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월라스토나이트 광물질섬유 및 라텍스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초기강도 특성 평가

        구재혁 ( Jaehyuk Koo ),박상현 ( Sanghyeon Park ),이한나 ( Hanna Lee ),신범수 ( Bumsoo Shin ),곽유진 ( Yujin Kwak ),김형무 ( Hyoungmoo Kim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보수재료의 초기강도는 작업의 효율성과 보수된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국내에서는 노후화된 구조물로 인한 피해가 자주 발생하여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광물질 섬유인 월라스토나이트와 라텍스를 활용한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초기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초기강도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쪼갬인장강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초속경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배합은 물-시멘트비 38%, 단위시멘트량 400kg/㎥, 잔골재율 53%, 라텍스는 결합재량 대비 9.7%로 결정하였다. 또한 월라스토나이트를 굵은골재량에 따라 0%, 5%, 10%로 혼입률을 결정하였다. 시험 결과 4시간 압축강도는 31.79, 27.51, 25.95MPa로 기준인 21MPa을 만족하였으며 월라스토나이트 혼입률 0%일 때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7일 압축강도는 33.48, 36.08, 32.34MPa로 혼입률이 5%일 때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4시간 쪼갬인장강도는 3.53, 3.79, 3.30MPa로 기준인 3.15MPa을 만족하였으며, 7일 쪼갬인장강도는 3.61, 4.11, 3.81MPa로 측정되었다. 4시간 휨강도는 5.35, 5.56, 6.07MPa로 기준인 3.15MPa을 만족하였으며, 7일 휨강도는 5.61, 6.54, 6.21MPa로 월라스토나이트 혼입률이 5%일 때 강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보수재료의 강도 특성에 미치는 월라스토나이트 광물질섬유 및 SB 라텍스의 효과

        이재영 ( Jaeyoung Lee ),구재혁 ( Jaehyuk Koo ),이건희 ( Geonhee Lee ),신범수 ( Bumsoo Shin ),이보현 ( Bohyun Lee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국내에서 다양한 종류의 폴리머를 사용한 폴리머 개질 모르타르가 보수재료로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모르타르의 성능개선을 폴리머에 의존하고 있어 고가인 폴리머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 상승, 폴리머의 품질관리 미흡으로 인한 모르타르 품질 편차 및 폴리머와 시멘트의 응결시간 차이가 발생하여 표면 균열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라텍스와 월라스토나이트를 사용하여 폴리머 재료의 사용량을 절감시켜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보수재료의 강도 특성을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보수재료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흐름시험, 압축강도 시험, 휨강도 시험을 진행하였다. 배합은 초속경시멘트와 규사 비를 1:1로 결정하였으며, SB라텍스 5%, 10%, 월라스토나이트를 3%, 5%, 10% 혼입률로 변화시켜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흐름시험 결과 SB라텍스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목표 흐름값을 만족시키기 위한 배합수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B라텍스의 혼입률이 일정하거나 월라스토나이트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배합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B라텍스와 월라스토나이트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압축강도가 감소 하였으며, 반대로 휨강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SB라텍스와 월라스토나이트의 증가는 경화지연 또는 초속경시멘트량의 축소로 인해 압축강도가 저감되는 것으로 판단되며, 휨강도의 증가는 SB라텍스의 필름막 형성과 월라스토나이트의 섬유역할로 콘크리트의 인장성능을 향상시키는것으로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 B/C 분석을 통한 밭관개 시설물 관리방안 분석(예산, 청양, 당진)

