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룹홈 청소년이 맺는 대리양육자와의 애착관계가 심리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수천 ( Soo Cheon Yi ),김형태 ( Hyoung Tae Kim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2

        본 연구에서는``청소년의 부모와의 애착관계는 낙관성을 매개로 심리적응과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적 모형을 그룹홈 청소년에게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그룹홈 청소년은 여러 가지 이유로 친부모와 함께 살지 못하고, 대신 부모의 역할을 대행하는 그룹홈 생활교사(대리양육자)와 함께 살기 때문에``대리양육자와의 애착관계``가 낙관성을 매개로 심리적응과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심리적응 모형과 사회적응 모형 모두에서 낙관성은 애착관계와 심리적응 및 사회적응 사이에서 완전 매개변인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그동안 사회복지 연구에서 많은 관심을 받지 못했던``낙관성``의 효과에 관심을 갖게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designed a mediating pathways models to examine the theory, ``the influence of attachment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and their parents affects on adolescents`` psycho-social adjustmen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optimism``. Authors tried to examine if this theory is applied to group-home adolescents who live with surrogate care-givers instead of their parents. For this study, two models, ``Psychological Adjustment Model`` and ``Social Adjustment Model`` were constructed. Each model has path, ``Attachment with Care-givers →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Attachment with Care-givers → Social Adjustment`` respectively. ``Optimism`` is mediating variable in between these two variables. The results were very clear. In two models, no direct effects from ``Attachment``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from ``Attachment`` to ``Social Adjustment`` were found. However, indirect effects from ``Attachment`` to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from ``Attachment`` to ``Social Adjustmen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e mediating variable of ``Optimism``.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research on ``Optimism`` which has not been focused among social welfare researchers needs to be followed.

      • KCI등재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 위축, 우울의 구조적 관계 -온정양육·교사관계에 의한 위축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수천(Yi, Soo-Che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21 한국아동복지학 Vol.70 No.3

        본 연구는 학령전환기에 있는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가 위축을 매개로 하여 우울을 증가시킨다는 점을 밝히고 또한 이 구조적 관계에서 부모의 온정적 양육태도 그리고 교사관계의 완충역할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 2018년 자료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 2,541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주된 분석은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 검정법과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도는 위축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이때 부모의 온정양육과 교사와의 관계는 모두 위축과 우울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는 것이 검정되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 의존, 위축, 우울의 경로를 밝힌 것과 더불어 이런 과정에서 청소년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 부모와 교사의 역할이 완충작용을 하는 것을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결과에 따라 정책적,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f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during the school-level transition period affects depression through atrophy, and if warm parenting and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have buffering effects in this process. For this purpose, we used a sample of 2,541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data from the 2018 Korean-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Baron and Kenny’s (1986) mediating effect verification method and Hayes’ (2013) process macro were used as main analysis methods.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dependence on smartphones had an effect on depression through atrophy. Th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in this process, warm parenting and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s had buffer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trophy and depression. This study revealed the pathways related to smartphone dependence, atrophy, and depression, and the buffering role of adolescents’ clos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practice and policy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사의 클라이언트 폭력 경험 연구

        이재용(Jae-Yong Lee),이수천(Soo-Cheon Yi)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1

        본 연구는 사회복지기관에서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에 대한 경험연구이다.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논의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기관에서 8년에서 17년 동안 근무한 경력이 있는 사회복지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심층면접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분석은 Collaizzi의 현상학적 방법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16개의 범주, 6개의 주제, 3개의 대주제로 맥락이 드러났다. 주제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사가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을 살펴보면 "폭력의 긴장을 늦출 수 없는 클라이언트와의 생활", "클라이언트의 폭력은 도를 지나치고", "폭력을 당해도 참아야 하는 현실의 답답함", "클라이언트의 폭력으로부터 벗어날 안전장치가 없음", "마음을 추스르지 못해 포기하는 직원이 생겨나고", "해야 할 사명이기에"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하는 클라이언트 폭력이 심각함을, 사회복지사들은 이런 폭력으로 인하여 무력감을 느끼고 있음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사들은 클라이언트의 변화를 희망하며 사명감으로 헌신하고 있음을 보게 되었다. 결과를 통하여 사회복지사의 인권보호 필요성과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lient violence experienced by social workers and alternatives to such violence. For the study, five people who worked in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8-17 years were selected as study participants, and the data obtained from them were analyzed by Collaizzi"s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16 categories, 6 topics, and 3 main categories. The context of meanings appeared as follows: "Life that can not be relaxed by the violence of the client", "The client"s violence is too high", "The frustration of reality that must endure violence", "No safeguards to protect against client violence" , "Walker gives up because he can not keep up his mind", and "But because it is our mission to do".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why and how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ers who suffer from client violence.

