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복 대여업체의 현황과 전망에 관한 연구

        임경화(Lim kyoung-hwa),강순제(Kang soon-che) 한복문화학회 2001 韓服文化 Vol.4 No.3

        Korea in t998 was in circumstances of the IMF. In addition, Korean economy was rapidly gone down. At that time, most of companies that product the Han-Bok started to rent the Han-Bok to people, and they have continually been growing t 998 to the present. In a purpose of this study We will, first. analyze companies to rent the Han-Bok and, second, totally understand a situation of these companies, and then, finally, make many people wear the Han-Bok. our data were gained through 32 the Han-Bok companies in region of Seoul and Kyoung-ki. Through our data we achieved a result that most of the Han-Bok companies had 100 to 700 pairs of the Han-Bok. They product women's, men's and children's clothing, but a main item is women's clothing. They have different sizes of the Han-Bok but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tudy, they are not systematized. Many customers wear the Han-Bok when they have a special day: the 60th birthday anniversary, the 70th birthday anniversary and the marriage, etc. These companies have used advertisement for recruiting many customers. They use Internet and local newspapers, etc for advertisement. When they rent the Han-Bok, they have some big problems: productions of various Han-Bok styles, damage of the Han-Bok and marketing for recruiting customers. A device for increasing renting companies is employers positively endeavor strategy of marketing and set up a new unity between different sizes of companies. Moreover, customers should need to break a stereotype of rent.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help the Han-Bok companies and many people to use the renting Han-Bok.,

      • KCI등재
      • KCI등재

        동아시아 "계급연대론"의 기원 -고토쿠 슈스이의 직접행동론과 민족문제-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1 人文論叢 Vol.66 No.-

        Shusui Kotoku was a Japanese socialist of the 1900s. He was influenced by the 1905 Russian Revolution and also experienced oppression by the national authority. He became disillusioned with a socialist movement based on parliamentary politics and came to embrace direct action, recreating himself as an anarchist by discarding the frameworks of state and nation. Through this ideological transformation, he embraced the proletariat class as an agent of revolution and Asia as a whole. Projecting the revolutionary conditions of Russia upon Asia, including China, Kotoku became convinced that the class solidarity of Asia would strengthen the revolutionary movement. However, his strategy failed without much support. But its importance cannot be ignored. This article analyses how Kotoku recognized the national problem after he came to embrace direct action as the basis of revolutionary ideology in his contemporary context and explains his class solidarity strategy and his relevance today.

