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국교육사(中國敎育史) 특집논문(特輯論文) : 학전비(學田碑)와 송원(宋元) 학전(學田) 제도화 확립의 노력

        이설매 중국사학회 2010 中國史硏究 Vol.69 No.-

        學田은 학교가 소유한 辦學(학교설립) 경비의 내원이 되는 田産을 지칭하는 것으로 주로 租佃耕種의 수입에 의거한 贍學(학교를 부양하는 것)이다. 設田贍學 제도는 북송시기에 처음 시작되었고 송대 교육제도의 보급에 따라 부단하게 발전하여 곧장 청 말까지 이어졌다. 비석 명기 혹은 널리 세상에 드러내는 것 등을 통한 학교교육과 관련 있는 소식은 중국 고대 교육사상 하나의 매우 특수하고도 중요한 현상이다. 이런 碑刻은 학교 창건 경과나 중수, 盛擧를 명기하거나 혹 학규 제어 및 각 지의 학교 설립 규칙을 새기거나 관민 사신이 자본을 기부하여 학교에 도움이 되는 공로의 자선행위를 기록하여 그 중 고대 학교 발전 경제의 명맥이 되는 학전은 더욱 비각 기재의 하나의 중요한 내용이 되었다. 비문은 학전의 내원, 경영관리 및 재산권 분류에 대해 모두 상당히 풍부한 기록이 있어 고대 중국의 교육 경비 제도를 고찰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자료를 제공한다. 최근 20년 동안 학전제도와 관련된 학술 성과는 비교적 풍부하여 각종 역사 문헌자료도 비교적 충분한 발굴과 이용을 얻었지만 학전비의 학술가치에 대해서는 아직 충분히 중시하지 않아 이는 근년 학전 연구 중 하나의 공백점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비각 내용이 반영하는 송원시대 지방이 學田 유지, 學産 유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진행한 제도화의 노력에 대해 초보적 분석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보문 : 중국 경극 가면을 응용한 패치워크 기법의 의상 디자인 연구

        이설매 ( Xue Mei Li ),이상희 ( Sang Hee Lee ),한설아 ( Sul Ah Han ) 한국의류학회 2012 한국의류학회지 Vol.36 No.2

        Historically, garments have been spontaneously made with human instinct in order to warm and decorate the body using textiles that have been made and used by various peoples in different cultures. Contemporary garments have been used as a means of warming as well as express individual personality and a desire to pursue beauty. They have a unique formativeness and a symbolic nature according to cultural phenomena that reflect a cultural outcome that expresses contemporary thinking and ideology as well as their aesthetic consciousness. This study globally promotes Chinese opera mask culture and propose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thinking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hinese opera mask elements into contemporary fashion, expressing them as patchworks. In order to endow artistic value (required in contemporary fashion) this study creates works by analyzing and applying a formative sense seen in patchwork techniqu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opera masks; in addition, it sought the possibility of new expressions in garment design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research involve the following. First, the introduction of the traditional patchwork technique to contemporary garments may be a dynamic theme of garment expression and exceed stereotypical ideas that enable the creation of designs attuned to the globalization era. Second, it was possible to pursue independent formativeness which is in harmony with a modern sense through the restructuring of the harmony of colors and practical characteristics found in patchworks. Third, it was possible to demonstrate their artistry and unique effect in the expression of contemporary garments by the expression of the analyzed results of characteristic patterns of Chinese opera masks with a patchwork technique in creating works. Results show that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into a patchwork technique that applies diverse materials as a new method to develop contemporary garment design also as a creative design. In addition, if the analyzed results of the characteristic patterns of Chinese opera masks can be expressed with a patchwork technique, they may be able to exhibit a genuine effect along with the artistry of expression in contemporary garments; thereby, relevant follow-up research should be further continued.

      • KCI등재

        김치에서 분리한 Lactobacillus plantarum 균주들의 프로바이오틱 효과

        이설매(Xue-Mei Lee),이현아(Hyun Ah Lee),권미라(Meera Kweon),박의성(Eui-Seong Park),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6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5 No.12

