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구의 북한여행 다큐멘터리 두 편에 나타난 대상성 인식변화 연구

        이무경,이주은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40

        This paper analyzes, on the basis of W. J. T. Mitchell's objecthood theory, two documentaries on travels in North Korea: Departures 3 (2010) and Michael Palin in North Korea (2018). W. J. T. Mitchell, a visual culture scholar, argues that, if the image of a colony-to-be is projected through imperialistic ideology, the image can reveal three objecthoods: totem, fetish and idol. The image of Joseon depicted in genre paintings embodies, to Westerners, three objecthoods: totem as a representation of folk identity, fetish as a collection object of orientalism, and idol as an object of iconoclasm for pre-modernism. Till recently, westerners, with a focus on outdated and hostile aspects of the image of North Korea, have perceived its image as the objecthood of idol, which is to be destroyed. While, in the 19th century, the age of imperialism, images were copied and circulated with the intent of western powers, in the contemporary digital era, with imperialism deterritorialized, images are replicated in multiple directions. From a Western-centered imperialist perspective, North Korea is in similar situation that 19th century imperialistic countries giving different objecthood to colonial country with totem, fetish and idols, depending on the changes in geopolitical landscape. Departures 3-North Korea(2010), where ordinary two went backpacking in North Korea, depicted the land as a backward, enclosed and exotic destination; hence the objecthood of idol in North Korean image still remained. In contrast, in Michael Palin in North Korea(2018), a famous star featured modern attractions of North Korea, which enhanced communication potential with westerners and the fetish objecthood of North Korean image. These two documentaries reveal not only the shift from idol to fetish in the objecthood of North Korean image, but also show the change in geographical landscape from cold war to detente between two Koreas. 이 논문은 서구에서 2010년과 2018년에 각각 제작된 북한여행 다큐멘터리 <북한을 가다: 홀리데이 인 평양>과 <마이클 페일린 인 노스 코리아>를 미첼(W. J. T. Mitchell)의 제국주의적 대상성 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한 것이다. 미첼에 의하면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가 식민 대상지의 이미지에 투사될 경우, 대상성(objecthood)은 토템(totem), 페티시(fetish), 우상(idol)의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난다. 조선 풍속화를 통한 조선의 이미지가 서구인에게는 토속적 정체성을 표상하는 토템, 오리엔탈리즘적 수집 대상으로서의 페티시, 조선의 전근대성이 부각된 타파대상인 우상으로 나타난다. 최근까지 서구에서는 북한의 이미지를 전근대적이고 적대적으로 부각시키면서 타파해야 할 우상적 대상성으로 인식해왔다.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는 제국의 일방적 의도에 따라 이미지가 생산, 복제, 유통되었으나, 디지털화된 현대에 와서는 과거의 영토적 제국주의와 달리 탈영토화 양상을 띠고 있으며, 이미지의 복제 방식도 평면적 회화에서 영상, 혹은 디지털화된 방식으로 복제되고 유통된다. 서구중심의 제국주의적 관점에서 보는 북한은 과거 제국주의 국가가 지정학적 경관의 변화에 따라 식민대상지의 이미지에 대해 토템, 페티시, 우상의 대상성을 부여하는 것과 유사하다. 평범한 배낭 여행가들이 등장하는 <북한을 가다>(2010)는 낙후되고 폐쇄된 기이한 여행지로서 북한을 다루었으므로 여전히 우상적 대상성을 상대적으로 강하게 띠고 있다. 반면 서구의 유명 스타를 주인공으로 하는 <마이클 페일린 인 노스코리아>(2018)는 현대적 관광지로서의 북한의 매력을 보여줌으로써 토템과 페티시적 성격이 강화되어 외부와의 소통가능성을 높인다. 이 두 편의 다큐멘터리는 남북대치에서 화해 분위기로의 지정학적 경관의 변화에 따라 우상적 대상성에서 페티시적 대상성으로의 변화를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중국 TV선협로맨스판타지와 ‘국풍’ 브랜드 내셔널리즘: <삼생삼세십리도화>류의 작품들을 중심으로

