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토끼털에 의한 직업성 천식 의증

        이선녕 ( Shun Nyung Lee ),이석정 ( Seok Jeong Lee ),노진규 ( Jin Kyu Noh ),이민수 ( Min Su Lee ),이남석 ( Nam Seok Lee ),이부길 ( Bu Ghil Lee ),리원연 ( Won Yeon Lee ),용석중 ( Suk Joong Yong ),신계철 ( Kye Chul Shin ),김상하 ( Sa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08 천식 및 알레르기 Vol.28 No.4

        Occupational allergic rhinitis caused by rabbit fur has been reported in Korea. However, occupational asthma due to rabbit fur has not yet reported in Korea. We report a suspected case of allergic asthma caused by rabbit fur on occupational exposure. A 35-year-old male developed dyspnea, chest discomfort related to rabbit fur. He has been worked for a spinning factory. He presented with a history of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Peripheral blood eosinophil count was 690/mm3. Bronchodilator response was positive, the results of skin prick test were positive for house dust mite, cockroach and rabbit fur. The level of specific IgE for rabbit fur was 8.39 KU/L. The methacholine challenge test was positive (PC20 1.96 mg/mL).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rabbit fur could induce occupational asthma. We could not perform bronchoprovacation test with rabbit fur due to patient`s refusal. He is in a well controlled state with the use of a combination of inhaled corticosteroid and long acting β2 agonist after the avoidance of rabbit fur. (Korean J Asthma Allergy Clin Immunol 2008;28:309-312)

      • KCI등재

        신라초기 기년문제에 대한 재고찰

        이부오(Bu Oh Lee) 한국고대학회 1999 先史와 古代 Vol.13 No.-

        The genealogical record of Sillabonki(新羅本紀) in 『Samkuksaki(三國史記)』 shows some omissions and changes of order in royal generations. Because of this, the chronology before King Nae-mul(奈勿) is different from the real years. This study is for settling this chronological problems and clarifying the real chronology shown by the early document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Saro State between B.C. 2nd century and A.D. 1st century was contracted in the reign of Hyokkose(赫居世). Afterwards, Namhae(南解), Yuri (儒理), and T`arhae(脫解) were the kings of Silla from the late 1st century to the mid-2nd century, and P`asa(婆裟) in the late 2nd century. Chima(祗摩) and IIsong(逸聖) were on the throne from the late 2nd century to the early 3rd century. Adalla(阿達羅) reigned in the mid-3rd century, Porhyu(伐休) and Naehae(奈解) from the mid-3rd century to the late-3rd century, and Chobun(助賁) from the late 3rd century to late 310s. Followed is Chomhae(沾解) until late 320s. Mich`u(味鄒) became the king around 330s. Yurye(儒禮) and Kirim(基臨)`s generation is around 340s, and Hurhae(訖解) from late 340s to the year 356. The documents related to the latter generations` historical events were inserted in the reign of the Kings listed above. Those facts are shown conspicuously in documents about military actions and the local ruling in the reign of T`arhae and P`asa. This was to solve the problem of deficient data and emphasize the fact that there was a fuming point in foreign trade and conquest under those two kings. The insertions of latter generations` historical events dosed from Ilsong and Adalla`s reign. From these generations, some documents which mixed latter generations` events were also limited to records of battles related to notable persons. After Yurye`s reign, except a few mistakes, those kinds of documents almost disappeared. Considering these facts, the early documents of Sillabonki in 『Samkuksaki』 can present more abundant data.

