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융합적 특성을 갖는 과학사 사례의 환경 교육 가능성 탐색

        이지희(Jihee Lee),신동희(Donghee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15 環境 敎育 Vol.28 No.4

        과학사는 과학, 역사, 기술, 사회, 문화, 환경등 다양한 학문 영역을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하며 각 학문의 융합성을 자연스럽게 보여주기 때문에 융합 교육의 소재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융합 교육의 소재로 적합한 과학사 사례의 적극적인 발굴과 이 사례가 환경 교육 측면에서 어떻게 조직될 수 있는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 교육에서 과학사를 활용한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 과학사 사례들이 어떻게 구성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과학사 사례의 융합성을 분석한 후 융합적 특성에 따라 다윈, 과학 소설, 기후 변화 등 3개 주제로 총 7차시 수업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 과학사 사례가 갖는 융합적 특성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융합성을 도출했다. 다양한 영역의 지식이 융합하여 새로운 지식을 만드는 ‘융합적 지식 창출’, 둘째, 하나의 과학 지식 및 이론이 여러 학문에 적용되면서 융합되는 ‘융합 지식의 다양한 적용’, 마지막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다른 학문과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시간의 경과에 따른 융합 지식 창출’ 등이 그것이다. 유형별로 개발한 환경 수업은 학생들이 환경 문제를 다양한 측면에서 원인을 분석하고 해결 방안을 제시 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이다. 이 연구 결과를 통해 융합적 특성을 지닌 과학사 사례가 환경 교육에 적합한 소재임을 이해하고 교육적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기를 기대한다. History of science(HOS) is suitable for integrated science education because it has connected the knowledge of science, history, technology, sociology, culturology. Also, it has showed the relevance of theme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we need to investigate HOS cases for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and explore how to apply them on educational aspects.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HOS cases as a subject of integrated environmental education. We analyzed integration types of the HOS case and developed education programs with 3 units of HOS. The units include 7 classes of three topics such as Darwin, science in literature, and climate change. The results showed that we found 3 types of integration on the HOS case. The first is ‘Integrated knowledge creation’, the second is ‘Application of integrated knowledge’, the third is ‘Integration by time’. ‘Integrated knowledge creation’ signifies that new knowledge is formed by diversity of knowledges. ‘Application of integrated knowledge’ signifies that a science knowledge and theory merged into a wide range of disciplines. ‘Knowledge integration by time’ signifies that knowledge interact with other fields of study. The results could help us understand the concreteness and organization of integrated case on HO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school.

      • KCI등재

        과학 및 사회과 교육 논문과 교과서에 활용된 환경 쟁점 사례 분석

        이지희(Lee Jihee),신동희(Shin Dong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8

