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페데리코 몸포우(Federico Mompou)의 <꿈의 전쟁(Combat del somni)>연구

        이사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paper is a study on Federico Mompou’s (1893-1987) Combat del somni (Dream Combat). Through this study of the work, the author will investigate Federico Mompou the representative composer of Catalonia province, Spain and try to help perform it actually. The late 19th century is a period of blossoming nationalism when folk songs into national emotions permeate in music were used in artistic songs. In Spain, by composers like Manuel de Falla(1876-1946), many pieces of music that express nationalism were composed. Composers in Catalonia also participated in this movement, and this study will shed new light on Federico Mompou,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Catalonia as a nationalist composer. This paper first dealt with Federico Mompou’s life and the geograph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his home Catalonia and examined the Catalonian folk songs and folk song elements. In particular, dealing with the folk songs of Catalonia and Federico Mompou’s songs, it investigated how the folk songs of Catalonia were reflected to Federico Mompou’s songs, and then examined the type of music Federico Mompou expressed in this music, the relationship between lyrics and music and the method of performance through an analysis of Combat del somni. As a result, Federico Mompou’s music were expressed through his musical inspiration, French composers influences obtained during his study in Paris, flowing lyricism like flowing in the folk songs of Catalonia, simple modes and a Catalonian folk song rhythm. The elements he obtained while studying in Paris, France were mingled with a color of folk songs in his music and revealed the intrinsic characteristics of his music. His ‘inspiration’ and ‘simplicity’ used as musical materials appear as lyricism static and full of sorrow in most of Federico Mompou’s songs. French composer’s musical elements are mixed in Federico Mompou’s work, Combat del somni based on the simple rhythm of a folk song and lyricism like flowing. Federico Mompou, known as a representative composer of Catalonia joined the flow of nationalism by composing elaborate works containing the intrinsic lyricism of Catalonian people. 본 논문은 몸포우(Federico Mompou, 1893-1987)의 작품 《꿈의전쟁Combat del somni》을 연구한 것이다. 필자는 이 작품 연구를 통하여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의 대표 작곡가인 몸포우를 조명하고 실질적인 연주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19세기 말은 민족주의가 싹트는 시기로, 음악에서 민족적인 정서가 스민 민요를 예술가곡에 사용하였다. 스페인에서도 스페인의 마누엘 데 파야(Manuel de Falla, 1876-1946)등에 의해 민족주의를 담은 많은 곡들이 작곡되었다. 카탈루냐의 작곡가들 또한 이러한 움직임에 동참하였는데, 이에 카탈루냐의 대표 작곡가인 몸포우를 민족주의 작곡가로서 재조명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먼저 몸포우의 생애와 그의 고향인 카탈루냐의 지리적, 역사적 배경을 다룬 후 카탈루냐의 민요와 민속적 요소에 대해 살펴 보았다. 특히, 카탈루냐의 민요와 몸포우의 가곡을 다루면서 카탈루냐의 민요가 몸포우의 가곡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알아보고, 후에《꿈의전쟁》분석을 통해 몸포우가 이 곡에서 표현한 음악형식, 가사와 음악과의 관계, 연주방법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그 결과, 몸포우의 음악은 몸포우의 음악적 영감, 파리 유학 시절 얻어진 프랑스 작곡가들의 영향, 그리고 카탈루냐 민요에서 나타나는 흐르는 듯한 서정성과 단순성의 선법, 카탈루냐 민요적 리듬을 통하여 표현되어져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프랑스 파리 유학 시절 얻어진 요소들은 그의 음악에서 민요적 색채와 함께 어우러져 그의 음악에 고유한 특색을 드러내었다. 음악적 소재로 사용된 그의 ‘영감’과 ‘단순성’은 몸포우의 가곡들 대부분에서 정적이며 애수에 가득찬 서정성으로 나타난다. 몸포우의 작품 《꿈의전쟁》에는 단순한 민요적 리듬과 흐르는 듯한 서정성을 바탕으로 프랑스 작곡가들의 음악적 요소들이 혼합되어 있다. 카탈루냐의 대표 작곡가로 알려진 몸포우는 카탈루냐 민족의 고유한 서정성이 담긴 섬세한 작품들을 작곡함으로 민족주의의 흐름에 동행하였다.