      • KCI등재

        6세기 초중엽 新羅의 非干外位 운영과 及伐尺

        이부오(Lee, Bu-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본고는 6세기 초중엽의 신라에서 及伐尺이 설치되고 非干外位가 재편되는 과정을 재검토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5세기 말경 신라는 지역세력에게 干支와 일금지를 외위로 수여해 일정한 자치권을 부여하고 지방통치에 협조토록 했다. 하지만 지역세력 내에서는 자치적 위호가 혼용되었다. 도사의 파견이 확대되면서 지역세력의 위호를 외위로 일원화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520년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신라는 6부의 자치적 위호를 이용해 비간외위인 一伐(8), 一尺(9), 彼日(10) 등을 설치했다. 이와 함께 경주 인근의 자치적 위호에서 유래한 일금지를 유지함으로써 외위의 통일적 위계화 및 지역세력과의 일정한 타협을 꾀했다. 봉평비에서 Ⅷ-16~18의 居尺은 지방통치와 관련된 실무적 보조자에 대한 위호로 볼 수 있다. 그 위상은 일금지보다 낮았다. 비간외위의 재편은 간군외위의 변화와 연동되었다. 청제비(536) 직전 干支의 복구는 비간외위의 본격적인 재편을 동반하지 않았다. 551년 이후 578년 이전 下干支와 干支의 통합은 간군외위를 정리하는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급벌척은 간지의 상향분화가 시작된 단계 즉 청제비(536)부터 명활산성비(551) 사이에 외위로 편성되었을 것이다. 비슷한 시기에 일금지가 폐지되면서 비간외위는 6부 계통의 위호로 일원화되었고, 일금지는 아척, 급벌척 등으로 대치되었다. ‘급벌’은 간군외위를 보좌하는 하위의 ‘기초적’ 역할을 의미했다. 급벌척은 일상적인 업무에서는 간군외위의 지휘에 협조했지만, 조세 수취나 인력 동원에서는 책임자 역할도 맡았다. 급벌척을 비롯한 외위의 설치는 國法과 같은 상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의 임무를 대신하는 기준은 代法과 같은 하위법으로 규정되었다. 급벌척은 비간외위의 최하급을 구성하다가 삼국통일의 완성을 전후하여 여타외위와 함께 소멸되었다고 생각된다. At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conferred local forces on the Woewui(外位) called Kanji(干支) and Ilgeumji. Local forces, however, used autonomous titles simultaneously.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ng Yulrung(律令), Silla established Non Gan-series Woewui called Ilbeol(一伐)-Ilchuk(一尺)-Peail(彼日) which originated from 6-Bu(部). By maintaining Ilgeumji originated from the autonomous title near Gyeongju, Shilla simultaneously attempted to unify the hierarchy of Woewui and compromise with the local forces. In Bongpyeong-Epitaph, Geo□chuk(居尺), located in Ⅷ-16~18, was a practical assistant related to regional governance. The grade of Geo□chuk was lower than Ilgeumji. The repositioning of Kanji just before 536 was less related to the reorganiza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The integration of Ganji and Haganji(下干支) between 551 and 578 was the result of the consolidation of Gan-series Woewui. Geobbeolchuk would have been additionally installed between 536 and 551. At the same time, Ilgeumji(壹金知) was abolished, and Non Gan(干)-series Woewui were all organized into the titles originated from 6-Bu. Ilgeumji was replaced by Achuk(阿尺) and Geobbeolchuk. ‘Geobbeol’ meant a ‘basic’ role to assist Gan-series Woewui. In the day-to-day work, Geobbeolchuk cooperated with the commanders of Gan-series Woewui, but also took charge of tax collection and manpower mobilization. The installation of Woewui was defined as the superior law such as The state law. The principle of substitution of Geobbeolchuk was prescribed by sub-law such as The substitution law(代法). Geobbeolchuk was placed at the lowest position of Non Gan(干)-series Woewui, which was exterminated after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 KCI등재

        기원전후 斯盧國의 支配構造 변화

        李富五(Lee Buo) 역사교육연구회 2000 歷史敎育 Vol.76 No.-

        This thesis aimed at investigating how the ruling system of Saro state changed from B.C.1 to A.D.1. The process of internal advancement of a small state was tried to be revealed through it. Saro state birth was originated from the fact that center Upnak(邑落) began to strengthen the sovereign power on Upnak league. Jusu group(主帥層) in Kukup(國邑) was formed from Hyokkose(赫居世) clan along with certain clans of Kohyochon(高墟村). The power in Kukup had been occupied by all of these clans, but Kosogan(居西干) was indicated as the representative of Saro area in deciding the process of an important issue. His ruling power on Upnak wasn"t strong, and the ruling boundary was ranged into Kyungju basin. However, the Six Chon of Saro area(斯盧 六村) was united into Saro state. Along with increasing use of iron and foreign trade. Hyokkose clan had a chance to amplify sovereign power from the beginning of A.D.1. That is, Kosogan constructed Kukup song(國邑城) called Kumsong(金城) and attained a new space of ruling in it. He made government system giving some works to the clans of Jusu group in charge of chief. Once Daebo(大輔) was installed in the age of Namhae(南解). Kosogan governed it rather systematically. As a result, Saro state was advanced to a small state as a fully developed level.

