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930年代 前半期 朝鮮의 ‘防空政策’ 宣傳 普及

        李大和(Lee, Dae-Hwa) 한일민족문제학회 2012 한일민족문제연구 Vol.23 No.-

        本論文は防空展覽會を素材とし, 防空法制定以前における植民地朝鮮の防空政策普及實態を分析したものである。当時の展覽會は, 實物や図表, パノラマ, ジオラマなど視覺媒体を用いた宣伝手段であり, 新聞ㆍラジオとは異なるメディアであった。したがって, 防空展覽會はアジアㆍ太平洋戰爭全期間にわたり防空思想を宣伝ㆍ普及する重要な手段であった。 帝國日本の防空展覽會は大きく三期に區分することができる。初期(1929~1938)の防空展覽會は地域別防空演習を宣伝する手段の一つであった。防空演習や灯火管制の重要性を知らせるとともに, 軍事展覽會の性格も有していた。中期(1938~1941)の展覽會は軍事展覽會的な性格が弱まる一方, 具体的な國民防空の要領を啓蒙する性格へと変わっていった。後期(1941~1945)の展覽會は物資不足問題が深刻になるなかで, 規模が縮小され, 移動展覽會の形式をとる段階であった。本稿は, これらのうち初期防空展覽會を對象に, 日本本土の事例と植民地朝鮮のそれとを比較し, 植民地期朝鮮における國民防空政策の展開過程を明らかにすることを目的としている。 朝鮮における防空展覽會は1933年6月に初めて開催された。当時の展示物は滿州事変での航空作戰図表, 航空機模型, 實物の防空兵器などであったが, これらは日本初の防空展覽會である1929年の大阪防空展覽會と同樣の構成であった。また, 1933年の朝鮮防空展覽會の特徵としては,航空殉職者の位牌や遺品を展示したこと, 彼らの慰霊祭を執り行ったことを擧げることができるが, これは軍事展覽會的性格が强まったことを意味している。その原因は, 滿州事変や上海事変など, 日本の軍國主義化を加速化させることになる事件が相次いで勃発したためであるが,1931年の福岡防空展覽會という事例も背景になっていると思われる。 朝鮮の防空展覽會におけるもっとも特徵的な点として, 移動展覽會である防空展覽列車を擧げることができる。本土および他の植民地を含め, 唯一の事例である防空展覽列車は, 貨物列車を展覽會場に改造して全國を巡回するものであり, 1936年8月から9月にかけて運行された。この時期は北鮮防空演習と南鮮防空演習が連續して開催されたため, 移動展覽會を企画したものと思われるが, 運行日程を分析した結果, 北部地方における宣伝活動に重点が置かれていたことが分かった。咸鏡道地域は, 当時日本が主敵として想定していたソ連との接境地帯であるとともに, 工業地帯でもあったため, 防空の必要性が高いという点を勘案したものと思われる。1930年代, 朝鮮と日本で開催された防空展覽會は灯火管制を含む防空演習の宣伝手段であり, 演習の効果を高めるため學校や職場, 地域組織による団体観覽のみならず, 入場券の强制購入という手段も動員された。この時期, 帝國日本が國民防空体制を普及した意図は, 空襲に對する實質的な對応策を準備するというよりは, 國民の危機感を高め, 軍國主義化を進めようとするところにあった。植民地朝鮮においてもこのような目標は同樣に適用されたが, 朝鮮語での宣伝手段は不足していたものと思われる。つまり, 当時の防空政策は在朝日本人を優先したものであったわけである。しかし, 朝鮮人を完全に無視することはできないというのが現實であり, 視覺的な宣伝手段としての防空展覽會は, 朝鮮防空体制の構築過程において少なからざる意味を持っていたのである。 This article analyzes the exhibitions on air defense to study the state of propagation of air defense policy in colonial Korea before the enactment of air defense law. The exhibitions at the time was a method of propagation which had visual medium such as real objects, diagram, panorama, diorama, and etc, and differed from the mass media such as newspaper and radio. Air defense exhibition, therefore, was an important mean of propagating and disseminating air defense ideology during the Asia Pacific War. We can roughly divide the air defense exhibition process in the Japanese Empire into 3 stages. In the beginning stage (1929-1938), air defense exhibition was one of the methods to propagate the regional air defense exercise. It advertised the importance of air defense exercise and blackout drill, and at the same time, it included military exhibition components. In the second stage (1938-1941), military side of exhibition was reduced but the direction had shifted to educating conc