      • KCI등재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전준현(Jeon Jun-Hyeon),이수천(Yi Soo-Cheo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9 한국청소년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지역에 있는 55개의 그룹홈 231명을 대상으로 하여 사회적 지지가 그룹홈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첫째, 조사대상 그룹홈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들 중 남녀 집단 간 차이가 나는 요인은 학교 교사의 지지였다. 둘째, 사회적 지지의 하위 요인 중 친구의 지지 요인은 남자와 여자 모두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인이었으며, 여자의 경우 그룹홈 가족의 지지가 자아 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셋째, 통제변인 중 성적은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다. 이런 결과를 볼 때 그룹홈 청소년들에게는 친구 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여자 청소년들에게는 그룹홈 구성원과의 관계 개선 프로그램과 학습 도움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사회적 지지의 요인이 남자 청소년과 여자 청소년 사이에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으므로 그에 따른 프로그램의 차별성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explores the social support factors which affect the self-esteem of a group of some 231 group home adolescents, aged between 11 to 20 years ol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rom 55 group hom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social support of male adolescents from school teacher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adolescents. Second, the support received from friends tended to affect the self-esteem of both male and female subjects, provided that socio-demographic variables like gender, school grade and residential period at the group home were controlled. Third, the social support from group home family also tended to affect the self-esteem of female adolesce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suggested. First, it is necessary to focus attention on ways of helping both male and female group home adolescents in order to better promote peer relationships. Seco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appropriately differentiated programs for both male and female group home environments.

      • KCI등재

        대학생의 협동학습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강상희(Sang Hee Kang),이수천(Soo-Cheo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협동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특히, 협동학습에서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경로에서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에 위치한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K-NSSE 조사에 응한 316명을 대상으로 하여 Hayes(2013)의 매크로 프로세스 4번을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Hayes(2013)의 매크로 프로세스는 단계별로 진행하는 회귀분석을 한 번에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부트스트랩을 함께 실시하는 특징을 갖는다. 간접효과에 대한 분석 및 재확인을 위하여 부트스트랩과 소벨 테스트롤 활용하였다. 결과 첫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 진로성숙도에 이르는 직접효과는 통계적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 학습동기를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협동학습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진로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간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런 결과에 비추어볼 때, 팀을 이루어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을 학생들에게 다양하게 제공하는 교육환경을 만들어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미래인재 양성이라는 교육의 책무성 측면에서 팀워크 기반의 문제해결 활동에 기초한 협력학습을 교과 수업의 특성에 맞게 구조화하여 운영하는 수업을 대학교육에서 강화하고 확산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한편, 본 연구는 서울 소재 K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모든 대학생들에게 일반화하여 적용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협동학습,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변인을 중심으로 그 관계와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변인들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 among cooperative learning, motivation to learn, academic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Methods For this purpose, among the data generated in the K-NSSE survey, the data from 316 students of K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structure established through previous studies was analyzed with regression analysis using Hayes (2013) macro process No. 4, and bootstrap and Sobel test were used to analyze and reconfirm the indirect effect. Results First, the direct path from cooperative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Second, the indirect path from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motivation to learn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Third, the indirect route from cooperative learning through academic self-efficacy to career maturity was found to be effective. Conclusions It is most important to create an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provides diverse experiences to students to solve problems by working as a team. In terms of the responsibility of education for nurturing future talent,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and spread the cooperative learning based on teamwork-based problem-solving activities, structured and opera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urriculum, in university education.

      • KCI등재후보

        생활관리사의 공감능력이 독거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황춘화(Chun-Hwa Hwang),정영아(Young-A Jeong),이수천(Soo-Cheon Yi)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2

        본 연구는 독거노인의 외적 보호요인인 생활관리사의 공감능력과 내적 보호요인인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이 우울에 어떤 관계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Y시와 I시에 거주하는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를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분석은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생활관리사의 정서적 공감과 인지적 공감은 모두 독거노인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하여 독거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정서적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인지적 공감은 자아존중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독거노인의 우울을 줄이기 위하여 생활관리사의 정서적 공감을 담보한 돌봄서비스가 더욱 개발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독거노인과 생활관리사를 함께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지평을 넓힌 이론적 기여가 있으며, 실천적인 면에서도 독거노인의 우울을 감소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는 의미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the empathy of the life-manager affects depression by mediating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e empathy of the life-manager is the external protection factor of the elderly, and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the internal protection factor. For this purpose, the elderly people living in Y and I cities and their living care workers were selected for the survey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motional empathy and cognitive empathy of the life-managers affected depression by mediated self-esteem of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However, emotional empathy of the life-manager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elf-esteem of the elderly, and the cognitive empathy of the life-manager has negatively influenced the elderly`s self-esteem. Based on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emotional empathy of the life-manager should be increased to reduce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life-manager are grouped together and studied. It is also important to suggest a practical plan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living alone.