      • 2000년대 가족서사 연구 : 가족서사의 문학교육적 효용과 연계하여

        이사랑 아주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현대 사회는 급격한 변화를 겪으며 가족의 개념이 복잡해지고 다양해지고 있다. 그러나 국어·문학 교과서의 가족서사는 혈연을 바탕으로 한 가족개념만을 다루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 중심으로 그들이 경험하는 문화를 탐구하고 통찰하게 함으로써 교사와 학생간의 참여와 소통 능력을 길러주는 문화교육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교과서를 재편할 것을 요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족의 개념을 반영한 가족서사가 교과서에 게재되기 위해서는 기존 가족개념과 차별된 가족을 다룬 텍스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최근 전경린, 천명관, 김려령의 소설들은 근대의 가족주의를 벗어난 현대의 다양한 가족의 양상을 다룬 소설로 대중에게 주목을 끌었다. 전경린은 이혼 가족의 분화와 자립을 통해 기존 모성과는 새로운 모성을 그려낸다. 천명관은 비정형 가족의 유동적 결합과 해체, 비혈연 가족으로의 변모과정을 다루었고, 김려령은 다문화 가족의 외부적 요인에 의한 해체와 복원의 양상을 그려냈다. 이 소설들은 그간의 혈연을 바탕으로 한 형태, 기능 위주의 가족의 개념을 무너뜨릴 뿐 아니라 현대적으로 변모한 가족의 현실을 고스란히 반영하며 가족의 의미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망한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족서사에 가치를 두고 앞으로 교육의 현장에서 청소년이 학습하게 될 교과서에도 근대적 가족주의에서 벗어난 가족의 양상을 다룬 다양한 작품이 실려 수용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학습자의 내면화가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주제어 : 가족서사, 가족소설, 소설교육, 가족주의, 현대가족, 다문화 가족

      • 전통의 뮤지킹 : <아리랑>의 시뮬라시옹에 관한 연구

        이사랑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Arirang is performed as a representative traditional Korean folk song. Arirang festivals are held in key municipalities across Korea, such as Seoul, Mungyeong, and Jeongseon; but in 2014, the <Arirang Grand Festival> was simultanesously held at 15 locations across the country. Arirang has been showcased at international events such as the 1988 Olympics, the 1991 World Table Tennis Championships, the 2014 Sochi Winter Olympics,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nd the 2022 Beijing Winter Olympics. Arirang also appears as the main character in the Korean promotional video produced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and the Korean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in 2021-2022 that is distributed to countries around the world. Academics study the historical origin song through document recorded with editorials similar to those of Arirang. The farmer’s story of Lee Seung-hoon’s Mancheon Yugo published in 1790 and Hwang Hyun’s 1984 Maecheon Yarok are representatively mentioned, which suggests the earliest forms of Arirang orginated near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However, the officially recognized date for contemporary Arirang stems from the background music taken from Na Un-gyu’s 1926 film with the same namesake, Arirang. As the movie had great success, the sign of “nationality” was gradually added to morph the music into a traditional folk song. At the same time, the similar Arirang sound before Na Un-gyu, for example, the Ararung, left by the American missionary Hulbert in 1896, and the local folk song Arari and also the gugak Arurang in the 1920s, were all renamed and considered the historical predecessor of Na Un-gyu’s Arirang. Although consisting of different songs from different contexts, Arirang is considered as a newly created category with a self-expression style like Arari. This study attempts to answer the following quiestions. First, what does it mean for Na Un-gyu’s film O.S.T., which was created in 1926, to now be taken as a traditional folk song? Second, at what point can sounds with a similar pitch to Arirang before Na Un-gyu’s movie lead to the history of one Arirang? Lastly can the current version of Arirang be considered traditional music? Data for this study was collected through particip tory observation, personal interviews, and discourse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musicking by Christopher Small and modern simulacre concepts proposed by Jean Baurdrillard. Fieldwork was performed in in the so-called Arirang Cities such as Seoul, Mungyeong, and Jeongseon. First, Seoul is well-known for media musicking focuses on Arirang. In particular, Gugak Broadcasting, the only channel of traditional culture, has programmed the Various Arirang Campaign for decades. They routinely air the songs of Arirang, and retell the history of Arirang through commemorative performances and special broadcasts. In addition, it functions as an agency that directly hosts and organizes performances by discovering or creating various Arirang. The second site, Mungyeong, was