      • KCI등재

        『대동여지도』로 읽는 19세기 조선

        이대화(Lee, Dae Hwa),한미라(Han, Mi Ra)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이 논문은 한국사 교육에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거나, 기존의 자료를 분석하는 관점을 다양화함으로써 교양교육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선후기 고지도 제작기법과 수록 내용을 통해 제작 당시의 사회상을 유추하는 연구방법을 고안하였다. 1860년대에 완성된 『대동여지도』는 조선후기에 제작된 지도의 대표작으로 매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런데 『대동여지도』를 지은 김정호의 가계나 생애, 지도와 지리지 제작 방법과 과정 같은 정보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다. 그래서 1920년대부터 『대동여지도』와 김정호에 대해 과장된 이야기가 창작되어 대중들에게 유포되었다. 대표적으로, 전국을 직접 답사하여 지도를 그렸다든가, 당시 조선사회와 지배층이 지도의 가치를 이해하지 못했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1930년대에는 더욱 과장된 이야기가 창작되었다. 김정호가 대동여지도를 완성했을 당시의 실권자인 흥선대원군이 지도를 본 뒤, 국가 기밀을 누설한다는 혐의를 씌워 김정호를 처벌하고 지도를 새긴 목판은 불에 태웠다는 내용이 대표적이다. 이처럼 김정호와 『대동여지도』에 대해 잘못 알려진 내용이 1970년대까지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에 실려 있었다. 그 결과 적지 않은 한국인은 19세기 후반의 조선은 김정호의 업적을 제대로 판별하지 못하는 미개한 사회라는 선입견을 갖게 되었다. 또한 초등교육과 중등교육 한국사 교육과정에서 19세기는 세도정치와 민란, 조세제도의 문란함 등을 중심으로 교육하기 때문에, 김정호와 『대동여지도』가 인정받을 수 없었다는 데 개연성을 더해주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존의 역사교육은 19세기에 대한 선입견을 형성하고 있는 셈이다. 하지만 김정호에 관해 알려진 기존의 이야기는 대부분 역사적 근거가 전혀 없는 창작물임이 학술적 연구에 의해 차례차례 입증되고 있다. 애초에 김정호의 고생담을 창작한 의도는 악의적이지 않았다. 김정호를 부각시켜 식민치하의 조선인에게 고난과 역경을 극복하는 인물상을 제시하려는 목적이었다. 그러나 조선총독부가 교과서 내용으로 채택하면서, 『대동여지도』의 가치를 알아보지 못했던 조선왕조의 무능함을 강조하고, 김정호의 고생담을 통해 조선사회가 미개하였음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왜곡된 것이다. 최근의 한국사 및 지리학 분야에서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대동여지도를 다시 들여다보면, 19세기 조선이 낙후되고 고립된 ‘쇄국’의 공간이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대동여지도라는 고지도(이자 고전 자료)를 소재로 19세기 조선을 다시 해석한다면, 19세기에 대한 부정적인 선입견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이 새로운 시각을 습득하여 사유의 범위를 확장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게 될 것이다. This thesis presents a method to reach the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effectively by discovering a new data or by diversifying viewpoints in analyzing existing data in Korean history education. For this purpose, a study method was designed to infer the state of society at the time of production of the old map in the late Joseon through its production technique and its contents. 『Daedong Yeojido』 completed in the 1860s is the most well-known map among those were p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However, not much information of Kim Jeongho, the producer of 『Daedong Yeojido』 such as his family line, life and the method and process of production of the map and the book of geography was shared to the public. Thus, from the 1920s, the exaggerated stories about 『Daedong Yeojido』 and Kim Jeongho were created and circulated among the public. The stories such as Kim Jeongho drew the map by traveling all over the country or the society of Joseon and its ruling class at that time didn't understand the value of the map are the most popular ones. Even more exaggerated stories were created in the 1930s. After Heungseon Daewongun, who held the actual authority when Kim Jeongho completed Daedong Yeojido, saw the map, punished Kim Jeongho for leaking national securities and burned the woodblock inscribed with the map was one of the major stories created. Like this, distorted information about Kim Jeongho and 『Daedong Yeojido』 were published in elementary Korean textbook until 1970s. As a result, many Korean were biased against the late 19th century Joseon as an uncivilized society that couldn't appreciate the value of Kim Jeongho's work. Also, since curriculum of elementary education and Korean history in Middle and High school education teach the 19th century focusing on power politics, civil riot and corruption in taxation system it adds more weight that Kim Jeongho and 『Daedong Yeojido』 were unappreciated. As a result, current history education forms the biased idea toward 19th century. However, it is proved one by one in academic researches that the majority of existing stories related to Kim Jeongho are fictions without any historical basis. In the first place, the intention of creating the story of Kim Jeongho's suffering didn't mean any harms. It served a purpose to present an image of a person who overcame the agony and trouble by the modeling of Kim Jeongho for the people of Joseon under colonial rule. Nonetheless, when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adopted that story for the textbook, it was distorted toward the direction to emphasize the incompetence of the Joseon Dynasty that was una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Daedong Yeojido』 and to stress that the society of Joseonis uncivilized through Kim Jeongho's story of suffering. To take an another look at Daedong Yeojido based on recently published researches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y and Geography, it is known that the 19th century Joseon was not a “secluded” place that is underdeveloped and isolated. Therefore, when we reinterpret the 19th century Joseon through an old map (also a classical material) called Daedong Yeojido the negative prejudice toward the 19th century could be overcome. Also, the learners will achieve the objective of university liberal arts education by broadening their range of thought when they obtain new perspectives.

