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학을 어떻게 할 것인가

        윤천근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韓國學論集 Vol.40 No.-

        관심만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만의 한국학은 그들의 한국학이다. 애증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 그리고 일체화의 지평 위에 서 있는 관심의 한국학, 또는 관심과 애정의 한국학은 우리의 한국학이다. 미국사람이나 러시아 사람들이 하는 한국학, '그들의 한국학'의 경우, 우리 밖 타자인 그들은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 등에서 길러진 의식의 토대를 바탕으로 하여 관심, 또는 애정의 작용을 수행한다. 그들의 관심과 애정은 한국학 영역 속의 대상을 포착하며, 그들의 의식의 토대는 그들 나름의 역사와 문화의 전통 속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한국에 대한 학문은 일차적으로 그들의 삶을 이끌어가는 지남으로 쓰여 지고, 그들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된다. '그들의 한국학'에서 마련된 학문은 이차적으로 우리의 삶을 위한 자료가 되기도 한다. '그들의 한국학'이 생산한 자료는 여러 면에서 '우리의 한국학'에서 생산된 자료와 다를 수 있다. '우리의 한국학'은 한국의 현실 속에서 구체적 삶을 살아가는 주체에 의해 한국이 대상으로 포착되고 학문으로 정리되어 한국적 삶의 현실을 이상으로 가꾸어 가는 자산으로 쓰여 지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우리의 학문은 우리의 삶으로 넘겨져서 한국을 가꾸어 가는 것으로 쓰여지고, 우리의 삶은 보다 절실하고 의미 있는 주제를 떠올려서 학문의 성격과 방향을 결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렇게 '우리의 한국학'은 우리의 학문과 우리의 삶이 서로 교통하고 서로 감응하는 영역이라고 하겠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현재 한국의 역사 속에 놓여진다. 현재 한국은 우리의 현실생활이 영위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의 투쟁과 노력이 투입되고 있는 곳이고, 우리가 우리 자신에게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곳이다. 과거 한국, 그러니까 전통시대의 한국이나 미래의 한국은 현재한국과의 연장선상에서만 나름의 의미를 지니게 된다. 삶으로서의 한국학의 성전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시작된다. 문제점은 무수히 많고, 문제점을 들여다보는 시선은 다양할 수 있다. 현재 한국에서 삶을 살아가는 한국인들은 현재 한국을 포위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자신의 방식으로 포착하고, 그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나름의 투쟁을 전개해 나가야 한다. 우리가 그 문제점과 얼마나 밀착되어 있느냐에 따라서 우리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얼마나 건강하고 얼마나 적실한 것인지를 평가받을 수 있게 된다. 오늘날 우리의 한국학은 학문의 모습으로 한정되고, 전통 한국을 해명하는 것에 국한된다. 그것은 지식과 자료를 생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한국학이다. 한국적 삶의 현실은 소외되고 있는 것이다. 전통을 우리 주변으로 가지고 들어오는 일은 앞으로도 중단 없이 계속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우리가 수행하는 한국학의 전력이 여기에만 집중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것은 삶과 유리된 지식으로서의 한국학일 따름이기 때문이다. 삶은 언제 어디에서나 가장 중요한 현안문제이다. 삶을 떠나서는 우리는 인간의 역사를 가꾸어 나가는 효과적인 수단을 가질 수 없다. 이곳은 인간의 역사가 갖추고 있는 유일한 전장이다. 그런 삶을 떠나서 책상 위에 사로잡히고, 곰팡내 풍기는 책 속에만 파묻힌다는 것은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하기 어렵다. 책상 위와 책 속은 삶의 전장에 공급할 무기들이 만들어지는 곳이다. 중심은 삶의 전장이고, 책상 위와 책 속은 보조라는 점은 간과되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우리의 한국학은 전통한국을 대상으로 삼는 것 이상으로 현재 한국을 들여다보는데 공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현대 한국이 갖고 있는 문제점으로 부터 투쟁과 응전은 시작되어야 하는 것이다. 현대 한국이 학문으로 정리되고, 현대 한국의 삶이 그 학문과 유기적 관계를 맺을 수 있을 때, 전통을 들여다보는 것도 나름의 가치를 갖는 것으로 선언될 수 있을 터이다. 우리의 한국학은 문제투성이의 지금의 한국적 삶의 현실과 조금 더 이상으로 다가가 있는 미래의 한국적 삶의 현실 사이에 있다.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는 것이 한국학의 책무이고, 한국적 삶을 변혁하고 개혁하기 위해서는 한국학의 중심이 현재의 한국적 삶의 현실을 가꾸어 가는 데 놓여 져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오늘날 한국적 삶의 현실은 방치되고 있다. 우리는 이 삶을 가꾸어 가는 노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오늘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바로 여기에 있다. 인간의 운명을 고민하는 현대 한국인의 삶으로서의 한국학은 생활철학의 모습을 갖추기를 요청받고 있다고 하겠다. 집단적으로 각성된 생활문화가 인류의 미래를 보장하여 줄 수 있는 지혜를 담고 있기를 요청받고 있는 것이다. 한국적 자본주의의 새로운 문법 역시 이러한 점과 연계되어서 보다 적극적으로 추구될 필요가 있는 것이지만, 이러한 문제에 대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응전하기 위해서는 현대 한국의 갈등구조 역시 빠르게 해결되지 않으면 안 될 일이다. An American, or Russian can study about Korea with an interest or love. But they can not over the limit like that. It is only our function to over that limit and advance in upper stage. We, a Korean, can study about Korea by complex consciousness like mixed with love and hatred, or absorption for history and culture of ourself. Koreanology is to study about Korea. In that case, Korea, a term, exactly mean the Korea of modern. But the Korea can not divided like a bread. The Korea is spreaded in whole territory of time. The past is a property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is a dream of the present. Therefore we must concentrate in modern, because the Koreanology is to make the Korea of the present more ideally. In the Koreanology, the ideal is not a ideal of itself, it is the ideal in the history of Korea. The Korea have it's own history, culture, wisdom, and dream. If we want to advance more idealistic, we must introduce the past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and we must rooted the future of the Korea in the present of the Korea. In the Koreanology, we limited usually our endeavor to study the Korea of past scholastically. It is important, but it is not the main and unique field, but a side and assistance area. The prosecution of studies have not it's own aim, it must pass it's results to the life of Korean of those days. Life is only one which get it's own aim. If something can't have any connection to the life of Korean, it haven't any meaning affirmatively, in the realm of the Korea. This is general in the whole area of humanbeing, and it is same in the Koreanology. in that point of view, the Koreanology must have two area at least, that is, the one is to persuit of learning, the other is to struggle in the life of everyone of Korea of present, the former is to produce the stuff of the latter, the latter is to produce the result of the former, anyone who have conceive about Korea include a foreigner take part in former stage, but in the case of the latter, only a Korean take part in that actual process. In the present day, all of the Korean must endeavor with one's best, and must introduce the history of Korea to more evolved situation. I say, it is the Koreanology. Therefore, in the realm of the Koreanology, the whole capability of us must focused to struggle against to the problem of Korean's society. In these point, the studies about Korea of past, present, future, and the practice of our century, and the efforts of our lifes in everyday, must coincide in one trend, and leaded to product something which requested by the history of Korea or humanbeing in present days.