      • KCI등재

        러일전쟁 전후 일본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人文論叢 Vol.72 No.2

        러시아와 일본은 모두 비서구 후발자본주의국가로서 강력한 군국주의에 기반한 대외팽창정책을 추진하여 사회 모순을 극복하고자 했다. 따라서 서구 문명을 비판하고 군국주의에 저항했던 톨스토이의 사상은 특히 러일전쟁을 전후한 시기에 양국의 혁명가들에게 다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중에는 톨스토이 사상에 심각한 모순을 느끼고 대치하면서 그것을 디딤돌로 삼아 무정부주의로 향한 고토쿠 슈스이 등과, 톨스토이를 발판으로 삼아 레닌주의를 심화시켜 갔던 레닌이 있다. 고토쿠 등은 일본의 초창기 사회주의운동을 대표했고, 레닌은 소련사회에 톨스토이를 기념하는 근거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양국 혁명가들의 톨스토이 전유 방식의 전형을 읽어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동시대에 전개된 레닌의 톨스토이 비판을 염두에 두면서, 일본 초기 사회주의자들의 톨스토이 수용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사회주의운동 초기 일본에서 톨스토이의 절대평화주의에 기초한 친사회주의적 주장은 합법 정당을 추구했던 사회당 이미지 구축에 유효했다. 이들은 비전론을 주장하면서 톨스토이와 동일시되기도 했다. 하지만, 러일전쟁에 대한 톨스토이의 비판이 일본에 소개되자, 그들은 개인적인 종교성의 회복에 기초한 사회의 근본 개조를 주장하는 톨스토이의 주장이 사회체제의 변혁에 기초한 정의의 실현에는 심각한 한계를 지녔다고 보았다. 이 인식은 레닌에게도 보였다. 또한 러시아혁명을 거친 후로는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 대해서도 비판이 가해졌다. 이것은 고토쿠 그룹이 혁명을 경험하면서 무정부공산주의와 직접행동으로 사상적 전환을 이루는 흐름과 연동되어 있었다. 레닌도 러시아혁명패배의 최대 원인을 톨스토이의 무저항주의에서 찾았다. 그러면서도,톨스토이의 사상에는 전형적인 농민혁명가로서의 부정적인 면과 함께, 착취 없는 사회주의적 사회를 창조하려는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보고,후자에서 톨스토이의 역사적 의의를 찾으려 했다. 하지만, 일본에서는 대역사건으로 혁명가들에 대한 혹독한 탄압이 가해져 톨스토이주의의 급진적인 부분의 수용도 종언을 고했다. In this article, I will shed light on the reception of Tolstoy by Japan``s early socialists while having in my mind the chronologically overlapping criticisms against Tolstoy made by Lenin. At the early stage of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ist movement in Japan, Tolstoy``s seemingly pro-socialist stance based on absolute pacifism was instrumental in making the image of a socialist party striving to obtain the opportunities for legal activity. The socialist anti-war position was also seen as "Tolstoyist". However, as soon as Tolstoy``s criticisms of the Russo-Japanese War became known in Japan, the local socialists could not help sensing serious limitations in the possibilities for the realization of basic societal reforms and social justice inside the Tolstoyist framework of society``s rebuilding based on the revival of personal religiosity. The same skeptical attitude can be seen in Lenin``s criticism of Tolstoy. Following the course of Russia``s 1905-07 revolution, Tolstoy``s "non-resistance" became a target of criticisms as well. Concomitantly, Kotoku``s group evolved into anarchists following the Russian revolutionary events, and embraced anarchic communism and the method of direct actions. Lenin, at the same historical moment, found a reason for the 1905-07 Revolution’s defeat in the peasant “non-resistance” articulated by Tolstoy. However, Lenin also found that “Tolstoyism”, together with negative features typical for peasant dissenters, exhibited such a positive quality as willingness to build a socialist society free from exploitation. The latter was to be considered to be Tolstoy’s historical contribution. In Japan, however, as revolutionaries were cruelly suppressed during and after the “High Treason” trials of 1911, Tolstoy’s radicalism was now to be hidden away from the public’s eyes.

      • KCI등재

        향가의 근대: 향가가 ‘국문학’으로 탄생하기까지

        임경화 ( Lim Kyoung-hwa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2007 한국문학연구 Vol.0 No.32

