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底本 수용의 맥락을 통해 본 ≪三國史記≫ 新羅本紀 초기 기사의 이해 방향

        이부오(李富五) 신라사학회 2011 新羅史學報 Vol.0 No.21

        본고는 ≪삼국사기≫ 신라본기 초기기사에 나타난 정합성과 상충성을 분석함으로써 모순의 현상이 보여주는 규칙성을 밝히고 이에 대한 이해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초기기사를 서술한 첫 번째 기준은 왕위의 명분이었고, 두 번째 기준은 왕호, 세 번째 기준은 왕위계보였다. 기년문제는 이보다 우선순위가 낮았다. 이상을 정리하기 위해 초기기사의 찬자는 主 자료와 보조자료를 적절히 활용했다. 그 중에서도 기년에 대한 판단은 치밀하지 못했다. 따라서 기년 문제는 조작의 결과가 아니라 복수의 저본을 수용하는 과정에서 초래된 것이다. 사로국의 건국기년은 저본들에서 B.C. 2세기 말(古本 B-①형), B.C. 57년(고본 A형 및 古記), A.D. 1세기 중반(고본 B-②형) 등으로 전해지다가 (고본 A) 내지 古記의 B.C. 57년설이 초기기사에 수용되었다. 이러한 기년관의 출현은 김대문이 활동한 7세기 말~8세기 초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크다. 초기 기사에 대한 왕대인식의 적어도 일부는 《국사》에도 연원을 두었을 가능성이 있다. 이와 기년을 달리하는 원전은 별도로 전해지다가 신라본기나 그 저본에 선별적으로 반영되었다. 이 원전들에서 신라의 건국기년은 B.C. 2세기 말~A.D. 1세기 중반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이는 사로국의 건국 시기를 파악할 때 유효한 범위로 존중되어야 한다. 김씨ㆍ박씨ㆍ석씨 집단의 일부 계보에서 세대간 시기차가 불합리한 것은 타 집단 계보나 후대의 세대별 평균 시기차와 비교할 때 수용이 불가능하다. 이는 왕위를 차지한 쪽의 계보를 기준으로 정리하는 과정에서 왕위로부터 멀어진 계보의 일부 세대가 누락되거나 착오를 일으킨 결과이다. 실제로는 구도-미추 사이에 2세대 이상, 말구ㆍ미추-내물 사이에는 1세대 이상이 누락되었다. 석씨집단의 `탈해-구추-벌휴` 사이에도 1세대 가량이 누락되었다. 구도 이전의 계보도 실제보다 짧게 정리되었다. 알지의 탄생 기사는 생물학적 출생이 아니라 김씨집단의 유력화 과정을 반영한다. 왕위계보에 대한 저본별 異記, 그리고 누락과 착오는 적어도 7세기 후반부터 발생했다.

      • KCI등재

        일반인의 통계인식 수준 조사연구

        이부,이석훈,신지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Since 2000 enhancement of statistical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itizens including the officers of non-statistics major has been set as one of the strategical targets for reinforcement of the official statistical infrastructure. Thus efforts has been made mainly by KOSTAT and official statistics suppliers and it seems to be agreed that much improvement has been done. But this conclusion tends to be made only based on some basic figures like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the programs offered. In this paper we set up the research object as the real evaluation of the current level of statistical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ficers who are supposed to use official statistics. A survey has been carried out using 25 questionnaires we generated and showed the officers would feel pressured in learning statistics related knowledge even though they were eager to learn it with familiarity and they well agreed the statistics were profitable. Also it is known that profitability stimulates the eagerness of learning which implies that profitability of statistics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statistical education curriculum. 2000년 이후 우리나라는 통계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일반 공무원, 언론 종사자, 그리고 여러 매체를 통하여 통계를 접하고 있는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일반인의 통계인식 제고를 국가통계인프라의 강화를 위한 주요 전략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여 왔다. 이에 따라 그 동안 통계청과 주요 국가통계작성기관 등은 일반인의 통계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통계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통계인식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실질적인 통계인식 제고를 의미하기 보다는 교육 횟수, 피교육자 수 등의 피상적인 수치와 홍보 노력에 근거한 추측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상적이고 심증적인 추측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반인에 대한 통계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향후 효과적인 통계교육의 내용, 방향을 결정하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고, 현재 일반인의 통계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항을 사용하여 일반인의 통계인식 실태 및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일반인의 통계인식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25개의 문항을 수집 개발하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일반인의 통계에 대한 유용도, 호감도, 학습열망은 높게 나타났지만 용이도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통계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유용도가 학습열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통계 유용도 측면을 강화시키는 통계교육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6세기 신라의 가야지역 지배와 가야유민의 역할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50