officially declared an Arirang City in 2015. The city created Arirang park and village, and focused on representing the intangible culture of Arirang by writing 10,000 lyrics of nationwide songs in calligraphy. However, Mungyeong’s own Arirang song has not been widely distributed, and the type of song and sheet music have not been unified. Nevertheless, Mungyeong argues that Ararung, the oldest existing sheet music material based on Mungyeong Saejae appearing in the lyrics, could be Mungyeong Saejae Arirang as the original. Finally, Jeongseon created a dedicated transportation services such as Arirang Train and Wawa Jeongseon tour bus, and opened a tour program where visitors can watch Jeongseon Arirang at Jeongseon Arirang Market and Arirang Center whenever the market opens every 5 days. During the museum tour, tourists are informed of the overall history of Arirang, especially Jeongseon Arirang, as the beginning of Arirang, and Jeongseon is presented as the Arirang Historical City. Current plans are to hold a metaverse festival so that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can attend as digital festival citizens to learn and experience Arirang. In short, the discourse of tradition built in Seoul media musicking is delivered to each Arirang cities and acts as a medium to show the identity of the region, while being reconsidered and newly created as a means for economic activities. Each Arirang city has a different musical aspect, but the festival is performed in a similar way that simulacre is directed, reproduced, and combined. In this process, regardless of the historical origin of Arirang, the sounds of different regions are integrated into a traditional symbol, displayed, and performed. In reality, the local symbol of the sounds of the whole body of Arirang is combined with Na Un-gyu’s Arirang, and also Na Un-gyu’s nationality symbol is applied to Arari. Arirang as simulacre, the current tradition continues to produce hyperrealism. <아리랑>은 현재 국내외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음악으로 연행된다. 각종 미디어와 아리랑 축제 및 공식적인 국제무대에서 제2의 애국가처럼 <아리랑>이 울려 퍼진다. 학계에서는 고문헌 자료를 통해 <아리랑>과 비슷한 음가를 가진 사설을 근거로 노래의 역사적 연원을 연구한다. 대표적으로 1790년 이승훈의『만천유고』중 농부사와 1894년 황현의 『매천야록』이 있다. 가사나 악보가 기재된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후렴구와 노래 제목을 근거로 <아리랑>의 역사를 최소 조선 시대로 상정한다. 그러나 주지하듯 <아리랑>은 1926년 나운규의 영화 아리랑의 배경음악으로 탄생하였다. 영화가 대성공하면서 여론을 흡수하여 점차 민족성의 기호가 더해져 전통 민요로 자리 잡았다. 그러면서 나운규 이전에 불리던 ‘아리랑 소리’들, 예컨대 1896년 미국인 선교사 H. 헐버트가 악보로 남긴 <아라렁>, 향토민요 <아라리> 및 1920년대 잡가 <아르랑 타령>까지 모두 <아리랑>이 되었고 나운규 <아리랑>의 전신(前身)으로 역사가 만들어졌다. 서로 다른 시기와 맥락 속에서 연행된 노래들이지만 현재 <아리랑>은 <아라리>를 향유하던 방식처럼 ‘자기 표현적’으로 새롭게 창조된다. 그렇다면 1926년에 나운규의 영화 배경음악으로 만들어진 <아리랑>이 현재 전통 민요로 연행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 아리랑과 비슷한 음가를 가진 소리들이 <아리랑>의 역사로 연결될 수 있는 지점은 무엇인가? 현재 새롭게 만드는 지역의 <아리랑>을 과연 전통 음악이라고 할 수 있는가? 본 연구는 위의 질문들을 탐구하기 위하여 문헌 연구를 진행하여 나운규<아리랑>을 전후로 역사를 되돌아보고 현재 <아리랑>이 중점적으로 연행되는 아리랑 도시 서울·문경·정선에서 현지 조사를 진행한 민족지적 연구이다. C. 스몰이 제안한 뮤지킹(musicking)과 J. 보드리야르의 현대적 시뮬라크르(simulacre) 개념을 이론적 배경으로 참여관찰과 면담, 비판적 담론 분석 등의 방법론을 통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서울은 국영 방송에서 집중적으로 <아리랑>을 다루는 미디어 뮤지킹이 특징적이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 방송 기관인 전통문화예술 채널 국악방송은 <아리랑> 음원과 [별별 아리랑 캠페인]을 제작하여 일상적으로 송출한다. 기념 공연과 특집 방송을 통해 <아리랑>의 역사를 공고히 만든다. 또한 다양한 <아리랑>을 발굴하거나 새롭게 창조하여 공연을 직접 주최하고 주관하는 행위자(agency)로서 기능한다. 두 번째 현장 문경은 2015년에 아리랑 도시 선포식을 가졌다. 아리랑 마을과 비림을 조성하고 전국의 <아리랑> 가사 1만 수를 서예로 작업하여 무형을 유형 문화로 만드는 데에 집중한다. 그러나 아직 지역 내에 노래가 널리 보급되지 않았으며 노래의 유형이나 악보도 통일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럼에도 시에서는 가사에 등장하는 ‘문경새재’를 근거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악보 자료 H. 헐버트의 <아라렁>이 <문경새재 아리랑>이라고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정선은 전용 교통편 아리랑 열차와 ‘와와’ 정선 관광버스를 제작하여 5일장이 설 때마다 정선 아리랑 시장과 아리랑 센터에서 <정선 아리랑>을 관람할 수 있는 관광 프로그램을 개설했다. 박물관 전시를 통해 관광객에게 <아리랑>의 전반적인 역사 특히 <아리랑>의 시초가 <정선 아리랑>이라는 정보를 전달하며 정선을 아리랑 역사 도시로 만든다. 메타버스 축제를 열어 세계인을 ‘디지털 축제 시민’으로 도입할 계획을 세운다. 요컨대 서울 미디어 뮤지킹에서 구축된 전통의 담론은 각 지역으로 전달되어 지역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매개로 작동하는 동시에 경제 활동을 위한 수단으로 재고안되고 각색된다. 아리랑 도시마다 뮤지킹 양상은 각기 다르지만 시뮬라크르가 연출되고 복제되며 결합하는 유사한 방식으로 축제를 연행한다. 이 과정에서 <아리랑>의 역사적 연원과는 무관하게 서로 다른 지역의 소리들은 하나의 전통의 기호로 통합되어 전시되고 연행된다. 또한 <아리랑> 전신의 소리들이 지닌 향토적인 기호가 나운규의 <아리랑>에 결합되고, 나운규의 <아리랑>에 내포된 민족성의 기호는 <아라리>에 적용된다. 시뮬라크르로써의 아리랑, 즉 현재의 전통은 비구분되고 함열된 채 지속해서 하이퍼리얼리티를 양산한다.