        본 연구에서는 김치에서 분리한 L. plantarum pF1 NITE-P1462(Lp-pF1), L. plantarum KCCM 11352P(Lp-PNU), L.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Lp-CB)와 L. plantarum KCTC 3099(Lp-3099)의 프로바이오틱 효과(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 장 부착능과 열 안정성, 항산화 및 항암 기능성의 측정)를 된장에서 유래한 Lac. lactis KFCC 11510P(L-lactis)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4종의 김치 L. plantarum이 Lac. lactis보다 전반적으로 높은 프로바이오틱 효과를 나타내었다. 4종의 김치 L. plantarum 중 내산 및 내담즙성 측정에서 Lp-pF1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안정성을 나타냈고, 장 부착능 측정에서도 Lp-pF1이 Lp-CB와 함께 가장 뛰어난 부착능을 보였으며, 열 안정성 측면에서는 Lp-pF1과 Lp-PNU가 가장 높은 안정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DPPH 라디칼 및 수산화 라디칼 소거 활성 측정을 통해 Lp-pF1이 모든 유산균 중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고, HT-29 인체 대장암세포에서도 가장 높은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Lp-pF1의 프로바이오틱으로서의 이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Lp-pF1은 특히 높은 항산화 및 항암 활성을 가지고 있어 향후 기능성 프로바이오틱으로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또한, Lp-pF1을 앞서 연구했던 나노화된 Lp-pF1과 함께 섭취하였을 때 단독으로 Lp-pF1만 섭취하는 것보다 더 높은 건강 기능적 효과가 기대되며, 이에 대한 연구도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robiotic effects of Lactobacillus plantarum pF1 NITE-P1462 (Lp-pF1), L. plantarum KCCM 11352P (Lp-PNU), L. plantarum CBT LP3 KCTC 10782BP (Lp-CB), and L. plantarum KCTC 3099 (Lp-3099) isolated from kimchi and Lactococcus lactis KFCC 11510P (L-lactis) isolated from Doenjang were studied. Resistance to gastric and bile acid, adhesion to intestines in colon cells, thermal stability, and antioxidative and in vitro anticancer effects in HT-29 cancer cells were evaluated. L. plantarum strains showed improved tolerance of gastric and bile acids than L-lactis. Lp-pF1 had better adhesion ability in the intestine than Lp-PNU, Lp-3099, and L-lactis. Lp-pF1 also showed better heat resistance at 50°C, 70°C, and 80°C than Lp-CB, Lp-3099, and L-lactis. In addition, Lp-pF1 exhibited greater antioxidant activity by scavenging DPPH radicals or hydroxyl radicals and anticancer effects in MTT assay than other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L. plantarum isolated from kimchi showed higher probiotic activities with antioxidant and anticancer properties than Lac. lactis isolated from Doenjang. Lp-pF1 revealed the best probiotic activities among L. plantarum and could be used as a promising potential probiotics.

      • SCOPUSKCI등재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C57BL/6 마우스에서 사균체 Lactobacillus plantarum nF1의 항비만 효과

        이설매(Xuemei Lee),홍근혜(Geun-Hye Hong),이소영(So-Young Lee),노현철(Hyun Chul Noh),박건영(Kun-Young Park)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11

        본 연구에서는 사균체 L. plantarum nF1(nLp)의 항비만 기능성을 확인하였다. 고지방 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마우스의 체중에서 nLp를 섭취한 그룹이 Con 그룹에 비해 유의적으로 체중이 감소하였으며 간과 부고환 지방 무게 역시 현저히 감소하였다. 혈청 내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혈당 및 인슐린의 함량은 Con 그룹과 비교하여 L. plantarum을 섭취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nLp 그룹이 다른 그룹에 비해 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비만과 관련 있는 호르몬인 adiponectin과 HDL-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다른 L. plantarum에 비해 nLp 그룹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비만을 예방하는 효과가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병리학적으로 간 조직을 관찰한 결과 지질이 축적되고 불규칙한 핵 배열을 가진 Con 그룹에 비해 L. plantarum을 섭취한 그룹(nLp, pLp, PNU)에서는 지방구의 수 및 크기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nLp를 섭취한 그룹이 지방 축적 억제 효과 및 지방간 개선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 조직에서 lipogenesis에 관련된 유전자인 SREBP-1c의 발현은 Con 그룹보다 L. plantarum을 섭취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특히 nLp 그룹이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또한, β-oxidation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은 Con 그룹에 비해 L. plantarum을 섭취한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nLp 그룹은 PPAR-α, CPT-1의 발현이 Con 그룹에 비해 4.5배 높은 발현 수준을 보였다. 지방조직에서도 PPAR-α 유전자 발현은 Con 그룹에 비해 31.2%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P<0.05). 따라서 L. plantarum은 지질대사 이상을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사균체인 L. plantarum nF1은 생균인 pLp에 비해 유의적인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anti-obesity effects of dead Lactobacillus plantarum nF1 (nLp),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F1 (pLp), or live Lactobacillus plantarum PNU (PNU) were studied on C57BL/6 mice fed a 45% high-fat diet. The body, liver, and epididymal fat weights of mice fed nL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mice in the pLp, PNU, or control groups (P<0.05). Serum 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glucose, and insulin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pLp, or PNU groups than in control, and the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and PNU groups (P<0.05). On the other hand, adiponectin and H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Lp group than in the pLp, PNU, and control groups. Histological observations indicated that nLp reduced fat accumulation in liver tissue. Furthermore, L. plantarum strains significantly reduced the mRNA expressions of SREBP-1c,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CPT-1, and ACO in liver tissues, and significantly increased the mRNA levels of PPAR-α, and CPT-1 in epididymal fat tissues. In particular, the mRNA expressions of PPAR-α and CPT-1 in liver and epididymal fat tissues were highest in the nLp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nLp (dead L. plantarum) has a greater anti-obesity effect on high-fat diet-induced mice than the live strain (pLp) and a live L. plantarum PNU strain.

