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 설계

        임세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용돌이의 장이라고 불리는 현대 행정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정부서비스의 온라인화와 지식관리를 통한 전자정부의 구현을 추구해오고 있다. 전자정부법에서는 행정의 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근거를 제시하고 정부기관의 지식관리를 장려하고 있다. 이에 따라, 2000년도 이후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에서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운영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스템간의 연계 및 지식의 공유는 미흡한 편이다. 정부에서는 정부소재안내서비스 및 지식정보자원의 메타데이터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으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을 위한 메타데이터 코어 요소에 대한 논의는 부족하다.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환경과 요구에 적절한 메타데이터 포맷이 요구되므로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특성과 행정지식의 속성을 반영한 메타데이터의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 기반이 되는 행정지식에 관한 함의을 통해 지식관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또한 영국 및 호주의 전자정부 메타데이터 표준인 AGLS와 e-GMS의 메타데이터를 살펴보고 더블린코어와의 데이터 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정부 메타데이터로서의 필요한 요소를 알아보았다. 국내의 경우 정부 표준 메타데이터는 없으나 유사한 기능을 하고 있는 정부소재안내서비스(GILS)와 지식정보자원통합 메타테이터(KIX 1.0)의 메타데이터 엘리먼트와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표준안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11개의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행정지식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 현황을 비교 분석해보았다. 더블린 코어 요소를 중심으로 요소를 선정한 결과, 사용되지 않는 Language(언어), Relation(관계), Coverage(범위)를 제거하고, 현행 행정지식관리시스템에서 사용하고, 앞으로도 필요하다고 여겨지는 지식자원의 가치에 관한 Value(평가), 지식자원의 진행상태 또는 완성정도의 정보를 제공하는 Status(상태), Audience(이용계층)의 요소를 추가함은 물론 각 요소의 속성을 지식관리시스템의 메타데이터는 다양한 환경과 요구에 적절한 메타데이터 포맷으로 일부 변형하여 15개의 코어 엘리먼트를 설계하였다. 이 메타데이터 세트는 각 기관들간의 지식관리 호환성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 정의되었으므로 행정지식의 효율적 관리와 검색 및 상호공유를 위한 지식관리시스템의 발전에 기초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The Korea government has been pursuing e-government through on-line service and knowledge Management to adapt themselves to administrationcircumstance as it called turbulent field. The law of e-government indicates the operation bas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encourages government offices in knowledge management.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and local self-governing bodies operate Knowledge Management since year 2000, but the interface and share of knowledge among the system are insufficient. Even though the government is studying metadata for Government Information Location Services core element set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the discussion for the core element of meta data for Administrat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s not enough. Because the meta data requires proper meta data format for the various environment and requirement, the meta data desig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 of Administration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the attribute of knowlege mangement is necessary. This research explains the necessity and characteristic of Knowlege management system through the review of Administrative Knowledge. And, Taking into cosideration the similarities in creiteria, Australia and England have standardized the metadata criteria for application. In case of Korea does not yet have e-government metadata that has been stadardized, but Government Information Location ServicesS core element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eXchange 1.0 metadata is parallel that. So, Administrative Knowlege Management System core element of government organization is analyzed focusing on the Doblin core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eXchange 1.0. This research suggests 15 core element sets for Administrative Knowlege Management System. For design of metadata element, this research analysis Knowlege Management System metadata element of 11 administrative organ. This metadata set, which is proper to the interface and union of individual Knowlege Management System, would contribute to effective knowledge management and information retrieval.

