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아시아 샤머니즘과 한국 무교의 악기학적 비교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10 한국무속학 Vol.0 No.20

        한국 무교(巫敎)는 동북아시아 샤머니즘(Shamanism)의 한 갈래로써, 이는 무당의 빙의(trance) 경험이나 굿ㆍ무당ㆍ박수 등의 어원학적 관련성으로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전승되는 우리나라의 무당굿은 북방아시아 샤머니즘 의례와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우리나라 무당굿의 악기나 음악이 고려시대 이후에 오늘날과 같은 모습으로 정립되면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음악과는 다른 독자적인 음악문화를 형성했기 때문이다. 이 글에서는 우리나라 무악(巫樂)의 아시아적 보편성과 특수성올 찾고자 한다. 샤머니즘 음악은 지역에 따라 토착화하면서 다양한 형태를 보이기 때문에 음악학적으로 서로 비교하기가 쉽지 않지만, 악기학(organology)적으로는 동아시아 샤머니즘 음악의 보편성과 우리나라 무악의 특수성올 고찰할 수 있다. 동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는 고대로부터 전송되는 샤머니즘 문화기 지속되고 있다. 현재 이 지역은 사회주의 정치체제와 라마교 또는 이슬람교라는 세계종교가 중심종교로 자리매김했지만, 여전히 민간에서는 샤머니즘에 기초한 민간신앙이 전승되고 있다. 샤머니즘이 토착화하면서 각 지역마다 독특한 음악문화를 형성했지만, 여전히 샤머니즘 의례의 기저에 깔린 악기의 보편성은 존재한다. 특히 틀북(frame drum)은 동북아시아 샤머니즘에는 여전히 보편적인 악기로 전승되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틀북인 소고가 전승되지만, 이는 단면고인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틀북과는 달리 양면고이고 손잡이가 달린 점에서 악기학적으로는 동일계통의 악기가 아닌 것이다. 소고는 오히려 티벳 등지의 라마교 북과 관련성이 있다. 우리나라 굿에서 가장 중요한 악기로 쓰이는 강구는 고려시대 이후부터 쓰이기 시작한 것으로서 동북아시아 샤머니즘 북괴는 악기학적으로 관련이 없다. 동북아시아와 중앙아시아 샤머니즘적 민간신앙의례에서 중요하게 연주하는 악기는 루트류 악기이다. 발현악기와 찰현악기가 모두 존재하는데 활을 사용하는 찰현악기보다는 발현악기가 샤머니즘과 관련된 악기로서 오래된 고형의 악기이다. 우리나라에는 비파ㆍ월금 등의 루트류 발현악기가 삼국시대에 유입되었지만, 이는 무교 의례에는 스며들지 못하고 주로 불교의 악기로 전승되다가 궁중과 양반의 악기로 확산되었다. 찰현악기인 해금은 몽골의 모린 후르나 중앙아시아의 코부즈와 같은 계통의 악기이다. 해금은 고려시대에 유입되어 굿판의 악기로 중요하게 연주되고 있다. 이외에 우리나라 굿판의 악기인 피리와 젓대와 같은 관악기는 다른 아시아 지역에서는 샤머니즘 악기로 중요하게 쓰이지는 않는다. 이런 선율악기가 굿판에 유입되어 굿이 종교의례이면서도 공연예술로 승화된 것은 다른 아시아 샤머니즘 문화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우리나라 무교의 독특한 특정이라 할 수 있다. Korean shamanism is a branch of Northeast Asian shamanism based on the shaman's experience of trance during a ritual and the linguistic commonalities of ritual and male and female shamans. However, the ritual practice of the present Korean shamanism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Northeast Asian shamanism Korean shamanism has developed its distinctive traits, especially in music, since Goryeo dynasty (918~1392), In this paper, I explore the commonalities of Northeast Asian shamanism and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Korean shamanism based on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each area. One of the roost common musical instruments used in Northeast Asian shaman ritual is the frame drum. The Korean frame drum, called sogo, however, is different from Northeast Asian frame drum because it is a double-headed drum and has a handle in its body, The Korean frame drum has similarities with the Tibetan drum The Korean hourglass-shaped drum, called janggu has widely been used in shaman ritual since the Goryeo dynasty and has distinctive Korean traits. The lute is widely used in Northeast Asian and Central Asian shaman rituals. The plucked lute is more archaic than the bowed lute, In Korea, the plucked lutes, called bipa and Wolgeum, have been used since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re more used in Buddhist ritual than in shaman ritual. The bowed lute, called haegeum, has a common trait with Mongolian morin khur and Central Asian kobuz. The haegeum came into Korea during the Garyeo dynasty and has been used one of the roost important instruments in the Korean shaman ritual. Other musical instruments used in the Korean shaman ritual are the transverse bamboo flute, called daegeum, and the cylindrical double-reed oboe, called pin. The use of melodic instruments in shaman ritual is a distinctive feature of Korea.

