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음부암 환자에서 광범위 외음부 절제술 후 대둔 근막피부 도상 감각 피판을 이용한 외음부 재건술

        허수영 ( Heo Su Yeong ),이백권 ( Lee Baeg Gwon ),윤주희 ( Yun Ju Hui ),남궁성은 ( Namgung Seong Eun ),박종섭 ( Park Jong Seob ) 대한산부인과학회 2003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6 No.10

        Invasive carcinoma of the vulva is currently accounting for 3-5% of female genital tract malignancy. Standard treatment for vulvar cancer is radical vulvectomy or radical local excision with inguinal lymphadenectomy. Radical vulvectomy is often complicate

      • 농업용댐 설계기준 개정 방향 고찰

        이백 ( Lee Baeg ),최병한 ( Choi Byoung-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6 No.2

        최근 농업 환경변화 및 농업 재난 · 재해 대응(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난 및 재해)하기 위한 최신기술의 반영과 제·개정된지 오래되어 노후화된 국가건설기준인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계획 설계기준의 제·개정 현황에서 보면 농업용댐 설계기준은 1968년에 제정되어 1989년에 필댐편과 콘크리트댐편으로 분리되었고 2002년이 마지막으로 개정되었으며, 2018년에 다시 필댐편과 콘크리트댐편이 통합되어 농업용댐편으로 재·제정되었다. 2019년에 내진부분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 지었으나 다른부분에서는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아 약 20년간 개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설계기준의 현실적인 기술 및 내용을 포함하여 설계기준의 개정이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는 농업용댐 설계기준의 전체적인 내용을 기후변화 대응, 경제성 분석의 실화, 신기술의 도입 등, 국가건설기준센터 설계기준 형식을 준용하여 개정하고자한다.

      •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농지관개 편) 개정의 필요성

        이백 ( Baeg Lee ) 한국농공학회 2020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0 No.-

        국내의 농업생산기반분야는 대부분 2000년대 이전의 설계기준을 사용하고 있고 최신 기술동향이 반영되지 못하여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기반정비분야의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수립하고, 최근의 연구 및 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수행되도록 표준코드체계 수립 및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적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의 해설편은 아직 개발되어 있지 않아 해설집의 작성 및 개정이 시급하며 이를 확대적용이 용이하도록 보편화 방안이 필요하다. 개정된 설계기준과 매칭된 해설집은 현장을 매칭하여 설계기준의 적용성과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근거가 되며, 최근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을 적용하여 설계한 시설물을 설계예로 포함하여 적용시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에 국가관리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을 현실에 맞게 개정하여 대국민 서비스 차원에서 제공함으로써 국가 설계기준의 신뢰성을 확보 할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공공기반 연구의 성격을 가진 연구로 농업 재난·재해 대응(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난 및 재해)하기 위한 최신기술의 반영과 제·개정된지 오래되어 노후화된 국가건설기준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개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최종목적으로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의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중 ‘농지관개: KDS 67 40 00’ 편을 농업재난·재해 대응 최신기술을 반영한 설계기준을 개정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적용기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 저수지(댐) 붕괴예보 시스템 서버 DB 설계표준안

        이백 ( Lee Baeg ),최병한 ( Choi Byoung 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7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1 No.1

        Web-based DB design standards of the Reservoir Failure Forecasting System are proposed in order to actively respond to the user’s work changes, various sensors, and business logic, and increase the system usability by reducing logic changes and client maintenance through minimal interface changes.

      • 저수지 붕괴예보를 위한 지하수위 관리기준 연구

        이백 ( Lee Baeg ),최병한 ( Choi Byoung 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2 No.2

        The loss of safety for reservoirs brought about by climate change and facility aging leads to reservoir failures, which results in the loss of lives and property damage in downstream area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Reservoir(Dam) Failure Forecasting System for downstream residents to detect the early signs of failure (with sensors) in real-time and perform safety management to prevent and minimize possible damage. Ground water level meter was installed for changes of seepage and understanding of underground stability, and its management criteria was established in change of ground water level up to dam height. Analysis results show that distribution of values are scattered so it is necessary to do monitering for 1 year to set up for numerical fitting.

