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창성 장애의 언어치료 관련 경시적 계수자료의 유연한 분석

        이수복(Soobok Lee),이정복(Jungbok Lee)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6

        In this study, the goal was to apply a flexible and easy-to-manage analysis method through a model that includes a dispersion parameter in the longitudinal analysis method of count data. In the analysis of count data, it may be inconvenient to change the statistical model depending on whether there is under- or over-dispersion. To compensate for these weaknesses, We have applied a statistical method including a dispersion parameter to the statistical model. The count data covered were included in the diagnosis of fluency disorders and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speech therapy. but research on speech-language therapy is limited by being conducted on small numbers of subjects for several reasons. Therefore,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that work only on large samples, are complex, or require excessive calculations in the model fitting process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field. With this background, we applied the Conway-Maxwell Poisson model to longitudinal data analysis of fluency disorders. We evaluated whether the model that reflects the level of data dispersion in the model was consistent with the speech therapy data for fluency disorders by comparing it to the existing Poisson mixed model and linear mixed model. In particular, the Conway-Maxwell Poisson model had the advantage of reflecting well when the degree of dispersion was different for each group or specific subgroup. 본 연구에서는 계수자료의 경시적 분석 방법에서 산포 모수를 포함하는 모형을 통해 유연하고, 용이한 분석 방법을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계수자료의 분석에서는 과소, 과대 산포여부에 따라 통계적 모형을 변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통계적 모형에 산포 모수를 포함한 통계적 방법을 적용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유창성 장애의 진단, 언어치료의 효과 평가에서는 다양한 계수자료가 포함되어 있으나, 언어치료 연구는 여러 이유로 인하여 소수의 대상자에서 수행되는 제약을 갖고 있다. 그러므로 대표본에서나 작동하거나 복잡하거나 모형 적합 과정에 과도한 계산 요구는 통계적 분석방법은 해당 분야에 적합하지 않았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에서는 Conway-Maxwell 포아송 모형을 경시적 자료 분석에 적용하였으며, 자료의 산포 수준을 모형안에 반영하는 모형이 기존의 포아송 혼합모형, 선형혼합모형에 비교하여 유창성 장애의 언어치료 자료에 부합하는지 평가하였다. 특히 Conway-Maxwell 포아송 모형에서 각 군별 또는 특정 소집단별로 산포의 정도가 다를 경우 이를 잘 반영하는 장점이 있었다.

      • KCI등재

        국내 장애 아동을 위한 언어치료용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현황 분석

        이영미(Lee, Youngmee),이수복(Lee, Soobok),성민경(Sung, Minkyoung) 한국음성학회 2015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7 No.3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nds of mobile applications which were developed for prompting speech and language skill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nalyzed the function and contents of these applications as a tool of speech and language therapy. For this analysis, twenty applications among 71 on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exclusion criteria. These applications were classified by the 8 using types of contents and analyzed the function of mobile applications by the revised mobile contents evaluation standard (ease of use, value of education, interest level, and interactivity). As a results, applications for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were developed much more than any other types. And the ease of use got the highest score whereas the interest level got the lowest score in whole evaluat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ould suggest way to evaluate applications for speech language therapy and to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contents and function of mobile applications aims to help children with disabilities improving their speech and language skills.

      • KCI등재

        말더듬 청소년의 괴롭힘(bullying)에 관한 질적연구

        이현경 ( Hyumkyung Lee ),이수복 ( Soobok Lee ),심현섭 ( Hyunsub Sim ),오인수 ( Insoo Oh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6 중등교육연구 Vol.64 No.2