        본고는 신라의 가야지역 지배 과정에서 가야유민의 역할과 위상 변화를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가야유민은 524~527년 사이에 신라가 금관국을 정복하면서 발생하기 시작했다. 그 지배세력은 아직 자치권을 유지했으나, 532년 仇亥王이 신라로 항복해 阿干支에 가까운 경위를 받았다. 금관국 내에서는 그의 친족이 구해의 식읍을 관리하고 지역세력과 신라의 관계를 조정했다. 일반 干層의 일부도 지방관의 업무에 협조했다. 금관국의 유민이 우대받은 배경은 이들이 자발적으로 항복한 점 외에도 5세기 이후 양국의 우호관계와 신라의 영향력에 있었다. 신라가 고구려의 압박과 백제와의 긴장에 대응하기 위해 남변을 안정시키려 했던 정책도 작용했다. 안라국에서는 친신라 세력과 가야 제국 및 백제, 왜와 연대하려는 세력이 대립했다. 후자는 560년경 신라의 안라국 정복으로 상당 부분 제거되었다. 관산성전투 후에 즉위한 대가야의 道設智王은 신라의 간섭을 거부하다가 562년 신라군의 정복으로 기존 嘉實王 세력과 함께 제거되었다. 반면 522년 異腦王과 신라 왕족 사이에 태어난 月光은 대가야인들을 회유하기 위한 상징적 인물이 되었다. 신라가 안라국과 대가야에서 강압정책을 구사한 것은 이들이 신라의 압력에 저항했기 때문이다. 백제가 관산성전투의 충격으로부터 벗어나는 데 집중했고 고구려가 대내외 문제의 해결에 골몰했던 것도 그 배경이 되었다. 이 기회에 신라는 옛 가야지역을 확실하게 장악하려 한 것이다. 565년 신라는 大耶州를 설치하여 내지의 지역지배체제를 가야유민에게 적극적으로 이식했다. 阿良村(함안)에는 邏頭가, 휘하의 노함촌・칠토에는 道使가 파견되어 外位의 협조를 받아 통치했다. 6세기 후반~말에는 성산산성이 구축되어 군치의 역할을 했다. 이를 위한 물자동원은 대부분 낙동강 중상류에서 이루어졌지만, 인근 가야유민의 노역이 적지 않게 동원되었다. 이러한 노력으로 적어도 591년까지 가야지역에서도 군・성(촌)이 편성되었다. 이로써 신라는 백제・고구려와 경쟁하기 위한 후방의 안전판을 마련했고, 가야지역에서 인적・물적 자원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었다. 가야유민은 이제 신라의 공민으로 변화했다. This a rticle was written to investigate the role change of Gaya’s people in Silla’s domination of this region. When Geumgwan State collapsed between 524 and 527, the ruling forces still maintained their autonomy. King Guhae surrendered to Silla and was awarded Gyeongwi(京位) in 532. His relatives and common Gan(干)-class cooperated in the work of local official in the Geumgwan region. The reason why the ruling power of Geumgwan State were favored was that they voluntarily surrendered despite friendly relations with Silla since the 5th century. Silla’s efforts to cope with the tensions with Goguryeo and Baekje were also responsible. In Anra State, pro-Silla forces and pro-Gaya・Baekje・Wai(倭) ones were at odds with each other. The latter was removed in 560 when Silla conquered this state. In Daegaya(大加耶), which collapsed in 562, King Doseolji and the former King Gasil were removed. On the other hand, Wolgwang, who was born between King Inoi and Silla royalty, became a symbolic figure to appease the Daegaya people. Silla’s coercive policies in Anra State and Daegaya were made because these co untries resisted. This was also due to Baekje’s efforts to escape the shock of its defeat in the Battle of Guansan Castle and the fact that Goguryeo was bent on solving internal and external problems. On this occasion Silla a ttempted to dominate t he Gaya region strongly. Silla established Daeya Ju(州) to systematically control the people of Gaya in 565. Nadu(邏頭) was dispatched to Aryangchon(村), Dosa(道使) to Nohamchon and Chilto for ruling with the cooperation of Woewui(外位). Seongsan Fortress was constructed to become the center of Kun(郡) from the late 6th century to the end of that. Most of the supplies were requisitioned in the upper-middle reaches of the Nakdong River, but the labour force in the nearby Gaya region. In the end, Kun・Seong(城)(Chon村) were established in Gaya until 591. Silla secured a safety zone in the rear to compete with Baekje and Goguryeo, and gaineds table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 the Gaya region. The Gaya people changed into the citizen of Silla.

