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교육용 프로젝트기반 웹사이트 개발

        이승수,유정수,Lee, Seung-Soo,Yu, Jeong-Su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8 No.4

        In spite of the fact that project-based learning has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ement of creation power and expansion of the spirit of inquiry, the project-based learning lesson was difficult to carry out in the classroom. The web overcomes time and space limitations in traditional schools. This study has developed and implemented an online project-based website of children's education, based upon the extensive classroom use of multimedia materials to further students participation and interest in projects of discovery. The developed website shows the entire process used through out the project. This paper presents the project's activities and students' learning, using multimedia and web. This study was conducted in fourth grade of an elementary school for a month.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effects of using the project-based website were improved self-directed learning and generation of new ideas.

      • 한반도 주위 화산재해위험성과 연구동향

        이승수,Lee,Seung-Su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3 No.1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폭발로 유럽 전역에 항공 장애가 발생하였고, 2011년 일본 남부 큐슈의 신모에다케 지역의 사쿠라지마 화산이 폭발하였다. 또한 2002년 이후 백두산의 화산활동 재개 가능성이 제기되는 등 화산 폭발에 대한 국민적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화산재해는 화산재, 화쇄류, 화산홍수 및 이류, 화산지진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재해 요인이 다양한 시간과 공간 범위에 걸쳐 발생하는 복합재난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백두산 지역의 지질학적 특성에 대한 극히 일부의 연구를 제외하고는 화산재해에 대해 거의 연구된 바 없으며, 관련 분야의 전문가도 매우 소수인 실정으로 화산재해 대응에 대한 연구의 기반이 거의 없는 상태라고 할 수 있다. 화산재해에 대비한 사회적 요구 증대 및 경제적 파급 효과에 대한 우려가 논의되어 2012년 소방방재청 및 국립방재연구원의 재난안전기술개발 R&D사업으로 `백두산 화산대응기술개발사업단(Volcanic Disaster Preparedness Research Center)`이 출범되었으며, 2012년 8월 1일부터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 개발`, `화산재 피해 예방 및 관리기술`, `화산재해 대응시스템 개발`, `화산재해 대응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과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화산재해 피해예측 기술 개발`과제는 화산재 피해 예측 기술개발, 화쇄류-화산성 홍수 및 화산이류 피해예측 기술개발, 화산재해에 따른 사회 경제적 영향 예측 기술 개발, 화산성 지진으로 인한 국내 피해 예측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으며, `화산재 피해 예방 및 관리기술`과제는 화산재 피해 예방 및 저감을 위한 사회기반시설, 환경, 보건 및 산업분야에 대한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낙하 화산재 처리 및 활용 기술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화산재해 대응 시스템 개발`과제는 화산재해 피해 예측 기술 통합 및 관리 기술을 개발하고 화산재해 의사결정 지원시스템을 개발하여, 화산재해 발생 시 효율적인 대응체계를 수립하고 체계적인 현장 대응 능력 확립에 활용될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화산재해 대응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 구축`과제는 화산재해 선진 기술 조기 도입을 위한 국제 전문가 그룹 네트워크 구축 및 공동 연구를 통한 국제협력 네트워크 기반을 구축하여 관련 연구 분야 기술 지원 및 국제협력 창구의 일원화를 위해 활용될 계획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행로의 地理와 心跡 2, 通州∼玉河館