        본 연구는 말더듬 청소년이 또래 친구로부터 받는 괴롭힘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총 8명의 중ㆍ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면담자료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말더듬 청소년들은 괴롭힘에 대한 자신들의 생각과 경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으며, 질적 분석 결과 괴롭힘에 대한 총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1) 말더듬 청소년들이 괴롭힘을 당하는 요인은 개인의 능력과 관계의 취약성으로 인한 ‘힘의 불균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2) 말더듬 청소년들은 다양한 언어적 괴롭힘을 경험 하였다. 3) 말더듬 청소년들은 괴롭힘에 대해 의존-수동적 대처를 하였는데, 도움추구, 수동적 대응, 그리고 회피형태가 나타났다. 4) 말더듬 청소년들은 괴롭힘의 피해결과로 불안과 분노가 증가하고 자아 존중감이 저하되는 정서적 충격을 경험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교나 치료현장에서 말더듬 청소년을 지원하는 선생님이나 치료사들이 말더듬 장애에 대한 이해와 함께 말더듬 청소년들이 괴롭힘에 취약할 수 있음을 인식해야 함을 제안한다. 또한 청소년기 말더듬 학생을 치료할 때에 괴롭힘 경험 여부와 그에 따른 부정적인 정서적 영향을 확인하고 괴롭힘에 대해 어떻게 대처해 나가야 할지에 대한 내용을 치료 계획에 포함시켜야 함을 제안한다. This study qualitatively explored bullying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stutter(AW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nts talked about their perception and experiences of bullying. Four major themes were emerged from this study. Individual ability and vulnerability to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major factors causing bullying in AWS. The verbal bullying was the most common type of bullying AWS experienced in school. Furthermore, they have few coping strategies to deal with bullying. As a result, they have experienced negative emotional attitudes by being bullied. Results suggest that AWS are more likely to be a target for bullying because of their stuttering, thereby experiencing negative emotions. Thus, school teachers, as well as speech language therapists(SLP) need to understand the nature of stuttering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which AWS have in terms of school bullying. SLP needs to consider those factors when developing stuttering therapy plans for AWS.

      • KCI등재

        메타분석을 통한 자폐범주성장애의 어휘처리 양상 연구

        강민경(Minkyung Kang),이수복(Soobok Lee),김영태(Young Tae Kim),임동선(Dongsun Y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2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7 No.2

        배경 및 목적: 자폐범주성장애(ASD) 그룹의 어휘처리 능력은 그들의 다른 언어 능력에 비해 습득 및 발달상의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ASD 그룹의 어휘처리 능력이 통제 그룹과 비슷한지 또는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는 ASD의 하위유형 중 어떤 집단을 연구대상자로 하였는지, 자극 제시 조건은 어떠하였는지, 대상자에게 실시되는 과제 유형은 무엇이었는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연구는 메타분석을 통해 현재까지 이루어진 ASD 그룹의 어휘처리능력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통제 그룹과 비교하여 수행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주제어를 통해 국외 관련문헌을 검토한 후 연구의 포함과 제외기준에 따라 체계적으로 14개의 문헌을 선정하였다. ASD 그룹의 어휘처리능력에 대한 효과크기는 무선효과모델(random effect model)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 결과: ASD 그룹의 어휘처리능력에 대한 연구는 고기능자폐, 아스퍼거증후군을 대상으로 많이 이루어졌고, 과제유형은 단어재인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첫째, ASD 그룹은 전반적인 어휘처리능력이 통제 그룹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두 가지 자극 제시 조건에서의 그룹간 차이에서도 ASD 그룹과 통제 그룹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ASD 그룹은 어휘처리 과제 유형에 따라 수행력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ASD 그룹의 어휘처리 능력은 그 ASD의 하위영역에 따라 차이를 보일 수 있으나, 대부분의 영역에서는 통제 그룹과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ASD 그룹의 어휘 중재에 대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lexical processing of group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has specificity in comparisonto their other language skill.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obtain consistent results for lexical processing in groups with ASD. The results can vary depending on the subgroups of ASD, stimuli modes, and task types.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investigate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lexical processing ability in groups with ASD. Methods: Using Meta-Analysis(CMA2, Comprehensive Meta-Analysis-Ⅱ, 2005),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pproach was taken. There were 14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and exclusive criteria of our research. The effect sizes for ASDs and overall typical developmental(TD) abilities for lexical processing were analyzed via a random effect model.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word recognition and lexical decisions were the most commonly used tasks. In addition, the general target populations for lexical processing were high functioning autism(HFA) and Asperger’ syndrome(AS). There were three main findings from our study results. First,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overall lexical processing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SD and TD.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based on stimuli modes. Last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esults depending on the task types. Discussion & Conclusion: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ASD’ and TD’ overall lexical processing abilities. Therefore, the results should provide an evidence-based rationale for the ASD group’ vocabulary intervention.