      •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불안 감소를 위한 긍정심리 미술치료 사례연구=

        임세영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에게 양육스트레스와 불안 감소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0세 기혼여성으로 16세의 중학교 3학년 딸과 9세의 초등학교 2학년 아들을 양육하고 있다. 연구기간은 2023년 8월 22일부터 11월 9일까지 주 2회 60분씩 총 35회기의 긍정심리 미술치료를 진행하였다. 연구도구로는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한 KFD, PITR 그림검사, 불안을 측정하기 위해 K-HTP 그림검사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으며, 연구대상자의 활동을 관찰하여 회기별 진행 및 단계별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FD 그림검사의 사전에서 가족 간의 거리감으로 인해 상호작용이 부족하고 의사소통의 부재를 보였으나, 사후에서는 가족구성원 간의 상호작용과 거리감의 감소로 가족관계의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또한, PITR 그림검사의 사전에서 사람이 경직된 모습으로 우산을 쓰고 있었으나, 사후에서는 비 맞는 장면의 회상과 웃는 얼굴의 표현으로 스트레스는 감소하였고 대처능력이 증가하였다. 둘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불안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HTP 그림검사의 사전에서 원만하지 못한 의사소통과 높은 스트레스로 불안한 자아상을 표현하였으나, 사후에서는 원만한 의사소통의 자기개방과 자기수용으로 긍정적 자아상의 변화를 보였다. 셋째,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회기와 단계별에 따라 살펴본 결과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대상자는 미술 활동을 통해 부정적 정서를 표출하여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이 감소하였다. 또한, 자신의 강점을 발견하여 삶의 의미와 행복을 찾는 모습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이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긍정심리 미술치료가 기혼여성의 양육스트레스와 불안 감소를 위한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on the reduction of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in married women. The participant of this study was a 40-year-old married woman with a 16-year-old daughter i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nd a 9-year-old son in the 2nd grade of elementary school. From August 22 to November 9, 2023,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ice a week, lasting 60 minutes each in total of 35 sessions. Research tools included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Person in the Rain (PITR) drawing test for measuring parenting stress, and the Kinetic-House-Tree-Person (K-HTP) drawing test for measuring anxiety. These assessmen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sessions. Additionally, qualitative analysis was performed by observing the activities of the participant, examining progress in each session, and analyzing changes in different sta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in married women. In the pre-test of the Kinetic Family Drawing (KFD), the participant showed a lack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among family members due to perceived distance. However, in the post-test, positive changes in family relationships, including increased interaction and reduced distance among family members were observed. Additionally, in the pre-test of the Person in the Rain (PITR) drawing test, the participant depicted a person wearing an umbrella in a rigid manner. In the post-test, there was a reduction in stress, as she recalled scenes in the rain and expressions of smiling faces which are the indications of an increase in coping abilities. Secondly,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anxiety in married women. In the pre-test of the Kinetic-House-Tree-Person (K-HTP) drawing test, participant expressed an anxious self-image characterized by ineffective communication and high stress. However, in the post-test, positive changes in self-image were observed, including improved communication, increased self-disclosure, and self-acceptance. Thirdly, after examining the impact of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on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in married women in each session and stage, we could observe positive changes on it. The participant expressed negative emotions through art activities, leading to a reduction in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Additionally, she discovered her strengths, demonstrating a process of finding meaning and happiness in life. Through this study, it has been confirmed that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has a positive impact on reducing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in married women. This suggests the potential utility of positive psychology art therapy for alleviating parenting stress and anxiety in married women.

      • 청소년의 학대피해경험, 부적응도식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 : 자아탄력성, 또래지지, 교사지지, 지역사회자본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임세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청소년이 경험하는 학대피해경험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학대피해경험으로 인해 형성되는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학대피해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와, 학대피해경험이 부적응도식을 경유하여 학교생활부적응에 이르는 경로에서 학교생활부적응을 조절해주는 보호요인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보호요인은 청소년을 둘러싸고 긴밀하게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생태체계이론에 근거하고, 선행연구 검증을 통해 미시체계 자아탄력성, 중간체계 또래지지와 교사지지, 거시체계 지역사회자본을 설정하여 이들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상도 지역에 재학 중인 중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6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하였다. 측정도구는 아동학대척도, 부적응도식, 자아탄력성, 사회적지지, 지역사회자본 척도를 사용하였다. 설문자료는 인구학적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도 확인을 위해 Chronbach's α를 산출하였다. 