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제전환국의 민주주의 성숙 정도와 국가발전역량 간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 - 탈 소비에트 국가들을 중심으로 -

        이영유 ( Young-yu Lee ),김민곤 ( Min-gon Kim )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러시아연구소 2020 슬라브연구 Vol.36 No.1

        1991년 사회주의체제의 붕괴와 소비에트연방 해체 이후 탈 소비에트 국가들은 민주주의 체제로의 전환 과정에서 상이한 수준의 사회·경제·정치발전을 겪게 되었다. 국가들 간 국가발전 정도 차이는 부존자원 및 경제성장 정책이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민주주의 도입 이후 민주주의 발전수준에 따른 차이 또한 존재한다. 이에 체제전환 이후 민주주의 유형에 따른 국가별 차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민주주의 체제로 전환한 탈 소비에트 국가들을 중심으로 집단별로 민주주의 유형을 단계별로 3유형(방어적, 발전적, 실질적 민주주의)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집단별 국가발전역량(경제성장 수준, 천연자원 의존수준, 인적자원 수준)차이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각 변수들 간 연관성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민주주의 유형에 따른 국가발전역량의 집단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민주주의 유형에 따라 집단별 국가발전역량 차이가 존재하며, 민주주의의 완성단계인 실질적 민주주의 유형에 해당할수록 천연자원 의존수준이 낮지만, 경제성장 및 인적자원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이들 국가들에서 민주주의 수준에 따른 국가발전역량의 집단 구분과 함께 민주주의 유형과 국가발전역량을 구성하는 변수들 간 연관성이 있음을 입증한다. After the collapse of state socialism and Soviet Union in 1991, the Post-Soviet states underwent the regime transformation, has a framework of democracy, and the Post-Soviet states experienced changes mainly on social, economic, political development. The national development of the Post-Soviet states comes from different not only the natural resources and economic growth policy, but also level of democracy development. As such, analysis is necessary that according to the types of democracy, what the difference of transition countries after the introduction of democracy. Thus, in this study make a division the types of democracy to 3 types stage by stage and examined into the difference of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and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focused on the member countries of the states that have been transformed into the democratic syst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according to the level of democracy,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among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us according to the level of democracy, national development capacity of among groups are difference and the group of substantive democracy has low level of depend on natural resources and has high level of economic growth, human resources. This shows that transition into the democratic system of the Post-Soviet states can lead increase productivity as the high level of human resources, and have durability the more high level of democracy and positive effects on economic growth through the strengthening productivity of the individual.

      • KCI등재
      • KCI등재

        근로시간 단축이 취재와 뉴스를 어떻게 바꿔 놓았는가? : 주 52시간제 도입에 따른 취재관행과 뉴스생산에 대한 기자 인식을 중심으로

        이완수(Lee, Wan Soo),영유(Yang, Young Yu),신명환(Shin, Myoung Hwan) 한국언론학회 2020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6 No.3

        이 연구는 “주 52시간”이라는 근로시간의 제도적 변화가 언론조직의 뉴스생산 과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됐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는 근무시간 단축이 기자 개인과 뉴스 조직 내부의 작업관행, 그리고 뉴스생산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알아보기 위해 일간신문사, 방송사, 뉴스 통신사에 근무하는 기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했다. 분석결과, 기자들은 취재시간이 줄어들었으며, 취재원과의 접촉 횟수가 감소했으며, 전통적인 취재방식인 대면 접촉을 통한 취재 방식이 줄어들었다고 응답했다. 또한 기자들은 조직 내부적으로 게이트키핑이 부실화되고 있으며, 취재와 편집회의가 축소되었으며, 정보공유와 팀워크가 약화되고 있다는 반응도 보였다. 기자들은 근무시간 제약으로 “현장 취재”가 소홀해지면서 감시견으로서의 사회적 기능에 대해 우려했다. 주 52시간 근로시간 단축이 한국 저널리즘 생태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를 취재원 접근과 관찰, 사실의 선택과 거름, 그리고 편집과 분배 관점에서 토론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the institutional change in working hours of “52-hour workweek” affects the news production process of media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reporters working for daily newspapers, broadcasting companies, and news agency to find out how the reduction of working hours has changed the news production proces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Reporters responded that the coverage time was shortened, the number of contact with beat sources decreased, and that the traditional way of reporting, through face-to-face contact decreased. In addition, reporters responded that gate-keeping process is getting loose within the organization, coverage and editorial meetings have been decreased., and information sharing and teamwork are weakening. Reporters were concerned about their social function as a watchdog as “field coverage” was neglected due to working hours restrictions. We discussed how working time variable has brought about the changes to the Korean journalism ecosystem with the perspective of reporter access and observation, selection and filtering of facts, and editing and distribution.