        본고는 신라의 가요인 향가가 근대 식민지기의 해독작업을 거쳐 ‘국문’으로 된 텍스트로서 발견되고 이윽고 ‘국문학’의 최초의 開花로 간주되기에 이른 경위에 대해서 상세히 추적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향가의 書記방식인 借字표기법은 전통적으로 한문의 규범성을 일탈한 비한문적 표기로서 어디까지나 정격한문의 보조수단으로 간주되었다. 따라서 그것을 ‘국문’으로 받아들이기 위해서는 향가의 문자열 너머에 음성언어로서의 ‘국어’를 상상하여 한자 자체는 그 ‘국어’를 단순히 반영한 표기수단에 지나지 않은 것으로 소외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 근대조선어에서도 정격한문을 정점으로 한 기존의 표기법들의 위계질서가 심각한 동요를 맞이하여, 한자·한문에 대한 타자화가 진전되었다. 그런데 그 재배치가 완료되기도 전에 일본인학자들에 의하여 향가가 ‘조선문’으로 발견되고 그 가치가 논구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것은 그들이 일찍이 한자·한문에 대한 타자화의 경험을 갖고 借字표기로부터 고유 일본어를 복원한 전통을 그대로 향가에 대입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들은 조선의 식민지화라는 정치적인 동향을 계기로 조선어에 대한 비교언어적인 관심을 가졌으며, 그들의 고대조선어에 대한 관심이 향가라는 텍스트 자체의 발견과 그 가치의 발견을 견인하였다. 이러한 유산은 언어학자 小倉進平에게 계승되어 향가 전편에 걸친 ‘신라어’로의 복원을 가능케 했다. 한편, 같은 시기에 土田杏村도 향가의 형식을 문제 삼아 그 문학적인 가치를 논하였다. 이렇게 향가를 둘러싼 다양한 가치의 발견과 풍요로운 논의의 전개는 이윽고 조선인 연구자들에게 계승되어 더욱더 과학적이고 체계적으로 발전한다. 예를 들면 양주동은 향가의 어학적 해석을 더욱더 철저히 추구했으며, 조윤제는 향가를 ‘국문학’ 속에 자리매김하고 거기에 ‘국문의 문학’으로서의 가치와 ‘국민의 문학’으로서의 가치를 동시에 부여하였다. 이로써 ‘국어’와 ‘국문학’의 기원으로서의 향가의 근대지향적인 가치의 발견이 일단 완성되었다. 이것은 일본의 연구자들의 발견과 대비하여 ‘진정한’ 발견이라고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발견과 진정한 발견 사이에 절대적인 단절은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국어학사’나 ‘국문학사’의 기술 속에서 종종 발견에 관여한 모든 사정들은 축소 혹은 은폐되었다. 본 논문은 그 일단을 드러낸 것이기도 하다. 하지만 향가의 발견을 둘러싸고 보다 본질적으로 문제시해야 하는 것은 발견의 전 과정에서 향가는 정말로 ‘국문’인가라는 의문이 전혀 개재하지 않았다는 사실이다. 향가가 ‘국문’이라는 관점은 애초에 일본의 국어표기사의 문맥을 그대로 대입함으로써 도출된 것이었다. 그러나 借字표기와는 전혀 다른 표음문자체계를 출현시킨 조선이 일본의 표기사의 전통과 다르다는 것은 명확하다. 우리는 향가의 借字표기를 한글의 표기체계와는 전혀 이질적인 한문이라는 書記언어의 응용으로 파악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 그것은 한자·한문과의 대비 속에서 자기동일성을 확립한 국어사의 범주를 뛰어넘는 일임에 틀림없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osely examine the process by which Shilla's songs, or hyangga, came to be discovered as vernacular texts written in the “national script.” The discovery followed the work of active deciphering that went 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gave rise, in turn, to the establishment in Korean literary histories of hyangga as the first accomplished examples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Hyangga was transcribed using an orthography which borrows Chinese ideographs for their phonetic value. Traditionally, this system of transcription was considered strictly auxiliary since it deviated from the proper norms guiding writing in literary Chinese. This meant that in order to accept this orthography as an example of the “national script,” a phonographic “national language” had to be imagined beyond the actual Chinese ideographs through which hyangga was transmitted. Such an imagination excluded the existing orthography itself as no more than the transparent medium that simply reflected the “national language.” In the early modern period, the existing hierarchy in Korean was greatly disturbed, and the process of othering Chinese script and writing had the effect of dethroning formal literary Chinese from its privileged position at the top. Before this process of rearrangement was concluded autonomously, however, hyangga was discovered by Japanese scholars as a form of “Korean writing,” and its value began to be discussed. With an early experience in othering Chinese script and writing, Japanese scholars applied wholesale their own tradition of rescuing the vernacular from borrowed orthography to the study of hyangga. With the political context of Korea's colonization serving as the occasion, these Japanese scholars took interest in the Korean language from the perspective comparative linguistics, and their interest in ancient Korean led to the discovery hyangga both as text and as expression of national language. Within such a legacy, the linguist Ogura Shinpei sought to reconstruct Shilla’s language from the entire corpus of hyangga. At around the same time, Tsuchida Kyoson also focused on the form of hyangga and discussed its literary merit. The attribution of various values to hyangga and the ensuing abundance of discussion drew Korean scholars into the field as well, and their studies introduced a greater degree of scientificity and systematicity to the discussion. For example, Yang Judong attempted a more thorough interpretation of hyangga from a linguistic perspective, while Jo Yunje placed hyangga within the rubric of “national literature,” endowing it with value both as “literature written in the national language” and “literature of the people of the nation.” The two scholars’ endeavors completed the initial discovery of hyangga as the origin of “national language” and “national literature,” with a particularly modernistic twist. In Korean scholarship, this discovery has been considered “genuine,” as opposed to mere discovery by Japanese scholars. Between discovery and genuine discovery, however, there is no absolute break. This may be the reason why matters relating to the phenomenon of discovery often underwent diminution or active concealment within histories of Korean national language or Korean national literature. This paper has exposed one aspect of that concealment. What really needs to be addressed regarding the discovery of hyangga, however, is the lack of skepticism regarding the applicability of the question of “national language” to hyangga.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equation of hyangga with national script was a result of substituting the historical context of national orthography as developed in Japan with Korea's, thereby eliding the uniqueness of the Korean situation. Korea, which invented a phonography entirely different from borrowed transcription system, lies within a tradition different from Japan’s history of orthography. We must therefore begin our inquiry by understanding transcription of hyangga as an application of written language that is entirely different from the system of phonography. Such an approach transcends the parameters of the history of national language, a history which consolidates the self-identity of national language by differentiating it from Chinese script and writing.