        The study analyzed 83 actual cases of research papers and 66 cases presented in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to identify the tendency of using cases of environmental issues published at domestic and abroad over 20 years. We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al issue cases into ‘development vs conservation’, ‘national policy decision’, ‘international interests’, ‘waste disposal’, ‘science and technology development’, ‘bioengineering’, and ‘others’. As a result, domestic research contributed more to environmental issues than external studies, and in the case of textbooks, the textbooks used more to cover environmental issues in social studies textbooks than in environment and scienc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classification of environmental issues, domestic studies used many cases with characteristics in the areas of ‘development vs conservation’, ‘national policy decisions’ in external studies, and ‘international interests’ in textbooks. Environmental issues arising from developing economies were generally addressed by country, and by period, environmental issues mainly occurred after the 2000s. Discussion was the most important learning method of environmental issues in classrooms. More cases of environmental issues with many aspects of complexity should be found, and different education utilizing environmental issues should be expanded in subjects such as science and social science. 본 연구에서는 20년 동안 국내외 문헌에 소개된 환경 쟁점 사례 활용 경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 논문의 실제 83개 사례들과 중·고등학교 교과서에 제시한 66개 사례들을 분석했다. 환경 쟁점 사례의 특성을 “개발vs보전”, “국가 정책 결정”, “국가 간이해 관계”, “폐기물 처리”, “과학 기술 발전 및 산업화”, “생명 공학”, “기타” 7개로 나누고 분류했다. 연구 결과, 연구 논문의 경우, 국내 연구가 국외 연구에서보다 환경 쟁점을 많이 활용했으며 교과서의 경우, 환경, 과학 교과서에서보다 사회 교과서에서 환경 쟁점을 많이 활용했다. 환경 쟁점의 범주화에 따른 분석 결과, 국내 연구에서는 “개 발vs보전” 영역, 국외 연구에서는 “국가 정책 결정” 영역, 교과서에서는 “국가 간 이해 관계” 영역의 특성을 지닌 사례들을 많이 활용했다. 국가별로 볼 때 신흥 및 개발도상 경제국에서 발생한 환경 쟁점, 시기별로 볼 때 2000년대 이후에 발생한 환경 쟁점이 대부분 소개되었다. 환경 쟁점 활용 수업 방법으로는 토의 토론이 가장 많았다. 여러 측면에서 복잡성을 가진 환경 쟁점의 사례들이 더 많이 발굴되어 과학과 사회 등의 교과목에서 환경 쟁점을 활용한 다양한 교육이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국내·외 원자력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지희(Jihee Lee),신동희(Donghee Shin) 한국환경교육학회 2021 環境 敎育 Vol.34 No.1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을 활용한 연구가 실제로 교육에 어떻게 수행되었는지 알아보기 위해 1990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원자력 교육’ 관련 논문 국내 62편, 국외 59편 총 121편을 분석했다. 원자력 교육 연구를 연구주제에 따라 인식 및 태도, 수업 개발 및 적용, 원자력 인재 양성, 문헌 및 미디어 분석으로 분류했다. 분석 결과, 활용 목적에 따라 원자력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연구가 많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이 2010년 이후 증가했다. 또한 원자력은 어려운 개념을 포함하고 있어 연령이 높은 학년이나 성인 대상의 교육연구가 많았다. 원자력 관련 인식 및 태도 검사는 대부분 원자력 및 방사선에 대한 검사였으며, 원자력 발전을 활용한 수업은 강의법에 집중되어 있었고, 원자력 인재 양성 연구들은 훈련 및 교육과정에서 활용되고 있었다. 원자력 발전과 관련한 문헌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적었지만 그 중에서도 교과서 및 교재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한국의 상황에 맞는 다양한 원자력 발전 교육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 of nuclear education during last a period of near 30 years, we analyzed a total of 121 research papers published from January 1990 to June 2019, 62 domestic research and 59 international research. We divided by utilizing the purpose of nuclear energy education into ‘perceptions and attitude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nuclear energy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literature and media studies’. As a result, nuclear energy education research showed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perceptions and attitudes’, generally with targeting adults. By period, the ratio of researches by ‘perceptions and attitudes’,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literature and media studies’ have been dramatically increased since the 2010s. Domestic studies focused on ‘perceptions and attitudes’ and ‘literature and media studies’. The international studies used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nd ‘nuclear energy educational program for training’ than domestic studies. lecture method was the most important learning method of nuclear energy education in classrooms. ‘literature and media studies’ showed low in frequency. More studies, ‘literature and media studies’ utilizing nuclear energy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in the future.

      •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정전분무 간접하전 방식에서 방전 전극판의 재질에 관한 연구

        이지희(Jihee Lee),김성환(Sung Hwan Kim),정해영(Hai Young Jung)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추계