      • 한국 비혼 독거청년을 위한 대안 공동체의 가능성 :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을 중심으로

        이사랑 서울여자대학교 사회복지기독교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 사회에서 1인 가구가 급증하고 결혼을 미루거나 하지 않는 사람이 급증했다. 그러나 비혼으로 살아간다는 것은 아직 쉬운 일이 아니다. 이 논문은 비혼의 상태로 홀로 살아가고 있는 이들을 위해 배우자나 가족을 대안할 수 있는 공동체의 가능성을 찾고자 시작되었다. 한국 사회에서는 ‘결혼의 여부’ 를 ‘독립적인 삶’ 을 살고 있는지 확인하는 사회적인 지표 중에 하나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제는 결혼을 성취나 임무로 여길 때보다 자신이 선택하여 만들어가는 관계적인 사건으로 인식할 때 건강한 결혼은 더욱 확산될 것이다. 또한 결혼 여부와 관련되어 있는 잘못된 사회적 편견이 더욱 줄어들 것으로 여겨진다. ‘비혼’이라는 용어의 올바른 이해와 한국 사회의 결혼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 사회 비혼 현상의 급증 요인은 첫 번째, 생물학적 및 심리적인 요인으로는, 성인기에 ‘사랑’이라는 덕목과 독립을 위한 ‘일’을 동시에 성취해야 하는 어려움으로 보았다. 두 번째, 사회문화적인 요인으로는 정보화시대의 도래로 인한 관계성의 하락, 한국의 전통적이고 보수적인 가치관으로 인해 결혼을 꺼리게 되는 현상, 남녀에 대한 종교적인 가치관의 편협성을 들었다. 결국 ‘비혼’ 이라는 상황에 놓여 있는 독거청년들은 비혼을 자발적으로 선택했을 수도 있겠지만 동시에 사회문화적 및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인한 비자발적인 현상일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은 수정된 가족의 의미를 제도적으로 충분히 수용한 해외 사례를 통해, 임무나 성취가 아닌 ‘관계로서의 결혼’ 에 초점을 두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하인즈 코헛의 자기심리학 이론에 비추어보면, 비혼은 타인과의 관계경험을 어렵게 하는 환경으로부터 점점 고갈되는 자기를 지키기 위해 ‘자기애적 균형’을 맞추려는 몸부림일 수 있다. 즉 비혼을 자기를 지키고 성숙시키기 위한 ‘회복적인 발달 과정’ 중에 하나로 볼 수 있다. 이 발달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비혼 독거청년이 접하는 공동체가 어떤 역할을 하느냐이다. 타인과 관계를 이어나가고자 하는 한국 비혼 독거청년에게 어떤 대안 공동체가 필요할 것인가? 바로 참 만남이 이루어지며, 정서적 지지체계가 활성화되어 있으며, 초연결사회를 활용하는 공동체이다. 결론적으로 비혼 독거청년은 외상으로 생긴 자기(self)의 결함을 회복시키기 위해서는 ‘공감의 자리’로서의 공동체를 찾아나서는 태도와 ‘공감적 접촉’을 추구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또한 대안 공동체는 비혼 독거청년을 위한 보상구조로서의 역할(공감의 자리, 포용하며 함께 성장하는 공동체)을 감당하며 공동체와 개인 모두 상호주관적인 성장을 지향해야 한다. In the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the people who do not marry or postpone marriage has increased sharply. However, it is still not easy to live as a single by non-marriage. This paper began by looking for the possibility of communities which could alternate spouses and families for the people who are living alone. In Korea, There is a tendency to regard marital status as one of the social indicators by which people can check up whether they are independent or not. Healthy marriages will spread more when people perceive marriage as a relative event that they choose rather than a duty or achievement. Eventually, It is believed that the social prejudices associated with marital status will decrease. It is needed both understanding appropriately of the term 'non-marriage', and shifting the paradigm of the marrge in korea. There are several factors in the dynamic increasing number of non-marriage in Korea. First, as a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factor, it is difficult to achieve the virtue of love with other person and a career for being independent at the same time. Second, sociocultural factors include the decline of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Third, due to the arrival of the information age, the reluctance to marry caused by the traditional and conservative values ​​of Korea, and the illiberality of religious values of the partner. Considering these, although the single person households with non-marriage may voluntarily choose not to marry, they might involuntarily choose non-marriage because of the cultural and social issues. Therefore, it seems that we need a social atmosphere in which people focus on "marriage as a relationship" rather than a mission or accomplishment through modeling the cases abroad that the modified meaning of family has been sufficiently accepted systemically. In the point of view from Kohut, Heinz 's theory of self - psychology, ‘non–marriage’ can be a struggle to achieve narcissistic balance in order to defend oneself from an environment which makes it difficult for them to experience relationships with others. In other words, it can be regarded as one of the restorative development processes to protect and mature themselves. What is important in this development process is what kind of community they are facing. Which alternative community would be needed for the non-marriage people in korea who want to keep in touch with (interacting?) community? That is a community where the true contact is done, the emotional support system is activated, and the super connective society is utilized. In conclusion, the non-marriage people living alone need attitudes of seeking the community as a place of empathy and of seeking 'empathic contact' in order to recover the defect of self caused by trauma. In addition, the alternative community should aim for mutual and subjective growth in both the community and the individual, playing the role of the compensation structure for the non-marriage people, developing the community as a sympathy space and embracing and growing together.