      • KCI등재
      • KCI등재

        『연해자평(淵海子平)』에서 드러난 ‘태극(太極)’과 ‘형체(形體)’에 대한 고찰-한대(漢代), 왕필(王弼), 공영달(孔穎達)의 『역(易)』사상을 중심으로-

        이현철 ( Lee Hyeon-cheol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84 No.-

        『淵海子平』에서는 태극에 대한 역학적 언급이 있다. 철학사적 관점에서 『淵海子平』을 한낱 迷信書에 불과하다고 말할지 모르지만, 필자는 두 가지 큰 의의를 가지고 이 책을 연구하고자 한다. 첫째 큰 범주에서 『주역』에 기초한 중국철학의 한 단면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며, 둘째 중국의 『역』 철학에 있어 국가가 주도하여 정리한 『역』의 체계와 민간이 필요에 의해 자발적으로 정리한 『역』의 체계가 어떤 차이를 드러내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다. 흔히 『淵海子平』이라고 알려진 『子平淵海音義詳註』는 南宋 말기 자가 東齋인 徐大升이 편찬하였고 明代의 竹亭 楊淙이 增校하였다. 이 책의 서두에는 태역에서 태극까지 이르는 우주발생론의 순서를 ‘태역→태초→태시→태소→태극’ 순으로 기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五運의 변화는 곧 ‘氣(태초)→形(태시)→質(태소)→形·體(태극)’의 변화과정이기도 하다. 그런데 필자의 갖는 의문은 태극에서의 形體 중 ‘體’의 쓰임이다. 『淵海子平』의 오운에 대한 주장은 태역에 대한 언급이 시작된 漢代의 『易緯』 의 「乾鑿度」나 「乾坤鑿度」 또는 『孝經緯』 「鉤命訣」과 다소 차이가 있으며, 宋代로 이어지는 중간 시기의 魏나라 王弼이나 唐代의 孔穎達의 주장과도 또한 차이가 있다. 따라서 필자는 한대의 태극, 왕필의 태극, 공영달의 태극 등을 『淵海子平』의 태극과 비교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첫째 『淵海子平』에서의 ‘形體’ 중 體가 뜻하는 의미는 形이나 質이 아닌 乾坤을 낳는 ‘근거’나 ‘까닭’으로서의 體를 말한다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둘째 필자는 국가가 주도하여 정리한 『역』의 체계와 민간이 술수서로서 자발적으로 정리한 『역』의 체계가 큰 틀에서 닮아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ere is a m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Zhōuyì about Taiji(太極) in 『Yuānhǎizipíng(淵海子平)』. From the point of philosophical history, people may say 『Yuānhǎizipíng(淵海子平)』 is just a book of superstition, but I would like to study this book with two great significances. First, you can look at a section of Chinese philosophy based on the principle of 『Zhōuyì』 in a large category. Second, it is to look at the differences between state-led and private-sector 『Yì(易)』. 『Zipíngyuānhǎiyīnyìxiángzhù(子平淵海音義詳註)』 was compiled by Xúshēng(徐升), and reinforced by Yángzōng(楊宗), Zhútíng(竹亭) of the Míng Dynasty. At the beginning of this book, the order of the Cosmology, generation from Tàiyì(太易) to Taiji(太極) is described in the order of ‘Tàiyì → Tàichū(太初) → Tàishĭ(太始) → Tàisù(太素) → Taiji’, which is also a process of change of ‘qì(氣, 太初) → xíng(形, 太始) → zhì(質, 太素) → xíng·tǐ(形·體, 太極). What I question is the use of ’tǐ (體)’ in xíngtǐ. 『Yuānhǎizipíng(淵海子平)』’s assertion about wǔyùn(五運) is somewhat different from 「Qiánzáodù(乾鑿度)」 or 「Qiánkūnzáodù(乾坤鑿度)」 of 『Yìwěi(易緯)』 or 『Xiàojīng, Gōumìngjué(孝經緯․鉤命訣)』 in the Han Dynasty, when the mention of Taiji began. It is also different from the arguments of Wangbi(王弼) of Wei Dynasty in the middle period or those of Kǒng Yǐngdá(孔穎達) of the Tang Dynasty. In addition, as a condition that must be preceded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to clarify which dimension of 『Yuānhǎizipíng(淵海子平)』’s Taiji between ‘yǒu(有)’ and ‘wú(無). Therefore, I compared and analyzed their Taiji(Han dynasty, Wangbi, Kǒng Yǐngdá) and 『Yuānhǎizipíng(淵海子平)』. Through this study, I carefully inferred that the meaning of the ’tǐ’ of the ‘xíng·tǐ’ in 『Yuānhǎizipíng』 refers to ‘tǐ’ as a ‘principle’ or ‘cause’ that produces ‘qiánkūn(乾坤)’, not a ‘xíng’ or a ‘zhì’. Second, I found that the system of 『Yì(易)』 organized by the state and that organized voluntarily by the private sector is similar in a large frame.

