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년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과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

        이주라 ( Jura Lee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4

        이 논문에서는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과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논문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을 소개하면서 이 작품들에 나타난 웃음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김규택 작품에 나타난 웃음의 양상을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 나타난 웃음은 기존의 담론과는 다른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는 웃음이라는 점이 규명되었다. 1930년대 웃음에 관한 담론은 일반적으로 웃음의 양상을 저항과 비판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과 낙관과 긍정의 자세로 순응과 도피의 태도를 보여주는 웃음으로 나누어 대립적으로 파악하였다. 하지만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웃음에 대한 이항 대립적인 관점을 넘어서는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모던과 전통의 대립이나 남편과 아내의 대립처럼 당대에 새롭게 대두되었던 사회의 논쟁지점을 민감하게 포착하였다. 그의 작품은 극단적 대립의 지점에 있는 두 가지 가치관들을 대조시키면서 웃음을 유발하였다. 이 웃음의가장 큰 특징은 어느 한쪽이 상대의 부족함을 폭로하며 자신의 우월함을 강조하는 웃음이 아니었다는 점이다. 이를 통해 김규택은 지배적인 담론 속에서 존재 가치를 부여받지 못한 대상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할 수있는 장을 마련하였다 일회적인 . 소비 문화로 치부되었던 모던 문화와 전통적인 규범에서 비난받았던 신여성들은 자신들의 입장을 자유롭게 표명할 수 있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은 당대 사회에서 인정받지 못했던 가치와 욕망들을 공론의 장으로 끌어냈다. 김규택의 유모어소설에서 나타나는 자유로운 토론의 장과 거기에서 발생하는 웃음은 풍자와 냉소의 방식이 아니더라도 현실 체제에 순응하지 않을 수 있는 웃음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웃음의 새로운 가능성을 마련하였다. This paper investigated the features and possibilities of laughter appeared in the humor fictions by Kim Gyutaek. For this goal, this paper introduced Kim’s humor fictions not yet known, analyzed the features of laughter in these works and compared it with discourse on laughter in 1930s. As a result, the laughter in Kim’s humor fictions showed the new possibilities that is different from the existing discourse has been elucidated. Discourse on laughter of 1930s was generally devided two confrontational aspects. One was laughing had a role to resist against the social problems by satire. Another was laughing had a role to escape from the social problems by excessive optimism. But there’s no satire and no escape in Kim’s humor fictions. He accepted all values in contemporary society, but took a distance to criticize. Kim’s humor fictions caused a laugh while debating of two different values. Those were generally conflict of modern culture and traditional culture or conflict of wife and husband. In this debate, Two confrontational values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even though it wasn’t accepted in common sense. So readers could catch various opinions of their society. Expressing various values, especially expressing minority opinions, it was new possibilities of Kim gyutaek’s humor fictions.

      • KCI등재

        1970년대 한국 코미디 영화에 나타난 말괄량이 표상과 하층민의 욕망

        이주라 ( Lee Jura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2 한국어문교육 Vol.41 No.-

        이 논문은 1970년대 한국 코미디 영화에 나타난 말괄량이 표상을 통해 당대 대중들의 욕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970년대 한국 코미디 영화의 특징은 남성의 영역에 도전한 여성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운다는 점이다. 이런 일탈적 여성을 말괄량이 혹은 왈가닥으로 지칭하였다. 말괄량이 주인공 영화는 기본적으로 2세대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한국 대중문화의 반응이었다. 여성의 권리 신장을 주장하는 페미니스트의 형상이 여성의 힘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말괄량이 캐릭터에 반영되어 있다. 그런데 한국 코미디 영화는 여성의 권리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도모하지 않고 말괄량이의 힘을 육체적 힘으로 축소시켰다. 그리고 말괄량이의 주체적 목소리를 반영하기 보다는 말괄량이 표상을 남성의 시선으로 대상화시켰다. 그래서 1970년대 코미디는 궁극적으로 당대 하층민 남성들의 욕망을 형상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 논문의 마지막 목표는 1970년대 하층민 남성들의 욕망에 대한 분석이었다. 1970년대 코미디에 나타난 하층민 남성은 농촌의 일꾼으로 살아가는 삶을 선택한다. 하지만 그들은 자신이 선택한 하층민 여성과 결혼을 한 후에도 상류층 여성인 말괄량이에게 사랑을 고백한다. 이를 통해 1970년대 하층민 남성의 욕망이 표면적으로는 정권의 요구에 맞춰 순화되는 듯이 보이지만 그 이면에는 정권의 요구에 균열을 내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Korean comedy films from the 1970s have a characteristic of featuring women challenging men's territory. This deviant woman was referred to as a tomboy. The movie was basically the reaction to the second-generation feminism movement. A tomboy character represented a feminist. However, the Korean comedy films at that time reduced the power of tomboys to merely physical strength instead of promoting an overall understanding of women's rights. In addition, the representation of the tomboy was objectified through the eyes of males. So in the 1970s, comedy was ultimately embodying the desires of men in the lower class. The lower class men portrayed choose to live as rural workers. However, they confess their love to a tomboy, a woman from upper class even after marrying a women of their choice from lower class.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the desires of men from the lower class seemed to being purified to suit the needs of the regime, but in reality they were making crack in the demands of the regime.