      • 노인복지와 일거리 창출을 위한 ‘시니어팜’ 활용에 관한 연구

        이사랑 한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사회에서 노인은 어떤 사람들을 가리키며 그들은 어떻게 행동해야할까. 지금 노인이라고 불리는 사람들도 그들보다 젊은 사회구성원들도 그야말로 급변하는 사회 흐름 속에서 누가 노인이고 노인들은 사회 속에 어떠한 위치에 있어야 하는지 섣불리 정의 내리기 힘들 것이다. 아직까지는 모든 자료나 통계에서 65세 이상을 고령자의 범위에 넣고 있고,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기업에서 60세를 정년으로 정하고 있으나 고령자, 노인의 범위는 국제사회와 우리나라 내에서 모두 새롭게 정의되고 있다. 이제 더 이상 65세 이상의 고령자들은 예전처럼 퇴직 후 여가생활만 하거나 생산 활동을 전혀 할 수 없는 사회의 끝자락에 있는 존재들이 아니다. 평균수명 연장과 저출산으로 60대 이상의 고령층의 비율이 높아지고 건강하고 활동적인 장년을 이르는 액티브시니어 (Active Senior)라는 신조어가 생기며 일하고 싶은 열망이 있는 고령자들과 이들의 취업비율도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은 지금까지 인력시장에서 소외당해왔다. 현재까지는 고령자들이 가질 수 있는 일자리가 전문적인 기술을 요하는 직종보다는 단순노무가 많으며 일자리의 형태가 다양하지 않다. 노동시장에서 고령인력을 좀 더 친화적으로 받아들이는 인식과 태도가 필요하지만 그런 인식은 저절로 이루어지지는 않을 것이다. 이제는 이 소외당했던 계층에 눈을 돌려야 할 때이다. 늘어나는 노년층은 새로운 생산인구가 될 수 있고 동시에 소비자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60세 이후의 제 2의 삶에 다양한 경로를 제시하는 방법으로 도시농업과의 연결을 선택하였다. 이미 미국과 영국 등의 선진국은 도시농업을 하나의 새로운 산업으로 정착시켜 가고 있으며 도시농업이 자연교육, 환경보호, 공동체 활성화, 여가 선용, 건강 유지, 유휴지 재이용 등으로 다양화되고 노인문제, 환경문제, 식량문제, 기후변화, 공동체의식 등 우리사회에서 해결해야 할 여러 문제점의 해답이 될 수 있다. 미국의 시애틀은 거주 인원 2,500명 당 공동체 텃밭을 반드시 조성하는 제도를 통해 도시농업을 의무화하였으며 쿠바의 수도 아바나시는 면적의 40%를 농지로 바꾸어 유기농 채소로 공급하여 식량문제를 해결하였다. 쿠바에서 소비되는 농산물의 90%는 도시 내 또는 도시인근에서 생산 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국이나 영국 쿠바같은 도시농업 선진국의 성공사례나 시사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IT강국답게 스마트팜 형식의 혁신적인 도시농업사례도 속속 생겨나고 있다. 도시농업은 앞으로도 발전방향과 가능성이 무궁무진하다. 본 연구에서 도시농업의 이러한 확장성과 통합성을 토대로 노인복지와 일자리창출, 커피찌꺼기문제 해결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 방법으로 ‘시니어팜’ 이라는 노인을 주체로 한 새로운 형태의 도시농장 사업을 제안하였다. 본문에서는 ‘시니어팜‘의 효과적인 수익창출과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방법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 딥러닝을 사용한 에스컬레이터 덕트 먼지 정량화 알고리듬 개발

        이사랑 공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Removing the dirt from escalator ducts requires cost-intensive personnel and involves dangerous working conditions. To improve this, special robots have been developed, but so far, only studies on the control of the robot have been published, which further did not treat the important part of quantitative dirt determination. In this study,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deep learning we develop an algorithm that allows determining the amount of dirt and apply it to our cleaning robot. In an environment similar to that in an escalator duct, the dirt amount is categorized into five levels according to the dirt pile-up height, while the lighting and wall colors are set as variables. Image preprocessing, such as edge detection and huff transform, is used to remove irrelevant objects such as walls from the images. Out of 6 algorithm models -SVM (Support Vector Machine), kNN (k-Nearest Neighbors), Decision Tree, k-Means, VGG16, and ResNet50-, VGG16 is found to be most accurate and is therefore employed for the dirt quantification algorithm. Applying the developed algorithm to our cleaning robot, we found that the amount of dirt was predicted correctly in 89% of the cases. Application of this algorithm to such a cleaning robot will result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maintenance costs.