      • KCI등재

        제주도 연물의 남방문화적 요소에 대한 고찰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12 한국무속학 Vol.0 No.24

        우리나라 무교(巫敎)는 일반적으로 북방아시아 샤머니즘의 한 지류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교가 북방아시라로부터 일방적으로 전파된 것이 아니라 남방아시아의 영향을 일정 정도 받았을 것이라는 주장이 이미 제기되었다. 또한 역사학계에서는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되는 고고학적 유물을 통해 우리 문화에 잔존하는 남방아시아와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논의를 제기하고 있다. 음악학에서도 아시아 음악문화와의 비교음악학적 관점에서 남방아시아에서 유입된 음악문화의 교류관계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제주도 문화는 ‘뭍’의 문화와는 매우 다르다. 제주도는 오랜 기간 동안 독자적인 국가를 유지했고, 남방아시아 제도(諸島)와 문화교류를 했었다. 그러나 제주도 문화에 대한 남방아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논의가 아직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이글은 제주도 굿에서 사용되는 연물을 중심으로 제주도 문화와 남방아시아 문화와의 관련성을 고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제주도 굿판의 연물은 악기의 구조나 연주법이 뭍의 악기와 차별성을 갖는다. 장귀는 몸통이 작은데, 이렇게 몸통이 작은 장구형 악기는 본래 인도에서 전해진 악기로서 일본 궁중음악에서도 연주된다. 구덕북은 양면의 가죽을 끈으로 묶은 점에서 농악북과 같은 계통이고, 양면의 가죽을 못을 박아 고정시키는 궁중의 북이나 소리북과는 악기학적으로는 다른 계통의 것이다. 구덕북은 나무통 위에 얹어놓고 양면고(兩面鼓)이지만 양손에 채를 들고 북의 한 쪽 면만을 치는 단면고(單面鼓)의 실제적 기능을 하는 점에서는 농악북과 다르다. 이런 악기구조는 일본이나 동남아시아의 민간에서 쓰는 북과 유사성을 보인다. 설쉐는 나무판 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데, 이는 악기의 음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렇게 밥그릇 모양의 금속성 악기를 나무판위에 얹어 놓고 연주하는 악기는 동남아시아에서 광범위하게 연주하는 악기이다. 대양은 현재는 뭍의 징과 별반 차이가 없지만, 유물로 전승되는 악기의 형태는 남방아시아의 동고와 관련성이 있다. 결국 제주도의 연물은 뭍의 악기들과는 구조와 연주법에서 다른 계통의 악기인 것을 알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의 악기와 구조와 연주법에서 악기학적으로는 같은 계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제주도 연물이 남방문화적 성격을 갖는 것은 제주도가 오랫동안 남방아시아의 섬문화와 교류를 가졌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점에서 제주도 연물은 남방아시아적 성격을 갖는 것이다. Korean Shamanism has long been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the Northern Asian Shamanism. However, it has been argued that Korean Shamanism has also influenced from the Southern Asian Shamanism. Historians have found remains of Southern influence in Korean culture. Musicologists also have discussed about the Southern musical influence and relationships into Korea. It has been known that the culture on Jeju Island is peculiar to the culture of the mainland Korea. The Island has long been an independent state and has kept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islands in Southern Asia. However, the Southern influence on Jeju Island has not been discusses seriously.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relationships of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Shamanism and neighboring Asian culture.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shaman ritual on Jeju Island are different from those in the mainland Korea. The hourglass drum has a small body with a shallow waist. This kind of drum has originated from India and found in the Southern Asian including Japanese court instruments. The drum on Jeju Island is similar to that used in nong’ak (farmer’s band music);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strings. It is different from the drum used in pansori (epic vocal genre) and other court drums of which the double sides are tighten with nails. Although the Jeju drum is a double-headed drum, the player strikes only one side with two sticks. This playing method is found in other Southern Asia. The small gong is placed on a wooden frame and struck from the top. It is similar to the gongs of Southeast Asia, e.g., Indonesian gamelan, Filipino kulintang, and so forth. The large gong is related to the Southern Asian bronze drum culture. In short,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Jeju Island shaman rituals are different from those used in the mainland Korea. They show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usical instruments of the Southern Asia. Because the Jeju Island has a long relationship with other Southern Asian islands, the Jeju musical instruments must have a close tie with those of the South Asia.