        이재영 ( Jaeyoung Lee ),신범수 ( Bumsoo Shin ),구재혁 ( Jaehyuk Koo ),박상현 ( Sanghyeon Park ),이한나 ( Hanna Lee ),곽유진 ( Yujin Kwak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기후변화로 인하여 가뭄이 발생하는 빈도가 증가하고 있어, 이로 인한 밭작물의 피해가 늘어나고 있다. 따라서 밭가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응방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예산군(사과), 청양군(고추), 당진시(배추)에 대하여 밭관개용수 확보를 위한 시설물 관리방안 ①기존 관정 유지관리, ②저류조 신설, ③관정설치, ④지표수 도입의 사업성 평가를 위해 B/C분석을 실시하였다. B/C분석은 비용이 지출되는 4가지 관리방안을 C(Cost), 관개용수의 추가 공급으로 인해 생산되는 작물의 생산비용을 B(Benefit)로 선정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B/C분석시 C(Cost)에 해당하는 비용은 기존 관정의 유지관리비용, 저류조 신설 및 유지관리비용, 관정설치 및 유지관리비용, 지표수 도입을 위한 시설 설치 및 유지관리비용으로 모두 동일하게 산정하였으며, B(Benefit)에 해당하는 재배작물 생산소득은 ① 총 수입에서 경영비 중 중간재비를 감한 금액, ② 총 수입에서 경영비 총액을 감한 금액, ③ 총 수입에서 생산비 총액을 감한 금액 3가지로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B/C분석결과 모든 지역에서 기존 관정 유지관리가 사업성이 가장 좋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는 면 단위의 전 지역에서 용수공급이 충분할 경우 적합한 관리방안으로 본 연구에서 적용한 지역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B/C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밭가뭄시 경제성 및 밭가뭄 수준을 고려한 용수 확보 방안으로 가장 적합한 방안은 저류조 신설을 통한 용수공급으로 나타났다.

      •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인 양배수장 설계기준 개정 연구

        이백 ( Baeg Lee ),차상선 ( Sangsun Cha ),구재혁 ( Jaehyuk Koo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 양배수장 설계기준은 1984년 제정 후 2005년 1차 개정되었으며, 2018년 국가설계기준 양배수장 (KDS 6 7 30 0 0)으로 표준화되었다. 2018년 표준화된 양배장 설계기준은 일반사항, 조사, 펌프설계, 구조설계, 부대설비설계, 운전관리설비설계 및 유지관리의 코드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타 국가설계기준과의 상충성이 있고, 다수의 설계기준 항목에 대한 누락 및 단위계, 법규, 기호 및 용어 등의 표준화가 되지 못하여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기계·설비 및 전기분야 기준은 현재 적용되고 있는 시설의 규격 및 성능을 반영하지 못하는 변수가 발생하여 설계 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설계기준에서 계획 코드가 누락되어 양배수장 계획 시 준용할 수 있는 설계기준이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양배수장 설계기준의 현실화를 위하여 설계기준 개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양배수장 설계기준을 다른 국가 설계기준과 비교하여 중복성 및 상충성 문제를 해결하고, 관련된 참고기준과 관련 법규 등을 제시하였다. 이 과정에서 설계기준 개정 시 누락 항목에 대한 보완 및 SI 단위계로의 통합 등을 실시하였다. 특히 양배수장 설계 시 실무자들의 편이성을 고려하여 기계 및 전기시설 관련 항목과 기준을 현실화시켰으며, 양배수장 계획 코드를 신설하였다. 또한, 현장에서의 의견을 반영하기 위해 관련 분야의 설계자들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하여 개정이 필요한 항목을 검토 및 설계기준에 반영하였다. 양배수장 설계기준은 현재 7개의 세부코드체계를 가지고 있으나 이번 개정으로 계획코드가 추가되어 총 8개 코드체계로 구성하였다. 또한 설계시 적요알 수 있는 최소한의 제한 규정만 제시하였으며, 기계 및 전기분야의 설계기준은 현장에서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수정하였다. 따라서 양배수장 설계기준이 최종적으로 개정되면 농업생산기반설계기준 양배수장의 설계의 현실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보인다.

      •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른 화학적 내구성능 평가

        이건희 ( Geonhee Lee ),곽유진 ( Yujin Kwak ),구재혁 ( Jaehyuk Koo ),박상현 ( Sanghyeon Park ),이한나 ( Hanna Lee ),신범수 ( Bumsoo Shin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3 No.0