각 변수의 상관계수를 확인하기 위해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4번,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ROCESS Macro Model 1번,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PROCESS Macro Model 15번으로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부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학대피해경험, 부적응도식, 또래지지, 지역사회자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의 영향력은 확인되지 않았다. 학대피해경험과 부적응도식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또래지지와 지역사회자본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부적응도식은 학대피해경험에 대한 주효과가 있으며, 학교생활부적응과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조절변수 자아탄력성, 또래지지, 교사지지, 지역사회자본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학대피해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간의 조절효과는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또래지지 지역사회자본은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도식과 학교생활부적응 간의 조절효과는 자아탄력성, 교사지지와 지역사회자본은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나 또래지지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학대피해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자아탄력성과 교사지지의 매개된 조절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자아탄력성은 학대피해경험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였으나, 학대피해경험에 대한 부적응도식의 주효과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조절하지 않아 매개된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교사지지는 학대피해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사이에 조절효과가 있는 동시에, 학대피해경험으로 인한 부적응도식의 주효과가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도 조절하는 부분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청소년의 학교생활부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대피해경험이며, 학대피해경험은 부적응도식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대피해경험, 부적응도식으로 인해 학교생활부적응이라는 어려움에 처해 있는 청소년에게 가장 강력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사지지 임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이 학대피해경험으로 자신과 세상, 미래에 대해 비관적으로 생각하고 학교생활에 부적응을 나타내는 위기에 처해 있다면, 부모 외에 가장 가까운 교사의 관심과 문제해결을 위한 전문적인 개입이 우선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이 가정에서 경험하는 위험요인으로 인해 학교생활에 부적응적인 모습을 나타낼 때, 그들을 지원하고 보호하여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지지자원이 교사지지 임을 확인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주제어 : 청소년, 학대피해경험, 부적응도식, 자아탄력성, 또래지지, 교사지지, 지역사회자본, 매개효과, 조절효과, 매개된 조절효과 This study was wan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experiences of abuse victims experienced by adolescents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aladaptive schema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formed by the abuse victim experience. In addition, I tri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the protective factors that control the school life maladjustment in the path from the abuse victim experience to school life maladjustment via the maladaptation schema. Protective factors were sought to be found i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at is, the ecological system, in which the adolescents are closely interacting. Accordingly, through prior research, micro system ego-resilience, middle system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and macro system community social capital were set as Protective factors to identify their relationship.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50 middle school students in Gyeongsang-do, and the data of 326 students were finally analyzed. As measurement tools, the child abuse scale, maladaptive schema, ego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scale were used. For the questionnair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were performed to analyz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Chronbach's α was calculated to confirm reliability. Correlation was analyz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each variable, and multi-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relative influence. To verify the mediation effect of the maladaptive schema, Process Macro Model No. 4, Process Macro Model No. 1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and Process Macro Model No. 15 to verify the testing mediated moderation were us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nfluence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was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he effects of abuse victim experience, maladaptive Schema, peer support,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on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were in the order of influence, but the influence of ego-resilience and teacher support was not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abuse victim experience and maladaptive schema had a static effect, and peer support and teacher support were found to have a sub effec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maladaptive schema had a main effect based on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between school life maladjustment. Thir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moderating variables Ego-resilience,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ere analyzed.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ego-resilience and teacher support were significant, but peer support and community social capital was not significant. As for the moderating effect between maladaptive Schema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ego-resilience, teacher support, and community capital were significant, but peer support was not significant. Fourth, the testing mediated moderation of ego-resilience and teacher support, which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was verified. Ego-resilience controlled the effect of abuse victim experience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but did not control the effect of the main effect of maladaptive schema on abuse victim experience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so the testing mediated moderation was not confirmed.