        대기오염의 주요 원인인 미세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고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먼지를 말하며, 입자 크기에 따라 지름이 10㎛ 이하의 먼지는 PM10, 지름이 2.5㎛ 이하의 먼지는 PM2.5로 구분된다. 현재 대한민국은 미세먼지로 대기환경 오염, 생태계 파괴, 질병 발생 등의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국민의 건강과 일상을 위협하는 재난이 되었다. 미세먼지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분진, 분체, 분말 등의 미세입자들이 많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미세입자들은 실내 또는 밀폐된 공간에서 다량으로 존재하게 되면 작은 불씨 또는 열만으로도 연소가 진행되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미세먼지 입자들을 제거할 수 있는 정전분무 전기집진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정전분무의 방식은 대전된 미세 액적을 발생시키는 방식에 따라 크게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분사 기구인 노즐에 직접 고전압을 인가하는 직접하전 방식과 분사 기구가 아닌 방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간접하전 방식으로 구분된다. 기존 연구는 설계 및 구조가 단순하고 낮은 인가전압으로 미세액적 형성이 가능한 직접하전 방식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하지만, 접지 문제 및 설계적 제한 등의 이유로 절연 문제가 상대적으로 작고,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간접하전 방식에 대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전분무 간접하전 방식의 방전 전극에 스테인리스 강 및 다양한 전도성 전극 재질을 적용하였고, 전압 인가에 따른 미세액적 발생 특성과 전류 특성 분석 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방전 전극판의 재질에 따른 미세액적의 분무 특성을 영상 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에 대해서 미세액적의 분무 특성과 집진 효율에 대한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집진 효율 개선을 위한 최적 설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경기도 노인1인가구의 고독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지희(Jihee Lee),이은희(Eunhee Lee) 한국비교정부학회 2022 한국비교정부학보 Vol.26 No.1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cquire base data to establish political and practical direc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current prolonged COVID-19 epidemic, which increases the danger of social isolation among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Design/methodology/approach) Reliability test,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retrieved data. Path coefficients based on structural equations were presented for research hypothesis testing using AMOS 25.0 to learn the effects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 independent variable (feeling of loneliness) on the dependent variable (quality of life). (Finding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on model was used to test whether soci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have a moderating effect regarding how loneliness influences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capital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feeling of lonelines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 Meanwhile, its explanatory power was high at 47%.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The result has shown that social capital can mitigate the negative effect of loneliness on the quality of life. As social capital is built with trust, standards, networks, and participation, it is implied that there is a need to focus on these aspects while making practical efforts to reduce the feeling of loneliness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elderly single-person households

      •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한 정전분무 전기집진기의 간접하전 방식에서 미세액적 특성 연구

        이지희(Jihee Lee),최지원(Jiwon Choi),남아란(Alan Nam),이보희(Bohee Lee) 한국화재소방학회 2022 한국화재소방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2 No.춘계

        현대사회에는 다양한 형태의 미세입자들이 많이 존재하며 분진, 분체, 분말 등의 여러 가지 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공기 중에 떠도는 농도 짙은 분진이 열과 압력 등의 에너지를 수반하면 연소 및 폭발 등의 분진폭발로 진행되게 된다. 최근 대기 오염의 주요 원인인 미세먼지는 자동차 배출가스, 공장, 화력발전, 폐기물 소각장 등을 통해 배출되며 입경이 10㎛ 이하인 PM10과 입경이 2.5㎛ 이하인 PM2.5 등으로 분류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 대기오염물질인 미세먼지는 질산염, 황산염, 암모늄 이온 등의 탄소 화합물과 중금속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체가 장기간에 미세먼지에 노출될 경우 면역력이 급격히 저하되므로 호흡기 질환과 피부질환, 알레르기 질환, 안구 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전분무를 이용하여 미세입자들과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전기집진기의 개발에 관한 연구이다. 정전분무 방식에는 직접하전 방식과 간접하전 방식으로 나뉘는데, 직접하전 방식은 전도성 분사 기구인 노즐에 고전압을 직접 인가하고 간접하전 방식은 분사 기구와 집진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방전 전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직접하전 방식의 경우 전기집진기의 절연에 대해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지만 본 연구에서 적용하는 간접하전 방식의 경우는 절연구간이 비교적 짧고 설치가 쉬우며 전기안전 측면에서 유리한 방식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전분무 방식의 전기집진기의 효율과 미세액적 발생 특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탄소나노튜브 등의 다양한 전극 재질을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통해 방전전극의 재질, 홀 직경, 이격거리, 분무액, 인가전압, 유량 등에 따른 미세액적의 분무 특성과 집진효율 개선을 위한 최적 설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정전분무 전기집진기를 실제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미세먼지농도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미세먼지 제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IT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