      • KCI등재

        전쟁책임과 점령기 일본문학 -다케다 다이준의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

        송인선 ( In Sun S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9 No.-

        다케다 다이준(武田泰淳)의 『심판(審判)」(1947)은 일본의 전범재판이 진행중이던 시기에 집필되었다. 이 소설은 ‘지로(二郞)’라는 일본병사가 중국에서 저지른 전쟁범죄와 그에 따른 죄의자각, 책임의 문제를 다루고 있으며, 일본문단에서는 가해자 일본군의 자화상과 전쟁책임의 문제를 비교적 이른 시기에 착실하게 추구한 작품으로 평가받아 왔다. 하지만 본 논문은 『심판」 이 그 시기 보기 드물 정도의 깊은 성찰을 보인 작품이었다는 점에 동의하면서도, 현재의 시각으로 보았을 때 ‘지로’의 치열한 내적 탐구의 계기와, 죄책의 자각이라는 주제의식에 이르는 과정에, 실은 매우 핵심적인 사항들이 결락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이 소설을 사법적 차원만이 아니라 도덕적 차원의 전쟁책임 논의에 비추어, 작품의 공백과 ‘지로’의 한계라는 관점에서 재독하였다. 소설 속에서도 ‘지로’의 심판은 사법적인 제재로 귀결되는 것이 아니라 도덕적인 차원의 자기처벌을 수용하는 것으로 그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로’가 저지른 두 번의 민간인 사살은 단지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의 국적의 차이가 총격의 유일한 동기라고 할 만큼 무의미한 살인이었다. 특히 첫 번째 사살은 국가의 명령계통에 따라 행해진 것이었기에 일본이 일으킨 침략전쟁과 전쟁범죄에 대해 ‘비(非)일본인’이 추궁해야 할 전쟁책임의 문제를 보다 근본적으로 내포하고 있다. 국민으로서 성실하게 징병의 의무에 응한 ‘지로’가 그 성실의 결과 양민 살상이라는 범죄를 저지르게 되는 이 소설은, ‘지로’의 배후에놓인 국가적 책임의 계통구조를 상기시키고, 동시에 엄연히 그 구조의 일부로 작용하는 말단병사의 정치적.도덕적 책임의 엄중함도 함께 일깨울 수 있는 플롯을 갖추고 있다. 하지만 『심판」은 명령계통을 거슬러 올라가 책임의 근원지를 드러내거나 암시하지 않았고, 지로 자신의 가해 의식도 별반 드러내지 않았다. ‘지로’의 희박한 가해자의식은 ‘전시하’라는 예외적 상황 속에서 자신의 배후에 놓인 국가의 명령계통에 책임의 상당 부분을 전가하고 있기 때문일 텐데, 현실의 도쿄재판에서 ‘천황’이 빠졌듯이, 소설 속에서도 최고책임자와 말단의 연결고리는 공백으로 남아있다. 또한 『심판」은 전쟁책임을 다루면서도 고통에 찬 ‘타자’의 호소와 항의의 목소리를 결락하고 있다. 지로는 자신의 전쟁범죄와 그 범죄를 약혼녀에게 고백한 행동까지도 본인의 의지와 결단에 의한 것이었다고 얘기함으로써 스스로를 ‘책임질 주체’, ‘사죄할 주체’로서 정립하고 있 다. 그러나 많은 이들이 강조하듯 ‘책임(Responsibility)’을 ‘타자에 대한 응답(Response) 가능성’이라고 보거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처럼 ‘주체’를 ‘타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통해서 비로소 성립하는 개념으로 본다면, 지로가 전쟁책임을 받아들이는 경로에는 ‘타자(=피해당사자)에 대한 윤리적 책임성’으로서 존재하는 ‘주체’의 모습은 희박하다. 전쟁의 최고책임자, ‘타자’, 가해의식 등 『심판」이 말하지 않은 것들은 패전 이후 지금까지 현실 속에서 전개되어 온 일본의 전쟁책임 논의에서도 거의 침묵으로 일관되거나 가려진 부분과 겹치는데, 그런 점에서 『심판」은 오히려 말하지 않은 ‘공백’들을 통해서, 패전 70주년에도 여전히 현재진행형인 동아시아에서의 전쟁책임 문제를 진지하게 들여다보게 하는 소설이라고 해야 할 것이다. ``Simpan’ by Takeda Taijun (1947) deals with the issues of war crime committed in China by a Japanese soldier Jiro, according realization of crime and responsibility and it has been considered 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pursued the issue of self-portrait of perpetrator Japanese solider and responsibility of war at a relatively early period. Although this paper shares the opinion that ‘Trials’ was a piece of literary work that showed moral introspection rare during the period, this paper focused on the fact that it lacked very core matters from today’s perspective during the process of arriving at the cause of Jiro``s intensive internal exploration and thematic consciousness of realization of responsibility for a crime. Accordingly, it interpreted this novel once again from a perspective of gap of the literarywork and Jiro``s limitation in light of the discussion on responsibility of war not only from judicial level but also from moral level. Jiro’s act of killing civilians by shooting twice was a meaningless act of murder and the only motive for shooting was the difference of nationality between the victim and perpetrator. The first killing more fundamentally contains the issue of responsibility of war that should be interrogated by ‘non-Japanese’ for the war of invasion and war crimes committed by Japan since the killing was committed according to the chain of command of the state. This novel in which Jiro that faithfully responded to the draft obligation as a citizen ends up committing a crime of civilian killing as a result of such faithfulness has a plot that reminds of the chain structure of national responsibility that lies behind Jiro, as well as enlightening the severity of the political & moral responsibility of a low-ranking solider that acts as a part of such structure. However, ‘Trials’ neither reveal or imply the root of responsibility by tracing back to chain of command nor particularly reveal the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of Jiro. It``s because Jiro``s insufficient consciousness of perpetrator is shifting a significant part of his responsibility to the national chain of command that lies behind him in an exceptional situation of wartime. Accordingly,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hief and lowest persons of responsibility remains in vacuum in the novel just as the Japanese emperor was not included in Tokyo Trials. In addition, Trials omits the painful appeal of ‘the other’ and voice of protest even while dealing with responsibility of war. Jiro who says that his war crime and act of confessing his crime to his fiancee also resulted from his will and determination appears as establishing himself as ‘subject to take responsibility’ and ‘subject to apologize’. If ‘responsibility’ is seen as ‘the possibility of response to the other’ as emphasized by many people or subject is seen as a concept that is established only upon moral responsibility on the other as Emmanuel Levinas, the appearance of ‘subject’ that exists as ‘responsibility for the other’ is lacking in the way Jiro accepts his responsibility of war. The untold things by Trials such as the chief person responsible for war, the other and consciousness of wrongdoing are consistently silenced or overlap with concealed areas in the discussions on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that have unfolded since the defeat. In that sense, Trials is a novel that makes readers seriously look into the issue of Japan’s responsibility of war in East Asia not only immediately following the defeat but also currently through the untold ‘vacuums’.