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support had a moderating effect between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at the same time, had a partially testing mediated moderation, regulating the main effect of the maladaptive schema caused by the abuse victim experience on school life maladjust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e discussion, it was found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dolescents' school life maladjustment is the abuse victim experience, and the abuse victim experience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maladaptive schema.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most powerful factor influencing adolescents who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chool life maladjustment due to their abuse victim experience is teacher support. If adolescents are in a crisis of being pessimistic about themselves, the world, and the future due to their abuse victim experience, and showing school life maladjustment, it can be seen that the attention of the closest teacher other than their parents and professional intervention to solve the problem should be prioritized. Therefo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und the most effective support resources to support and protect adolescents when they are maladapted to school life due to risk factors experienced at home and to support healthy growth. Key words : Adolescents, Abuse Victim Experience, Maladaptive Schema, Ego-resilience,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Community Social Capital,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Testing Mediated Moderation

      •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 비교 연구 : 중국 근대사 서술 내용을 중심으로

        임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21세기를 맞아 탈냉전이라는 세계사적 변혁의 영향으로 급격한 변화를 거듭하고 있으며 한반도는 지금 통일문제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고양되어 통일이 실현 가능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국제정세의 변화와 한반도 내외의 상황변화를 고려해 우리는 통일을 대비한 통일교육의 모색과 교육제도 정비 및 남과 북이 서로 이해하고 화합할 수 있는 합리적인 교육방안들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 북한교육에 관한 연구는 1980년대 이후 다각도로 이루어져 왔다. 특히 북한의 교육과정, 이데올로기교육과 관련이 있는 국어, 역사, 도덕과목의 연구는 타교과목에 비해 진전되어 왔다. 최근의 남·북한 역사교육에 대한 연구는 남·북한 역사인식의 차이점을 바탕으로 남·북한 국사교과서에 서술된 내용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기 위한 연구로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경향을 바탕으로 북한의 '세계력사' 교과서를 비교대상으로 남·북한 교과서를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북한과 같은 사회주의체제를 유지하고 있는 중국 근대사에 대한 서술내용을 분석하여 서술상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남·북한 중등학교 교육목표, 교육과정의 일반적 체제를 살펴 남·북한 교육의 이념적 배경을 이해한다. 둘째, 남·북한 중등학교 세계사 교과서 분석을 통해, 교과서 정책비교, 교과서 외형적 체제, 내용구성 체제를 비교 분석하여 그 차이와 특징을 알아본다. 셋째, 위와 같은 목적을 보다 분명히 밝히기 위하여 서술내용을 분석, 남·북한 세계사 중국 근대사부분의 주요 항목내용을 살펴보고 일본 교과서 사례를 비교함으로써 서로의 공통점과 상이점을 밝혀 역사인식의 방법을 알아본다. 비교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북한 세계사 교육목표는 체제유지를 위한 시민형성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 남한은 사회현상의 통합적 인식 문제해결을 통한 개인·국가·인류발전에 기여하는 민주시민으로서의 기본적 자질을 육성하는데 목표를 두고, 북한은 사회주의가 요구하는 시민 즉, 사회와 인민을 위해 투쟁하는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목표를 두고 있다. 남·북한 세계사 교과서의 내용조직은 교육목표의 차이에 기인하여 뚜렷한 차이를 드러낸다. 남한의 학습중점내용은 시대별로 서술하되 문화의 형성과 전파, 수용의 입장이 강화되어 있는 반면 북한의 교과서는 계급투쟁의 입장에서 학습내용이 정해져 있다. 또한 북한을 중심으로 하는 편향된 시각으로 국제관계를 제한적으로 다루고 있어 변화하는 국제관계의 이해를 돕지 못하고 있다. 중국 근대사 서술에 있어서 남한의 교과서는 정치사와 문화사적 관점이 혼합된 문화·사상의 발달과 통치체제의 변화라는 내용을 선정하여 서술하고 있고 북한의 교과서는 중국의 모든 시대적 변화를 지배계급과 피지배계급간의 투쟁의 역사로 인식하고 각 시대별 농민투쟁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런가하면 남·북한 모두는 일본 교과서의 제국주의적 입장 서술형식과 달리 중국의 근대사를 반봉건적, 반제국주의적 성격을 강조하는 공통된 서술방식을 띠고있다. 이는 식민사학에서 제시된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을 극복하고자 하는 방향에서 이루어진 결과로 양측이 공통된 서술형식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남·북한 세계사교과는 교과개념 및 교과내용에서 차이점과 더불어 공통적인 역사인식의 서술형식도 보이고 있다. 앞으로 통일을 대비한 역사과의 세계사 내용이 더 이상 이질화의 길을 걷지 않도록 통일을 대비한 교육제도의 정비, 학회차원의 공동연구를 통한 남·북한 역사교육에 대한 기초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해 본다. Under the 21st century's post Cold War system the drastic change of the world influence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Far East Asia.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is considered as practicable one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social concerns about the unification. For this reason, some rational educational agenda should be prepared to meet the international state and Korean surroundings; the educational system reorganization. the consciousness changeover, and the educational exploration for the unification. Since 1980s, studies for the instruction of North Korea have been carried our in several fields of education. Especially the progresses in the Korean, history, and ethics are notable; these have close connection with the educational course analysis and the ideology training. However, the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They have placed emphasis only on the differences of the history perceptions. Also the study about 'The World History' hasn't been as active as about 'The History'. This study analyzes th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ces in approaches for the modern history of China especially in periods of the socialist state; that is the same establishment as that of North Korea. The detailed studies can be summarized as three. The first is to understand the ideological backgrounds of South and North Korea from the aims and the systems of the middle school education. The second is to catch the differenc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y textbooks for a world history from analysis of the policy issues, the outward structural appearances, and the contents system. The last is to compare the history awareness in textbooks especially for the modern China.