      • KCI등재후보

        신라의 非干 外位 편성 과정과 壹金知

        이부오(Lee, Bu-o)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5 한국고대사탐구 Vol.21 No.-

        본고는 일금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신라의 非干外位가 편성되는 과정을 밝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일금지는 상급을 나타내는 ‘일’, 존장자나 지배자를 나타내는 금, 존칭형 어미인 ‘지’로 구성되어 상급 지배자 내지 존장자를 의미했다. 여타 비간 외위와 달리, 이는 지역 간지의 자치적 위호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일금지는 봉평비에서 최하급 외위로, 중성리비·냉수리비에서 간지의 최고 보위자로 등장하는데, 이는 두 단계의 사이에 일금지의 위상이 변화했음을 보여준다. 원래 행정촌 단위에서는 자연촌 단위의 간지-일금지보다 상대적으로 다양한 위호가 자치적 위계를 이루었다. 이러한 위호는 중성리비·냉수리비 단계 이전에 신라의 공적 위호로 승인되어 외위의 시원적 형태를 이루었다. 이러한 현상은 신라의 내지에서 시작되어 변경 지역으로 확산되었다. 율령반포를 전후하여 비간 외위는 일벌~아척 등 6부에서 유래한 위호를 중심으로 재편되었다. 하지만 일금지는 그대로 남아 하급 외위로 편성되었다. 그 결과 비간 외위가 행정촌에서는 一伐-一尺-彼日-阿尺-일금지로 편성되었고, 자연촌에서는 일금지가 유지되어 지역 단위에 따라 차별적 위계를 이루었다. 이상을 통해 일금지는 官位的성격을 띠게 되었다. 6세기 초 이후 영토의 확장에 따라 신라는 지역세력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해 전략적 요충지를 중심으로 干群外位의 상향분화를 추진했다. 이는 간군 외위의 자치적 성격을 더욱 약화시키고 관위적 성격을 강화시켰다. 결과적으로 외위의 위계는 크게 증가했고, 외위의 상층부가 비대해지는 결과를 낳았다. 이에 신라는 비간 외위의 하급 위호를 통합하면서 6부 계통의 위호로 일원화를 추진했다. 그 결과 524년~551년 사이에 일금지는 폐지되고 아척으로 통합되었다. The word Ilgeumji meant a superior ruler or the elder in Silla. Unlike other Non Gan-series Woewui, this would have originated from the autonomous title by local Ganji(干支). Ilgeumji was recorded as the lowest Woewui on Bongpyeong-Epitaph and the highest assistant for Ganji on Jungseongri․Naengsuri-Epitaph. It means that the status of Ilgeumji had been changed step by step. Originally, there were more various autonomous title of the Administrative-Chon(村) than Kanji-Ilgeumji of the Natural-Chon. These titles became primal forms of Woewui as Silla granted them as official titles before Jungseongri․Naengsuri-Epitaph period. Such phenomenon started in the central area of Silla, and spread to the frontier area. Before and after the promulgating Yulrung[律令], Non Gan-series Woewui was reorganized to the title mostly originated from 6-Bu(部). But Ilgeumji remained the same and organized a lower Woewui. Ilbeol(一伐)-Ilchuk(一尺)-Peail(彼日)-Achuk(阿尺) were appointed in the Administrative-Chon upon the Ilgeumji, and Ilgeumji remaind in the Natural-Chon. As a result, discriminatory hierarchy was formed according to the grade of districts. Now Ilgeumji took on the character of official rank. Since the early 6th century, Silla had promoted upward differentiation of Gan(干)-series Woewui at the strategic point to elicit the cooperation of local forces. This strengthened the character of official rank of Gan(干)-series Woewui, and the upper part of the Woewui turned into too many ranks. Silla integrated the lower Non Gan-series Woewui, and unificated it to the title originated from 6-Bu(部). As a result, Ilgeumji, the lowest grade, was cancelled and integrated into Acheok.