      • KCI등재

        제주도 포제(酺祭)의 형성 배경과 시기에 관한 연구

        이대화(Lee, Dae-hwa)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1 중앙사론 Vol.- No.53

        Jeju Island s village faith has a structure in which danggut, a shaman s ritual, and poje, a Confucian ritual led by villagers, coexist. This is an example of how folklore changes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We studied the timing and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Poje in Jeju Island.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the Jeju Poje was approached from two aspects: the establishment of the Juhyeon ritual system based on the reform of the national system and the formation of Confucian culture in Jeju Island. Unlike before, military and prefectural ceremonies were established separately to support the strengthening of the country s local control. This may vary slightly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ime, but it was maintained until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Jeju Island was no excep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he ritual of Juhye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nfucianization of village beliefs. In parallel, the timing of the formation of Poje is assumed to be in line with the time when Confucian culture secured a solid position in Jeju Island, and Jeju-related geography, local Confucian materials, grazing materials, and other ancient documents were reviewed. As a result, a total of 52 students passed the examination in Jeju Island, which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measures of Confucianiz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concentrated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oje was carried out in 1871 in Daejeong-hyeon (now Seogwipo). Based on this fact, the formation of the Poje in Jeju Island can be assumed to be in the early 19th century and expanded throughout Jeju Island in the late 19th century.

      • KCI등재
      • KCI등재

        전시체제기 식민지 조선의 선전매체, 종이연극(紙芝居)