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are like this. The educational aim of a world history is brought up the citizens to maintain the social system not only North Korea but also South Korea. South Korea focuses on fostering the basic requirements for the democratic citizen. North Korea aims training revolutionists required to struggle for their nation and people. The structure of history textbook shows considerabl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se educational philosophies. The main focus of South Korea lies on the description with the times and the sequences of the culture; generation, propagation, and adoption. By comparison, the North Korea interest on the class struggle. The North Korea centered view also gives a constrained coverage to the international affairs. This is then good for nothing in the international dynamics. In describing the modern China, South Korea's two main topics are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the change of the government system in a view of political and cultural way. Otherwise, the North Korea considers all historical change as the results of struggle between the ruling and the ruled classes. So the main topic is the fight of the peasants. South Korea's attitude for describing history of modern china is in accord with North Korea's in some points ; emphasizing anti-feudal and anti-imperialistic features. This means there are common efforts to overcome the heteronomy and stagnation based on the colonial history. Conclusively, this study show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ommon consciousness although there are more differences than analogies in the textbooks of south and North Korea. Additionally these efforts figure out many understandings of the ideological background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 active progress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basic research on the history edu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This can help to restore homogeneity in history awareness and to prepare the post-unification.

      • 줄기 세포의 분화를 조절하는 새로운 인자들의 규명 및 기능 연구

        임세영 포항공과대학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Stem cells are an attractive model not only for investigating molecular mechanisms of cell growth and differentiation under normal and pathological conditions but also for use in cell-based therapies for regenerative medicine. To maintain homeostasis, a precise balance between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of stem cells is essential. Loss of this balance tends to uncontrolled cell growth or pre-maturation and thus results in cancers or tissue defects. In this respect, the identification of molecules that control stem cell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s crucial for future therapeutic applications in regenerative medicine. However, although the significance of factors that regulate homeostasis between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many of factors have not been identified yet. Therefore, I have tried to identify the novel factors which are involved in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and mouse embryonic stem cells. First, I demonstrated the novel role of glucosylceramide synthase (GCS) as a regulator on adipogenesis and osteogenesis in human adipose tissue-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hAMSCs). GCS is the key enzyme that catalyzes the transfer of glucose to ceramide in glycosphingolipid biosynthesis. GCS has been implicated in many biological phenomena, including brain maturation, multidrug resistance in cancer and insulin resistance in diabetes.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roles of GCS in stem cell differentiation. Here, I observed that the mRNA and protein levels of GCS were increased during adipogenesis in hAMSCs. To examine the role of GCS in adipocyte differentiation, I treated cells with D, L-threo-1-phenyl-2-decanoylamino-3-morpholino-1-propanol (PDMP), an inhibitor of GCS, during adipogenesis. PDMP suppressed lipid droplet formation and the expression of adipocyte-specific markers such as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gamma (PPAR-γ) and CCAAT/Enhancer binding protein-alpha (C/EBP-α). Knockdown of GCS also inhibited lipid accumulation and downregulated adipocyte-specific markers. At the molecular level, overexpression of GCS increased PPAR-γ activity, an essential transcriptional factor for adipogenesis, and exogenous treatment with glycosphingolipids, metabolites of GCS, also enhanced PPAR-γ activity. Interestingly, I found that knockdown of GCS promotes osteogenesis. These data reveal an important