      • KCI등재

        취학 전 말더듬 아동의 말더듬 중증도에 따른 발화 형태 별 조음속도 비교

        전희정(Chon, HeeCheong),이수복(Lee, SooBok) 한국음성학회 2016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uttering severity on articulation rate measured from different types of utterances in preschool children who stutter. Participants were 40 boys who stutter (CWS) and age-matched 10 boys who do not stutter (CWNS). CWS were sub-grouped based on the severity of their stuttering: 15 mild, 13 moderate, and 12 severe. Utterances were categorized as “overall utterance” including all utterances that children spoke and “fluent utterance” which did not contain any disfluencies. Utterances containing abnormal disfluencies were categorized as “SLD utterance” for CWS. The result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in any type of utterance.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in articulation rates between utterance types. Stuttering severity was not a factor for characterizing the articulation rate of each type of utterance. Also, current findings suggest that articulation rate may not predict speech motor control ability in preschool CWS.

      • KCI등재

        언어치료청각재활 전공 학생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에 대한 포커스 그룹 질적연구

        김지연(JiYoun Kim),탁평곤(PyungKon Tark),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6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대유행 하에서 수행된 zoom을 활용한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과 관련하여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 한 학생들의 인식을 살펴보고 향후 비대면 원격수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방법: 포커스 그룹 인터뷰는 언어치료청각재활을 전공하는 10명의 학생(각 5 명)을 대상으로 2회 진행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2020년 1학기부터 2학기까지 실시간 원격수업을 수강한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2, 3학년 학부생들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질문지는 상호작용, 강의 내용, 강의 시스템, 전반적인 의견 등의 4영역 21개 질문으로 제작하였고 집단별로 90분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자료분석은 강의 경력이 10년 이상인 언어치료청각재활학과 교수 3명이 실시하였고 내용분석은 Krippendorff (2003)가 제안한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참여자들의 실시간 원격수업 경험을 오픈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190개의 의미단위, 44개의 하위범주, 10개의 핵심범주가 도출되었다. 그리고 10개의 핵심범주는 3개의 차원인 개인적 차원, 환경적 차원, 교육적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연구결과는, 코로나19 기간 동안 학생들의 비대면 원격수업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욕구를 확인하였다. 첫째, 개인적 차원에서는 실시간 원격수업의 학습 효과는 전적으로 학습자의 의지에 달려있다고 여겼다. 둘째. 환경적 차원에서는 갑작스럽게 실시간 원격수업을 도입하면서 학교 시스템뿐만 아니라 학생 개개인이 원격수업에 대한 준비가 미흡했다고 인식하였다. 세 번째, 교과적 차원에서는 수업 시간 중에 이해하지 못한 내용에 대해 바로 인터넷 검색을 하거나 채팅창을 이용해서 수업 중 교수님께 바로 질문을 할 수 있는 편리함과 더불어 원격수업의 평가 및 관리 체계에 대한 불만족을 언급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이후, 교수자와 학생의 안전보장과 질 높은 비대면 원격교육을 제공하기 위해 원격수업을 위한 교수학습법 개선이 필요하며 언어치료청각재활 분야의 창의융합형 실무전문가 양성을 위한 교육체제 구축 등의 다각도의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Objectives: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students who majored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in relation to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 using zoom conducted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find a wa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non-face-to-face lectures in the future. Methods: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wice with 10 students (5 each) majoring in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The questionnaire for the focus group interview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4 areas; including interaction, lecture content, lecture system, and comprehensive opinion,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for 90 minutes for each group. Results: As a result of open-coding and analyzing the real-time onlin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study participants, 190 semantic units, 44 subcategories, and 10 core categories were derived. And the 10 core categorie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he personal dimension, the environmental dimension, and the pedagogical dimen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e various opinions and desires of students for real-time online learning during the COVID-19 period. Conclusion: This study will provide a basis for building an effective real-time online teaching method and practical training system for field practice, and will further improve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education in the department of Speech Therapy and Audiology Rehabilitation

      • KCI등재

        유창성장애 연구의 최근 동향

        신문자(Moonja Shin),전희정(HeeCheong Chon),이수복(SooBok Lee)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9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4 No.4