      • KCI등재후보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 도입 이후의 공대 신입생들의 영어실력 추이와 영어교육 상황 분석

        윤도현 ( Dohyun Yun ),이용원 ( Yong-won Lee ),영유 ( Young-yu Yang ),배현 ( Hyun Pae ),이종우 ( Jong-woo Lee ) 21세기영어영문학회 2020 영어영문학21 Vol.33 No.4

        This study explores the English scores of freshmen engineering colleges in two universities and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perceptions on transition of English ability of the students and the situation of English education after the change of English section of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from a norm-referenced to a criterion-referenced system. For this study, 10 participants took part in in-depth interviews through a focus group,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coding, which reiterated themes or issues that showed consistent or unique patterns. The key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ngineering students' English skills have declined after the introduction of absolute evaluation on the English section of the CSAT. Second, engineering students have a tendency to regard English as an insignificant subject. Finally, in regards to the entrance examination policy, rather than going back to using relative evaluation on the English section of the CSAT, it is necessary to absolutely evaluate all subjects and make the CSAT a minimum requirement.

      • KCI등재

        고등학교 영어 공교육 활성화 방안 모색과 영어 학습의 의미 재고 : 내러티브 활용을 중심으로

        강석진(Sukjin Kang),김영미(Youngmee Kim),강지수(Ji-Soo Kang),영유(Young-Yu Yang),이종우(Jong-Woo Lee) 한국영미어문학회 2022 영미어문학 Vol.- No.144

        본 논문은 급변하는 두 가지 대외여건, 즉 AI의 영향력 확대와 한국수학능력시험(KCSAT) 영어과목에 절대채점제 도입이라는 두 가지 급변하는 외부 여건에 대응하여 고등학교 영어교육 수업에서 내러티브 활용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내러티브는 단순한 글쓰기 방식이 아니라 서 내러티브 사고를 구현하는 커리큘럼이다. 내러티브는 학습자의 성장에 초점을 맞춘 과정 중심 교육을 지향한다. 또한 삶의 다양한 측면을 재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창의적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화자와 청자 간의 의사소통을 전제로 하는 내러티브 기반 커리큘럼은 CLT 접근 방식과 일치하며 협동 학습을 위한 자원이 된다. 내러티브를 통한 교육은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전통적인 언어 교육에서 크게 간과되었던 의사소통의 정서적 측면을 탐구하는 장이 된다. 인간 경험의 모순과 예측 불가능성을 인식하고 내러티브 탐구를 통해 학습 구성원과 인간 경험을 재해석하함으로써 공립 영어 교육의 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내러티브는 학생의 성장과 의사 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공립 영어 교육에서 간과되어서는 안되는 귀중한 자원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내러티브의 특성을 활용한 학습자 중심의 과정 지향적인 교육과정 설계는 공립 영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This paper proposes to expand the use of narrative in high school English education classes in response to two rapidly changing external conditions: the increasing influence of AI and the adoption of an absolute grading system for the English section of the Korea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KCSAT English). Narrative is not simply a mode of writing but also a curriculum that realizes narrative thinking in class. Narrative directs a process-oriented education that focuses on the learner s growth. In addition,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use creative language by reconstructing diverse aspects of life. A narrative-based curriculum premised on the communication between speaker and listener is in line with the CLT approach, and it constitutes a strong source of support for cooperative learning. Education through narrative arouses the interest of learners and becomes a place to explore the emotional aspects of communication that are largely overlooked by traditional language teaching. Recognizing the contradictions and unpredictability of human experiences and reinterpreting human experiences with learning members through narrative inquiry significantly improves the quality of public English education. Narrative is a valuable resource that should not be overlooked in public English education because it seeks to improve student growth and communication skills. This aspect is often absent in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which is typically focused on short-term performance-oriented learning for college entrance exams. In this context, a learner-centered and process-directed design that utilizes the characteristics of narrative has great implications for public English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