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패널데이터를 이용한 노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및 연령차에 관한 연구

        이현숙 ( Lee Hyunsook Zin ),염영희 ( Yom Young Hee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2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의 의료 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및 건강성과의 발달궤적, 발달궤적의 상호관계 그리고 발달궤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요인을 파악하고 이들 변수에 대한 연령차를 확인하기 위하여 Andersen의 행동모형에 근거하여 한국의료패널의 2009년부터 2013년 까지 5년 연속으로 설문조사에 참여한 2,267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다변량 잠재성장모형(multivariate latent growth model)을 이용하여 각 변인의 변화와 관련성을 추정하고, 다중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을 통하여 초기노인(young-old)과 후기노인(old-old)집단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입원서비스 이용과 의료비 지출은 선형으로 증가하고 주관적 건강상태 또한 선형으로 나빠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개인 간 격차는 줄어 평준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입원서비스 이용, 의료비 지출 및 주관적 건강상태의 발달궤적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만성질환, 장애유무, 그리고 통증이나 불편감과 같은 필요요인으로 나타났다. 연령별 차이를 살펴보면, 초기노인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입원서비스 이용과 의료비 지출, 주관적 건강상태에 있어 개인 간의 차이가 점차 줄어들어 평준화 경향이 발견되었으나, 후기노인은 입원서비스 이용과 주관적 건강상태의 개인 간 차이가 점차 확대되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medical service utilization, medical expenses and health outcome of elderly people over 65, to identify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to examine the determinants which influence to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these three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s young-old and old-old age groups. Data were drawn from the Korea Health Panel and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2,276 subjects over 65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2009 to 2013. Latent Growth Model (LGM) and Multi-Group Analysis was performed. The utilization of inpatient services and medical expenditure increased and the perceived health status declined over time. The major determinants on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inpatient service utilization, medical expenditure and health status were the needs factors of Andersen`s health behavior model, which were disabled, chronic disease and pain and/or discomfort. In the young-old group, the individuals on the high score of intercept in inpatient service utilization and perceived health status had lower rate of incremental changes of these factors, which mean the gaps of these factors between individuals had been lessened over time. However, the gaps were greater for the old-old age group.

      •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이현숙(HyunSook Zin Lee),송충숙(Chung Sook Song),윤성자(Sung Ja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된 질적연구로서 연구 질문은 ‘비계획적인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은 어떠한가?’이며, 본 연구를 통해서 도출된 실체이론을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경험을 적절하게 할 수 있는 간호학적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일개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1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20년 9월의 한 달간 심층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자료분석은 Corbin과 Strauss(2008)의 근거이론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이에 따른 분석 결과 핵심 범주는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에서 ‘자신의 존재에 가치를 부여하기’였고, ‘예상하지 못한 기관지 내관의 이탈’, ‘초조함’, ‘주위의 도움’, ‘직무수행의 자존감 회복’, ‘문제해결에 대한 자신감 함양’의 6개의 범주가 도출되었고, 18개의 하위 범주, 37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간호대학생의 비계획적 발관에 대한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을 심도 있게 이해하는 근거를 제공하며, 추후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와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simulation education of unplanned attendance of nursing students. Method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10 nursing students attending a university,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month of September 2020. The data analysis used the basis theory method in Corbin & Strauss (2008). As a result of this analysis, the core categories were ‘giving value to one s existence’ in the simulation education experience, and the categories were derived: ‘unexpected deviation from internal organs’, ‘urgent’, ‘help around’, ‘restoration of self-esteem in job performance’ and ‘building confidence in problem solving’. Results In open coding, six categories, 18 subcategories, and 37 concepts were derived. Conclusions It provides a basis for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unplanned experienc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aims to help develop programs that can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the future.