      •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인 양배수장 설계기준 개정 연구

        이백 ( Baeg Lee ),차상선 ( Sangsun Cha ),구재혁 ( Jaehyuk Koo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 양배수장 설계기준은 1984년 제정 후 2005년 1차 개정되었으며, 2018년 국가설계기준 양배수장 (KDS 6 7 30 0 0)으로 표준화되었다. 2018년 표준화된 양배장 설계기준은 일반사항, 조사, 펌프설계, 구조설계, 부대설비설계, 운전관리설비설계 및 유지관리의 코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타 국가설계기준과의 상충성이 있고, 다수의 설계기준 항목에 대한 누락 및 단위계, 법규, 기호 및 용어 등의 표준화가 되지 못하여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기계·설비 및 전기분야 기준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시설의 규격 및 성능을 반영하지 못하는 변수가 발생하여 설계 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설계기준에서 계획 코드가 누락되어 양배수장 계획 시 준용할 수 있는 설계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배수장 설계기준의 현실화를 위하여 설계기준 개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배수장 설계기준을 다른 국가 설계기준과 비교하여 중복성 및 상충성 문제를 해결하고, 관련된 참고기준과 관련 법규 등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설계기준 개정 시 누락 항목에 대한 보완 및 SI 단위계로의 통합 등을 실시하였다. 특히 양배수장 설계 시 실무자들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기계 및 전기시설 관련 항목과 기준을 현실화시켰으며, 양배수장 계획 코드를 신설하였다. 또한, 현장에서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설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개정이 필요한 항목을 검토 및 설계기준에 반영하였다. 양배수장 설계기준은 현재 7개의 세부코드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번 개정으로 계획코드가 추가되어 총 8개 코드체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계시 적요알 수 있는 최소한의 제한 규정만 제시하였으며, 기계 및 전기분야의 설계기준은 현장에서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따라서 양배수장 설계기준이 최종적으로 개정되면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 양배수장의 설계의 현실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개정 방향 고찰

        이백 ( Baeg Lee ),박찬기 ( Chan-gi Park ),전상옥,최병한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국내의 농업생산기반분야는 대부분 2000년대 이전의 설계기준을 사용하고 있고 최신 기술동향이 반영되지 못하여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기반정비분야의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수립하고, 최근의 연구 및 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수행되도록 표준코드체계 수립 및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 재난·재해 대응(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난 및 재해)하기 위한 최신기술의 반영과제·개정된지 오래되어 노후화된 국가건설기준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개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최종목적으로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을 농업재난·재해 대응 최신기술을 반영한 설계기준을 개정하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적용기술의 기반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래와 같은 주안점과 개정방향을 고려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의 개정을 수행하고 있다. 1) 최근 기술동향 및 법령, 규정, 기준, 신기술 등의 반영 2) 설계기준의 전체적인 내용을 현실에 맞는 용어 및 내용을 포함한 기술 3) 기후변화를 고려한 관련 기준의 반영 4) 내용 신설(“내용없음”, “해당사항 없음“ 보완) 5) 오류 내용 수정(항목에 맞지 않게 들어간 내용 편집) 6) 용어정리(용어가 통일되어 사용되지 못하고 혼재되어 있는 사항 수정) 7) 수식 및 단위(수식단위의 SI단위계 수정 및 명확한 정의 기술) 8) 한문정리(한문표현 삭제 및 용어정리).

      • 저수지 비상대처계획 개선 방향 연구

        이백 ( Lee Baeg ),최병한 ( Choi Byoung Han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3 No.1

        Emergency Action Plan (EAP) is predicted reservoir failure scenario of action plans to protect or minimize life loss or property damages for residents in the downstream area under reservoir failure situation. Current EAP has included some of qualitative measures, such as, overflow expected, expecting over flood water level, etc., also training is not enough to folow EAP processes. Therefore, EAP must be renewed under consideration of new emergency action phases, quantitative measures and electronic manual.

      •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 개정 방향 고찰

        이백 ( Baeg Lee ),박찬기 ( Chan-gi Park ),전상옥,최병한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국내의 농업생산기반분야는 대부분 2000년대 이전의 설계기준을 사용하고 있고 최신 기술동향이 반영되지 못하여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국제적인 기준에도 부합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일본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농업생산기반정비분야의 표준화된 코드체계를 수립하고, 최근의 연구 및 기술 동향을 반영하여 효율적인 설계기준의 운영 및 관리가 수행되도록 표준코드체계 수립 및 개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농업 재난·재해 대응(가뭄 및 홍수 등 기후변화에 의하여 발생하는 재난 및 재해)하기 위한 최신기술의 반영과제·개정된지 오래되어 노후화된 국가건설기준인 농업생산기반 설계기준 개정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최종목적으로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을 농업재난·재해 대응 최신기술을 반영한 설계기준을 개정하여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 적용기술의 기반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다. 아래와 같은 주안점과 개정방향을 고려하여 농업생산기반시설 설계기준의 개정을 수행하고 있다. 1) 최근 기술동향 및 법령, 규정, 기준, 신기술 등의 반영 2) 설계기준의 전체적인 내용을 현실에 맞는 용어 및 내용을 포함한 기술 3) 기후변화를 고려한 관련 기준의 반영 4) 내용 신설(“내용없음”, “해당사항 없음“ 보완) 5) 오류 내용 수정(항목에 맞지 않게 들어간 내용 편집) 6) 용어정리(용어가 통일되어 사용되지 못하고 혼재되어 있는 사항 수정) 7) 수식 및 단위(수식단위의 SI단위계 수정 및 명확한 정의 기술) 8) 한문정리(한문표현 삭제 및 용어정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