      • KCI등재

        박목월 육성 녹음 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조성문 ( Sung Moon Cho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58 No.-

        본 연구는 박목월 시인이 직접 녹음한 시 <먼 사람에게>, <아가>, <효자동>, <경사>, <난초 잎새> 등 총 5편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운율적 특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음성분석 프로그램인 Praat을 이용하여 운율적 특성인 고저, 장단, 강약 등을 분석한 것이다. 박목월시인의 모든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면 좋겠지만 본 연구에서 그렇게 하지 못한 것은 아쉽게도 발견된 녹음 파일이 5개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그래도 보통 시의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 필자 자신이 직접 녹음한 음성파일을 이용한 경우가 거의 없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상당히 의미가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시 운율 연구의 한계는 바로 낭송자의 선정이다. 시를 완전히 이해하고 암송할 수 있는 낭송자를 선정하여 녹음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시를 가장잘 낭송할 수 있는 사람은 바로 시인 자신이고, 그 시인이 직접 쓴 시를 낭송케 하여 분석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번 연구가 더 중요하다고 하겠다. 우선 기존의 문학적인 연구에서 분석한 중요 시어가 무엇이었는지 확인해 보았다. 그 이유는 그 결과를 본 연구에서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한 결과와 비교하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본 연구에서 고저, 장단, 강약 등으로 세분하여 분석한 결과 문학 쪽 연구의 분석과 거의 일치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저에서는 보통 HL의 억양을 보였지만 <난초 잎새>의 ‘눈’ 부분만 LH 억양을 보였다. 장단에서는 ‘단장’이라는 특징이 제일 우세했고, <먼 사람에게>의 ‘먼 사람아’ 부분만 문학 쪽 연구의 분석과 일치했다. 강약에서는 <먼 사람에게>, <아가>의 ‘당신’ 부분이 독특한 모습을 보여 중요한 시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문학 쪽 연구의 성과와 일부분 일치하는것도 있었지만 대부분 달라서 새롭게 해석해야 할 필요성을 찾게 된 것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연구와 같은 음향음성학적 분석을 활용하여 문학 쪽 연구의 분석에 도움을 줄 필요가 충분히 있다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acoustic experimental study is to investigate metrical characteristics in Mokwol Park’s poems using a computer implemented speech analysis system. The metrical characteristics that orally produced the poetry were analyzed by pitch, length, and intensity. Mokwol Park’s poems selected for prosodic analysis were <Meonsaramege>, <Aga>, <Hyojadong>, <Gyeongsa>, and <Nanchoipsae> and were presented by Mokwol Park. Metrical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from the sound spectrogram made by Praat. The study of Mokwol Park’s work sufficiently supports a substantial argument in view of the literary theory. However, it was insufficient for the linguistic method. Poetry is based upon the relationship of similar sounds. Sounds perceived as similar to one another create acceptable rhythm pairs. So,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investigated pitch, length, and intensity of Mokwol Park’s poems acoustically. The pitch contours were analyzed from sound spectrogram made by Praat. The pitch, length, intensity patterns of Mokwol Park’s poems were within the sound hierarchy. The result shows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study of literary and acoustic methods. Even though the patterns of metrical characteristics we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of literary and acoustic research. To better understand poetry there needs to be more poems and informants studied as well as the need to develop other variables.