        기후 변화로 인하여 강우 강도와 빈도가 변화하면서 사면, 도로, 그리고 수리 구조물에 대한 피해가 증가함에 따라 긴급 복구 재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긴급 복구 재료인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른 내구성능을 비교·평가하여 강도저감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바이오 패브릭스 형상은 격자형상, 매듭형상, 일자 형상을 적용하였다. 내구성능의 평가는 BS EN 14414에 따라 실시하였고 산성(pH 4.0, 50℃, 56일간 침수), 알칼리성(pH 12.5, 50℃, 56일간 침수), 황산(pH 7.2, 28일간 침수)용액 노출시험으로 실시하였다. 휨시험 결과 10일 강도는 격자형상, 매듭형상, 일자형상 순으로 각각 5.6MPa, 1.9MPa, 6.2MPa을 나타내었다. 화학적 저항에 따른 내구성 평가의 시험 결과, 산성도 저항성인 pH4.0용액에 56일간 침수시킨 후 휨시험 결과는 격자형상, 매듭형상, 일자형상 순으로 각각 13.6Mpa, 1.1MPa, 3.3MPa를 나타내었고, 알칼리성도 정항성인 pH12.5용액에 56일간 침수시킨 후 휨시험 결과는 격자 형상, 매듭형상, 일자형상 순으로 각각 8.4MPa, 1.8MPa, 3.2MPa을 나타내었다. 황산성도 저항성인 pH7.2용액에 28일간 침수시킨 후 휨시험 결과는 격자형상, 매듭형상, 일자형상 순으로 각각 11MPa, 2.1MPa, 4.6MPa을 나타내었다. 내구성 실험 결과 일자형상에서 산성, 알칼리성, 그리고 황산 저항성이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격자형상에서는 모든 노출조건에서 강도 저감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바이오 패브릭스의 형상은 격자형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다공성 식생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 공극률 및 휨강도 특성

        이보현 ( Bohyun Lee ),이건희 ( Geonhee Lee ),신범수 ( Bumsoo Shin ),구재혁 ( Jaehyuk Koo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건설 분야에서도 환경을 보호하기 위해 기존의 구조재료로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를 친환경적인 재료로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공성 식생 콘크리트에는 콘크리트 내에서 식물이 발아하고 뿌리를 내릴 수 있도록 공극이 형성되어야 한다. 다공성 콘크리트는 식생이 가능한 공극률을 확보하기 위하여 골재의 크기가 균일해야 하고 굵은 골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연구에서는 식생이 가능한 다공성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의 공극률 및 휨강도를 평가하였다. 공극률은 일본콘크리트공학협회 에코콘크리트 연구위원회의 포러스 콘크리트 공극률 시험방법(안)중 용적법에 따라 실시하였다. 25mm, 19mm, 13mm 골재별로 공극률 시험을 한 결과 재령 1일에는 19.90%, 33.10%, 34.25%이며 재령 10일에 23.70%, 34.25%, 45.03%로 19mm 골재 사용 시 가장 적합한 공극률을 나타내어 식물생장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발휘할 것으로 보인다. 휨강도 시험은 KS F 2408에 따라 실시하였다. 시험은 골재 크기(25mm, 19mm, 13mm)를 변수로 하여 실시하였으며, 시험결과 재령 1일에 1.20MPa, 2.55MPa, 0.88MPa, 재령 10일에 1.36MPa, 3.10MPa, 1.32MPa의 값이 측정되었다. 휨시험결과를 분석해보면 19mm 골재가 휨강도 측면에서 가장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바이오 패브릭스를 포함하였을 시 휨강도가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공성 식생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에 수소이온농도 변화 시험은 KS M 0011에 준하여 HI 8424 pH 측정기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시험변수는 바이오 패브릭스 적용여부에 따른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재령 1일에 각각 pH 9.98, pH 9.74, 재령 10일에 각각 pH 9.78, pH 9.32의 값을 나타내었다. 시험결과 바이오 패브릭스를 포함하였을 경우 다공성 콘크리트의 pH가 기존 콘크리트의 pH보다 낮게 측정되었다.