      • KCI등재

        그곳에서는 모두가 노래를 불렀다 : 일본 민중가요 운동의 루트로서의 소련 체험

        임경화 ( Lim Kyoung-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0

        일본의 패전으로 <기미가요>나 군가 등이 사라지고, 그때까지 배제되었던 ‘귀축미영(鬼畜米英)’의 음악이 ‘민주화’를 추진하는 ‘점령군’의 점령정책의 청각적인 상징으로서 재빨리 부활하였다. 또한 중일전쟁 이후에 퇴폐성이나 외설성 등이 문제가 되어 엄격한 검열 하에 있었던 유행가도 거의 전쟁 전과 다름없는 진용으로 부활했다. 그런데 그 음악들에 섞여 패전을 기해 국가의 혹독한 탄압을 받았던 프롤레타리아 음악운동도 부활하여 이윽고 우타고에 운동으로 개화한다. 그런데 미소냉전의 격화로 ‘점령군’의 대일 점령정책이 ‘반공기지국가화’로 전환됨에 따라 탄압에 직면한 우타고에 운동은 점령군에 의한 ‘식민지 문화’로서의 유행가 등에 대항하여 전후의 목소리를 둘러싼 항쟁을 본격화해 간다. 이 글에서는 점령군의 ‘식민지 문화’에 대항하는 것으로서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기초한 ‘선진적’ 소련 음악문화의 체현자로서 우타고에 운동 초창기 목소리의 항쟁의 중심에 있었던 구 일본군 시베리아 억류자들의 활동에 초점을 맞춰 그들이 우타고에 운동에 초래한 영향과 한계에 대해 검토했다. 시베리아 억류자들은 소련에서의 이문화 체험을 통해 전문가와 민중을 종으로 잇고 민중과 민중을 횡으로 잇는 인민적 음악문화를 우타고에 운동에 이식하는 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그것은 그들이 전시하 국민총동원체제의 극단적 수행자로서의 군인들이었다는 사실에 규정받은 ‘아래로부터’의 강한 국민문화에의 지향을 보이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이윽고 소련의 ‘선진 문화’ 체현자로서의 그들의 존재마저도 지워 버리고 ‘같은 일본 국민’ 속에 녹여 버렸다. With Japan’s defeat in the war, the Kimigayo (national anthem) and military songs quickly disappeared, and western music that had been eliminated from the public sphere was quickly retrieved as an auditory symbol of the “occupation forces” that were promoting “democracy.” In addition, popular songs that were strictly censored after the Sino-Japanese War for their decadence or lewdness quickly returned to their pre-war popularity. In addition to such music, however, the proletarian music movement that had been severely repressed before the war was also resurrected and developed into the Utagoe Movement. However, as the U.S.-Soviet cold war heated up, occupation policy included transforming Japan into a “bastion of anti-communism” and this led to new repression of the Utagoe Movement that, in turn, resulted in the Movement rapidly transforming into a post-war resistance movement to the popular music that represented the “colonial culture” of the occupation forces. This paper explores the influence of Soviet music on the antiestablishment Utagoe Movement in Japan. Soviet music was introduced into the movement by soldiers of the Kwantung Army who had the national mobilization upon their return from detention camps in Siberia where they came into contact with Soviet culture. If I jump right to the conclusion, the Utagoe Movement was a form of resistance to the “colonial culture” of the U.S. occupation forces after the war and had a strong “from the bottom up” national cultural consciousness. This wa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the returning prisoners of war who were trained in military discipline had absorbed this musical culture based on Soviet socialist realism as a form of bottom up totalitarianism. The all-out-war culture that continued even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brings to light the complicated issue of identity politics in Japanese society. The Siberian returnee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ransplanting what they had experienced in the Soviet Union to the Utagoe Movement: a people’s music culture formed through a vertical, or top down, linkage between professional musicians and common people, and a horizontal connection among the common folk. However, the powerful “from the bottom up” national culture must be seen in light of these men’s experiences as soldiers who dutifully participated in the total mobilization policy during the war. And, in the end, the existence of these men that had experienced the “advanced culture” of the Soviet Union was erased and they each were once again reabsorbed as “one of the Japanese people.”