      • KCI등재

        전통의 영상 - 육명심의 `영상사진`과 토속성의 기록 -

        김계원 ( Gyewon Kim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0 No.-

        이 글은 1960년대~80년대의 한국사진의 흐름에서 `영상사진`이 무엇을 의미했으며 이는 사진에서의 모더니즘에 대한 자각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짚어본다. 기존의 사진비평에서 이 시기의 경향은 크게 생활주의 리얼리즘, 아마츄어의 살롱사진, 프로페셔널의 광고사진으로 나눠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형식주의적, 기능주의적 관점은 사진이 어떻게 폭넓은 사회적 이슈와 공명하면서 시각적 가능성을 확보해 가는지 설명하기 힘들다. 반면 순수미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이 시기의 사진은 `현대사진`으로 나아가지 못한 기나긴 미발달의 시기로 해석된다. 이러한 제한적 비평의 관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이 글은 사진가 육명심(b. 1933)의 글과 사진에 초점을 맞추어 60년대부터 지속된 다양한 사진적 실험들을 모더니즘 사진의 수용과 번역과정으로 해석할 것이다. 특히 그의 사진적 실험을 압축하는 개념인 `영상사진`이 전통적 주제물과 접목되어 `한국적 사진미학`의 가능성의 토대를 구축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그가 `우리 것 삼부작`이라 부르는 <백민>, <장승>, <검은 모살뜸>은 그러한 문화적 독자성에 대한 탐색이며 모더니즘 사진의 한국적 번역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육명심의 작업은 토속의 삶에 퇴적된 시간의 무게와 질감을 빠짐없이 길어올리며 `모던하면서도 전통적인 세계의 합일`이라는 익숙한 논리로는 설명될 수 없는 또다른 전통의 존재감을 포착한다. 그것은 현대화의 충격에 흡수되지 못했거나 화해하지 못한 채 남아있는 토속의 질감과 무늬, 그리고 물질성이다. 육명심의 전통의`영상`은 기존의 사진사에서 논의된 바 없는 1960~80년대 사진의 의미와 가치를 새로운 해석의 공간으로 끌어들인다. This paper examines the way in which a new style of photography that emerged in postwar Korea reflected a process of the conceptual translation of photographic modernism. Methodologically it centers on `Young-sang Sajin,` a term coined by Yook Myeong-Shim (b. 1933) in his historicization of Korean photography during the late 1970s. As opposed to the candid realistic style of photography in the previous period, `Young-sang Sajin,` according to Yook, pursued a subjective and heuristic mode of representation. It also explored the media specificity of photography by experimenting a renovative way of cropping, cutting and framing, the dramatic contrasts of black and white tones, and the unusual way of composition. The style of `Young-sang Sajin` penetrates the experimental works of the photographers including Yook Myong-Shim himself, Yi Gap-cheol, and Choi Gwang-ho, all of whom have documented the traditions and indigenous lives of Korean people in the margins of the country, otherwise quickly vanishing in the light of modernization. This paper especially addresses how Yook`s notion of `Young-sang Sajin` resonated with the contemporary Japanese theory and discourse on `eizo(映像)` and how it echoes a crucial aspect of the cultural translation in postwar Korea. Based on Yook`s writings and visual works, including the well-known photographic series of the `Ordinary People,` `Jang-seung (ancient monument),` and `Black Sand Bathing,` this essay also shows how Yook could synthesize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on the conceptual locus of `Yong-sang Sajin,` a notion that was gradually transformed into what is called `Korean photographic aesthetics.` Interestingly, however, Yook`s visual work was not squared with such a cliche of Korean-style modernism, nor accorded to the politically charged meaning of `tradition,` a notion that was intensively discussed and strongly supported by a progressive art movement in 1980s Korea. Instead, Yook`s work captured and visualized the materiality of indigenous folklore in a new way, through which the minute details, surfaces, and textures of vernacular folk life came to obtain a new level of visibility and visuality. Underlying these are the specific styles of `Young-sang Sajin` that brought the invisible, illegible, and uncanny matrix of the indigenous folklore to a new interpretative frame for Korean tradition.