      • KCI등재

        간호사의 세대 차이에 관한 연구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를 중심으로-

        안성미,이현숙,Ahn, Sung Mi,Lee, Hyunsook Zin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0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8 No.9

        본 연구는 간호사 세대별 직업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고,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간호사 256명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간호사 세대별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직무열의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간호사들은 직업생활에서 경제적 보상, 고용안정성과 쾌적한 근무환경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자율성을 포함하는 자유 재량권, 승진기회 그리고 사회적 기여를 상대적으로 덜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세대별 차이에서 Y-세대와 Z-세대는 X-세대에 비해 일의 흥미와 시간적 여유에 높은 가치를 두었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직업가치관의 세부요인은 사회적 기여가, 직업가치관 외 요인으로는 전반적인 건강상태, 업무에 대한 육체적 부담감, 우울로 파악되었다. 세대별 직업가치관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X-세대는 사회적 기여가, Y-세대는 사회적 인정이, Z-세대는 시간적 여유와 자아실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세대별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다양한 세대가 함께 일하는 간호조직에서 효과적인 인적자원관리를 위한 정책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그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enerational difference of work value and job engagement. Total 256 nurses participated in Korea. Analysis of variance(ANOVA)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generational differences of work value and job engagement and factors of work values influencing to job engagement was identifi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Nurses considered financial benefits, job security, and work environment a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autonomy, possibilities of promotion, and contribution to society were considered less important in their work life. Y and Z-generation nurses respected more to interests at work and time availability for private life than X-generation in work life.

      • KCI등재

        시뮬레이션 기반 간호교육에서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동료주도 팀 디브리핑이 임상수행능력과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송충숙(Chung Sook Song),이현숙(Hyunsook Zin Lee),윤성자(Sung Ja Y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에서는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동료주도 팀 디브리핑이 간호 대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과 시뮬레이션 학습만족도, 디브리핑 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020년 5월부터 7월까지 총 95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기관절개관의 비계획적 발관 시 간호에 대하여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 설계를 이용하여 수행되었고 총 85명의 자료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시뮬레이션 상황이 녹화된 비디오 영상을 활용한 동료주도 팀 디브리핑에 참여한 실험군의 임상수행능력, 시뮬레이션 및 디브리핑 만족도와 교수자 주도 디브리핑에 참여한 대조군의 그것을 독립표본과 대응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시뮬레이션 교육 참여 후 임상 수행능력의 하위영역 중 지식(t=4.27, p=<.001)과 환자사정능력(t=2.94, p=.005), 문제해결능력(t=5.17,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비교에서 임상수행능력 중 문제해결 능력(t=2.46, p=.016), 시뮬레이션 만족도와 디브리핑 만족도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평가되었다. 결론 시뮬레이션 진행상황에 대한 녹화된 영상을 활용한 동료주도 팀 디브리핑이 학습목표 달성과 학습자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다양한 시뮬레이션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eer-led group debriefing utilizing video recording on clinical performance, satisfaction on simulation and debriefing.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July 2020, total 95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course of simulation session subject to nursing care for un-planned falling out of cannula of tracheostomy. Total 85 data, 45 of experimental, 40 of control group were analysed. Data on the capacity of clinical performance, satisfaction on simulation session and debriefing were col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was peer-led group debriefing utilizing video recorded simulation situation and control group which was instructor-led debriefing. The data were analysed using independent and paired t-test. Results Clinical performance capacity including clinical knowledge (t=4.27, p=<.001), Patient assessment (t=2.94, p=.005), and problem solving skill (t=5.17, p=<.001) were significantly improved both experiment and control group after simulation session. Problem solving skill (t=2.46, p=.016), all sub-concepts of satisfaction on simulation session, and debrief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control. Conclusions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ided the evidence of effectiveness of peer-led group debriefing on achieving the goal of nursing education and learner’s satisfaction on simulation.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peer-led group debriefing utilizing video recording can be actively used in simulation for nursing student.

      • KCI우수등재

        병원간호사의 사회적 자본과 직무열의가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고미순(Ko, Mi Soon),이현숙(Lee, Hyunsook Zin),고명숙(Koh, Myung Suk) 한국간호행정학회 2017 간호행정학회지 Vol.23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nurses" social capital, job engagement and nursing performance and to verify the goodness of fit between a hypothetical model and actual data in order to suggest the best model. Methods: This survey was conducted with 250 nurses working in 3 general hospitals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June 20 to July 29, 2016 and analyzed using SPSS/WIN 21.0 and AMOS 21.0. Results: Nurses" soci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were found to have no direct effect on increasing nursing performance. But, it was found that social capital and job engagement had indirect effects on nursing performance through mediating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Social capital had direct effects on increasing job engagement and indirect effects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nurse managers should concentrate efforts on increasing nurses"s job engagement and preparing organization to increase social capital in order to improve nursing perform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