      • KCI등재

        일반논문 : 목소리로 쇄신되는 "조선"; 1945~1955년의 일본 좌파운동과 조선 이미지

        임경화 ( Kyoung Hwa Lim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13 翰林日本學 Vol.0 No.22

        本稿は、敗戰後國際共産主義運動之連動しながら反米民族獨立を目刺し日本共産黨之左派在日朝鮮人の間で展開された共?の中で、植民地期に形成された朝鮮のイメ?ジがいかに刷新されていったかを考察したものである。 戰前から?莊や?取の中で沈?を?いられた?爭の主體たちは敗戰/解放之之もに聲を噴出させながら前後の社會運動を押し進めており、これらの共?はよく聲の交流之して表象されるようになった。日本語で交流する在日朝鮮人たちは日本社會におけるマイノリティ?之してではなく、朝鮮民族を代表し代弁する存在である之同時に、朝鮮之日本の民族的連?を象?する革命運動の結節點之して認識された。本稿では?者の具體的な交流之して、朝鮮民族之いうサバ兒タンの聲に耳を?まそう之した前後日本史學界の國民的?史學運動の試みやその周?で繰り廣げられたうたごえ運動を含む多?な民衆文化運動などに注目し、?爭の主體たちの聲の交流に裏付けられた運動が植民史?に規定された?來の朝鮮イメ?ジを民族抵抗史中心に切り替えるのに多大な影響を及ぼした點を?括的に確認した。しかし、?者の共?は失敗に終わり、日本共産黨は植民地主義を溫存させ?けている日本民族を受け入れ、在日朝鮮人たちは北朝鮮志向の排他的なナショナリズムを?めるようになる之、この共?も舊宗主國之舊植民地民族間の支配?屬の構?の中で日本社會內におけるマジョリティ之マイノリティの共?へ之次第にその性格を?えていった之みられる。 This paper explores how the Korean images formed during the colonial Korea were reconstructed in the joint struggle by the Japanese Communist Party and Koreans in Japan for their independence from USA, linked to the international communist movement. The both groups who had been in charge of the struggle and also who had been shut up forcibly and exploited before World War Ⅱ promoted the post-war/postliberation social movements, raising their voices. Thus their joint struggles has been represented by the interchange by the voices. Koreans in Japan who interchanged in Japanese were recognized as a node of the East Asian revolution to symbolize the transnational solidarity between Korea and Japan, not the minority in the Japanese society. Focusing on the movement of re-nationalizing Japanese history, utagoe movement and other popular cultures developed by both of them in 1945 to 1955, this study offers a schematic outline on the process of replacing conventional Korean images represented by historical perspective of colonization with ones of national resistance by writing down the voices of the subaltern of Koreans in Japan.

