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미국의 신보수주의 외교이념과 민주주의: 현실주의와 도덕철학의 한 결합양식
이삼성 세종연구소 2005 국가전략 Vol.11 No.2
This essay tries to identify and highlight more continuity than discontinuity between the earlier generation of neoconservatives and its more recent proponents. In terms of rhetorics and terminology, the second-generation of neocons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ir predecessors. The cause of "democratic globalism" is at the center of controversy in defining the nature of the new brand of neoconservatism. Despite the apparent discontinuity in its rhetoric, argues this essay, at least two substantial elements remain intact, comprizing the defining characteristics of the neoconservative movement: One is an essentially power-political realism with regard to the issues of the nature of the world politics, diplomacy, and democracy, and the other is the belief that any successful foreign policy of the United States in this world depends ultimately not on the diplomacy itself but on the internal ideological warfare over its morality. Establishing a moral philosophy that ensures effective justification of realist U.S. policies abroad, whether it be alliance with dictatorships or controversial war-fighting, is the key to waging a successful moral warfare inside the nation. For all the generations of the neocons, the core of that moral philosophy has been a pattern of discourse that puts conspicuous emphasis on "democracy." The democratic discourse of the second generation neocons, which took the form of democratic globalism, flourished in the early 1990s and diminished since then, closely reflecting the initially noisy process of disintegration of the former Soviet bloc countries in Eastern Europe. Once the process of their democratization and integration into the greater Europe was practically complete, the democratic globalist discourse lost its political relevance and the momentum as the moral force of reinvigorating the neoconservative movement. In the late 1990s, however, when the neoconservatism entered a new phase of revival, it didn't mean the return of the democratic globalism to the center stage of the movement. A set of fundamentally geopolitical strategic and economic interests and a geopolitical concern over China constituted the soul of the newly revived neoconservative discourse. This also meant that the democratic discourse among the neocons since the late 1990s remained essentially instrumentalist, rather than substantial, being invoked and serving as the rationale for justification of a series of unpopular wars especially since 9/11. The second-generation neoconservatism was revived and became powerful in the last several years only at the price of marginalizing the democratic globalist discourse. In focusing on the continuity within the neoconservative movement of the old and new, this essay also tried to highlight the characteristic similarity between the second-generation neoconservative rhetorics and the Reagan doctrine. 이 글은 신보수주의의 1세대와 2세대 사이의 단절이 아닌 연속성에 주목한다. 그 둘은 논리적 수사(修辭)에서 단절을 보인다. 민주세계주의의 논리가 대표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 두다른 세대는 적어도 두가지의 실체적인 내용으로 연속성을 구성하며, 바로 그렇기에 논리적 수사의 일정한 간격에도 불구하고 신보수주의로서의 이념적 동질성을 유지한다. 첫째, 세계정치와 외교, 그리고 민주주의의 문제에 대한권력정치적·지정학적 현실주의 세계관이 그 중추를 이룬다. 둘째, 미국 외교의 성공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외교 그 자체가 아닌 미국 내부의 도덕적 이념논쟁의 승부라는 신념이다. 독재와의 연대이든 전쟁이든, 권력정치 외교를정당화하는 도덕철학의 구축은 그 신념에 따른 핵심과제다. 그 도덕철학의 중심이 곧 민주주의담론이다. 탈냉전기 2세대 신보수주의의 민주주의담론은 민주세계주의의 형태를 취하긴했으나, 공산권 해체과정의 현실정치와 긴밀히 연관되면서 부침하였다. 동구권의 해체와 유럽으로의 통합과정이 일단락되면서 2세대 신보수주의의 민주세계주의 논리는 현실적 적실성을 상실해갔다. 1990년대 후반 신보수주의는 재부흥기를 맞는다. 그것은 민주세계주의의 부활을 뜻하지 않았다. 중동에서의 지정학적인 전략적·경제적 이익, 그리고 중국 등에 대한 지정학적 경계의식을 중심으로, 신보수주의 1세대의 핵심이었던 권력정치적 현실주의로의 회귀를 내포했다. 민주세계주의 담론의 주변화(周邊化)를 대가로 2세대 신보수주의는 1990년대 후반 미국 보수이념 안에서 적실성을 회복하고 재발흥했다. 이같은 취지의 연장선에서 2세대 신보수주의가 레이건독트린과 갖고 있는 연속성을 또한 포착하고자 했다.
이삼성 세종연구소 2003 국가전략 Vol.9 No.3
The existing structure of the Korea-US alliance is a legacy of a set of extraordinary historical circumstancs, with unchanged military dependency relations at its core. Fundamental changes in internationational politics and new challenges ahead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require a new mode of alliance politics for the Koreans. In the pursuit of war prevention and a stable peace on the peninsula, the military alliance needs to move towards a restructured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the two nations, in which Korea assumes more responsibility in dealing with the issues of war and peace on the peninsula, without depending on the physical presence of the American military forces. The current form of Korea-US military alliance is not essential to securing the balancing role of the United States in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in the decades to come. It will only be an additional resource to the hegemonic pursuit of the superpower nation. The macro vision of long-term security policy of the Korean nation for the 21st centry should be based on two guiding principles: softening the military alliance with the United States and taking initiatives in serious pursuit of common security institutions in East Asia. In all of this, the key requirement for the Koreans is a critical self-examination of the continuing voluntary and conscious dependency on the foreign military prowess and the willing abdication of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matters of war and peace o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현존하는 한미동맹체제는 예외적인 역사적 상황의 소산이다. 국제환경과 한반도 주변질서에 근본적인 변화와 함께, 한반도 전쟁억지와 평화체제구축이라는 새로운 도전 앞에서 기존의 종속적 군사관계 중심의 한미동맹체제는 근본적인 구조조정의 필요에 직면해있다. 한반도에서 전쟁의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서도, 남북간 평화체제구축을 통해 평화적인 통일의 조건을 마련해 나가는데 있어서도, 종속적 군사관계와 미국 군사력에 대한 의존을 핵심적 요소로 하는 기존의 동맹체제는 도움이 되기보다는 한반도 위기의 부단한 재생산 구조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다. 한반도가 평화체제로 들어선 이후 또는 통일된 이후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세력균형 역할을 지속시키는데에도 현재와 같은 한미동맹양식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 한반도 군사력균형에서 남한이 상대적 우위를 이미 점한 상태에서의 전쟁과 평화의 문제는 외세까지도 포함하는 군사력과 군사전략의 영역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정치의 공간이다. 주한미군에 대한 의식적 의존을 축으로 하는 현재의 한미동맹체제는 그 공간 속에서 평화의 질서가 형성되어가는 정치적 과정을 봉쇄하는 역기능이 크다. 21세기 한국의 안보외교전략은 유연성있는 동맹의 정치와 함께 동아시아에서 공동안보질서를 구축하는데 창의적 역할을 추구한다는 두가지 지침에 근거해야 한다. 한미동맹의 유연화는 미국 군사력의 한반도내 물리적 배치에 의존하는 종속적 군사관계 중심으로부터 탈피하여, 양국간의 정치전략적 정책조율에 중심을 두는 가운데, 한반도와 그 주변의 전쟁과 평화의 문제에 대한 한국 자신의 정치적 책임과 역할이 중요성을 갖는 체제로 변화해가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한 변화에서 중요한 것은 한국의 정치와 사회에 풍미해온 미국 군사력에 대한 자발적인 정신적 종속의 의식상태에 대한 깊은 자기성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