      • KCI등재

        上古末 新羅의 外位 편성과 干支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5 新羅史學報 Vol.0 No.34

        진한 지역에서 干支는 소국이나 읍락 등 단위정치체의 대표를 가리키는 위호였다. 사로국에 복속한 이후 간지는 자치적 위호의 성격을 띠었다. 간지의 자치적 위계는 보위자와 하위 간층, 그리고 非간층 실무자로 구성되었다. 전략적 요충지에 거점성주가 파견되면서 간층에 대한 통제가 강화되기 시작했다. 4세기 후반경부터 신라는 간지와 그 보위자의 자치적 위호를 선택적으로 승인하기 시작했다. 이에 간지는 자치적 위호에 기반을 두고 신라의 통치에 협조하는 직임의 성격도 띠게 되었다. 5세기 말부터 신라는 축성활동을 활발하게 벌이면서 간지와 그 보위자, 그리고 비간층 실무자의 체계적인 협조를 필요로 했다. 이에 읍락, 伐 등의 간층 가운데 간지를 승인해 道使의 지배에 협조하도록 했다. 간지의 보위자에게는 壹金知를 승인했다. 간지-일금지는 기존 간층의 자치적 위호를 바탕으로 촌을 효율적으로 통치하기 위한 신라의 공적 위호였다. 또한 지역 간층을 경위와 구분해 신라의 통치체계로 편성한 위계라는 점에서 간지-일금지는 외위의 시원적 형태를 이루었다. 505년~520년 사이에는 행정촌의 干支 아래 인물에게 下干支를 수여하기 시작하면서 干群 外位가 분화했다. 봉평비에서 간지가 등장하지 않는 것은 변경 일대의 사건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간지가 타격을 받았기 때문일 것이다. 외위의 상층이 간지와 하간지로 편성된 것은 율령반포 단계까지도 간층의 자치적 기반이 일정 부분 인정되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간군 외위의 분화를 통해 외위는 官位의 성격을 띠게 되었다. 이는 중고기에 간군 외위가 상향 분화하는 기반이 되었다. Originally Ganji(干支) was the title pointing to the representative of unit political body in Jinhan(辰韓). Ganji has turned into autonomous title after surrendering to Saroguk(斯盧國). The autonomous hierarchy of Ganji consisted of assistants, sub Gan(干)-clas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Since the lord of the fortress was dispatched to the strategic point, the control of Gan-class got more strengthened. Since the late 4th century, Silla has approved Ganji and the autonomous title of his assistants selectively. Accordingly, Ganji also put on official duty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Silla. Since the end of the 5th century, Silla required a systematic coordination of Ganji, his assistants, and Non Gan-class practitioners for the aggressive construction of fortress. Silla granted Ganji to one among Gan-class of Eupnak(邑落) and Beol(伐), asked him to cooperate with the rule of Dosa(道使) and granted Ilgeumji(壹金知) to one among Ganjis assistants. Ganji-Ilgeumji was an official title for the effective governance of Chon(村) by separating Gan-class to Gyeongwi(京位). Ganji-Ilgeumji was a primal form of Woewui(外位) in that it intended to organize a hierarchy for the rule of Silla. Haganji(下干支) was awarded at Administrative-Chon between A.D. 504 and A.D. 520. Accordingly, Gan-series Woewui has separated from Ganji. We can"t find Ganji on Bongpyeong(鳳坪)-Epitaph, and it’s supposed that he got damaged in the process of handling the incident at that time. Autonomy of Gan-class was partially accepted by Silla even after promulgating Yulrung from the fact that the top layer of Woewui consisted of Ganji and Haganji. But Oewi takes on the character of Gwanwi(官位) by differentiation of Gan-series Woewui."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三國遺事》 王曆에 나타난 기년인식의 배경