      • KCI등재

        통합하는 민요, 저항하는 민요 : 남북한의 ‘민요’ 개념 차이에 관한 고찰

        임경화 ( Lim Kyoung-hwa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한국학연구 Vol.0 No.24

        일반적으로 선조대대로 불려온 민족의 가요를 의미하는 한국의 ‘민요’는, 대내적으로 민족을 통합하고 대외적으로 외세에 저항하는 기능을 가지며 민족적 정체성 확립을 모색하는 다양한 시도들을 정서적으로 뒷받침해 왔다. 하지만, 남북한에서 공유되고 있는 ‘민요’에 대한 이와 같은 통념은 근대 이후의 ‘민요’를 둘러싼 담론화 과정을 통해서 구축된 것인데, 그 수용방식은 실은 남북한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식민지시기에 종주국 일본을 통해서 도입된 ‘민요’ 담론은, 전통문화를 보존하는 것으로서의 통시적 가치와 현재나 장래의 민족문화를 낳을 재료로서의 공시적 가치의 두 축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해방 이후 남한에서 전통문화를 체현한 것으로서의 ‘향토민요’가 중시되어 그 연구 및 수집에 치중한 것에 비해, 북한은 ‘통속민요’나 ‘신민요’ 등의 대중적인 민요의 선율을 살리고 사회주의적 국가건설과 같은 자국의 정치방침에 부합하는 내용을 담은 ‘창작민요’를 강조해 왔다. 이것은 통시적 가치와 공시적 가치가 함께 중시된 ‘민요’의 의의가 남북한 모두에서 그 균형을 잃고 있는 것을 말한다. 또한, ‘민요’는 남북한 모두에서 저항성이나 재야성, 민중성을 상실한 대신에, 민족의 전통이라는 이름 아래 민족을 잇는 심벌로서 정책적으로 보호되고 있다는 점에서도 ‘민요’가 양쪽에서 불완전한 상태로 기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민요’를 둘러싼 환상을 분석해 보면, 남북한 모두에서 이미 그 의의도 기능도 절름발이 상태에 놓여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通常、先祖代々に歌い継がれてきた民族の歌謠を意味する韓國の「民謠」は、對內的には民族を統合し、對外的には外勢に抵抗するという機能を持ち、民族的アイデンティティの確立を模索する多樣な試みを情緖的に支えて來た。しかし、南北朝鮮で共有されている「民謠」に對するこうした通念は、近代以降の「民謠」をめぐる言說の形成過程において構築されたものであり、その受容方式においては實は南北朝鮮の間でかなりの相違を露呈している。 植民地時代に宗主國日本から導入された「民謠」言說は、傳統文化を保存するものとしての通時的な假値と現在や將來の民族文化を生み出す材料としての共時的な假値という二つの軸で構成されていた。ところが、解放後は、韓國では傳統文化を体現したものとしての「鄕土民謠」が重視されその硏究及び蒐集に重点が置かれたのに對し、北朝鮮では「通俗民謠」や「新民謠」などの大衆的な民謠のメロディーに社會主義的な國家建設のような自國の政治方針に沿った內容を盛り込んだ「創作民謠」が强調されてきた。このことは、通時的な假値と共時的な假値が共に重視されている「民謠」の意義が南北朝鮮でその均衡を失っていることを示している。また、「民謠」は南北朝鮮で共に抵抗性や在野性、民衆性を喪失した代りに、民族の傳統という名の下に民族をつなぐシンボルとして政策的に保護されているという点からも「民謠」が兩方でうまく機能していないことがわかる。 從って、「民謠」をめぐる幻想を分析してみると、南北朝鮮で最早その意義も機能も不全に陥っていることが確認されるのである。

      • KCI등재

        식민지기 `조선문학` 제도화를 둘러싼 접촉지대로서의 `민요` 연구 : 고정옥 졸업논문을 통해 본 경성제대 조선문학 강좌의 성격

        임경화 ( Lim Kyoung-hwa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6 동방학지 Vol.177 No.-