      • KCI등재

        ‘압축된 시간’과 ‘열광’ - 3 · 1운동 연구를 위한 시론 -

        윤해동 ( Yun Hae-do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7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1 No.-

        1차대전이 끝나는 1918년 하반기부터 새로운 헤게모니 시간으로 부상하는 미국의 제국시간과 일본의 제국시간은 갈등하고 있었다. 미국의 제국시간이 민족자결주의로 포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식민지 조선에서 이 두 제국시간은 더욱 첨예하게 부딪칠 가능성이 높았다. 한편 조선 내에서 일본의 제국시간은 양화된 시공간 관념을 통하여 조선의 중하층 시간과 부합하거나 날카롭게 부딪치고 있었다. 조선의 중층시간은 민족과 근대성 사이를 동요하며 동시대성 혹은 세계사적 동시성으로의 비약을 꿈꾸고 있었다. 조선의 하층시간은 제국주의 지배를 통해 급속한 사회적 분화를 경험하였으며, 양화된 시간의 압박으로부터 벗어날 것을 상상하고 있었다. 조선의 중하층 시간은 이처럼 동요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급속하게 ‘압축된 시간’을 경험하고 있었다. 조선인 중하층 시간이 ‘자결’과 ‘개조’라는 세계사적 동시성과 만나게 될 때 그것은 쉽사리 ‘열광’으로 변하게 될 것이었다. ‘불꽃’과 같았던 3·1운동의 열광은 ‘압축된 시간’의 폭발에 의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열광’은 시간이 압축된 방식과 강도에 따라 그리고 그것이 폭발하는 공간에 따라 각기 그 모양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이 글에서 설정한 세 가지의 제국시간과 조선에서의 3층의 중층적 시간 사이에는 각기 다른 무수한 종류의 시간이 존재한다. 그 무수한 시간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교차하거나 결합되어 있었으며, 독자적인 방식으로 압축되어 있었다. 따라서 ‘열광’의 방식과 내용도 모두 달랐다. 3·1운동의 열광 속에 다양한 차원의 모호함이 담겨 있다는 지적은 이를 두고 하는 말이 아니겠는가· 그럼에도 3·1운동에는 ‘위대한 정신의 비약’이 담겨 있었음에 틀림없다. Since the middle of 1918 when the First World War ended, the imperial time of the US and that of Japan, both on their way to becoming the new hegemonic time, were in conflict with each other. With the national self-determinism being upheld, colonial Korea was apt to see an aggravation of that conflict. Meanwhile, through westernized notions of time and space, the imperial time of Japan was both reconciling and colliding with the middle and lower class times of colonial Korea. The middle class time of colonial Korea was oscillating between nation and modernity, all the while preparing itself for a leap to contemporaneity, or contemporaneity of world history. Having gone through a rapid social differentiation under imperial rule, the lower class time of colonial Korea was aspiring to break away from the pressures of westernized time. Amidst such agitation, the middle and lower class times of colonial Korea were quickly turning into ‘condensed time.’ When the middle and lower class times of colonial Korea would come face to face with the contemporaneity of world history in the forms of ‘self-determination’ and ‘reform,’ ‘mass enthusiasm’ would ensue. The mass enthusiasm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which spread like a fire, was a consequence of the explosion of ‘condensed time.’ However, this ‘mass enthusiasm’ took on different appearances depending on the ways in which time was condensed, the intensity of the condensation, and where the explosion of the condensed time occurred. Countless different types of time exist across the three imperial times and the three-tiered times of colonial Korea described in this article. Those countless times have intersect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various ways, and been condensed in just as many ways. As a result, the manifestations of ‘mass enthusiasm’ have been different as well. Isn’t this what we mean when we say that there are numerous dimensions of ambiguity in the mass enthusiasm of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Nevertheless, there is no denying that the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came out of a ‘great leap of the mind.’

      • KCI등재

        김명순 시에 나타난 공간 연구

        양소영 ( Yang So-young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4 No.-

        이 논문의 목적은 김명순 시에 나타난 공간의 의미를 분석하며 그녀의 시 세계를 더 풍부히 이해하는 데 있다. 김명순의 시적 공간은 자아를 형성하고 그녀의 삶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며 단순한 건축물의 상징이 아니라 주체적인 삶의 방법으로 자리하게 되었다. 그녀의 시에서 공간은 시기별로 경성, 평양, 동경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초기시에 나타난 경성은 남성중심주의와 가부장제 속의 “사나운곳”(「유언」)이며 “영영작별”(「유언」)하고 싶은 절망감을 주는 공간이다. 게다가 이런 절망감은 깊은 분노로까지 이어지게 된다. ‘피 뿜는 내 가슴’(「내가삼에」)은 가혹한 현실에 대한 분노의 극점을 보여준다. 또한 「유리관속에」서 유리관 속의 삶은 주체의 삶을 차단하는 유폐된 공간이다. 하지만 그녀는 이런 공간을 통해 삶의 처한 현실에서 벗어나자고 노력한다. 초, 중기시에 나타난 고향과 어머니에 대한 그리움은 모성의 기호로 원초적이며 풍요로웠던 평양과 연결된다. 그렇기에 그녀는 고향의 풍요로웠던 기억을 통해 현실의 아픔을 치유하고자 했다. 특히, 김명순 시에서 어머니에 대한 감정은 복합적이었으나 어머니는 원초적이며 내밀한 힘으로 그녀를 포용하며 절망적이고 불한 현실에서 그녀를 구원하였다. 후기 시에서 동경은 생명력이 넘치고 사랑이 넘치는 개방적인 공간으로 김명순은 이곳에서 주체적인 삶의 무대를 마련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동경은 그녀에게 모성의 공간보다 더욱 생명과 사랑이 충만한 곳으로 그녀에게 안식의 공간이 된다. 이런 점에서 시인은 동경을 통해 자신을 힘들게 했던 여러 상황을 이겨낼 수 있게 되며 보다 적극적인 삶을 살 수 있게 된다. 특히, “이역” 거리인 동경은 김명순에게 “堤防도 깨트리고/地獄같은 바위틈도 궁그를수”(「샘물과같이」)있는 강력한 의지를 얻게 하며 주체적이고 자유로운 정신을 실현시킨다. 이런 점에서 「석공의 노래」는 이런 김명순의 확고한 주체적인 의지가 담긴 시편이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urther understand her poetry world by analyzing the meaning of the space that appears in Kim Myung-soon. Kim Myung-soon's poetic space had an important impact on her self-organization and her life and became an independent way of life, not just a symbol of a building. In her poems, space was divided into Gyeongseong, Pyongyang and Tokyo by time. In its early days, the Gyeongseong is a "unusual place" within the male-centered and patriarchal system and a space that gives the despair of wanting to be a ‘long farewell’ In addition, this despair lead to deep anger. "My Bloody Chest" shows the extreme point of anger at the harsh reality. In addition, life in glass tubes "in glass tubes" is a wasteful space that blocks the life of the main body. But she tries to get out of life through these spaces. The yearning for her hometown and mother in early and mid-term is a symbol of motherhood, connected with Pyongyang, which was primitive and prosperous. So she tried to heal the pain of reality through her rich memories of her hometown. In particular, Kim Myung-soon's mother's feelings were mixed, but her mother embraced her with her original, inner strength, and saved her from a desperate and unfortunate reality. In later times, Tokyo is an open space full of life and love, where Kim Myung-soon can prepare for a life of his own. Therefore, Tokyo becomes a place of rest for her where life and love are more abundant than that of motherhood. In this regard, the poet is able to overcome many difficult situations and lead a more active life. In particular, Tokyo, the "transverse" street, provides Kim with a strong will to "break a break“ among rocks and realize a self-independent and free spirit. In this regard, "Song of Seokgong" is a preview of Kim's firm determination.

