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 전후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령의 조절효과

        이수비 ( Soobi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 전후 시기의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이에 2019-2020년도 두 개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19-64세 성인 4,976명으로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상용직 유지’ 기준집단보다 ‘자영업 유지’, ‘일용/임시직 유지’ 집단과 ‘상용직에서 자영/임시/일시직’으로 변화한 집단이 우울 증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용상태 변화가 우울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연령의 조절효과를 함께 살펴본 결과, ‘상용직 유지’ 기준집단에 비해 ‘자영업 유지’, ‘실업 유지’집단이 ‘실업에서 자영업/임시/일용직’으로 이동한 집단에서 연령이 어릴수록 우울 증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정신건강을 위한 고용상태의 변화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접근 방식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change in employment status before/after the COVID-19 on the depression change. Thus, this study conducted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n total 4,976 adults in their 19-64 by using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for two years in 2019 and 202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hange in employment status on the depression change, the groups of ‘maintaining as self-employed’, ‘maintaining day-to-day work/temporary position’, and ‘changing from permanent position to self-employed/temporary position/day-to-day work’ showed higher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group of increased depression than the reference group of ‘maintaining regular employee’.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on the effects of change in employment status on the depression change, compared to the reference group of ‘maintaining permanent position’, the groups of ‘maintaining as self-employed’, ‘maintaining as unemployed’, and ‘moving from unemployed status to self-employed/temporary position/day-to-day work’ showed higher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group of increased depression when the age was young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fferentiated approach of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in employment status for mental health.

      • KCI등재

        중장년층의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 :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활용한 종단연구

        이수비(Lee, SooBi),박완경(Park, Wan-Kyeo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9 No.1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박탈 경험이 문제음주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분석은 2012년부터 2018년까지의 7개년도 한국복지패널을 활용하여 40-64세 이하의 중장년층 3,975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발달궤적의 잠재집단은 3개의 잠재집단으로 나타났다. 이 변화유형의 특징에 따라 ‘낮은수준 음주유지군’, 사교음주 수준의 ‘중간수준 음주감소군’, 문제음주 수준이 높은 ‘위험음주 유지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분류된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변화유형에 미치는 다차원적 박탈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사회보장 박탈’과 ‘사회적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준거집단 기준과 상관없이 ‘위험음주 유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주거 박탈’은 준거집단이 ‘중간수준 음주감소군’일 경우에 ‘위험음주 유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중장년층의 문제음주 변화유형에 따른 차별화된 개입 접근법과 문제음주를 감소시키기 위한 전략을 세울 때 다차원적 박탈의 영역별 취약집단을 함께 고려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meaning the experience of deficiency in various living areas, on the longitudinal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targeting the mid-old age. This study conducted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argeting total 3,975 mid-old age people in their 40-64, by using the 7th-year Korea Welfare Panel from 2013 to 2018. In the results, first, there were total three latent groups of problem drinking developmental trajectory in mid-old ag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type, they were classified into ‘low-level drinking maintenance group’, ‘moderate-level drinking decrease group’ in the social drinking level, and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with high level of problem drinking. Second, in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d in the classified mid-old age, when there were more experiences in ‘deprivation of social security’ and ‘social deprivation’, regardless of the reference group criteria, it was highly possible to belong to the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On the other hand, the ‘housing deprivation’ showed the high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High-risk drinking maintenance group’ only when the reference group was the ‘moderate-level drinking decrease group’.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differentiated approach of intervention according to the change type of problem drinking in mid-old age, and that the vulnerable group by each area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should be considered in case when establishing the intervention strategies for the decrease of problem drinking.