        이무경 한국영상문화학회 2023 영상문화 Vol.- No.42

        21세기 들어 각국 정부는 자국의 소프트파워를 제고하고 글로벌 문화산업 경쟁력을 올리기 위한 브랜드 내셔널리즘에 힘을 쏟고 있다. ‘국풍 國風 브랜드 내셔널리즘’은 중국전통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회주의를 연결하는 중국특색사회주의를 내세우며 ‘문화자신’ 정책을 펼치고 있는 시진핑 정부의 문화정책을 문화산업적으로 실현시키는 문화전략으로 볼 수 있다. 대중미디어들은 국가 문화정책과 문화산업의 연결고리로서 브랜드 내셔널리즘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한다. 중국 TV 선협로맨스판타지(이하 선협로판)는 원서사인 웹소설의 ‘가상적 중국’의 시뮬라크르를 영상으로 재현함과 동시에 이데올로기적 요소를 포함한 시청각 콘텐츠를 확장, 첨가하여 게임, 애니메이션, 영화 등 타 매체에 공유하여 패스티시 장르를 형성하고 있다. 본고에서는 중국 선협로판물의 트랜스미디어화에 관한 내적 콘텐츠 분석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중국 고유의 ‘국풍’ 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 미디어문화산업에 대한 접근을 시도했다. 유, 불, 선 등을 포함한 삼계 三界 세계관을 배경으로 신선들의 로맨스를 펼치는 선협로판물은 공동체의 안녕을 위해 개인의 희생을 내세우는 유교적 가치관의 중국 특색사회주의 이데올로기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TV매체는 국풍 이데올로기가 첨가된 시청각 콘텐츠를 통해 팬덤을 형성하여 ‘국풍 브랜드 내셔널리즘’이 추구하는 문화산업적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 KCI등재

        기산풍속화를 통해 본 이미지의 타자성: 외국 책에 실린 조선인

        이무경,이주은 한국영상문화학회 2017 영상문화 Vol.0 No.30

        This paper, on the basis of W. J. T. Mitchell's objecthood theory, analyzes Otherness of Joseon images in Gisan genre paintings, which are open port genre paintings by Kim Jun Geun in late 19th century. Mitchell, a visual culture theorist, argues that, if the image of the colony is projected through imperial ideology, various objecthoods of the image could be revealed. In the case of Gisan genre paintings, Joseon images unveil each of the three objecthoods(Totem, Fetish, Idol), as they go transformed at the two stages. Gisan's Joseon images, initially transformed from Danwon Kim Hond-do genre paintings, are presented as symbolic Totem. When foreigners collected Gisan genre paintings as rare artifacts, the images unveil the objecthood of Fetish. At the next stage, Gisan genre paintings in foreign books, when used as illustrations with texts describing pre-modern traits of Joseon, reveal the objecthood of Idol, which shaped an imperialistic landscape of Joseon. This paper found that geopolitical views intervened in the images of Gisan genre paintings, and transformed the images at the several stages, and that the respective objecthood of Totem, Fetish, and Idol is unveiled in the images. Particularly, the gap between the text and the image was noticed. W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is may well correspond to the way of Western imperialism in the late 19th century which, through folklore pictures, viewed non-European natives as the Other and defined them as uncivilized savages. Furthermore Gisan paintings in Japanese books were used as instruments which justified the colonialization of Joseon. 이 논문은 시각문화학자인 W. J. T. 미첼(Mitchell)의 대상성 이론을 기반으로 구한말 개항장 풍속화인 김준근의 기산(箕山)풍속화에 재현된 조선인 이미지의 타자성을 지정학적 맥락에서 분석한 것이다. 미첼은 제국주의 이데올로기가 식민지화 대상국의 이미지에 덧씌워질 경우, 타자화된 다중적 대상성(objecthood)이 토템(totem), 페티시(fetish), 우상(idol)의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 대상성은 기산풍속화의 조선풍물과 조선인의 이미지가 1차와 2차의 변용과정을 거치며 타자화 되는 과정에서 단계별로 나타난다. 연구 과정에서 그림에 개입된 지정학적 시선을 밝혀내고자 원본이미지와 변용된 이미지용 텍스트 사이의 간극에도 주목하였다. 단원 김홍도의 풍속화를 모본으로 외국인 수집가의 눈높이에 맞게 1차 변용된 기산풍속화 속 조선인과 조선풍물의 이미지는 상징적 토템으로 제시된다. 이는 외국인들에게는 이국적 풍물의 페티시로서 수집의 대상이 되기도 한다. 외국수집가들의 손을 거쳐 외국 책, 특히 조선 지배를 노리던 일본의 책에 실린 기산풍속화는 조선의 전근대성을 규정하는 문자텍스트와 함께 삽화로 실린다. 이때 2차변용을 거치면서 타파되어야할 미개한 우상의 이미지로 제국주의 목적에 맞는 의미를 형성한다. 기산풍속화는 19세기말 서양이 풍물사진을 통해 이국의 원주민을 호기심어린 시선으로 대상화했던 것과 일치하는 방식으로 타자성을 지니게 되었으며, 일본 책에 실린 기산풍속화의 경우는 조선 식민지화를 정당화하는 도구로까지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음성 프라이의 활용이 무변성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무경 대구보건대학 2005 대구보건대학 論文集 Vol.25 No.-