      • KCI등재

        한국 근대의 순결 이데올로기와 처녀라는 주체

        이주라 ( Lee Jura ) 민족어문학회 2017 어문논집 Vol.- No.79

        이 논문에서는 한국 대중문화에 나타난 순결 강박이 어떻게 형성되고 강화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한국의 근대적 질서가 시작되는 식민지 조선에서 순결 이데올로기가 형성되는 과정을 추적하였다. 사회적 담론의 차원과 대중적욕망의 차원을 함께 살피면서 순결 이데올로기가 한국 대중문화에서 강조되었던 이유를 분석하였다. 담론의 차원에서 순결 이데올로기는 우생학의 영향을 받아 강화되었다. 우생학에서는 우량한 자녀를 낳기 위해 신체를 건강하게 가꾸고 혈액을 깨끗하게 유지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여성의 경우 남성과의 성교는 혈액을 변화시키므로 처녀성을 지킬 것이 강요되었다. 문화적 차원에서 순결 이데올로기는 대중소설에서 전형화되며 전파되었다. 순결한 처녀의 이미지는 이상적 배우자이기도 했지만 쉽게 가질 수 없기 때문에 더욱 욕망을 자극시키는 대상으로도 기능하였다. 이러한 이중적인 역할 때문에 순결한 처녀의 이미지는 대중문화에서 선정적으로 소비될 수 있었다. 좋은 어머니가 되기 위해 처녀들의 순결이 중요해지면서 처녀들은 사회적 주체로 인정받았다. 그리고 순결한 처녀가 아름다운 이미지로 그려지면서 처녀는 이상적 존재로 여겨졌다. 이로 인해 순결 이데올로기는 여성들에 의해 자발적으로 실천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순결 이데올로기는 어머니가 될 수 없는 처녀들을 사회에서 배제시켰다. 순결을 잃은 처녀와 결혼을 하지 못한 노처녀는 온전한 사회의 구성원이 되기 어려웠다. 한국에서 순결이데올로기는 현재 표면적으로는 작동하지 않지만, 아직까지도 일상의 배후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통제하는 논리로 활용되고 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obsession of chastity in Korean pop culture is formed and strengthened. In order to do this, this paper traced the process of forming the ideology of chastity in the colonial Joseon where the modern order of Korea begins. This paper also analyzed the process of popular propagation of the ideology of chastity. First of all, in the dimension of discourse, the ideology of chastity was strengthened by the influence of eugenics. In eugenics, It was needed to keep our bodies healthy and to keep our blood clean to produce good children. In the case of women, It was needed to keep virginity because sexual intercourse with men changed blood. And next, on the cultural level, the ideology of chastity was typified and spread in popular novels. The innocent image of the virgin was ideal spouse, but because she was the object that could not have easily, she also functioned as the object that stimulus the desire. Because of the double role, the image of a pure virgin could be consumed sensationally in popular culture. As the virginity of virgins became important for being good mothers, virgins were recognized as social subjects. And as a pure virgin was portrayed as a beautiful image, a virgin was considered an ideal being. As a result, the ideology of chastity was voluntarily practiced by women.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ideology of chastity excluded virgins who could not be mother from society. A spinster who could not marry lost a chance to be a member of a whole society. the ideology of chastity does not currently work on the surface in Korea, but it is still used as a logic to control the sexuality of women in the background of everyday life.

      • KCI등재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 인식과 수용의도: 비수용자를 중심으로

        이진명 ( Lee Jin-myong ),정민지 ( Jung Minji ),이주래 ( Lee Jurae ),김예은 ( Kim Ye-eun ),안치연 ( An Chiyeon ) 한국소비자학회 2019 소비자학연구 Vol.3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기능과 속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일반적 인식을 탐색하고,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변인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변인이 소비자의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규명하는 것이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인공지능 스피커를 알고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비수용자 354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SPSS 24.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분석,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일반적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다양한 속성 중 음성인식을 가장 중요하게 지각하였고, 음악 듣기와 같은 단순한 기능을 유용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공지능 스피커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스마트폰, 인간 비서, 스마트홈 기기 등을 떠올렸다. 둘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소비자들은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 중 편리성을 가장 높게 지각하며 그다음은 오락성, 지능성, 공감성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인공지능 스피커의 사용자 수가 많다고 여기지는 않으나 다른 기기와의 호환성은 높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제품 특성과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이 인공지능 스피커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회귀분석 결과, 인공지능 스피커의 특성인 편리성, 지능성, 오락성, 공감성과 직간접적 네트워크 외부성 요인인 사용자 수, 호환성 지각이 소비자의 수용의도에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공지능 스피커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과 반응에 대한 이해를 증진함으로써 관련 연구를 확장하는데 기여하며, 인공지능과 같이 혁신적 기술을 활용하는 산업계에 유용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Many global IT companies such as Google, Apple, and Samsung are fiercely competing for the advancement of the artificial intelligent (AI) speaker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consumers' general perception of AI speaker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duct characteristics and network external factors on consumers' intention to adopt AI speaker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354 non-users of the AI speak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4.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perceived voice recognitio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attributes of AI speakers. Smart phones, human secretaries, and smart home devices are perceived as the most similar to AI speakers. Second, consumers perceived convenience of AI speaker as the highest, followed by entertainment, intelligence and empathy. Consumers do not currently think that the number of users of AI speakers is high, but they are aware of high compatibility between AI speakers and other devices. Thir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ll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in the study model, convenience, intelligence, entertainment, empathy, number of users, and compati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s' adoption intention of AI speaker. This study contributes to expanding the related research by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onsumers' perceptions and responses to AI speakers, and provides useful marketing implications for industries using innovative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