        이대화 ( Dae Hwa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8

        가미시바이(紙芝居)란 일본 특유의 어린이 오락거리로, 1920년대 도쿄에서 생겼다. 엿장수(飴賣り)가 어린이의 관심을 끄는 수단으로 고안했는데, 1930년대에는 일본 본토에서 약 6만 명의 실연자가 있고 100만 명의 어린이가 즐길 정도로 유행했다. 1930년대 후반부터 일본은 검열제를 실시하면서 총력전 선전수단으로 활용하기 시작했다. 가미시바이는 신문, 잡지, 라디오, 영화의 빈틈을 메울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식민지와 점령지에서도 가미시바이를 활용한 교육과 선전활동을 전개하였다. 식민지 조선에 가미시바이가 등장한 것은 1936~1937년으로, 관헌에 의한 교육 선전을 위해 도입되었다. 이 시기 조선의 가미시바이는 시국 선전(군사사상 보급, 전쟁동원 등), 농촌교화, 간이보험 선전을 목적으로 제작된 것이 많다. 일본 본토에서는 어린이 오락용으로 탄생한 것을 정책선전도구로 변용시켰지만, 조선에서는 애초부터 선전 수단으로 도입했다는 점에서 커다란 차이가 있다. 1940년대에 들어서면 총독부에서 제작하는 가미시바이 이외에도, 학교나 지역 사회에서 자체적으로 가미시바이를 만들어 활용하거나, 경연대회를 개최하는 등선전효과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는 사례가 크게 늘었다. 아울러 총독부에서는 국어(일본어) 보급을 목적으로 한 가미시바이 각본을 공모하여 우수작을 제작하고, 일본어를 이해하는 사람과 조선어만을 알아듣는 사람들 모두에게 활용하기 편리하도록 일본어와 조선어를 병기한 가미시바이를 만드는 등, 교육선전 효과를 높이고자 애썼다. 조선에서의 가미시바이 제작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일본의 가미시바이 제작회사에만 의존하지 않고 조선에서 가미시바이 제작과 보급을 전문으로 하는단체도 생겨났다. 그런데 해방과 함께 가미시바이는 한반도에서 삽시간에 사라졌다. 권력기관의 입장에서 보면, 라디오가 본격 보급되기 이전인 1950년대에는 선전매체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미시바이는 거의 활용되지 않았다. 그 이유는 일본으로부터 강요된 매체였기 때문이다. 일본은 다시 오락매체로 돌아가 어린이들 사이에서 인기를 누릴 수 있었지만, 해방된 한국인에게 가미시바이는 전쟁선전의 수단이었을 뿐이었다. Kamishibai(紙芝居) was an amusement specific to Japanese children. It was created as a means of drawing children’s attention by taffy-seller scissors in Tokyo in the 1920s. But in the Japanese mainland by the 1930s, it was so popular that performers were up to about 60,000 people and one million children enjoyed it. And at the end of 1930s, Imperial Japan used it as a vehicle for propaganda of total war imposing censorship. It was because Kamishibai could replace newspapers, radios, and movies. And instructions and propaganda activities which utilized Kamishibai were also observed in the colony and occupied territory. It was between 1936 and 1937 that Kamishibai emerged in colonial Korea, it being introduced for advertisement education by the officials. A lot of Kamishibai were produced in order to propagate the current situation, as the propagation of military thought and war mobilization, to edify rural community, and to advertise the Postal Insurance during that time. While Kamishibai was transformed an amusement into a means of policy propaganda in the Japanese mainland, it was brought in as a vehicle for propaganda from the first in colonial Korea. By the 1940s, besides Kamishibai produc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school sand local communities started to make and utilize it for themselves. And they also tried to boost propaganda effect by holding a Kamishibai contest. In addition to,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invited public participation for play scripts in order to spread Japanese for korean people and then widely distributed the excellent works chosen. And it made Kamishibai written in both Japanese and Korean, which was for the people who could understand Japanese and also understand only Korean. So as to meet the demand for Kamishibai, some organizations who made and spreaded it professionally occurred in colonial Korea. With the liberation, however, Kamishibai was immediately disappeared in Korea. From the point of authority’s view, it fully deserved advertising media in the 1950s when radio was not spreaded completely. Nevertheless, it was rarely that Kamishibai was used. That’s why it was a media enforced by Imperial Japan. Kamishibai became popular again with the children as an amusement in Japan. But it was a just means of war propaganda for korean people in the liberation period.

      • 블록체인 연구 동향 분석: 합의 알고리즘을 중심으로

        이대화(Daehwa Rayer Lee),김형식(Hyoungshick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8 情報保護學會誌 Vol.28 No.3

        블록체인의 특징인 신뢰성, 보안성, 투명성, 탈중앙성을 지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환경과 목표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합의 알고리즘에 대한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블록체인을 참여 대상에 따라 퍼블릭 블록체인과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나누어 설명하였고 체인 유지 방식에 따라 경쟁 방식 합의 알고리즘과 비경쟁방식 합의 알고리즘으로 나누어 설명하였으며, 이를 위해 다섯가지 합의 알고리즘의 원리와 장단점 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참여 대상과 체인 유지 방식간의 관계와 신뢰모델과 중앙화, 속도, 보안성간의 관계를 도출해내었다. 향후에는 현재의 여러 합의 알고리즘 원리와 장단점을 발전 및 보완하여 환경과 목적에 따라 속도가 빠르고 보안적으로 안전하며 일관된 블록체인을 유지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SF영화에 나타난 인공지능의 시대별 변화 양상과 특징