role for GCS as a differentiation regulator between adipogenesis and osteogenesis. Second, I suggested the effect of ochratoxin A (OTA), one of fungi metabolites, on adipogenesis in hAMSCs. OTA is a ubiquitous fungal metabolite with nephrotoxic, carcinogenic and apoptotic potential. Although the toxic effects of OTA in various cell types are well characterized, it is not known whether OTA has an effect on stem cell differentiation. In this study, I demonstrate that OTA inhibits adipogenesis in hAMSCs, as indicated by decreased accumulation of intracellular lipid droplets. Furthermore, OTA significantly reduces the expression of adipocyte-specific markers, including PPAR-γ, C/EBP-α, lipoprotein lipase (LPL) and aP2. At the molecular level, OTA phosphorylates PPAR-γ through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1/2 (ERK1/2) activation and inhibits PPAR-γ activity. I also found that treatment with the MEK inhibitor, PD98059, significantly blocked the OTA-induced inhibition of adipogenesi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OTA suppresses adipogenesis in an ERK1/2-dependent manner. Taken together, our results suggest a novel effect of OTA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hAMSCs and the possibility that OTA might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other types of stem cells. Third, I proved that lysophosphatidic acid (LPA) controls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 mouse embryonic stem cells (mES cells). LPA involves various cellular events such as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migration. However, very little is known about the presence of LPA receptors and the roles of LPA in ES cells. Here, I investigated the effect of LPA on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 mES cells. Undifferentiated mES cells expressed six LPA receptor subtypes (LPA1-6) and activation of these receptors increased [Ca+2] i mobilization and activated Akt and ERK1/2. I found that LPA suppressed self-renewal of mES cells in vitro even in the presence of LIF. The expression levels of undifferentiated markers, such as Oct3/4 and Nanog were also reduced by LPA treatment. Furthermore, RT-PCR analysis and pharmacological study showed that LPA induces the differentiation of mES cells into endoderm and mesoderm lineage through Gαi/o-ERK1/2 pathway. Taken together, this study demonstrates the novel role of LPA on self-renewal and differentiation in mES cells. In conclusion, I identified several molecules to modulate stem cell differentiation. These finding provide the better understanding about the regulation mechanisms on stem cell differentiation and self-renewal.

      • 집단 난화 상호 이야기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임세영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 난 화 상호 이야기 법이 저소득층 가정 아동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P시에 소재한 C복지관과 H지역아동센터에 성인의 보호 없이 방치되는 초등학생을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부모의 안정된 사회활동을 지원하는 방과 후 교실에 다니는 저소득층 가정의 1∼3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정서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정서지능점수 총점 84점인 질문지의 42점 이하 낮은 순서로 30명을 무선 할당하여 실험집단 12명과 통제집단 12명의 아동을 무선 표집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10년 5월부터 2010년 8월까지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척도의 사전평균과 사후 평균을 종속 변수로 하고, 집단을 모 수 요인 한 반복측정 변량분석 (Repeated Measure ANOVA)를 실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난 화 상호 이야기 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집단 난 화 상호 이야기 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의 하위영역인 감정이입, 정서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집단 난 화 상호 이야기 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전반적인 정서지능과 하위영역인 감정이입, 정서조절 척도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보아, 본 연구에서 실시한 집단 난 화 상호 이야기 법이 저소득층 아동의 정서지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Group MSS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the low-income families. The objects belong to 'after-school class' of C welfare facility and H child-care center located in city of P which are for supporting parent's stable social activities and preventing children from being left alone without any proper protection from adults. 30 of Children, who are 1st to 3rd graders, who scored below 42 out of 84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re selected in ascending order. They a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experimental and controlled group and each consists of randomly selected 12 children. This program was conducted from MAY 2010 to AUG 2010, once a week with 90 minutes of each session, and total 12 week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rogram, pre-average and post-average of each scale were set as dependent variable. Also, 'Repeated Measure ANOVA' was conducted to the group.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positive effect of Group MSSM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the low-income families. Second, Group MSSM had positive effects for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which are lower-division of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shows us the significant effects of Group MSSM on overall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lower-division such as empathy and emotional regulation, we can conclude that Group MSSM has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in low-income families.