        배경 및 목적: 최근 발표된 유창성장애 치료관련 연구 자료들을 살핌으로써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약 10년간의 국내외의 연구자료 중 말더듬 치료와 직․간접적으로 관련 있는 실험연구와 말더듬 중재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방법: 2000년부터2009년 사이의 논문 중 유창성장애 관련 권위 있는 학술지인 󰡔언어청각장애연구󰡕, 󰡔언어치료연구󰡕,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그리고 Journalof Fluency Disorders (JFD)에 등재된 논문들을 고찰하였다. 결과: 연구유형별 분석결과,중재(치료효과)연구 29편(37.66 %), 중재관련 비교연구 24편(31.17 %), 그리고 중재관련 특성연구 24편(31.17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 분석결과, 청소년 및 성인이 50편(64.94 %)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로 학령전기 아동이 14편(18.18 %), 기타 7편(9.09 %), 학령기 아동이6편(7.79 %)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방법 분석결과, 중재연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그룹 간또는 그룹 내 비교의 실험절차를 따랐으며, 중재연구는 종단비교를, 특성․비교연구의 경우횡단비교연구가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 분석결과, 중재연구의 경우 행동적 측면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성․비교연구의 경우 발화형태를 비교하거나 변화를 관찰 한 연구(행동적 측면)가 대부분이었다. 종속변인 분석결과, 중재와 특성․비교연구 모두, 발화특성이 대부분이었으며 말더듬 치료에 대한 인식․수반행동, 심리․성격적 측면, 기타 순으로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 아동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는 외국에서도 그 역사가 길지 않으나최근 10년간 학령전기 말더듬 아동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이 개발 혹은 보완되고 그 프로그램의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었다(예: 리드콤 프로그램, 페일린 상호작용치료 프로그램). 국내연구는 국외연구와 비교해 볼 때 중재연구보다는 특성․비교연구가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국내에서도 말더듬치료 프로그램이 개발되고 그 효과가 검증될 필요가 있으며, 외국의 치료방법의 경우 국내적용의 타당성 등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분석된 중재 논문들이 증거중심치료(evidence-based treatment: EBT)의 관점에서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rends and advancements in treatments for stuttering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treatment of stuttering. Methods: Experimental research articl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following criteria: (1) the characteristics of people who stutter (PWS) related to treatment or treatment affects; (2)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09 (within a 10 year span); and (3) publication in one of four major journals in the field of communication disorder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JCD), Korean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Disorders (KJSLHD), Journal of Speech, Language, and Hearing Research (JSLHR), and Journal of Fluency Disorders (JF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were separately analyzed. Results: A total of 77 articles that met all criteria were chosen. The results show that 29 articles (37.66%) investigated the efficacy of stuttering treatment, 24 articles (31.17%)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with people who do not stutter, and 24 articles (31.17%) studied the characteristics of PWS. In terms of participants, 50 articles (64.94%) included participants who were adolescents and/or adults, 14 articles (18.18%) included preschool children, and 6 articles (7.79%) included school-aged children. Articles based on the effects of treatment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using treatment methods and longitudinally compared the change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majority of characteristic articles also focused on behavioral components and cross-sectionally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between groups and/or within groups. The analyses of dependent variables demonstrated that articles on the effects of treatment and characteristics mostly measured or compared speech patterns, such as types and frequencies of disfluencies, naturalness of speech, and speaking rate. Perceptions of stuttering treatment, accessory behaviors, and emotional/personality characteristics were also studied. Discussion & Conclusion: Overall trends show that there are more studie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tuttering than the effects of stuttering treatment. Even though the history of research regarding the effects of stutter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is relatively short, as compared to that of adults, recently, several treatment methods have been developed or updated for early childhood stuttering, and empirical studies have shown efforts to validate the treatment efficacy. For the adolescent and adults who stutter, several behavioral and/or cognitive treatment methods and devices are used to diminish stuttering. Suggestions from the perspective of evidence-based treatment are provided as future directions.

      • 정상성인의 조음기관 구조 및 기능선별검사 제작을 위한 예비연구

        신문자(Moonja Shin),김재옥(Jaeock Kim),이수복(Soobok Lee),이소연(Soyeon Lee) 한국음성학회 2008 음성과학 Vol.15 No.4

        This study was purposed to introduce Korean Oro-motor Mechanism Screening Examination (KOMSE) and to provide the standardized scores taken from 120 normal adults aged 18~59. KOMSE was composed of 13 items of structure, 17 items of function, 3 items of voice, and 14 items of regularity and accuracy of articulation during diadochokinesis. Additionally, maximum phonation time and diadochokinetic rates were measured. Total score of KOMSE is ranged from 0 to 200.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50~59 age group than in the 20~29 age group, bu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sex. MPT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ex,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groups. The rate of DDK was also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ge groups. However, some reducing trend in the rate of DDK was observed as age increased. KOMSE would be very helpful for SLPs to screen the abnormality of oro-motor mech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