        본고에서는 식민지기 경성제대 `조선문학` 강좌 학생이었던 고정옥이 조선민요를 테마로 1939년에 제출한 졸업논문을 분석했다. 해당 논문은 1920~30년대에 다양하게 전개되었던 조선민요수집 및 연구 성과를 계승하여 종합적으로 완성한 식민지기 조선민요 연구에 관한 가장 충실한 보고서이다. `조선문학` 강좌에서 전개된 교수와 학생들의 조선민요 연구의 현장은, 식민자 교수와 피식민자 학생들 사이의 현저히 비대칭적인 권력 배치속에서 이문화가 충돌하고 경합하는 사회공간으로서의 접촉지대의 의미를 띠었다. 물론 지도교수인 다카하시 도루에게 조선민요라는 연구대상은 식민지 통치학의 하나였고, 이러한 인식은 피식민자인 고정옥에게 수용되었다. 고정옥의 졸업논문의 목표도, 민중들 사이에서 고유한 발달을 거친 민요를 근대의 국민문화로 재구축한 서구와 일본을 이상으로 삼고 전근대 중국문화와의 종속적 관계를 한편에 두면서 일본제국의 질서 속에서 조선민요를 배치하여 그 특성을 규정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그 한편으로 고정옥은 조선민요의 주체로서 민중 중심의 민족을 내세우고 민족문학의 전통을 아래로부터 재구축하려고도 했다. 이것은 고정옥의 조선민요 연구가, 압도적인 권력관계 속에서도 식민자의 담론이 선택적으로 수용되고 변형되어 창조된 접촉지대의 산물임을 말해준다. 서구와 중국의 민요연구에 주목하여 그 비교를 통해 조선민요의 고유성을 규정하고 조선민족이라는 역사적 집단의 전통적 정신이 연면히 계승된 것으로서 조선민요를 상상했던 졸업논문의 틀은 해방 후에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This paper analyzes Ko Chong`ok`s graduation thesis, which was submitted to Keijo Imperial University`s Korean Literature Lecture Course in 1939. Ko Chong`ok`s thesis was the most comprehensive report referring to all pre-existing Korean folk song collections and research both within and outside Korea, and particularly those of his thesis advisor, in 20s-30s colonial Korea. Japanese professors` and Korean students` study of Korean folk songs on Keijo Imperial University`s Korean Literature Lecture course formed a contact zone in which cultures met and clashed with one another in the context of highly asymmetrical power relations. While Professor Takahashi Toru considered this research subject to fall under Japan`s governance policies of Korea, Ko, who was taught by him, regarded it as an opportunity to create an ethno-national literature from below on the basis of “masses” songs, with an eye on precedents in the national cultural movements of Western Europe and Japan. This suggests that Ko`s Korean folk song research is a product of the contact zone in which colonizer`s discourses were selectively accommodated and transformed. The structure of Ko`s graduation thesis - in which he attempted to define the essence of the Korean folk songs through the comparisons with the Western and Chinese folk song research - has been maintained even in his book published after the Liberation.

