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와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이새별 ( Sae Byeol Lee ),황희숙 ( Hee Sook Hwang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6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보육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보육교사의 어린이집의 조직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는 집단문화, 개발문화, 위계문화, 합리문화 순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인성, 행복에 대한 인식 정도는 보통보다 높은 수준인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와 개발문화,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은 행복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어린이집의 조직문화 중 집단문화와 보육교사의 창의적 인성 중 호기심은 보육교사의 행복을 25%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보육교사의 행복 증진을 위해 교사의 호기심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기회와 지원이 필요하며 이와 더불어 상호친화적인 어린이집의 조직문화를 형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직원들 간의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of a daycare center,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1 daycare teachers. They completed the survey questionnaire composed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a daycare center scale, creative personality scale and happiness sca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group culture, development culture, creative personality and happiness. Second, group culture, rational culture and creative personality affected happiness of daycare teachers. From th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organizational culture of a daycare center and creative personality are critical variables to improve happiness of daycare teacher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영재교육의 의미

        이새별(Sae Byeol Lee),황희숙(Hee Sook Hwang) 한국영재학회 2018 영재교육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메타포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3,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체계적 은유분석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영재교육은 유아영재교육의 필요성, 유아영재교육의 목적, 교수학습방법, 유아영재 교사교육, 교사의 역량인 5개의 대분류와 긍정적인 시각, 부정적인 시각, 개인의 잠재력 발견 및 자아실현, 미래사회에 기여하는 인재 양성, 속진 및 심화교육, 개인적인 독특성을 고려한 교육, 생소하고 애매한 교육, 유아교사가 배워야 할 교육, 유아영재교사의 자질인 9개의 내용유형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유아영재교육에 대한 교사교육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aphor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From 213 pre-service teachers, 181 metaphors were identified through metaphor analysis, and nine categories symbolizing the prospective teachers’ understanding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the results, 28.7% of the participants conceived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as the discovery of individual potential and self-realization. The other metaphors were negative viewpoint(20.5), the qualities of a gifted teacher(14.4%), human resources development(8.8%), curriculum for early childhood teachers(8.8%), unfamiliar and imprecise education(7.2%), positive viewpoint(5.5%), enrichment and acceleration(5.0%), and individual differences in education(1.1%).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lation to implication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념도 분석

        황경하(Hwang, Kyoung Ha),이새별(Lee, Sae Byeol),황희숙(Hwang, Hee Sook)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Nobak과 Gowin(1984)이 고안한 개념도를 사용하여 유아교사의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과 개념의 수준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의 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개념도에 나타난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의 수준은 어떠한가?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38명을 대상으로 소그룹 면담을 통해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개념도를 작성하도록 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상위개념은 총 16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둘째, 종속개념의 수는 영재 교육방법이 가장 많았으며 특성점수는 영재 교육방법, 영재의 인지적 특성, 영재 교육과정 영역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밀도는 0.75-9.33이며 평균은 2.05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 영재교육에 대한 심층적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교사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and the level of their knowledge on the contents of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Following questions are developed in order to perform this study. 1. How is the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2. How is the level of knowled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The subjects were 138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y were asked to draw a concept map.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16 superordinate concepts of the gifted young children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highest subcategory was ‘gifted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and ‘gifted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highest specificity measure was ‘gifted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the gifted children’ and ‘gifted education curriculum’. Third, The density degree ranged between 0.75-9.33 and the mean was 2.05.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예비 유아교사의 교재교구개발 경험의 의미 탐색

        황희숙 ( Hwang Hee Sook ),박나운 ( Park Na Woon ),이새별 ( Lee Sae Byeol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연구 Vol.37 No.3

        본 연구는 Root-Bernstein과 Root-Bernstein(2007)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과정에 참여한 예비 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를 탐색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의 P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 25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예비 유아교사들이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하여 교재교구를 개발해보는 과정에서 수집된 개인 성찰일지 및 교재교구 제작 일지, 2회에 걸쳐 이루어진 집단 면담의 전사 자료를 개방적 코딩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학습자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나의 잠재된 창의력 들여다보기`,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기`, `도전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즐기기`로 나타났다. 그리고 예비 유아교사로서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의 의미는 `창의적인 교재교구개발은 유아에 대한 사랑이다`, `창의적인 교재교구는 유아 창의성 발달의 촉매이다`, `창의적 교수 역량에 눈을 뜨다`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비 유아교사들의 창의적 사고도구를 활용한 교재교구 개발 경험은 그들의 창의적인 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were involved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Root-Bernstein and Root-Bernstein(2007)`s creative thinking tool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5 selected students who were in their third year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a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Their personal retrospective journal and journal for the production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were gathered, and the transcribed data of two group interviews were also gather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creative thinking tools as individual learners was three-fold: "Looking into my potential creativity," "observing in daily life," and "enjoying challenging and critical thinking." And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aids using creative thinking tools a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three-fold as well: "The development of creativ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is the very love for young children," "creative teaching materials and aids serve as a catalyst in fostering the creativity of preschoolers," and "open one`s eyes to creative teaching compet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