      • KCI등재후보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혜진(Hye-Jin Park),김형태(Hyoung-Tae Kim),이수천(Soo-Cheon Yi) 한국보건복지학회 2018 보건과 복지 Vol.20 No.3

        본 연구는 청소년에게 있어 학교생활적응이 중요하다는 인식 아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특히, 인간 삶에 있어 가장 기초적 기반이 되는 가정 요인에 관심을 갖고 부모의 양육행동이 부모자녀의 애착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단위 표집이 이루어진 한국청소년패널 4차년도 자료 중 3,102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통제변인 중 성적, 용돈, 자아존중감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부모애착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드러났다. 셋째, 부모애착은 부모양육태도와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사회복지실천으로 가족개입적인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ap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al attachment mediates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daptatio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fourth year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KYPS) with nationwide sampling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cores, pocket money, and self-esteem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aptation. Second, parenting attitudes and parent attachment were found to be factors influencing school adaptation. Third, parent attachment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measures for school adaptation were suggested. In particular, it wa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to help the family is necessary.

      • KCI등재

        청소년기의 우울, 자아탄력성, 교우관계 간의 영향관계 연구

        정지웅(Ji-Ung Jung),황춘화(Chun-Hwa Hwang),이수천(Soo-Cheon Yi) 한국보건복지학회 2020 보건과 복지 Vol.22 No.1

        본 연구는 청소년의 우울, 교우관계, 자아탄력성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자아탄력성이 두 변인 사이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검정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은 주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Hayes가 개발한 macro process를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들의 우울은 교우관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은 교우관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우울이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때 조절효과는 완충효과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우울, 자아탄력성, 자아존중감을 다루기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확대, 강점관점 실천의 강화, 감수성훈련의 확대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peer relationship and ego-resilience in adolesc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role of ego-resilience between two variabl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6th year data of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and mainly us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used macro process developed by Hayes to test the interaction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depression of adolescents had a negative effect on peer-relationship. Second, adolescents" ego-resilienc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friendship. Third, the ego-resilience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to be a buffering effect.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o reduce depression of adolescents and to increase ego-resilience and self-esteem.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경제생활역량’과 영향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진숙(Jin-Sook Kim),강상희(Sang-Hee Kang),이수천(Soo-Cheon Yi)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2024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Vol.6 No.1

        연구목적: 대학생들의 ‘경제생활역량’을 진단하고 ‘경제생활역량’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을 탐색하였음. 연구방법: 머니 프레임 진단도구를 사용하여 ‘경제생활역량’을 진단하였고, 머니 파워의 결과치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t-test와 ANOVA를 실시하였고, 상관관계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음. 연구결과: 개인 요인(성별, 나이, 학년, 용돈, 저축/투자, 기부/나눔, 자력수입)과 가정 요인(어머니 직업, 가족간에 재정대화), 경제교육 요인(경제 관련 교육 경험, 처음 교육받은 시기, 가정의 경제 관련 교육, 경제 콘텐츠 이용률, 이용 콘텐츠), 경제생활 요인(재정 위기경험, 수입과 지출에 대한 인식, 소비지출 기록, 저축, 저축상품 이해, 예산수립, 금융정보 소스, 은퇴 재무설계, 금융 신뢰)와 같은 요인들이 ‘경제생활역량’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음. 논의 및 결론: 가정에서부터 경제관련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문화 정착의 방안과 학교에서의 경제교육의 현실화 방안이 필요함. Purpose: The Economic-life competencies of college students were measured and variables affecting these competencies were analysed. Method: Economic-life competencies were measured using the Money-Frame Scale, and t-test and ANOVA were performed to analyze various factors affecting money power,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Personal factors (gender, age, grade, pocket money, savings/investment, donation/sharing, self-income), Family factors (mother's occupation, financial conversation at home), Economic education factors (economics-related education, time of first economic education, economics-related education at home, economic content usage rate & contentd), Economic life factors (financial crisis experience, awareness of income and expenditure, consumption expenditure records, savings, understanding of savings products, budgeting, financial information sources, retirement financial planning, financial trust) have been shown to increase Economic-life competencies. Conclusion: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the culture that allows economics-related education at home and a plan to make practical economics education in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