      • KCI등재

        도교 음악의 초국가적 형성: 맥락 만들기와 정체성 형성

        고은강 ( Eun Kang Koh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1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49 No.-

        본 연구는 "도교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일반적인 질문으로부터 출발한 도교 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다. 2002년부터 2003년 사이에 중국 북경, 홍콩, 싱가포르의 도교 사원 및 지역 축제 그리고 주로 서양 음악 공연을 위한 전문 음악공연장에서 열린 다섯 개의 공연을 중심으로 도교 음악의 정체성을 구성하는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2009년 발표한 "We Define Music, Music Defines Us"와 관련이 있지만 논문의 내용과 시각은 전혀 다르다. 2009년의 논문이 도교 사원 및 그에 속한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논문이라면 본 논문은 "도교"를 통한 음악의 정체성 만들기이다. 본 논문은 그야말로 "도교음악"의 정체성에 관한 질문이다. 이 논문에서 소개되는 다섯 개의 서로 다른 공연을 보면 "무엇이 도교 음악인가" 나아가 "도교 음악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쉽게 답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 도교라는 종교를 연구하다 보면, 단지 도교 음악뿐만이 아니라 도교 의식, 도교 사원, 도교와 관련된 다양한 실천들, 그리고 무엇보다도 도교라는 종교 그 자체의 정체성을 만들고 드러내는 방식이 시대와 지역, 국가의 경계를 넘어 다양하다는 점을 발견하게 된다. 다양한 도교의 정체성 만들기에 특히 두드러지는 점은 초국가적 성격이다. 중국, 한국, 일본에 걸친 동아시아 사회에서 관찰되는 도교는 역사적으로도 한 국가의 경계를 넘어 초국가적으로 형성되어 왔다. 본 연구의 연구 자료인 다섯 개의 공연도 서로 다른 국가, 서로 다른 지역에 걸쳐 있다. 이 다섯 개의 공연을 통해서 도교 음악의 정체성을 생각해 본다면 도교 음악의 정체성은 단지 한 국가에서 다른 국가로 국제적으로(internationally)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둘 이상의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 초국가적 호혜성(transnational reciprocity)을 통해 형성된다는 점이다. 초국가성(transnationality)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연구 자료에서 주목할 점은 국가 내 종족성(ethnicity)과 초국가성의 관계다. 다섯 개의 공연은 서로 다른 국가, 서로 다른 지역을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모두 중국 민족(Chinese nation)과 관련이 있다. 국가의 경계 안에서 형성되는 종족성이 곧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 초국가성으로 나타나고 한 국가의 경계 내에서 종족성의 형성 과정에 초국가적 호혜성이 개입되는 현상은 비단 도교음악의 정체성 연구에만 국한된 현상은 아닐 것이다. 도교의 정체성 만들기에서 초국가적 호혜성의 중요성은 음악 이외에 도교와 관련된 다른 연구 주제를 통해 이후에 밝혀 나갈 것이다. This article is about Daoist music. If one broadly defines Daoist music as music related to Daoism, then this study can simply be perceived as an introduction to various forms of Daoist music. However, if one approaches Daoist music as music that constitutes an integral part of the ritualistic worship of Daoist deities, as most ethnomusicologists do, then this study paints a more holistic picture of Daoist music. Strictly speaking, this study focuses on five scenes of performances taken from different regions of Asia in which Daoist elements are involved. However, as the meaning of the music derived from Daoistic ingredients differs in each scene, the following question can be posed: What is Daoist music? The present study does not seek to define Daoist music, or propose objective standards for Daoist music. Rather, it seeks to foster a review of the issue of the construction of musical identity. In short, this study argues that context should be regarded as being as crucial as text when reading "music-as-text." The meaning of music and musical identity is dependent on the context in which the music is located, as well as elements of the musical texts such as style and lyrics. The music analyzed in this study illustrates the range of the Daoist identity today. In addition to Daoist music, various other methods can be used to create and expose the characteristics of Daoism. These include Daoist ceremonies, Daoist temples, Daoism related martial arts, various Daoist customs, and Daoism as a religion. However, the transnational aspect constitutes the most outstanding element when it comes to creating the Daoist identity. Historically, the Daoism that can be found in East Asian society today, a region which encompasses China, Korea and Japan, was trans-nationally formed beyond the borders of the state. The five performances introduced in this study also take place in different countries and regions. The analysis of the identity of Daoist music conducted herein in conjunction with these five performances reveals that this identity was not formed and then internationally spread from one country to another, but rather took shape through a transnational reciprocity which saw countries influence each other in a manner that expanded beyond boundaries. The importance of transnational reciprocity in establishing the Daoist identity will become more evident through a focus on themes related to Daoism other than music.