      • KCI등재

        황해도 무악의 역사성

        이용식(Lee Yongshik) 한국무속학회 2008 한국무속학 Vol.0 No.16

        무교 의례의 기원은 삼국지「위지」 「동이전」 등에 기록된 고대부족국가의 제천의식에서 찾는 것이 통설이다. 그러나 무당과 악사라는 전문음악인에 의해 연행되는 굿은 삼국지에 기록된 고대의 무교 의례와는 다른 형태의 것이다. 오늘날 연행되는 굿은 무악의 반주악기로 주로 쓰이는 장구, 해금, 아쟁 등의 악기가 수입된 고려시대일 것으로 추정된다. 구전으로 전승되는 무악의 역사를 밝히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다. 단지 굿을 둘러싼 물질문화와 무악의 특징을 옛 음악과 비교하여 오늘날 연행되는 무악의 역사성을 추정할 수 있다. 황해도 굿은 강신무당이 연행하는 전형적인 모습을 간직하고 있다. 무당의 강신체험이나 강신체험을 유발하는 음악과 춤, 그리고 무당의 각종 복색, 무신도 등의 물질문화는 고려시대 이규보(1168~1241)가 쓴 있는 「노무편(老巫編)」에 그려진 개경무당의 연행과 매우 유사한 점을 보인다. 이는 고려시대의 굿이 개경을 중심으로 해주ㆍ옹진ㆍ연백 등지의 황해도 무당의 굿으로 전승되었다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런 외형적인 황해도 굿판의 모습을 고려시대까지 소급할 수 있다. 음악적으로 황해도 무악은 매우 오래된 것이다. 황해도 〈만세바지〉를 부르는 혼소박 4박자 혹은 5박자 장단은 조선 초기부터 종교음악에 쓰였던 오래된 것이다. 또한 〈만세바지〉 〈긴만세바지〉 〈자진만세바지〉의 템포에 따른 세틀형식은 고려가요에서 흔적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황해도 무가의 음악 만들기 방식인 ‘동곡이명’이나 ‘모곡-자곡’의 음악 만들기 방식은 고려에서 조선 세종시대에 이루어진 우리의 전형적인 음악적 전통이다. 결국 황해도 무악의 내면적인 모습도 고려시대의 유풍을 간직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황해도 무악에서 나타나는 고악(古樂)적 특징은 단순히 황해도 무악만의 특성이 아니라 우리나라 무악의 일반적 보편성일 수도 있다. 혼소박 4박자, 세틀형식, ‘동곡이명’이나 ‘모곡-자곡’의 음악 만들기 방식은 다른 지방의 무악에서도 흔히 보이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악외적인 여러 특징, 특히 물질문화적 측면에서 황해도 굿은 다른 지방의 굿에 비해 오래된 특성을 갖는다. 이런 점에서 한국 무악의 보편적인 특징은 황해도 무악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추정을 할 수 있다. The origin of Korean shaman ritual can be traced back to the ancient state rituals recorded in Sanguochi. The present ritual, however, is different from those rituals in its performance context. The musical instruments used in a shaman ritual, janggu (hourgalss-shaped drum), haegeum (two-stringed fiddle), ajaeng (bowed zither), for instance, were imported during the Koryo dynasty (918-1293). It means that the shaman ritual had formed during the Koryo dynasty. Hwanghae provincial shaman ritual is regarded as the bona fide spirit-descended shaman's ritual. The spirit experience of the shaman during a ritual, the accompanying musica and dance, and the material culture, including the dresses and shaman paintings, of Hwanghae shaman can be tranced back to the Koryo dynasty. The poet Yi Gyu-bo (1168~1241) wrote a poem to describe the shaman custom and ritual of the day in Gaeseong, the capital city of the dynasty. The features shown in the poem are very similar to those of the present Hwanghae ritual. Hwanghae shaman ritual music also presents the old traits. The quintuple meter, the tripartite structure of shaman song, and the music-making is reminiscent of the Koryo dynasty. In this sense, Hwanghae shaman ritual music is the oldest one among the regional music traditions in Korea.