        이부오(Lee, Bu-o) 신라사학회 2014 新羅史學報 Vol.0 No.32

        본고는 《삼국유사》 왕력에 반영된 기년인식의 배경을 파악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찬자는 《삼국사기》 ‘연표’의 즉위년칭원을 수용했지만, 재위기간 말년의 제외를 원칙으로 삼아 재위기간의 합과 왕조의 존속기간을 일치시키려했다. 그 결과 ‘연표’를 일부 보완하는 성과를 거두었지만, 저본의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에 대한 정리의 일관성과 치밀도가 부족했다. 그 결과 연호와 재위기간에서 일부 누락, 중복, 침범, 오류가 발생했고, 말년 제외의 원칙도 적지 않게 무시되었다. 왕력은 ‘연표’를 기초저본으로 삼았으나, 여타 저본을 함께 활용했다. 다양한 기년 오류는 이러한 노력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왕력과 기이편의 기년이 적지 않게 다른 것은 저본의 상당 부분이 일치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만 왕력의 찬자는 기이편을 참고자료로 삼았을 것이다. 《역대연표》는 기재 요소와 내용에서 왕력과 적지 않은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왕력의 찬자는 《역대연표》를 보조저본으로 삼았다고 판단된다. 여타 저본에서도 삼국의 왕대는 왕력과 대체로 유사했지만, 별도의 기년을 적용한 고기류도 왕력에서 활용되었다. 그 중에는 유년칭원과 즉위년칭원을 사용한 자료가 공존했다. 신라에서는 원래 유년칭원법을 사용했는데, 9세기경부터 즉위년칭원이 사용되기 시작해 고려로 이어졌다. 이러한 변화가 고기류에서 칭원법과 기년의 불일치를 초래하였다. ‘연표’가 이를 즉위년칭원으로 비교적 일관되게 정리한 반면, 왕력 찬자는 기년정리의 일관성이 부족한 편이다. 결과적으로 왕력은 고기류 단계에서 이루어진 칭원법 변화를 오히려 원자료에 가깝에 담아낸 셈이다.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resource of chronological consciousness in 《Samgukyusa》 Wangryeok. The author accepted the first year-accession of 《Samguksagi(三國史記)》Yeonpyo(年表), but excluded the last year of the reign. As a result, some problems shown in Yeonpyo were complemented, but the author was unapt to describe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in the text coherently. So those problems such as omission, duplication, trespass, and error occurred in the era name and the reign. Yeonpyo was used as a main text in Wangryeok, but other secondary texts were also used. Many chronological errors were the result of this. The chronology of Wangryeok is different from the one applied in Giipyeon(紀異篇) becaus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ose texts of two Chapters. However, the author of Wangnryeok used Giipyeon as a reference. 《Yeokdaeyeonpyo(歷代年表)》 is different from Wangnyeok in terms of contents, but it was utilized as an additional text by the author of Wangnyeok. The number of the thrones of Three Kingdoms in other texts was generally similar to Wangnyeok, but Gogi(古記) based on the other chronology was also used. Among these are texts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and the second year-accession. Originally the second year-accession had been used in The Silla Dynasty, but the first year-accession was used since ninth century approximately. These changes caused a chronological discrepancy among Gogi. Yeonpyo described the chronology coherently using the first year-accession, while Wangnyeok lacked chronological coherence. But Wangnyeok kept the change of accession calculation method in Gogi close to the original.