        박경하(Park, Kyoung-Ha),이대화(Lee, Dae-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4

        근대 이후의 SF 작품은 인간 특유의 탐구심과 호기심을 자극하여 새로운 발명이나 발견을 촉진시키기도 했다. SF작품은 대중들의 공감을 얻기 위해 가까운 미래에 등장할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해서 묘사하거나, 과학기술상의 쟁점을 차용하기도 한다. 따라서 SF영화의 시대적 변천을 통해, 과학기술의 대중적 인식에 접근하는 것은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인공지능 캐릭터가 본격적으로 등장한 1960년대 이후의 영화를 소재로, 인공지능 캐릭터의 특징을 시기에 따라 정리하고, 현재 벌어지고 있는 낙관론과 비관론에 관련시켜 검토하였다. 1960-80년대 전반기까지의 인공지능은 네트워크에 의존하지 않고 디바이스가 독립적으로 작동하는 형태였다. 그리고 초지능(superintelligence)을 가진 존재가 아니라 한정된 기능에 전문화되어 있었다. 인공지능의 반란은 스스로의 판단에 의해서가 아니라, 인간의 탐욕이나 오류의 결과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AGI(범용인공지능) 수준의 능력을 지닌 캐릭터가 등장하였다. 또한 AI를 과신한 나머지, 인간이 AI를 통제할 필요성을 망각하면서 야기되는 오류에 대해서도 문제를 제기하였다. 1990년대에는 인터넷이 보편화되면서 인공지능은 네트워크에 기반한 존재로 묘사되었다. 초인공지능이 등장하여 인간에게 전쟁을 도발하거나, 인공지능이 생명체의 인지능력이나 감정을 동기화시켜 인간성을 말살하는 존재로 묘사되기도 하였다. 영화 속 인공지능은 부정적 측면을 조금 더 부각시킨 것이 사실이다. 인공지능의 오류나 반란을 소재로 한 SF영화가 많기 때문이다. 선한 인공지능 캐릭터를 등장시키더라도, 언제든 인류의 존속을 위협할 수 있는 위험성을 내포한 존재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는 인공지능이 진실로 인류의 실존을 위협하기 때문이 아니라, 신기술에 대한 막연한 공포감을 이용해 흥행성을 높이는 장치로 인공지능 캐릭터를 창조했기 때문이다. 인류 역사에서 신기술에 대한 공포와 논쟁은 오래 전부터 이어져 왔으며, SF영화의 인공지능 캐릭터는 제작 당시의 과학기술 인식에 의해 상상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인공지능을 주제로 한 논쟁에서 영화적 묘사에 집착하기보다는 인류에게 유익한 방향으로 발전을 이끄는 자극제 역할로 국한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The Science Fiction(SF) work since post-modern has stimulated a unique curiosity and spirit of inquiry to promote new inventions and discoveries. The SF works describe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that will emerge in the near future or borrow issues on science and technology in order to gain public sympathy. Thus, it is critical to approach the popular perce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SF movies.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characters in movies since the 1960s when the AI characters emerged in earnest and examined them in relation to current optimism and pessimism. Until the 1960s and early 1980s, AI was not dependent on the network but operated independently. It was not existed with superintelligence but specialized in limited functions. The revolt of AI was not the result of its self-judgement, but of human greed or error. From the late 1980s, characters with the same level of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 (AGI) appeared. Due to the overconfidence of AI, they raised questions about errors caused as human forgets the need to control AI. In the 1990s, the AI was portrayed as existence which was based on network as the internet became popularized. The superintelligence has appeared to provoke war on humans, or AI has been described as one that destroys humanity by synchronizing the cognitive ability and emotions of life. It is true that AI in movies has emphasized its negative aspects.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SF movies that are based on AI errors or revolts. Even if a good AI character is introduced, it is often described as a danger that could threaten the continuation of mankind at any time. The reason is that AI is not truly a threat to the existence of mankind, but it was created as a device that enhance popularity by using vague fear of new technology. The fear and debate over new technologies has long been occurred in human history and the AI characters in SF movies have only been imagined by the awaren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t the time of produ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I-themed debate to the role of stimulant that leads to development in a direction beneficial to human rather than focusing on cinematic depictions.