        이승수(Lee, Seung-su) 한국고전번역원 2018 民族文化 Vol.52 No.-

        이 글은 연행로 중, 通州에서 북경의 숙소인 玉河館에 이르는 노정을 재구하고, 이 길에 남아있는 역사 사연과 사신들의 마음 자취를 살펴본 결과이다. 시대와 상황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압록강을 건넌 사신들은 대략 한 달 정도의 여정을 거쳐 북경에 도착했다. 도착 전 마지막 날에는 통주에서 묵을 때가 많았다. 통주에서 옥하관까지의 거리는 약 25km이다. 새벽에 통주를 떠난 사행은 오후에 숙소에 도착했다. 그 사이에 사신들은 八里橋를 건너며 내운하인 通惠河를 관찰했고, 東嶽廟에서 옷을 갈아입으며 이국의 종교문화를 체험했다. 북경은 戰國時代 燕나라의 도읍지로, 천하의 인재를 모아 국력을 일으킨 昭王과 黃金臺 고사가 유명했다. 조선의 연행사들은 북경에서 황금대의 위치를 탐문하였으며 때론 찾아 나서기도 했지만, 여러 견해가 구구할 뿐 그 장소를 확인한 사람은 없었다. 동악묘에 미치기 직전 金臺夕照站 근처에는 1751년 乾隆帝가 세운 金臺夕照碑가 서있다. 연행로에서 겨우 500 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에 있었던 이 비석을 언급한 기록이 없다는 것은 의아스러운 일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의문으로 남겨두었다. 朝陽門을 통해 북경성에 진입했는데, 이 문은 북경성 진입과 고향 회귀의 감회가 표출되는 곳이었다. 북경성안에 들어가서는 東四牌樓와 東單牌樓를 지나, 東江米巷을 따라 中玉河橋를 건넜다. 중옥하교를 건너자마자 길 북쪽에 옥하관이 있었는데, 오늘날의 最高人民法院 자리가 옥하관 터로 추정된다. 옥하관에 여장을 풀면서 북경에서의 공식 외교 일정이 시작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oute from Tongzhou to Okhagwan, the accommodation in Beijing, on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s to Beijing and investigated the historic story residing on that route and the marks of mind of the envoys. Although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imes and circumstances, the envoys crossing Amnokgang River arrived at Beijing through the travel in about one month. On the last day before arrival at Beijing, the envoys mostly stayed at Tongzhou. It’s about 25km from Tongzhou to Okhagwan. The diplomatic envoys left Tongzhou at dawn and arrived at the appointed accommodations in the afternoon. On that route, the envoys crossed Baliqiao and observed Tonghui river, the inner canal. The envoys experienced the religious culture of a foreign country as changing their clothes in Dongyue Miao. Beijing, the ancient capital of the Yan dynasty during the Warring States period of China, is famous for the story of King Zhao and Huangjin Tai(Golden Terrace) which King Zhao strengthened the national power by attracting all the talented people of the world. The Korean diplomatic envoys explored or visited the location of Huangjintai in Beijing, but no one could identify the location except getting various kinds of tips on it. Right before Dongyue Miao stood Jintai Xizhao Bei, which was built by Emperor Qinglong near Jintai Xizhao Zhan in 1751. It’s very wonderous that any document never mentioned the monument, located only about 500m away from the route of diplomatic envoys. The issue remains mysterious. The envoys entered into Beijingcheng through Chaoyangmen Gate. The gate was the object of their expressions on the feelings on the entrance to Beijingcheng and return home. After entering Beijingcheng, the envoys passed Dongsi Pailou and Dongdan Pailou and crossed the Zhongyu Heqiao along Dongjiangmi Xiang. Right after crossing Zhongyu Heqiao, Okhagwan stood on the north. It is estimated that Okhagwan was on the site of the present Supreme People’s Court of China. As unpacking their travel baggages, the diplomatic envoys started the official diplomatic schedule in Beijing.

      • KCI등재
      • KCI등재

        문학 : 패수설(浿水說) 산고(散考) -요동패수설(遼東浿水說)의 흐름과 전망-

        이승수 ( Seung Su Lee ) 온지학회 2015 溫知論叢 Vol.0 No.43

        6세기 『水經注』의 기록 이래 浿水는 평양의 대동강이라는 학설에 별이견이 없었다. 16세기 이후 이러한 견해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몇몇 학자들은 여러 문헌을 근거로, 浿水는 요동에 있었다는 견해를 내세웠다. 이러한 견해는 일제강점기 민족사학자에 의해 계승되었고,해방 이후 몇몇 학자들은 방대한 논거를 통해 이 학설을 더욱 정교하게 입증했다. 浿水의 문제는 고대사의 강역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에 매우 뜨거운 주제이다. 하지만 이 주제에 대한 학계의 논의는 이상할 정도로 냉랭하다. 출판시장이나 온라인상에서 ‘浿水’는 뜨거운 논란의 대상이지만, 이 단어로 검색되는 정기간행물의 학술논문은 5편에 지나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은 무엇을 의미할까? 첫째, 이 분야에 있어 지식 형성의 계보와 유통 과정을 추적하기 힘들 정도로 학문적 대화와 지식의 교류가 마비되어 있는 상황을 반영한다. 둘째, 앞의 이유와 관련해서 학계가 제공하는 정보가 지식 대중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이 글은 패수가 요동에 있었다는 국내 학설의 근거와 계보를 따지고 향후의 전망을 예측해본 결과이다. 이 주제는 국제적으로는 일제의 식민사학 및 중국의 중화사학과 관련되어 있으며, 이는 국내의 학문 경향과도 연루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는 학설이 학문 외적인 영향관계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결과이다. 문헌기록을 근거로 할 때, 위만조선 이전의 패수는 지금의 요동 지역에 있었고, 향후의 논의는 이러한 전제하에 펼쳐질 것이 분명하다. Since “Shui Jing Zhu(Commentary to the Rivers Classic)” written in the 6th century, there was no objection against the theory that Pae River was Daidong river in Pyeongyang. However, the doubt against such theory was raised from the 16th century. Some researchers insisted that Pae River was originally located in Liaodong on the basis of several literatures. That insistence was continued by the Korean historian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After the independence, some researchers proved the theory using extensive range of grounds more elaborately. Pae River is the hot issue because it is directly related to river areas in the ancient history. However, the discussion in the academic circle on this issue is frozen enough to be considered to be strange. While Pae River is the hot issue for discussion in publication market or online, there are only 5 academic theses published in the periodicals which can be searched by this word “Pae River.” What does this phenomenon mean? At first, it reflects the situation that the academic discussion and exchange of knowledge are stagnated to the extent that it is hard to trace the genealogy of knowledge formation and distribution of knowledge in this field. Next, information from the academic circle related to the first reason doesn``t satisfy the needs of the intelligent public. This paper analyzed the grounds and genealogy in the theory in Korea insisting that Pae River was in Liaodong and made the outlook on them. The subject in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colonial history of Japan and Sinocentrism history of China in the global aspects and furthermore to the academic tendency in Korea. It``s because the theory is not free from the impact by the external relationship of study. In accordance with the literatures and records, Pae River was in Liaodong before Wiman Joseon and the further discussion will be based on this premise.