      • KCI등재

        일반논문 : 오키나와의 아리랑 -미군정기 오키나와의 잔류 조선인들과 남북한

        임경화 ( Kyoung Hwa L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89 No.-

        본고에서는 식민지기부터 오키나와에 거주했다가 패전 이후에도 잔류하게 된 조선인들이 전후 냉전질서 속에서 방치된 후 발견되는 과정을 분석했다. 오키나와에서 미군의 직접통치가 실시되고 20여 년이 지난 후에 이들이 발견된 데에는, 1965년한일협정 이후 이들의 법적 지위를 둘러싼 ‘국가의 논리’가 있었다. 하지만, 한국정부는 이 문제에 대해 초기에는 소극적으로 대처했으나, 오키나와 반환협정 체결 전후로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다. 반환으로 인한 총련의 오키나와 진출에 위기감을 느꼈기 때문이다. 총련은 오키나와에 오자마자 오키나와 전투에서 희생된 조선인에 대한 진상조사에 착수했다. 이 조사는 군대의 논리에 의한 오키나와 전투의 역사화에 대항해서 전개된 오키나와 주민 주체의 전투 기록운동을 계승한 것이었다. 오키나와 주민들은 ‘주민의 논리’에 입각한 오키나와 전투 역사화 과정에서 조선인들을 발견했다. 총련은 이 성과들을 이어 받으면서도 조선인이 주체가 된 오키나와 전투의 실상을 그리려 했다. 그 결과 조사단은 오키나와 전투 준비를 위해 동원되었던 조선인들 중에 패전 이후 미군의 전쟁준비에 동원된 사람들도 있었다는 것을 밝혔다. 조선인들에 대한 일제와 미군의 전쟁범죄를 고발함으로써 오키나와에는 식민지주의가 지속되고 있었음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한국정부와 총련의 잔류 조선인에 대한 인식 차는 남북한의 미군정기 오키나와인식이 반영된 것이기도 했다. 한국은 미군의 오키나와 통치를 적극적으로 지지했고 오키나와에 친미반공 독립국의 형성을 지원하기도 했다. 한편 북한은 제3세계해방운동 속에서 민족 재결합이라는 공동 목표 하에 오키나와의 조국복귀운동과 연대했다. 당시 주민의 다수가 복귀를 희망했으므로 남한은 ‘군대의 논리’에, 북한은 ‘주민의 논리’에 서 있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미군정기의 오키나와에 접근할 수 없었던 총련의 ‘주민의 논리’는 대다수가 민족 해방이 아닌 귀화를 선택했던 잔류 조선인들의 현실에 부합하지 못했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전쟁과 냉전의 틈바구니에서 국가와 역사로부터 망각당한 피해자가 발견되었을 때, 피해자의 존재를 품고 역사 속으로 이끄는 안내자의 논리가 될 수 있었다. This paper aims to analyse how the "leftover" Koreans, who survived the battle of Okinawa and then ended up settling down there, were first left to their own devises and neglected, and then re-discovered. One of the reasons why they were re-discovered 20 years after Okinawa came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US military was the "state logic", to be applied to Okinawa Koreans under the terms of 1965 South Korea-Japan Normalization Agreement. However, in the beginning, the South Korean Government did not show an active interest in Okinawa`s Koreans; it started to do so only after Okinawa`s reversion to Japan was agreed by Japan and USA in 1971. The reason for that was the feeling of crisis, as it was understood that the reversion would allow the pro-North Korean Chosen Soren to move freely into Okinawa. The first thing Soren did on Okinawa was the investigation on the Koreans who died during the battle of Okinawa. This investigation continued the civilians-centred history recording movement which took momentum since the late 1960s as a counterforce to the conventional, military-centred descriptions of the battle of Okinawa. As the movement for re-writing the history with the "residents` logic" put squarely in the centre was booming, the remaining Koreans were discovered on Okinawa. The Soren investigation inherited the successes of this movement, while aiming at creating an alternative image of Okinawa battle, with Koreans being its main subject. It was discovered as a result of the investigation that a number of Koreans mobilized in preparation for war by the imperial Japan, were then re-mobilized again by the US military authorities after the Japanese defeat. The aim of the investigation report was thus to accentuate the persistence of colonialism in Okinawa by denouncing the war crimes committed both by imperial Japan and USA. The difference in the view on the "leftover" Koreans betwee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Soren reflected the divergence of South and North Korean views on the American military-ruled Okinawa.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as positive on US military rule in Okinawa, supporting also the idea of establishing a pro-American, anti-Communist independent state there. By contrast, North Korea solidarized since the mid-1950s with Okinawan reversion movement as a part of the Third World liberation movement, sharing the common aim of national re-union with the Okinawans. From this viewpoint, we can define South Korea`s logic as more military-based, while North Korea`s logic was closer to the wishes of the majority of general population, which supported the reversion. Soren, however, could not operate in US military-dominated Okinawa. Its "residents` logic", in fact, did not fit into the realities of Okinawa-based "leftover" Koreans, who mostly wished to naturalise rather than to participate in a national liberation struggle. Despite such limitations, Soren still managed to play the role of an aid organization in relation to the "leftover" Koreans. On the discovery of these people victimized and forgotten by the states and official history amidst the vicissitudes of the World War and Cold War, it recognized them and offered them assistance and solida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