      • KCI등재
      • KCI등재
      • 제1차~제7차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에 나타난 고대 영토사 인식의 변화

        李富五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0 한국고대사탐구 Vol.4 No.-

        본고는 교육과정 시행 이후 고대 영토사 인식에 대한 국사교과서 서술의 변화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과서 서술의 개선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56년부터 검정제로 발행된 제1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에서는 민족적 과업을 강조하는 교육정책으로 인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이 강조되었다. 이와 함께 실증주의가 국가별로 차별적으로 적용되었고, 식민사학적 흔적도 남아 있었다. 1968년부터 발행된 제2차 교육과정 국사교과서는 이러한 문제를 안은 채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좀 더 강화한 반면, 실증주의적 인식을 상대적으로 약화시켰다. 여기에는 교육정책에 대한 군사정부의 의지가 크게 작용했다. 이에 따라 교과서들의 영토사 인식은 순치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1974년 국정제가 실시되면서 국민적 일체감을 조성하려는 정책적 의도에 따라 국사교과서는 민족적 긍지를 유난히 강조했다. 이에 따라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더욱 크게 강조하여 일부 내용에서 다소 비약을 가하기도 했다 제 . 5차 제7차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민족주의를 조장하려는 정책적 의지는 크게 약화되었다. 그러나 국가정체성의 확보를 위해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여전히 유지할 뿐만 아니라 내용적으로 더욱 심화시켜 왔다. 실증주의적 인식은 여전히 차별적으로 적용되었다. 교육과정기 국사교과서의 영토사 인식 변화는 주로 정치적 의도에 따라 교육정책이 영향을 받은 결과였다. 고대 영토사에 대한 연구성과는 세부내용을 수정하는 데 머물렀다. 이는 교육적 정당성과 학문적 타당성이라는 기준에서 볼 때 적절하지 않은 방향이었다. 앞으로 교과서에서는 학문적 근거를 담보하지 않은 민족주의적 영토사 인식을 지양하는 한편, 실증주의적 요소를 국가별로 고르게 적용해야한다.

      • KCI등재

        파른본 《三國遺事》 王曆의 판본상 위치와 異表記의 서술맥락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0