      •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과 일러스트레이션 유무가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패키지-자아일치성과 자기감시성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이사랑 홍익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increase in package wastes, which have caused the environmental pollutions in recent years, much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Green Survival” consumption trend, stressing mandatory environmental protection by using eco-friendly packages or applying various methods to packaging. The movement towards the green survival has been accelerated even in various manufacturing companies according to the trend. In particular, beverage industries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green survival movement by introducing eco-friendly packages such as biodegradable paper packages or colorles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In addition, confectionery industries have also expanded eco-friendly packages using a method to reduce ink usage by lowering the package ink specifications. The above phenomena imply that sustainable package design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considering the aspects of environmental, economic, and social impacts, departing from piecemeal package developments for the purpose of consumers’ sales increase. Thus, this study aims to review the design and prints considering the sustainability and discuss the sustainable design concepts of approaches to packaging. To do this, this study classified the sustainable design approaches of cosmetic packages into two types: consumption main agent and production main agen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n, the consumption main agent were sub-classified into reuse and refill types, and the production main agents were sub-categorized into recycle and biodegrade types to analyze the cosmetic package cases in Korea and overseas. Here, the sustainable approaches classified by the main agent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applied package print specifications (number of colors) and for high specifications, it was found that illustrations were used. For printing with more than four colors, illustrations were applied, and for printing with three or smaller colors, illustrations were not used. Since the printing specifications were higher and the amount of used ink was increased when illustrations were used, it could affect the environment pollutions. Thus, this study conducted an investigation on the direction of design according to the use of illustrations. Accordingly, the following four cosmetic package specimens were manufactured for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forementioned classification by sustainable approaches and whether illustrations were present or not: ①reuse/refill+no illustration, ②reuse/refill+illustration, ③recycle/biodegrade+no illustration, and ④recycle/biodegrade+illustration. Then, this study used the above four specimens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the design direction to the presence of illustration according to the sustainable approaches, and purchase intention was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to conduct an empirical analysis. To propose the design direction preferred by consumers, this study also measured the effects of the presence of illustration on purchase intension with the following moderating variables: self-monitoring that affected th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by the motivation of social and economic stimulations rather than the quality of the product itself, and self-congruity that used package design itself to display the self-image as a symbol beyond the product function itself. The study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differed according to whether illustrations of cosmetic package design utilizing the sustainable approaches were present or not, and purchase intention of package using recycle/biodegrade + no illustration was relatively higher.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illustrations of cosmetic package design utilizing the reuse/refill method and purchase intention exhibited that the package-self-congruity had a moderating effect, and the package's purchase intention of “reuse/refill + illustration” had a higher effect as the package-actual/ideal self-congruity was higher. In addition, the package's purchase intention of recycle/biodegrade + no illustration had an effect when the package-ideal self-congruity was higher.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esence of illustrations of cosmetic package design utilizing the reuse/refill method and purchase intention exhibited that the self-monitoring had a moderating effect, in which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as self-monitoring was lower without illustration whereas purchase intention was higher as self-monitoring was higher with the presence of illustration. The study results are important data that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environmental pollution and can be summarized from company's viewpoints as follows: when developing recycle/refill approach-applied packages to review the direction of designs that lower the printing specifications in priority, the design direction without illustration may be considered as presented in the study results, and when developing reuse/refill approach-applied packages, the design direction of minimum printing specifications is considered although illustrations are used. 오늘날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는 포장재 폐기물의 증가로 인해 친환경성 포장재를 사용하거나 다양한 방법을 패키지에 적용하여 반드시 환경을 지켜야하는 필환경 소비 트렌드가 주목받고 있다. 