      • KCI등재

        「쥐좆도 모른다」의 분석심리학적 연구 -여성 인물의 심리분석을 중심으로-

        이혜란 ( Lee Hye Ran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구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9 동아시아 문화연구 Vol.76 No.-

        본 연구는 「쥐좆도 모른다」 유래담을 분석심리학적 관점으로 분석하여 작품의 의미를 해명하는 데 있다. 「쥐좆도 모른다」 유래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으며 쥐의 둔갑, 진가쟁주, 쥐의 퇴치 세국면으로 동일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변이 양상에서 주목되는 것은 여성의 시각이 반영되어 윤색되었을 가능성이다. 주변인물이라 할 수 있는 여성은 주체적으로 쥐를 양육하고 있었으며, 진가를 가리는 질문의 내용과 결미는 여성이 바라는 남편의 관점과 가짜를 알아보지 못한 여성의 대상화에 따라 유형이 나뉘고 있어 여성의 심리학적 측면의 해석이 필요하다. 쥐의 둔갑의 빌미를 주체적으로 제공하는 여성은 남성주인공의 부재(不在)한 상황에서 환상을 키워나간다. 그 환상은 정욕의 결핍에 의한 것으로, 쥐를 양육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당대 조혼의 풍속과 사회적 관계로의 가족 이데올로기 과정, 그리고 삼종지도에 따른 지배적 규범이 설정한 바람직한 여성상으로 인해 결핍으로 작용하였으며, 부부가 아닌 며느리 입장에서도 가부장적 질서에 대한 강박증은 여성을 환상이라는 쥐를 양육하면서 무의식에 사로잡혀 현실과 멀어지게 된다. 무의식에 사로잡힌 여성은 쥐로 둔갑한 ‘가짜’를 자신이 원하는 남편으로 투사하여 무의식을 체험한다. 이는 여성의 내적인격인 ‘아니무스’의 체험으로, 여성의 바람에 의한 투사상으로 볼 수 있다. 이렇듯 무의식에 사로잡힌 여성이 이를 극복하는 방법은 고통을 수반한 투사에 의한 인식이다. 육체의 욕망과 감정에 사로잡힌 여성들은 결국 ‘쥐좆도 모르냐’며 비난과 책망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서사에서 주목되는 것은 남편과 함께 행복해지는 결말이다. 물론 여성의 적극성이 나타나지 않고 남편의 이해에 비롯되지만 이를 통해 서사는 완정한 가족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더 나아가 완정한 가족관계를 위해 여성의 전체성을 이루기 위한 아니무스의 발달을 강조하며, 완정한 가족 관계의 지표로서의 여성상을 제시하고 있는 서사가 바로 「쥐좆도 모른다」 유래담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folk tale on a Korean saying, “You don’t know even a rat’s penis”, in the perspective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folk tale with variation behind the saying, “You don't know even a rat's penis” is found nationwide, and all the variated tales are based on the same structure, consisting of three phases including the transformation of a rat, a quarrel over who is real and who is fake, and the eradication of the rat. One of the noticeable points in the variations is the addition of feminine perspectives. In such tales, a female character, the wife of the man whose appearance is stolen by the rat, voluntarily raises the rat. This female character has also variations which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depending on what questions she asks to the two men who look the same, what she wishes for her husband, or how she is targeted due to her false selection on the fake. These features require the interpretation on the folk take in the perspective of feminine psychology. Since the absence of her husband, the female character has raised the rat, developing her own fantasy, and the rat finally transforms into a man. The fantasy comes from the social suppression of her sexual desire, and it is represented as a rat rearing. This suppression reflects the idea of family combined with the tradition of early marriage, relevant social relationships, and predominant norms imposed on women following ‘Three Obediences (三從之道).’ That is, the obsession toward the patriarchal norms makes the female character seized with the unconscious fantasy, even in the position of a daughter-in-law losing her husband. When the rat transforms into a man, this woman possessed with the unconscious fantasy projects what she has wished for her husband to this transformed rat. This is called the ‘animus’ experience, reflecting her inner personality. Projecting women's humble wishes toward their husbands, the variations led by a female character honestly reveals women's perspectives. Like in the female version of the folk tale, women who are seized with their unconscious fantasy can come over the situation by perceiving what projects their practical wishes. Sometimes women obsessed with lust and emotions would be blamed with the words, “You don’t know even a rat’s penis” but the core of such narratives is the happy ending where the female characters get back a happy life with their husbands. While the female characters do not show active actions sufficiently, and finally follow their husbands, the female variations present meaningful implications on the perfect appearance of family relationships. Furthermore, this folk tale emphasizes the development of animus to complete women’s integrity for the perfectness of family relationshi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