        본고는 파른본 《삼국유사》 왕력의 판본상 위치를 파악하고 이표기의 서술맥락을 추구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고판본인 파른본과 석남본의 대교에서 우세한 글자의 수량은 석남본에서 우위를 보인다. 이는 상대적 우세요소에서 석남본이 우위를 보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절대적 우세요소에서는 파른본이 우위를 보인다. 전자보다 후자가 초간본과의 유사도에서 더 큰 의미를 가진다. 이는 파른본이 석남본보다 상대적으로 초간본에 좀 더 가까운 요소이다. 파른본ㆍ석남본의 표기 중 임신본에서 선택적으로 계승된 사례는 파른본이 석남본보다 많은 편이다. 상대적 우세요소에서는 임신본이 석남본을 계승한 사례가 더 많지만, 절대적 우세요소에서는 파른본을 계승한 사례가 더 많다. 서로 다른 이체자처럼 선택적 요소에서도 파른본의 표기가 약간 많이 계승되었다. 임신본 왕력의 저본은 파른본보다 늦은 단계의 중간본 혹은 이보다 이르더라도 보존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판본이다. 왕력은 《삼국유사》가 찬술되기 이전에 필사본으로 출현했고, 이를 바탕으로 무극 이후의 고려 말에 초간본이 제작되었다. 이로부터 글자의 누락ㆍ이체화ㆍ괴자화를 거쳐 새로 제작된 중간본 또는 재중간본이 파른본의 모본이 되었다. 파른본은 석남본과 모본을 달리하여 조선 초기까지 간행되었고, 그 시기는 석남본보다 다소 앞섰을 것이다. 글자의 오류 중 일부는 파른본 단계에서 발생하여 임신본에 영향을 주었다고 추정되지만, 초간본 이후 발생하여 파른본에 영향을 준 사례도 적지 않다. 이표기의 서술맥락은 초간본을 포함해 적어도 2회 이상의 간행을 거쳐 오류화가 상당히 진행된 이후에 파른본이 출간되었음을 검증해 준다. 사료적 가치가 큰 독자적 표기는 그 과정의 예외적 사례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version of the Parun edition of Samgukyusa Wangryeok and examine the context under which abnormal letters were used in its publication. From a relative perspective such as total amount of prevailed letters, the Suknam edition is deemed superior to the Parune dition. However, from an absolute perspective, the Parun edition has more meaning than the Suknam edition in that it is more similar to its first edition in print. Though the Imshin edition inherited more from the Suknam edition than the Parun edition from a relative factor perspective, it inherited letters from the Parun edition more than it did from the Suknam edition in an absolute factor perspective. It inherited larger part from the Parun edition in an alternatative factor perspective as well. Wangryeok was originally handwritten script, and the first edition was produced btween Muguk’s lifetime and the end of Koryo Dynasty. The Parun edition was produced referencing second edition or third edition, which were produced afterwards, as the original edition. The Parun edition was published by the early Chosun Dynasty referencing the other edition, not the previous version of the Suknam edition, just before the Suknam edition was published. Some misprints were found in the Parun edition, but some of them were made by the errors of the previous one. Abnormal letters suggest that the Parun edition was published after previous edition had been published more than twice and a number of misprints were made during the process.

      • KCI등재

        1세기초 廉斯國의 대외교섭

        李富五 한국고대사학회 2001 韓國古代史硏究 Vol.22 No.-

        This thesis is aimed at figuring out how the foreign relations of Yeomsa state have changed by taking a look at the activities of Chi (齒) and Somasi(蘇馬詩) in the early 1st century. Around the Christian era, Yeomsa state developed herself to a predominant one in Chinhan (辰韓) area, and such development stood on the basis of the trade hegemony with La - rang(樂浪) merchants and the right of control over the steel material trade against neighboring small states. Under such conditions, Chi, the Jusu(主師) of Yeomsa state, was regarded as predominant - Kosu(渠師) of Chinhan area. It was done together with the consolidation of his control power over Kukup(國邑) and Upnak(邑落). However, that brought about the repulsion of other groups in Kukup and he lost the status as Jusu in the end. In order to establish a new base and regain the past trade hegemony, he surrendered himself to and settled in Lorang - Kun. At that time he took issues with the matter of Han (漢 )people under detention in Chinhan area and arbitrated in the process of solving that matter. As a result, Lorang-Kun was provided Pyonhan - cloth(弁韓布) from Sara state (斯盧國) and also launched the relations with some part of Chinhan states. In the other hand. Saro state got the approval as the representative of other part of Chinhan states in the matter of foreign negotiation from Lorang - Kun. In recognition of arbitration for those advances. Chi was awarded tillage. a residence and an officiary coronet from Lorang Kun. He also arbitrated in the process of negotiations between Lorang - Kun and the others - the small states in the vicinity of Yeomsa state and a part of Chinhan states. Some part of these roles were fulfilled by the Chi group which remained in Yeomsa state. And that played as a momentum magnifying Yeomsa state's own position. In A.D. 44, so was the result that Somasi paid a tribute to Lorang-Kun and was appointed as Han - Yeomsa - Upkun(漢廉斯邑君). This implies that Yeomsa state got the official approval as the representative of those small states for the foreign negotiation matters. Such competence applied to the negotiation with Saro state or the leadership of forces in time of emergency. Hereupon, Yeomsa state led a type of the small states of league. The influence of Yeomsa state to other small states was somewhat weak compared with that of Sara state. In spite of such conditions, those two states maintained the proper equilibrium of power in the Chinhan area. Lorang - Kun admitted such reality and schemed to hold each other in check. Such equilibrium lasted till around the 2nd century when Sara state and Kumkwan state (金官國) brought themselves into relief as the representatives of Chinhan and Pyonh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