      •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모델 개발 연구 : 광역시.도를 중심으로

        임세영 목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민교육의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서 광역시·도 단위에서 새로운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를 제안하는 연구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12개 광역시·도별 민주시민교육 조례, 운영 체계, 민주시민교육위원회를 중심으로 현황을 분석하고 외국의 민주시민교육의 체계를 살펴보았다. 특히 광역시·도별 거버넌스 분석을 통해 조례가 제정된 12개 광역시·도의 거버넌스 역량을 경험적으로 측정하였다. 광역시·도의 비교·대조를 통해서 광역시·도의 민주시민교육 추진을 위한 새로운 거버넌스의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조금 더 부연 설명을 하면, 협력적 거버넌스를 분석하는 데 있어 제도와 비제도적 역량에 따라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제도적인 요소로는 네트워크(운영 형태, 예산액, 운영 인원, 위원회 민간 비율), 정보 공유 및 의사소통(회의 개최, 위원회 민간 위촉 여부, 구성 위원 수, 민간 위탁 내용 포함 여부), 정책 결정과 책임(위원회의 기능, 종합 계획)을 들고, 비제도적 요소로는 신뢰[위원회의 신뢰 정도, 위원회 간여 수준(영향력 정도), 지자체장의 의지, 지속 정도], 협동(협력)(회의 자료 공개 여부, 회의 자료 공개 건수)을 들었다. 협력지표별로 12개 시·도를 분류하고 이를 점수 조작화하여 4분면 포지셔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로 먼저, 상위 그룹(A그룹), 중간 그룹(B그룹), 하위 그룹(C그룹) 등 3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제도의 비제도적 요소 사이에 불균형 그룹이 존재함을 인식하였다. 특히 충청남도는 B그룹으로 분류는 되지만 통계학적으로 예외적 (Outlier)인 경우에 해당된다. A와 B그룹 사이에 위치하며, 네트워크 지표가 매우 낮았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경우 상위 그룹에 비해 네트워크 관련 지표가 매우 낮게 나왔다. 이는 광역시·도 평생교육진흥원을 통한 중간지원조직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운영하고 있지만, 예산이나 운영 인원 면에서 낮은 점수를 받고 있어 민주시민교육이 평생교육 차원에서 추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광역시·도에서 점차 확대 운영되고 있는 현재의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를 과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에 기초하여 협력적 거버넌스의 성공 요인과 과정 구축의 이론적 모형을 변용 적용하여 민주시민교육의 거버넌스 모델 구축을 위한 모델과 민주시민교육의 구성 요소별·단계별 구축을 위한 제언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이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거버넌스를 구성하는 6대 요소를 제안한다. ① 민주시민교육 조례 제‧개정 방안, ② 민주시민교육 중장기 계획 수립 방안, ③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위원회(시민교육위원회) 구성 방안, ④ 민주시민교육 민간네트워크 구성 방안, ⑤ 민주시민교육 민·관·학 기관협의회 운영 방안, ⑥ 민주시민교육 담당 중간지원조직 운영 방안인 6대 구성요소를 바탕으로 3단계(초기 운영 단계, 조직 확장 단계, 조직 독립화 단계)로 구성된 민주시민교육 거버넌스 성장 단계 모델을 제안하였다.