      • KCI등재

        中國史書의 서술 맥락을 통해 본 ≪三國志≫ 韓條의 辰韓과 辰王

        이부오(Lee, Bu-oh) 신라사학회 2012 新羅史學報 Vol.0 No.26

        본고는 ≪삼국지≫ 동이전에 나타난 辰韓과 辰王의 層位를 중심으로 3세기 중엽 진한의 실체에 대한 단서를 찾기 위하여 작성되었다. 通行本 ≪삼국지≫ 동이전 한조에서는 변·진한 12국이 屬한 대상, 이들이 대대로 왕을 위탁했던 대상, 그리고 자력으로 왕이 되지 못했던 주체가 辰王이라 했으나, 원본에서는 모두 `辰韓`이었다고 추정된다. 필사본 단계에서 이를 `진한`으로 표기한 자료와 `진왕`으로 표기한 자료가 각각 ≪普書≫ 계통과 통행본 ≪삼국지≫ 계통으로 계승되었다. 여기서 변·진한 12국이 屬한 `辰韓`은 이전의 수 세대 동안 마한 목지국왕이 수행하여 변·진한이 스스로 기능할 수 없었던 `王`의 역할과 대비되었다. 전자는 正始 7년 중심으로 魏代의 상황을 설명했고, 후자는 辰韓 諸國의 성립 이후 위대 이전의 상황을 나타냈다. 전자의 단계에서는 진한 12국의 분립성과 `진한`에 의한 통합성이 이중적으로 기술되었다. 이는 국들 사이의 세력 차등을 기반으로 `진한`이 12국에 대해 영향력을 행사했음을 보여준다. 이를 바탕으로 `진한`은 魏郡縣과의 교섭에서 대표권을 행사했다. 개별 국이 분립했다는 서술은 각 거수들이 이러한 대표권을 수용하면서도 자치권을 유지했음을 의미한다. 魏代에 변·진한 12국이 속한 `辰韓`과 과거 마한 목지국왕에게 의탁했던 辰王은 ≪위략≫에서도 언급되었다고 추정된다. ≪후한서≫ 동이열전이 전자를 생략하고 후자를 강조한 것은 후한대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다. 후자의 역할을 수행한 시기는 기원전 1세기 이후이다. 진왕 칭호는 옛 진국이었던 한반도 남부에 대한 상징적 대표기능에서 출발했는데, 魏郡縣은 목지국 진왕의 대표기능이 마한의 일부와 변한에 한정된다고 인식했다. ≪삼국지≫ 한조에서 優呼를 더한 진한 臣智가 보이지 않는 것은 진한이 별개의 交涉圈을 이루었음을 보여준다. 太康 연간에 진한왕이 西普에 조공한 것은 `진한`의 급격한 성장보다 이러한 통솔권의 연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find a clue about the reality of the Jinhan in the middle of the 3rd century emphasised on the stratum of narrative about Jinhan(辰韓) and Jinwang found in the paragraph Han of the ≪Samkukji(三國志)≫. He was called `Jinwang` who had ruled the 12Kuk(國)`s, who had done a role of the King for generations so who had not been a King by himself. However, I think that `Jinhan` was written in a meaning of `Jinwang` in the original of this book. The notation of `Jinwang` and `Jinwang` in the early manuscripts was used in the ≪Chinsoe(普書)≫ and the current ≪Samkukji≫ respectively. `Jinhan`, who had ruled the 12Kuk`s, was mentioned compared with a role that The King of MokchiKuk(目支國) had performed for generations. The former described the situation of the year A. D. 246, Wei(魏) dynasty, and the latter described from the birth of `Jinhan` to the just before of Wei dynasty. The separation between 12Kuk`s and unification by `Jinhan` were described compositely for the former situation. This shows that `Jinhan` had a power of representation for 12Kuk`s at the negotiations with Wei Chinese Kun(郡)`s. Koesu(渠帥) of each Kuk`s allowed the `Jinhan` to represent their authorities, while maintaining autonomy. `Jinhan` in the Wei(魏) dynasty and `Jinwang` who had existed prior to the Wei(魏) dynasty were also described in ≪Wiryak(魏略)≫. Because the `Jinwang` was made much of in the paragraph Han of the ≪Huhanseo(後漢書)≫, the `Jinhan` was omitted. The title of `Jinwang` was emerged from the symbolic representative power on The ChinKuk(辰國) existed before. But, Wei Chinese Kun`s recognized that the representative power by `Jinwang` was limited to Byunhan(弁韓) and a part of Mahan(馬韓). There is no Shinji() of `Jinhan` who had a superior title in the paragraph Han of the ≪Samkukji≫. It means that this region was the separated units at the foreign negotiations. The King of `Jinhan` negotiated with West Chin(西晋) in the late 3rd century, which derived from the Wei(魏)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