트렌드에 따라 다양한 제조 기업에서도 필환경을 향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특히 음료 업계는 생분해성 종이 패키지나 무색 페트용기와 같은 친환경 패키지를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필환경 활동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또한 제과 업계에서도 패키지의 인쇄 사양을 낮춰 잉크의 사용량을 축소하는 방법으로 친환경 패키지 확장에 나서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을 통해 소비자 판매 증진을 위한 목적의 단편적인 패키지 개발에서 벗어나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인 측면 모두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패키지 디자인이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패키지 디자인과 인쇄에 대해 알아보고 패키지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개념과 접근 방법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를 토대로 화장품 패키지의 지속가능한 디자인의 접근 방법을 크게 소비 행동주체자와 생산 행동주체자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소비 행동주체자는 재사용(Reuse),재충전(Refill)으로 생산 행동주체자는 재활용(Recycle), 생분해(Biodegrade) 유형으로 하위분류하여 해외 및 국내 화장품 패키지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때, 행동 주체자 별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을 적용한 패키지의 인쇄 사양을 도수에 따라 다시 분류하였고, 높은 사양 인쇄의 경우 일러스트레이션이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4도 이상의 인쇄가 적용될 시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하였고, 3도 이하의 인쇄는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하지 않았다.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하게 되면 인쇄사양이 높아지고 잉크 사용량이 증가하므로 환경오염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일러스트레이션 사용 여부에 따른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따라서 앞서 이야기한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 분류와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라 4가지 화장품 패키지 실험물(①재사용/재충전+일러스트레이션 없음 ②재사용/재충전+일러스트레이션 있음 ③재활용/생분해+일러스트레이션 없음 ④재활용/생분해+일러스트레이션 있음)을 제작하였다. 그리고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에 따라 일러스트레이션의 유/무의 디자인 방향성에 대한 분석을 위해 4가지 실험물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고, 구매의도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소비자가 선호하는 디자인 방향성 제시를 위해 제품 자체의 품질보다는 사회적, 경제적 외부자극의 동기에 의해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자기감시성과 제품 자체의 기능을 넘어 패키지 디자인 자체를 하나의 상징으로 자신의 이미지를 보여주기 위해 사용하는 자아일치성을 조절변수로 사용하여 일러스트레이션의 유/무 여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 번째,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을 활용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에 따라서 소비자 구매의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활용/생분해+일러스트레이션 없음 패키지의 구매의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의 재사용/재충전 방법을 활용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와 구매의도간의 관계에서 패키지-자아일치성은 조절효과를 하며, ‘재사용/재충전+일러스트레이션 있음‘패키지의 구매의도는 패키지-실제적/이상적 자아일치성이 높을 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재활용/생분해+일러스트레이션 없음 패키지의 구매의도는 패키지-이상적 자아 일치성이 높을 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접근 방법의 재활용/생분해 방법을 활용한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일러스트레이션 유/무와 구매의도와의 관계에서 자기감시성은 조절효과를 하며, 일러스트레이션이 없는 경우 자기감시성이 낮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았고, 반면 일러스트레이션이 있는 경우 자기감시성이 높을수록 구매의도가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기업의 측면에서 정리해 본다면 인쇄사양을 최소한으로 낮춰 디자인 할 수 있는 방향 검토를 우선으로 재활용/재충전 접근 방법을 적용한 패키지를 개발 할 때, 본 연구 결과와 같이 일러스트레이션이 없는 디자인 방향성을 고려할 수 있으며, 재사용/재충전 접근 방법을 적용한 패키지를 개발 할 때, 일러스트레이션을 사용하되 최소한의 인쇄 사양의 디자인 방향성을 고려하여 환경오염 예방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예비체육교사의 청소년 해외봉사활동 참여경험 탐색

        이사랑 용인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research, personal experiences on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with juveniles were described in the form of self-narrative using the application of auto-ethnography.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the experiences acquired through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as an auto-ethnography researcher and the effect on the cultural formation for ‘me’ as a pre-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The main data is composed of the researcher’s ‘own’ materials from the memory and the diary about overseas volunteer activities . In particular, it was highly focused on reliability and validity in an aspect of data acquisition. In addition, for the purpose of ‘various perspectives to interpreting data’, ‘data with shared experiences’ was collected by interviews with three colleagues in volunteer activities. The data was mainly collected by the three colleagues. The researcher, I, involved in volunteer activities with autonomous and informal attitude. The result show that the experiences of volunteer activities offered several values; passion for teaching, practicing teaching method, skill of knowledge delivery, affection for youth, endeavor to maximize one’s ability for talent donation, pleasure for helping other by feeding, satisfaction through sharing. In addition, these values mainly help the researcher to form a role and identity as a teacher.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teacher’s identity formation is necessary for all pre-teachers including pre-physical education instructor, especially in an aspect of internal identity. It is expected that teachers with appropriate identity and role recognition are able to offer the best education for student. 본 연구는 청소년과 함께 한 해외봉사활동의 개인적인 참여경험을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를 통하여 셀프내러티브(self-narrative)형식으로 기술하였다. 본 연구자는 자문화기술자로서 해외봉사활동을 통하여 얻은 경험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현재 예비체육교사인 ‘나’에게 어떠한 문화를 형성하게 하였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자는 ‘나’의 기억자료와 해외봉사활동 참여 시에 기록한 개인일기를 주요 자료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자료는 연구자의 기억의 내부로부터 나오는 것이므로 무엇보다 타당성과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즉, ‘다양한 관점에서 자료보기’를 위해 연구자와 함께 해외봉사활동에 참여했던 3명의 주요 정보제공자와의 인터뷰 및 대화를 통해 ‘경험의 공유를 위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발적, 비형식적으로 해외봉사활동에 참여했던 연구자는 교육봉사를 통해 가르침에 대한 열정, 나의 수업을 위한 연구방법, 지식 전달의 기술, 청소년을 사랑하고 섬길 수 있는 마음 등을, 재능봉사를 통해 나에게 주어진 것들에 대한 노력, 함께함을 통한 공동체 의식 등을, 급식(feeding)봉사를 통해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기쁨, 나눔을 통한 채워짐 등을 몸소 체험하고 깨달았다. 이러한 경험은 교사의 역할과 정체성을 형성하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 교사의 정체성 형성은 교직의 길을 걷기 위해 걸어가고 있는 예비체육교사를 비롯한 예비교사들에게 꼭 필요하고 중요한 과정으로 외면적인 것만 교사의 모습을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내면으로부터 진정한 교사가 되기 위해 노력해야한다. 올바른 교사의 정체성과 역할의 중요성을 깨닫고 교직의 길에 선다면 그 긍정적인 결과는 교육을 통해 학생들에게 전해질 것이다.