      •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임세영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sleep of general hospital shift workers to their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nd related factors by making a descriptive correlation research in an effort to provide information on how to relieve the stress of shift workers and improve their job satisfaction.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influence of sleep on the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the hospital shift worker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WIN 22.0 program. Cronbach alpha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and t-test and ANOVA were utiliz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quality of sleep on stress and job satisfacti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don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5.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30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a province.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to May, 2014, and the answer sheets from 209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21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sample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shift workers in five general hospitals in G province. The subjects were 101 male (48.3%) and 108 female (51.7%). As to age, 111 workers(53.1%) were in their 30s and down, and 59 respondents(28.2%) were aged between 31 and 39. 39 workers(18.7%) were at the ages of 40 and up. In education level, 97 respondents(46.4%) were college graduates, and 60 workers(28.7%) were junior college graduates. 31 respondents(14.8%)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21 workers(10.0%) received graduate school education. As for marital status, 148 workers (70.8%) were single who outnumbered the married ones(29.2%) that numbered 61. In relation to the line of work, 142 workers(67.9%) were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and nurses, and 67 respondents(32.1%) were doctors. The most common length of service in the current workplaces was less than a year(74 workers, 35.4%),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53, 25.4%), 10 years or more(33, 15.5%),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32, 15.3%) and 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17, 8.1%). The most common total length of service was less than a year(64 workers, 30.6%), followed by between one and less than three years(47, 22.5%), 10 years or more(36, 17.2%), and between three and less than five years/between five and less than 10 years(31, 14.8%). This finding implied that the new employees joined the general hospitals at the beginning of the year. In relation to turnover experience, 142 workers (67.9%) replied they had turnover experience, and 67 workers(32;1%) replied they had not. As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 pattern of work, 115 respondents(55.0%) answered, "So-so." 54 workers(25.8%) were satisfied, and 40 workers(19.1%) were unsatisfied. Their favorite pattern of work was three-part double shifts b(84 workers, 40.2%), followed by 24-hour three shifts(49, 23.4%), the others(47, 22.5%), 24-hour shift work(15, 7.2%) and three-part double shifts a(14, 6.7%). 2.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daily duties,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sleeping, difficulty in waking up sleep satisfaction level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which were the sub-factors of the quality of sleep. 3. As a result of analyzing their stress by gener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of physical stress and psychological stress. 4. The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hift workers were analyzed b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eraction, job itself, job requirements, working conditions and pay. 5.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the quality of sleep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tress, the factor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physical stress were post- sleep recovery, difficulty in getting up,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The factors that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sychological stress were daily duties and difficulty in getting up. 6. As a result of mak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ir quality of sleep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post-sleep recovery, difficulty in falling asleep, difficulty in getting up and difficulty in sleep maintenance. 응급의료종사자는 직업의 특성과 과다한 업무량 등으로 야간근무를 포함한 교대근무를 시행함으로써 생체리듬의 역행으로 수면의 질이 낮아지고 그 결과 신체적,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응급의료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도 영향을 미치고 병원 조직과 환자에게도 악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응급의료종사자의 수면의 질과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수면의 질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궁극적으로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스트레스 감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이며 조직의 효율적인 발전 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방법은 2014년 G도에 소재한 종합병원에게 교대근무를 하고 있는 응급의료종사자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의 목적과 설문작성의 유의점을 인식시키고 대상자에게 배포하여 자기평가기입식(self-administered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도구로 수면의 질은 이혜련(2005)이 개발한 수면의 질 측정도구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스트레스는 박순영(1999)이 개발하고 김혜자(2001)가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Slavitt(1978)등이 개발한 “The index of Work Satisfaction”을 번역하여 김순심과 권혜란(2002)이 사용한 도구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ndow용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일반적 특성은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으며, Duncan의 사후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또한 수면의 질, 스트레스,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수면의 질의 하위요인인 일상 업무, 수면 후 회복, 잠들기 어려움, 일어나기 어려움, 수면 만족도, 수면 유지의 어려움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적 스트레스와 심리적 스트레스 모두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교대근무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직무만족도의 하위요인인 상호작용, 직무자체, 업무요구도, 근무여건, 보수에 있어서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교대근무자들의 수면의 질을 높이고 스트레스를 줄이며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수면의 질을 높이기 위해 야간 근무 중에 휴식 시간과 휴식 공간 마련, 기숙사 제공, 교대근무 형태에 따라 방 배정, 암막커튼 설치 및 방음 처리 등이 마련되어야 한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병원 내 혹은 기숙사 내에 여가 생활을 즐길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사내 동호회 활성화, 병원 내에 직원대상으로 상담소 운영, 대인관계에서 적극적인 소통을 할 수 있게 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용이하게 해 준다. 응급의료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근무 형태 및 업무시간, 적절한 인력배치 등을 조정하고 병원 내 응급의료종사자의 불만요인을 파악하여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할 것이다. 따라서 그들의 수면의 질을 향상시켜서 스트레스 해소와 직무만족도를 높여 환자들에게 질 높은 진료에 이바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고 더 나아가 병원에도 크게 공헌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