      • 바이오 패브릭스의 형상에 따른 패브릭스 콘크리트 내구성능 평가

        이건희 ( Geonhee Lee ),이보현 ( Bohyun Lee ),신범수 ( Bumsoo Shin ),구재혁 ( Jaehyuk Koo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우리나라에서 강수강도와 호우일수의 증가로 인한 수리구조물 및 사면구조물 등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른 긴급복구재료로서 적합한 바이오 패브릭스 콘크리트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이오패브릭스 콘크리트의 형상에 따른 내구성능을 평가하였다. 바이오 패브릭스의 형상은 격자형상, 매듭형상, 일자형상을 적용하였으며, 성능 목표는 기존 국내외 콘크리트 천 연구결과를 이용하여 휨시험 목표강도 5MPa로 결정하였으며 시험방법은 KS L ISO 679에 따라 실시하였다. 내구성능 평가 시험은 BS EN 14414에 따라 실시하였다. 내구성 평가는 산성(pH 4.0, 50℃, 56일간 침수), 알칼리성(pH 12.5, 50℃, 56일간 침수), 황산(pH 7.2, 28일간 침수)용액 노출시험으로 실시하였다. 휨시험결과 10일 강도는 격자형상 10.34MPa, 매듭형상 1.94MPa, 일자형상 9.45MPa를 나타내었다. 휨강도 시험결과 재령 10일 목표강도 5MPa을 격자형상과 일자형상은 만족하였지만 매듭형상은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보였다. 화학적 저항에 따른 내구성능평가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산성도 저항성에서 56일 침수 후 휨시험 결과 격자형상 12.16MPa, 매듭형상 3.41MPa, 일자형상 6.93MPa를 나타내었다. 알칼리성도 저항성에서 56일 침수 후 휨시험 결과 격자형상 9.34MPa, 매듭형상 2.95MPa, 일자형상 4.89MPa를 나타내었다. 황산저항성에서 28일 침수 후 휨시험 결과 격자형상 10.48MPa, 매듭형상 1.81MPa, 일자형상 5.73MPa를 나타내었다. 3가지 저항성에 따른 결과에서 격자형상만이 휨시험 목표강도 5MPa를 모두 만족하였다. 따라서 내구성능평가 시험결과를 분석해보면 격자형상 바이오패브릭스는 긴급복용 콘크리트 재료로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간척지 농지 범용화를 위한 지하배수 유공관 암거공법 매뉴얼 개발

        이병학 ( Byunghark Lee ),이보현 ( Bohyun Lee ),신범수 ( Bumsoo Shin ),구재혁 ( Jaehyuk Koo ),박영준 ( Youngjun Park ),김현태 ( Hyuntae Kim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간척농지의 경우 장마철 토양수분이 높고 지표잔류수가 지속되며 가뭄 시 재염화로 인해 농작물의 피해가 심각하다. 본 연구에서는 간척농지 논범용화 단지에서 발생하는 기상재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비용(무굴착식), 고효율(배수효율 증가) 지하암거공법의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 매뉴얼을 표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간척농지 논범용화에 적합한 저비용, 고효율 지하암거 공법의 실험변수를 결정하고 모형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수치해석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실험 및 수치해석 결과를 이용하여 간척농지 논범용화 지하암거공법의 최적화를 달성하였다. 또한 간척농지 논범용화 지하암거 공법에 적용되는 유공관 암거의 품질시험을 통하여 간척지 농지 적용시 요구되는 품질기준을 제시하였다. 설계, 시공 매뉴얼은 모관수 저류 시트형 암거공법, 지표잔류수 지하흡수공 지하배수 암거공법, 고효율 심토파쇄 공법을 포함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현장 실증시험(Test-Bed)을 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간척농지 논범용화 공법에 적합한 유공관 암거의 품질기준은 한국도로공사, 한국화학시험연구원 및 국내·외 농지 범용화 기술개발에 대한 다양한 연구보고서를 참고로 간척농지의 환경특성과 본 연구의 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또한 최종적으로 간척농지 논법용화 공법(모관수 저류 시트형 암거공법, 지표잔류수 지하흡수공 지하배수 암거공법, 고효율 심토파쇄 공법)의 품질, 설계 및 시공 매뉴얼은 관련된 국가설계기준(KDS 67 45 40 등)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 지하수 관정의 농업용수 공급량을 작물 종류에 따른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 분석 (예산, 청양, 당진, 아산)