      • 외래해충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노린재목: 선녀벌레과)의 분포확산

        이관석,이설매,이원훈 한국응용곤충학회 2013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3 No.04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2009년 서울, 경기(수원), 경남 (김해)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선녀벌레과(Flatidae)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은 원산 지인 북미지역에서는 피해가 미미하였으나 1979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00년 대 중반까지 유럽지역에서 꾸준히 분포가 확대되면서 농작물 및 산림해충으로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과수, 채소 등 농작물 피해는 약충과 성충의 흡즙과 분비물 (밀납)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잎, 줄기에 서식하는 약충 집단의 감로 분비 에 따른 그을음에 의한 피해가 매우 위협적이다. 우리나라에서 미국선녀벌레에 의 한 농작물 피해는 아직 초기단계로서 이 해충의 주요한 증식처인 산림 인근에 위치 하는 사과, 배, 감 등 과수원에서 부분적으로 관찰되고 있다. 이 해충의 분포확산은 알이나 약, 성충이 부착된 식물의 인위적인 이동, 약충의 도약 또는 성충의 비행을 통한 자연확산, 그리고 성충이 차량에 부착하여 원거리 이동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 고 있다. 지난 2년간(2010-2012) 중부지역을 중심으로 미국선녀벌레의 분포확산 을 추적한 결과, 2010년도에는 인천(남구), 경기(과천, 안성, 용인, 이천, 파주), 충 북(단양, 음성, 진천, 청원, 충주), 충남(공주, 태안)에서, 2011년도에는 인천(중구), 충북(괴산), 충남(금산, 예산), 전북(익산)에서, 그리고 2012년도에는 경기(여주), 강원(원주), 충남(천안), 부산(해운대)에서 추가 발생하여 누적 분포지역은 2012년 현재 6개도 31개시군이었다. 주요한 확산경로로 추정되는 고속도로 휴게소 및 진 출로의 발생지점과 주요한 기주식물을 제시하고자 한다.

      • 우리나라에서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의 분포확대와 차량부착 이동 가능성

        이관석,이설매,안기수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0

        미국선녀벌레[Metcalfa pruinosa (Say, 1830)]는 2009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선녀벌레과(Flatidae) 외래해충이다. 이 해충은 원산지인 북미지역에서는 피해가 미미하였으나 1979년 이탈리아를 시작으로 2000년대 중반까지 유럽지역에서 꾸준히 분포가 확대되면서 농작물 및 산림해충으로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과수, 채소 등 농작물 피해는 약(성)충의 흡즙과 분비물(밀납)에 의한 직접적인 피해 이외에도 잎, 줄기에 서식하는 약충 집단의 감로 분비에 따른 그을음에 의한 피해가 매우 위협적이다. 다른 많은 외래해충과 마찬가지로 이 해충의 분포확대는 알이나 약, 성충이 부착된 식물의 국가간 수출입 또는 자국내 이동에 따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 일부 유럽국가(예를 들면, 스위스)에서는 승용차, 버스, 트럭 등 교통수단에 의해 확산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초 발견 이듬해인 2010년부터 2011년까지 미국선녀벌레의 확산상황을 파악하고 경기, 충북 등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주요 발생지점을 집중적으로 조사한 결과로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이 해충의 분포확산 경로의 하나로서 성충이 고속도로(특히 중부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나 국도 등을 왕래하는 차량에 부착하여 이동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담배거세미나방의 내부기생봉 예쁜가는배고치벌의 생태적 특성

        황석조,이설매,김용헌,이종욱,김정환,최만영,김남정,김황용,김성현 한국응용곤충학회 2009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5

        농약중심의 해충방제에서 벗어난 환경과 건강을 중시한 친환경농업의 실현 을 위해 새로운 우수 토착 천적의 발굴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딸기, 콩류 등 광범위한 농작물의 해충으로 알려진 담배거세미나 방(Spodoptera litura (Fabricius))의 유충을 공격하는 내부기생성 천적인 예쁜가 는배고치벌(Meteorus pulchricornis (Wesmael))을 발굴하여 실내에서 성충 산란 성, 수명 등을 조사하였다. 사육환경은 24L, 25℃, 50±10% RH 조건하에서 성충 수명과 산란성을 조사 하였다. 성충(암컷) 수명을 조사한 결과 25±3일이었다. 산란성은 성충 전 기간 중 초기에는 산란률이 낮았으며, 주로 중․후기로 접어들수록 산란된 개체수 가 증가되었다. 기생률에 대한 결과는 현재 자세히 검토 중이다.