        Puberphonia is defined as a voice disorder exhibited by male speakers producing a high-pitched voice after the puberty even though their larynx have already grown and been ready to produce a deep mail voice. In such case, individuals encounter several social, professional, and emotional problems. Puberphonia patients are currently treated by behavioral voice therapy technique such as manual manipulation and muscle relaxation technique. This study attemp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 symptomatic voice therapy utilizing vocal fry in 3 puberphonic patients. A total of 16 therapy sessions along with homework assignments were delivered, twice a week for 2 month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their vocal pitch(p<.05).

      • 한국어 구어 실행증 환자에 대한 점진적 8단계 치료 기법의 임상적 효과: 사례연구

        이무경,정옥란,Lee, Mu-Kyung,Jeong, Ok-Ran 한국음성학회 2005 음성과학 Vol.12 No.4

        This study aimed at clarifing clinical effects of eight-step continuum treatment in a patient who showed apraxia of speech after stroke. The eight-step continuum treatment consisted of 8 steps and its clinical efficacy has been proven with American apraxic patients. However, it has not been clinically proven to be effective in Korean patients with apraxia of speech as of yet.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in an effort to provide preliminary clinical evidence regarding its effectiveness regardless of the linguistic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The therapy took place twice a week for 6 months, a total of 48 ti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tient's receptive language was improved from 83% to 89% and 37% in accuracy, and expressive language from 15% to 37%. It seemed that spontaneous recovery did not playa role in his improvement since the study was conducted 2 years after the stroke. In addition, the improvement of expressive language was much greater(22%) than that of receptive language(6%), which implied that the therapy was effective in apraxia of speech because apraxia of speech is relatively confined to expressive ability, more specifically motor programming and sequencing.

      • 세 가지 자극 양식이 실어증자의 언어이해력과 언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이무경,유재연,이옥분,정옥란 한국음성과학회 2000 음성과학 Vol.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receptive language performance and expressive language perormance in 13 patients with aphasia by using three stimulus presentation modes' Stimulus mode I (picture), Stimulus mode II (written word), Stimulus III (question using verbal explanation). The stimulus consisted of 10 words. They included 5 functional word and 5 non-functional words. The 13 subjects with aphasia were divided into 2 aphasic types: 5Broca's aphasics and 8 anomic aphasic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 three stimulus modes didn't affect recptive language performance of aphasia subject. Secondly, the three stimulus modes were effective on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f aphasia subjects. Particularly, stimulus mode II (written words) was effectivein naming the aphasia subjects. Thirdly, the functional words with high frequency were better than non-functional words with low frequency on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but not on receptive language performance of aphasia subjects. Finally, the interaction between three stimulus modes and the functional (nonfunctional) words effected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only, but not receptive language per:ormance. Particularly, presenting stimulus in written words which are functional words produced the best expressive language performance. Keywords : aphasia, Broca's aphasia, Wernicke's aphasia, stimulus mod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