      • KCI등재

        유전체 장벽 방전 플라즈마의 Monostatic 레이다 단면적 측정

        이현재(Hyunjae Lee),정인균(Inkyun Jung),하정제(Jungje Ha),신웅재(Woongjae Shin),양진모(Jin Mo Yang),이용식(Yongshik Lee),육종관(Jong-Gwan Yook) 한국전자파학회 201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7 No.3

        본 논문에서는 유전체 장벽 방전(dielectric barrier discharge: DBD) 플라즈마에 의한 monostatic RCS 감소 특성을 측정하였다. Monostatic 레이다 단면적(radar cross section: RCS) 교정을 위하여 서로 다른 크기의 금속 평판을 사용하여 산란계수(scattering parameter)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 0.4 ㏈ 이내의 오차를 보였다. DBD 플라즈마에 의한 monostatic RCS 감소 특성을 측정하기 위해 DBD 플라즈마 발생기 뒤에 금속 평판을 배치하였다. 금속 평판과 플라즈마 발생기 사이에 아크 방전(arc dischrage)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 평판과 DBD 플라즈마 사이의 간격을 띄워 측정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7.4 ㎓에서 monostatic RCS가 최대 약 3 ㏈ 감소하였다. In this paper, reduction of monostatic RCS by DBD plasma is measured. For the calibration of monostatic RCS, S-parameters of two metallic plate in different sizes are used and the result is within 0.4 ㏈ error. Metallic plate is put behind DBD plasma generator for measuring reduction of monostatic RCS by DBD plasma. To prevent arc discharge between metallic plate and DBD plasma generator, measurement is progressed spacing the interval between metallic plate and DBD plasma generator. As a result, maximum reduction of monostatic RCS is about 3 ㏈ at 7.4 ㎓.

      • KCI등재

        해수면에 의한 신호 응답 강도의 시변동성 특성이 적용된 벨홉 기반의 수중음향 통신 채널 모델링 및 수동 시역전 통신 응용

        김준석,고일석,이용식,Kim, Joonsuk,Koh, Il-Suek,Lee, Yongshik 한국음향학회 2013 韓國音響學會誌 Vol.32 No.2

        본 논문은 시변 해수면을 생성하고 KA(Kirchhoff Approximation) 기반으로 산란계수를 시뮬레이션하여 결정론적 모델인 벨홉 임펄스 응답에 적용함으로써 시변동성 채널을 생성한다. 1D Pierson-Moskowitz 해수면 스펙트럼과 가우시안 상관 함수를 이용하여 일정한 속도로 변화하는 시 변동성 해수면을 사용하였다. 산란계수는 벨홉의 채널 임펄스 응답의 신호 응답 강도에 적용한다. 실제 실측 데이터에서 해수면 반사 성분을 분리하여 시 변동성 특성에 대한 도플러 파워 스펙트럼을 구하고, 해수면 산란계수 시뮬레이션의 결과와 비교하여 해수면에 사용된 가우시안 상관 함수의 상관 시간을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생성된 시변동성 채널에 수동 시역전 통신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기법을 적용하여 비트에러율 및 채널응답 상관계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This paper represents generation of time-varying underwater acoustic channels by performing scattering simulation with time-varying ocean surface and Kirchhoff approxima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time-varying ocean surface, 1D Pierson-Moskowitz ocean power spectrum and Gaussian correlation function were used. The computed scattering coefficients are applied to the amplitudes of each impulse of BELLHOP simulation result. The scattering coefficients are then compared with measured doppler spectral density of signal components which were scattered from ocean surface and the correlation time used in the Gaussian correlation function was estimated by the comparison. Finally, bit-error-rate and channel correlation simulations were performed with the generated time-varying channel based on passive time-reversal communication scenario.