      • KCI등재

        연개소문(淵蓋蘇文) 서사의 형성과 전승 경로 -연개소문의 형상과 관련하여-

        이승수 ( Seung Su Lee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7 No.-

        연개소문은 7세기 중반 고구려 최고의 실력자로 동아시아 국제 정세를 이끌었던 역사 인물이지만 기록에서 그의 행적은 지극히 불완전하다. 연개소문에 대한 기록이 전적으로 전쟁 적국이었던 唐과 唐을 계승한 宋의 집권층에 의해 주도되었기 때문이다. 그 기록에서 연개소문의 삶은 대부분 결락되었고, 선택된 부분 역시 자국사 기술의 관점에 의해 왜곡될 수밖에 없었다. 오늘날 연개소문은 비정형적인 모습으로 불규칙하게 나타나는데, 이로 인해 우리의 연개소문 이해는 수시로 혼란에 빠진다. 이는 연개소문 관련 정보들이 이야기의 형성과 전승의 경로를 배제한 채 유통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연개소문 이야기의 형성과 전승의 경로를, 중화주의에 입각한 중국의 역사기록, 역사 기록에 대한 회의와 이견, 소설, 설화, 그리고 조선시대 지식인들의 관심 등 5갈래로 나누어 검토한 것이다. 현재 우리가 만날 수 있는 연개소문의 형상은 대개 이 다섯 경로를 통해 빚어진 것으로, 여기에는 한국의 인식과 중국의 인식, 고대의 인식과 근대의 인식, 그리고 역사와 문학과 설화의 인식이 복잡하게 뒤섞여있다. 본고는 연개소문의 형상에 실타래처럼 복잡하게 얽혀있는 역사적 인연을 풀기 위해, 8세기부터 20세기 초에 이르는 시기 연개소문 전승의 형성과 경로를 정리해본 것이다. 이 논의는 7세기 중반 고구려의 대당 전쟁을 주도했던 역사인물 연개소문이, 중국의 여러 층위 기록과 전승에서 어떻게 타자화되었으며, 다시 어떤 과정을 거쳐 한국사의 주역으로 귀환하였는지, 그 과정을 보여준다. While Yeon Gaesomun was the historical figure who led the international situations in East Asia as the most prominent figure in Goguryeo in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his whereabouts are very ambiguous in the historical records. It is because the records on Yeon Gaesomun were completely manipulated by Tang dynasty and Song dynasty following Tang, which were enemies against Goguryeo. Such records omitted most of Yeon Gaesomun`s life and couldn`t help being distorted by the historical view of such enemies. Yeon Gaesomun is described in an atypical form at present. Thus, our understanding on him is frequently confused. Such inconsistent description on Yeon Gaesomun is caused by the fact that information related to Yeon Gaesmun has been distributed to the exclusion of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story about Yeon Gaesomun. This study examined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n Gaesomun story in 5 aspects, historical records of China based on Sinocentrism, doubt and controversy on historical records, fictions, tales and interest on the intellectuals during Joseon period. The forms of Yeon Gaesomun that we currently see were mostly created by five aspects above. Recognition of Korea and China, ancient and modern recognition, and recognition in history, literature and tales are complicatedly mixed in the stories on Yeon Gaesomun. This study summarized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n Gaesomun story from the 8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in order to unravel the complicated historical relationship in Yeon Gaesomun story. The discussion on the formation and transmission of Yeon Gaesomun story described the deployment of stories about how Yeon Gaesomun, the historical character leading the war of Goguryeo against Tang dynasty in the middle of 7th century, was othernized in various kinds of records and transmission in China and by what processes he could be returned as the leader in the Korean hist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