우보다 공연장과 공연 상품의 이미지 적합성이 공연 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사점 및 연구의 한계점: 본 연구는 브랜드확장이론에 입각해서 공연장과 공연상품 간 적합성이 소비자의 공연상품평가에 영향을 미치고, 소비자의 공연상품 친숙도가 그 영향을 조절할 수 있음을 실증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다만, 본 연구는 실험자극물 선정에 있어 뮤지컬이라는 단일장르만을 선택하였기에, 향후 연구결과를 보다 일반화하기 위해서 연극이나 무용, 콘서트와 같은 다양한 장르에서도 이와 동일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 향후 연구방향: 상품 친숙도의 조절효과 검증에 있어서 이미지 적합성에서만 조절효과가 검증되었고, 기능적 적합성에서는 조절효과 검증이 되지 않아 가설을 부분지지한 점에 대해서도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연장과 공연상품 간 적합성이 상품평가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어떤 심리적 메커니즘이 작용되었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본 연구결과의 이론적 기여도가 더 확장될 것이다. 공헌점: 본 연구는 원브랜드 제품과 확장 브랜드의 관계를 공연장과 공연상품으로 설정하고, 공연장과 공연 상품간의 적합성이 공연상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a theater and performance commodity on performance evalu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A 2(functional fit: high vs. low) * 2(image fit: high vs. low) * 2(consumer familiarity: high vs. low) between subject factorial design was used in this study.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college students(N=176, male: 54.9%, female: 49.1%, average age: 23) who were randomly assigned by conditions. Results/findings: Results/findings: The findings indicate that consumer evaluation for musical performance is more positive at an exclusive theater that is either functionally fitted or image fitted. Also, when consumers feel high familiarity for a performance commodity, performance evaluation is more affected compared to low familiarity. Research implications/limitations: This study suggests some implications in that it was the first attempt to show the perceived fit between a theater(multipurpose vs. exclusive) and a performance commodity. Further, it also shows the effect on the evaluation of a performance commodity, as well as demonstrate that performance commodity familiarity of consumers can control the effect. However, this study chose musicals - the only genre - as an experimental stimulant; thus, it is necessary to confirm that we can deduct the same results from different genres, such as plays, dances, and concerts. Future work/research: In a study of which psychological mechanism would be added in terms of the effect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a theater and a performance commodity on performance evaluation, the theoretical levels of contribution will increase. Originality/value: This research finds the effect of the perceived fit between a theater and a performance commodity on performance evaluation.

      • KCI등재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가맹본부 지원의 효과성 연구

        강성민(Kang, Sung Min),임승희(Im, Seunghee) 한국상품학회 2020 商品學硏究 Vol.38 No.5

        지금까지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가맹본부 지원 효과에 관한 다수의 선행연구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가맹본부에 대한 가맹본부의 지원의 효과 과정에서의 메커니즘과 한계조건 규명에 대한 노력은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시스템에서 관계적 성과 관점의 지원 효과에 주목하여 가맹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지원이 가맹본부에 대한 가맹점의 관계적 성과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이러한 관계에서 가맹점주 기업가정신의 조절 효과 규명을 주요 연구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외식업계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를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총 200명의 유효 데이터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가맹본부의 가맹점에 대한 지원은 가맹점의 가맹본부에 대한 만족, 신뢰, 협력을 통해 몰입 수준을 높이며, 가맹본부의 지원과 몰입간 관계에서 만족, 신뢰, 협력은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맹점주 기업가정신의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의 구성차원별 상이한 결과를 보였다. 세부적으로, 만족과 몰입 관계에서는 진취성이, 신뢰와 몰입 관계에서는 위험감수성과 진취성이, 협력과 몰입 관계에서는 위험감수성이 유의한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Despite a number of prior studies on the effects of franchisor’s support in the franchise system, there has been a limited attempt to identify the mechanisms and boundary conditions related to the effect of franchisor’s support. In terms of relational outcomes of franchisor’s support in franchise system,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franchisee s satisfaction, trust, and coop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s support and commitment. The study also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s of franchisee s entrepreneurship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with satisfaction, trust, and cooper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franchisees in foodservice franchise industry and 200 usable data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franchisee satisfaction, trust, and cooperat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ranchisor’s support and commitment. In addition, franchisee s proactivenes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franchisee s risk-tak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commitment. Also, franchisee’s proactiveness and risk-taking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atisfaction and commitment.

      • KCI등재

        소매점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와 선호도, 만족도,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용구(YongGu Suh),임승희(Seunghee Im) 한국유통학회 2006 流通硏究 Vol.11 No.4

        체계적 브랜드 관리는 브랜드 가치의 측정에서 시작된다. 따라서 많은 선행 연구들은 브랜드 가치 측정 방안을 제안하고 있지만, 이들 연구의 대부분은 유형 제품을 측정 대상으로 한 것이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브랜드 가치 측정이 일회 측정에 끝나거나, 반복 측정의 경우에는 측정 방법의 변화로 비교 가능성이 낮고 지식이 축적되지 않는 한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소매점의 대표적인 형태라 할 수 있는 할인점과 백화점을 중심으로 이들의 소매점 브랜드 가치 지수의 변화를 2002년에서 2004년에 걸쳐 동태적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할인점의 경우 조사 대상에 포함된 모든 할인점의 브랜드 가치가 처음 측정 시점인 2002년부터 2004년까지 지속적으로 증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내 할인점 브랜드가 1위의 자리를 고수하고 있는 가운데 외자계 업체들의 두드러진 성장 추세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달리 백화점의 경우 시장 내 확고한 1위 자리를 차지한 소매점 브랜드가 발견되지 않고, 서로 비슷한 역학 관계 속에서 선두 다툼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03년을 지나서는 백화점 브랜드 가치의 성장이 전반적으로 둔화 또는 감소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소매점 브랜드 가치지수의 동태적 측정과 더불어 소매점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와 시장성과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할인점과 백화점 각각에서 시장성과와 유의미한 관계에서 있는 브랜드 가치 구성요소를 규명하였다. A systematic brand value management starts from its measurement. Accordingly, a number of studies have proposed to measure the value of the brands. However, most of them deal with the brand value of the tangible products. Also, in many cases, such an effort did not bring long-lasting effects because either it ended up with an one-time measurement or it employed a different measurement method each time, thus hampering the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and the accumulation of knowledge over time. So, this study has measured retail brand value index of the discount stores and the department stores of Korea every year between 2002 and 2004. And then it provides what they have found over that period.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tail brand value components and the market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