      • KCI등재

        결합 선로 이중 대역 필터의 대역폭이 줄지 않는 설계 방법

        이승구(Seungku Lee),하정제(Jungje Ha),이용식(Yongshik Lee) 한국전자파학회 2010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1 No.3

        본 논문에서는 분로 스터브가 연결된 결합 선로로 구성된 이중 대역 필터의 새로운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이중 대역 필터가 단일 대역 필터와 두 목표 주파수에서 같은 응답 특성을 갖는 조건에 기반한 기존 설계 방법과는 달리 제안하는 설계 방법은 두 필터가 같은 전파 상수와 같은 영상 임피던스를 갖는 조건을 바탕으로 한다. 이는 기존 설계 방법과는 달리 대역폭이 줄어들지 않는 설계 방법으로 복잡한 과정을 통한 대역폭 보상이 필요없으므로 보다 간단한 설계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새로운 이중 대역 필터 설계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유연한 설계를 가능하게 한다. 실험적 검증을 위하여 중심 주파수가 1 ㎓와 3.5 ㎓인 이중 대역 체비셰프필터를 설계 및 제작하였으며, 측정 결과는 전자기 모의실험 결과와 매우 일치하는 우수한 특성을 보인다. This paper proposes an improved filter synthesis method for dual-band filters based on coupled lines loaded with shunt stubs. The conventional design method relies on equality of the response of the conventional single-band filter and its dual-band counterpart at two frequencies. On the other han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equivalence of the propagation constants and the image impedances of the two filters.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does not suffer from bandwidth reduction phenomena, which requires complex compensating process in the conventional method. Also, the alternative design parameters provided by the demonstrated method enable to construct dual-band filters with more flexibility. For experimental verification, a Chebyshev type dual-band filter with center frequencies at 1 ㎓ and 3.5 ㎓ is designed and fabricated. The measured results are in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full-wave simulated results.

      • KCI등재

        위성 Synthetic-Aperture Radar (SAR) 시스템용 도파관 배열 안테나에서 도파관 측벽 슬롯의 수평편파 방사를 위한 격벽 구성 방법

        크리스티얀 디미트로브(Kristian Dimitrov),이용식(Yongshik Lee),송성찬(Sungchan Song),윤성식(Seongsik Yoon),조승주(Seungjoo Jo) 한국전자파학회 2021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32 No.3

        격벽 구조를 이용해서 도파관 내에서 진행하는 전기장의 진동방향을 바꾸는 방법에 대해서 보고한다. 이중편파 도파관 슬롯 배열 안테나를 설계하는 경우, 교차 편파 분리도를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 편파별로 도파관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특히 파장이 많이 짧을 경우, 배열 간격을 줄이기 위해서 측벽 슬롯을 활용해야 하는데, TE10모드에서 수평편파의 방사가 어려울 수 있다. 이때 격벽 구조를 이용하여 전기장의 방향을 회전시킴으로써 측벽의 수직 슬롯에서 방사가 가능해진다. 슬롯 배열에 따른 격벽 구조의 구성 방법, 설계와 함께 1×8 크기의 슬롯배열이 9.65 ㎓에서 16.1 ㏈i의 이득과 −15 ㏈의 입력 반사, 58 ㏈의 높은 편파 분리도를 나타내는 모의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크기가 32×224인 배열 안테나에 대해서 20°까지 스캐닝하더라도 그레이팅 로브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The application of septa to change the oscillating direction of the waveguide fields is demonstrated in this study. For dual-polarization waveguide slot array antennas, two different waveguides are often used to maximize the cross-polarization discrimination level between them. In such arrays, slots may be designed on the narrow sidewall to reduce the element spacing and to suppress the grating lobes. Septums can be used to change the direction of TE10 mode electric fields, so that radiation occurs from the transverse slots on narrow sidewalls. The design and configuration of the septums for a 1×8 slot array on the narrow sidewall of a rectangular waveguide is provided, which shows a simulated gain of 16.2 ㏈i, reflection of −15 ㏈, and cross polarization discrimination level of 58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