        이재영 ( Jaeyoung Lee ),신형진 ( Hyoungjin Shin ),신범수 ( Bumsoo Shin ),이건희 ( Geonhee Lee ),이보현 ( Bohyun Lee ),구재혁 ( Jaehyuk Koo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가뭄은 시작과 끝이 명확하지 않고, 장시간에 걸쳐 피해가 발생하기 때문에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피해가 광범위하다. 지속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가뭄의 위험은 더 커지고 빈번해지며, 가뭄 심도가 깊어질 수 있어 세계적인 문제로 떠오르는 만큼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에 대한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예산군(사과), 청양군(고추), 당진시(배추), 서산시(마늘)에 대하여 필요수량, 공공관정 채수량, 민간관정 채수량, 상수도공급량 등을 조사하여 관개용수 부족량을 산정 및 비교분석 하였다. 월별 필요수량은 기준증발산량에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제시한 작물계수를 적용하여 월별 합산한 값을 산정하였으며, 선별지역 관개면적은 밭면적 전체가 대표작물을 재배한다는 가정하에 산정하였다. 또한 읍면별 필요수량은 시군별 필요수량 산정 후 각 시군에 속해있는 읍면의 개수로 나누어 산정하였다. 공공관정 채수량과 민간관정 채수량은 “농어촌지하수관리시스템”을 참고하였으며, 일 채수량이 제시되어있어 이를 월채수량으로 가공하였다. 월별 상수도 공급량은 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상수도 통계”를 참고하였으며, 읍면단위 급수량이 제시되어 있지않아 군단위의 상수도 급수량을 1인/일 급수량(L), 유수율(%), 급수인구(인) 등을 고려하여 일 공급량을 월 공급량으로 가공하였고, 시군별 월별 공급량을 각 시군의 읍면 개수로 나누어 읍면별 월별 공급량을 산정하였다. 분석결과 읍면별 필요수량 대비 공공관정채수량은 대표지역 모두 재배기간 중 용수공급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평균 예산군 2,781천㎥, 청양군 271천㎥, 당진시 175천㎥, 서산시 1,032천㎥ 부족한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공 및 민관관정 채수량을 모두 고려하였을 경우 일부지역에서의 용수공급 부족량이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재배기간동안의 부족량은 평균 예산군 298천㎥, 서산시 6천㎥로 계속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읍면별 필요수량에 비교하여 공급량이 부족한 지역은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용수확보방안 및 효율적인 용수공급체계 관리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지하수 관정 및 상수도 공급량을 이용한 밭용수 공급량의 계절적 취약성 분석

        이재영 ( Jaeyoung Lee ),신형진 ( Hyoungjin Shin ),신범수 ( Bumsoo Shin ),이건희 ( Geonhee Lee ),이보현 ( Bohyun Lee ),구재혁 ( Jaehyuk Koo ),차상선 ( Sangsun Cha ),박찬기 ( Changi Park ) 한국농공학회 2022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22 No.-

        최근 농업생산기반시설에 대한 기후변화 취약성에 대한 관심이 커져 관련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주로 저수지 등 지표수 시설물에 관련 취약성 연구로써 밭용수로 사용되는 지하수 시설물에 대한 취약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한 실정이다. 밭작물의 경우 농업용 저수지 및 양수장과 같은 농업수리 시설물로부터 용수를 공급받는 논벼 작물과 달리 지하수 또는 자연 강우를 통해 용수량을 공급받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논 농업에 비하여 가뭄에 대하여 취약하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밭가뭄에 대한 취약성을 안전지역(1), 안전지역(2), 우려지역, 상습지역으로 구분하였으며, 계절별 필요수량 대비 공급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필요수량 산정에 필요한 대표 재배작물은 콩으로 선정하였으며, 공급수는 공공관정, 민간관정, 지하수외 공급수로는 상수도를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봄철의 경우 안전지역(1), 안전지역(2), 우려지역, 상습지역에서 공급률은 각 1281.5%, 667.6%, 729.5%, 316.3%로 분석되었고 여름철에는 각 82.4%, 40.6%, 42.6%, 20.0%로 공급률이 100% 미만으로 분석되었으며, 가을철에는 각 436.0%, 212.8%, 213.9%, 105.3%로 용수공급이 충분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본 연구에서 적용한 상수도 공급량은 밭용수 공급량으로 100% 적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급이 가능한 용수공급량과 공급가능 지역을 결정하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