      • KCI등재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 성별 차이 비교

        이수비(SooBi Lee),이수영(Suyou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2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1 No.4

        본 연구는 문제음주와 빈곤의 다차원성과 불평등을 의미하는 다차원적 박탈과의 인과관계를 성별 차이(gender difference) 중심으로 종단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2013년을 기준으로 2018년도까지 6개 년도 한국복지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성 3,770명, 여성 5,632명을 대상으로 잠재계층성장분석을 통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을 규명하고, 이 잠재집단에 다차원적 박탈요인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문제음주의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은 남성, 여성 모두 3개의 잠재집단으로 분류되었지만, 그 발달양상은 상이하게 나타났다. 남성의 ‘중간수준’ 이상의 잠재집단은 여성에 비해 문제음주 수준이 높았으나, 성별에 따른 ‘높은 수준의 음주군’의 경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남성은 유지하는 추세를 보였고, 여성은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다차원적 박탈이 문제음주 변화궤적의 잠재집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남성은 사회적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여성은 사회보장 박탈 경험이 많을수록 ‘낮은수준 음주군’ 대비 ‘높은수준의 음주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별에 따른 문제음주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performed a longitudinal research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ity of problem drinking and poverty, and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meaning the inequalit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 For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rough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targeting total 3,770 men and 5,632 women by using the 6th-year Korea Welfare Panel Study data from 2013 to 2018, and then conducted the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factors on this latent group.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according to gender was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groups in both men and women while the development aspect wa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male latent group with ‘moderate level’ or higher showed higher level of problem drinking than women. However, in case of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according to gender, as time passed, the men tended to maintain it while the women tended to increase it. Seco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deprivation on the latent group of problem drinking change trajectory, the 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deprivation and the women with more experiences of social security deprivation showed the higher possibility to belong to the ‘drinking group with high level’ compared to the ‘drinking group with low level’. Based on such results above, this study discussed the preventive/intervention measures for problem drinking according to gender.

      • KCI등재

        노인의 다차원적 결핍 경험이 우울의 종단적 변화유형에 미치는 영향

        이수비 ( Soobi Lee ),박완경 ( Wankyeong Park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는 노인층의 우울과 다양한 생활영역에서의 결핍 경험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2-2018년도(7개년도)까지의 한국복지패널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65세 이상 노인 3,311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우울의 종단적 변화유형을 규명하고, 이 변화유형에 다차원적 결핍 경험의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해 잠재계층성장분석과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층의 우울 변화유형은 모두 3개 변화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정상 일반군’과 초기 우울 수준이 경증 수준으로 유지되는 ‘경증 우울 유지군’, 초기 우울 수준이 매우 심각하며 시간이 지나면서 증가하는 ‘심각한 우울 증가군’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노인층의 우울 변화유형에 다차원적 결핍 경험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식생활’, ‘직업경제’, ‘건강의료’ 영역의 결핍 경험이 많을수록 ‘정상일반군’보다 ‘경증 우울 유지군’과 ‘심각한 우울 증가군’에 속할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다만, ‘주거’ 영역의 결핍 경험은 ‘심각한 우울 증가군’에게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 우울에 대한 예방 및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overty experience in various living areas of the elderly. For this, this study analyzed total 3,311 elderly in their 65 or up by utilizing the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tudy in 2012-2018. To examine the longitudinal change patterns of depression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on these change patterns, the latent class growth analysis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tal three change patterns of depression of the elderly were classified. They included the ‘normal group’, the ‘mild depression group’ that maintained the mild level of depression, and the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who showed the very serious level of depression in the early stage and that was increasing as over tim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s of multidimensional poverty experience on the depression change patterns of the elderly, when there were more poverty experiences in ‘dietary life’, ‘economy’, and ‘health care’, it was highly possible to belong to the ‘mild depression maintenance group’ and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than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poverty experience in ‘hous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ly on the ‘serious depression increase group’. Based on such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discussed the measures for preventing and intervening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 KCI등재