      • 고추에서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의 종류와 정식 전후 발생동태

        이관석,김창석,최홍수,이설매,곽해련,고숙주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식물성 바이러스로서 고추, 토마토, 국화 등에 원형반점, 황화위축 등 심각한 피해를 주는 중요한 바이러 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충남 예산에서 처음 발견된 후 2009년까지 전남, 경남 등 23개시군으로 발생이 확대되었다. 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이하 매 개충)는 세계적으로 6종이고 우리나라에 분포하는 종류는 꽃노랑총채벌레, 대만 총채벌레 등 4종이다. 주요 발병지역에서 토마토반점위조병은 한 지역에서 매년 발생하고 주변으로 확산되는 특성을 보인다. TSWV 발생과 확산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고추 생육기 매개충의 종류를 2009년도 9월에 충남, 전남북의 14개 지점에 서, 작물 정식전후 매개충의 발생동태를 2010년 4월부터 6월까지 전남 순천의 1개 지점에서 조사하였다(바이러스는 RT-PCR 검정). 고추에서 매개충의 종류는 시설 및 노지 모두 꽃노랑총채벌레와 대만총채벌레 2종이었고, 전자의 점유율이 시설 과 노지 모두 훨씬 높았다.(각각 66.1%, 93.7%). 두 종 모두 바이러스 보독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꽃노랑총채벌레는 7개지점의 시설과 노지에서 높은 검출율을 보였다(각각 38.5%, 36.8%). 순천의 노지고추 정식(5월 3일) 이전 꽃노랑총채벌 레는 시설과 주변에서 우점하였고(각각 100%, 57.9%) 또한 높은 바이러스 검출율 을 보였다(각각 66.7%, 28.6%). 정식후 인접한 고추포장과 주변 야생식물에서 TSWV 검출율 역시 꽃노랑총채벌레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우리 나라 노지고추의 바이러스 감염은 시설에서 분산, 이동한 꽃노랑총채벌레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 매개 꽃노랑총채벌레의 월동 및 바이러스 보독정도

        이관석,김창석,최홍수,이설매,김미경,김지광 한국응용곤충학회 2010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0 No.10

        토마토반점위조바이러스(TSWV)는 총채벌레가 매개하는 Bunyaviridae과 Tospovirus 속의 대표 바이러스로서 고추, 토마토, 국화 등에 원형반점, 황화위축, 기형, 고사 등 심각한 피해를 주는 세계적으로 중요한 바이러스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93년 충남 예산의 파프리카에서 처음 발견된 후 점차 분포가 확산되어 2009년 충남, 전 남, 경남 등 23개시군에서 발생이 확인된 바 있다. TSWV를 매개하는 총채벌레는 세계적으로 꽃노랑총채벌레 등 6종이 알려져 있다. 온대지방에서 총채벌레에 의 한 바이러스의 확산원인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겨울철 바이러스 매개충의 종류, 월 동여부 및 바이러스 보독정도를 해명하는 것이 필요하다. 2008/2009년과 2009/2010 년 12월부터 3월까지 충남 예산에서 전년도 고추에 TSWV가 발병했던 휴경상태 의 무가온 비닐온실에서 월동하는 바이러스 매개충은 꽃노랑총채벌레와 파총채벌 레였으며 꽃노랑총채벌레가 압도적으로 많았다(98.7∼100%). 꽃노랑총채벌레의 월동태는 성충(암컷)이 대부분이었다(94.3∼100%). 꽃노랑총채벌레 월동 성충의 RT-PCR법에 의한 TSWV 보독정도는 12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점차 높아지는 경향이었고 바이러스 검출율은 42.3∼63.6%로 매우 높았다. 바이러스 보독충이 서식하는 야생식물은 쇠별꽃, 지칭개, 소리쟁이, 망초, 별꽃 등 10종으로서 조사한 모든 초종에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한 지역에서 매년 계속되는 TSWV 의 발생과 주변으로의 확산은 전년도 발병포장에서 월동한 꽃노랑총채벌레 보독 충이 중요한 원인일 것으로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