      • Correlation between GSK-3β and TRAF6 in TNF-α-induced cell survival : TNF-a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 경로에서 GSK-3b와 TRAF6 사이의 상관관계

        이사랑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NF (tumor necrosis factor)-a는 세포 사멸과 세포 생존, 생장 및 분화 등의 다양한 생물학적 반응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염증성 cytokine이다. TNF-a는 주로 세포 표면 수용체인 TNF-R1을 통해 신호를 전달하는데, TNF-a가 TNF-R1에 결합하면 먼저 TRADD, RIP1, 그리고 TRAF2가 모여 complexⅠ을 형성하게 되고, 이를 통한 신호 전달은 전사 인자인 nuclear factor-kB (NF-kB)의 활성화를 일으키어 세포 생존에 기여하게 된다. TNF-R1 신호 전달의 후반부에는 complex Ⅰ이 수용체로부터 분리된 후 세포 내로 들어오고, 여기에 FADD와 caspase가 결합하여 complex Ⅱ를 형성하고 이것은 여러 caspases를 활성화시켜 세포 사멸을 일으키게 된다. 이처럼 TNF-R1 신호 전달 경로에는 세포 생존과 세포 사멸의 두 반응이 모두 존재하지만 우리 몸의 정상 세포가 사멸하지 않고 생존할 수 있는 이유는, TNF-a 신호 전달 경로의 초반부에 complex Ⅰ이 NF-kB를 충분히 활성화 시켜 세포 생존에 기여하는 antiapoptotic 단백질이 발현됨으로써 complex Ⅱ에 의한 세포 사멸을 억제하기 때문이다. TNF-a 신호 전달 경로에서 세포 생존에 관여하는 주요한 TNF receptor-associated factor (TRAF)은 TRAF2로 알려져 있는 반면, CD40와 receptor activator of NF-kB (RANK) 신호 전달 경로에서 중요하게 작용하는 TRAF6의 TNF-a 신호 전달 경로에서의 역할은 현재까지 밝혀진 것이 없었다. 하지만, 최근 실험실에서의 연구를 통해 TRAF6가 없는 세포 (3T3 TRAF6 KO)가 TNF-a 자극에 의해 세포 사멸을 겪게 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경로에서 TRAF6의 역할은,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TNF-a 신호 전달 경로의 세포 생존에서 Glycogen Synthase Kinase 3b (GSK-3b)의 역할과 상당히 유사하였다. GSK-3b가 TNF-a 신호 전달 경로의 세포 생존과 NF-kB 활성화에 필수적으로 요구된다는 여러 보고들과 3T3 TRAF6 KO가 TNF-a 자극에 의해 세포 사멸을 겪는 현상에 기초하여, TNF-a 신호 전달 경로에서 GSK-3b와 TRAF6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흥미롭게도, 세포 내에서 GSK-3b와 TRAF6는 상호 결합하고 있으며, TNF-a 자극에 의한 GSK-3b의 세포 내에서의 위치는 TRAF6에 의해서 조절되었다. 세포 내에서 GSK-3b는 현저하게 세포질에 위치하고 있지만, TRAF6와 함께 발현 될 때에는 GSK-3b가 핵으로 이동하여 핵과 세포질에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TRAF6의 발현이 siRNA에 의해 knock-down 되었을 경우에는 GSK-3b의 핵으로의 위치 이동은 일어나지 않았다. 또한 wild-type 세포에서보다 3T3 TRAF6 KO에서 GSK-3b가 현저하게 불활성화 되었는데, 이 현상은 PTEN/PI3K/Akt 신호 전달 경로와 연관 되어 있었다. 활성화 상태로 유지되는 GSK-3b (constitutively active GSK-3b)가 3T3 TRAF6 KO에서 TNF-a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세포 사멸을 막는 현상은, GSK-3b가 TRAF6의 하위기전에서 TNF-a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에 있어서 중요하게 작용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또한 GSK-3b가 NF-kB 활성을 조절하는 핵심 단계인 p65의 인산화에 관여한다는 보고들과, GSK-3b가 현저하게 불활성화 되어있는 3T3 TRAF6 KO에서 p65의 인산화가 크게 억제되어 있는 현상은 TRAF6가 GSK-3b의 p65 인산화에 있어서 중요하게 관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 종합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GSK-3b가 TNF-a 자극에 의한 세포 생존 경로에서 TRAF6와 함께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제시한다. Tumor necrosis factor (TNF)-a is a pleiotropic cytokine that plays a pivotal role both in apoptosis and in cell survival. While TNFR-associated factor (TRAF)2 functions crucially in antiapoptotic response to TNF-a, the role of TRAF6, essential for downstream of CD 40 and receptor activator of NF-kB (RANK) signaling, is not uncovered in TNF-a signaling. Based on the study in our laboratory showing that TRAF6-deficient 3T3 cells are susceptible to TNF-a-induced toxicity, I examined the correlation of glycogen synthase kinase 3b (GSK-3b), which is required in TNF-a-induced cell survival, and TRAF6. Interestingly, GSK-3b associates with TRAF6 in vivo and TNF-a-induced GSK-3b localization is regulated by TRAF6. Furthermore, the inactivation of GSK3b is highly induced in TRAF6-deficient 3T3 cells, but not in wild-type 3T3 cells. This phenomenon is connected with activation of PTEN/PI3K/Akt pathway. Importantly, the constitutively active GSK-3b (GSK-3b (S9A)) that has an alanine substitution at the regulatory amino acid, serine 9 rescues the cells lacking TRAF6 from TNF-a-induced cell death, whereas wild-type 3T3 cells were almost unaffected.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teraction of GSK-3b with TRAF6 plays a critical role in TNF-a-induced cell survival signa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