        ‘혼밥’ 행위와 삶의 질과의 관계: 세대 비교

        이수비 ( Soobi Lee ),최윤주 ( Yoonjoo Choi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성인의 생애주기에 따른 세대별 ‘혼밥’ 행위와 삶의 질의 관계를 규명하여, 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건강영양조사 제8기 1차년도(2019) 자료를 이용하여, 연구대상자 11,673명을 분석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해 복합표본 빈도분석, 기술통계, 카이검증, 선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세대는 ‘혼밥행위’가 삶의 질과 부적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중장년 세대와 노인세대는 ‘혼밥행위’가 삶의 질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신체적, 정신건강 차원에서 중요한 삶의 질을 세대별 가치관과 생활 양식과 연관 지어 논의하였다. 또한 성인의 건강증진을 위해 세대별 접근의 기초근거와 개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generational differences in the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alone’ and quality of life among Korean adults. The subject of 11,673 case from 8th year of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5.0.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mplex sample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chi-test, and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youth generation (20-39)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alone’ and quality of life, but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middle-aged (40-64) and elderly generation (≥65) showed a negative effect in the effects of ‘eating alone’ on the quality of life. This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discussed the quality of life, which is important for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relation to the values and lifestyles of each generation. In addition, for the promotion of adult health, we provided the basic evidence for a generational approach and the need for an intervention.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건강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네트워크 분석 활용 연구

        최윤주 ( Yoonjoo Choi ),이수비 ( Soobi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본 연구는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여성건강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추후 여성건강 관련 연구의 방향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2020년까지 발간된 KCI 등재지를 대상으로 ‘여성건강’ 검색어를 사용해 검색하였으며, 최종 302건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0년대 초반과 비교해 중후반으로 갈수록 여성건강연구의 게재 수가 증가하였으며, 중후반 이후에는 대상 범위가 확장됨을 확인하였다. 둘째, 중심성 분석결과, 결혼이주여성이라는 핵심어의 중심성이 가장 높아 이들의 건강문제가 취약하게 다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여성건강 관련 연구에서는 사회흐름과 변화를 반영하여 대상자 범위확대, 다양한 건강 주제로의 이슈확대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search trends related to women’s health conducted in Korea using network analysis,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related to women’s health in the future. To this end, the Mesh term ‘women’s health’ was used and searched for KCI registered sites published from 2010 to 2020, and the final 302 cases were select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number of publications of women’s health studies increased as compared to the early 2010s, and the scope of the target range expanded after the mid-to-late 2010s. Second, as a result of centrality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re word of marriage migrant women was the highest, and based on these findings, future research on women’s health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and expand issues to various health topics.

      • KCI등재

        미혼 성인자녀 둔 여성의 돌봄 부담과 스트레스, 우울의 관계 : 남편 돌봄분담 만족의 조절된 매개효과

        윤명숙(Yoon, Myeong-Sook),유현경(Yoo, Hyun-kyung),이수비(Lee, SooBi)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50 No.2

        본 연구는 미혼 성인자녀를 둔 여성의 돌봄 부담이 스트레스를 매개로 하여 우울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고, 이 관계에서 여성이 인지한 남편의 돌봄 부담 만족에 의하여 조절되는지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가족패널(KLoWF) 7차(2018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64세 이하 성인 여성 적격가구원 15,525명 중 만 19세 이상 미혼 성인자녀를 둔 기혼여성 501명을 대상으로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자녀 돌봄 부담과 우울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가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이로 인하여 우울 수준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자녀 돌봄부담이 스트레스를 통해 우울에 미치는 매개효과는 여성이 인지하는 남편의 돌봄분담 만족수준에 따라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인자녀 돌봄 부담이 높을수록 스트레스가 증가하여 우울 수준이 증가되는 매개경로에서 남편의 돌봄분담에 대한 만족상태가 우울을 완충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변화하는 가족구조 속에서 미혼성인자녀들을 둔 여성들의 돌봄부담을 경감시키고, 정신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husband’s care sharing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children care burden, stress., and depression of married women. To this purpose, the 7th wave(2018) of the Women and Family Panel (KLoWF) were used. Among 15,525 eligible adult women under the age of 64 surveyed, 501 women with adult children aged 19 or older were analyzed using PROCESS macro.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stres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children care burden and depression of married women.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burden of caring for adult children, the higher the stres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adult children care burden on depression through stress was moderated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with the husbands sharing of care. In the mediating path where the higher the adult child care burden, the higher the stress, and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the higher the husbands satisfaction with the sharing of care, the lower the stress and the lower the depression. Based on these results, institutional, policy, and practical issues were discussed to reduce the burden of caring for women and improve mental health in the changing family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