      • KCI등재

        1930년대 『科學館報』에 나타난 ‘과학 기술’의 표상과 특징

        한미라(Han, Mi-Ra),이대화(Lee, Dae-Hwa) 한국문화융합학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5

        현재 과학기술 분야에서 가장 논쟁적인 이슈는 인공지능을 비롯한 소위 ‘4차 산업혁명’에 관한 것이다. 이에 관한 입장은 희망적인 관측과 비판적인 관점으로 나뉜다. 희망적인 입장을 지지하는 쪽은 인공지능이 인간의 미래를 더욱 윤택하게 만들어 줄 것으로 기대하는 반면, 비판론자들은 윤리적인 문제를 내세워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어둡게 보고 있다. 현재의 논쟁은 매우 치열해 보이지만, 인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할 때마다 비슷한 논쟁이 반복되어 왔다. 그리하여 이 논문에서는 1930년대 과학기술의 인식에 관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당시는 첨단 과학기술의 긍정적인 전망이 훨씬 우세하였다. 그런데 당시의 맹신은 제2차 세계대전이라는 참혹한 결과를 낳았다. 따라서 당시의 상황을 되짚어 본다면 현재의 과학기술 논쟁을 분석하는데도 유용할 것이다. 그 결과, 1930년대 식민지 조선의 과학기술 이해의 수준은 제국일본에 종속된 상태였다. 당시 일본은 과학(natural science)과 기술(engineering)을 구분하지 못한 상태로 근대 과학을 수입하였고, 군사와 국가정책이 과학을 지배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식민통치의 구조적인 차별과 민족차별이 함께 작용하면서, 식민지조선의 과학 인식은 당시 조선총독부의 정책 방향에 일방적으로 지배당했다. 1930년대 식민지조선의 과학기술정책의 목표는 ‘과학 동원’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었다. 물적 자원의 착취와 재활용을 비롯해, 군수산업에 동원할 수 있는 수준의 교육을 받은 인적자원을 단기간에 양성하기 위해서였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항공기를 비롯한 당시의 첨단무기를 과학기술로 포장하여 전쟁에 관한 긍정적 이미지를 형성하였고, 자원이 부족한 일본의 약점을 메꾸기 위해 대체자원의 개발을 높이 평가하는 등의 현상이 나타났다. 즉 과학기술에 대한 인식이나 미래 전망은 외형상 가치중립적이며 장기적인 안목을 제시해 주는 듯한 착시현상을 일으키지만, 실제로는 당시에 직면한 정책상의 문제를 미봉책으로 덮는 수단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여야 한다.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in the field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the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including artificial intelligence. The position on this matter is divided into hopeful and critical perspectives. Those who support the hopeful position expect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will make the future of human beings more enriching, while critics negatively see the future of 4th industrial revolution by addressing ethical issues. Although the current argument seems very intense but similar debates has been repeated every time humanity developed innovative technology. In this paper, the case about recogni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1930s was analyzed. At that time, the positive prospects on advanced technology were outnumbered. However, their strong belief caused a tragic result, the World War II. Hence, reconsidering the previous situation will help to analyze the current science and technology debate. As a result, the understanding level of science and technology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was subordinated to Imperial Japan. At that time, Japan imported modern science without distinguishing betwee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as well as military and national policies dominated science. With the systematic discrimination of colonial rule and ethnic discrimination, the scientific recognition of the colonial Joseon was unilaterally dominated by the Joseon Government- General’s policy. The purpos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of the colonial Joseon in the 1930s was to form the basis of ‘mobilization of science’. It was necessary to train human resources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a level of education that can be mobilized in the military industry, as well as to exploit and recycle material resources.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advanced weapons including aircrafts were considered as science and technology and created positive views. Additionally, the phenomenon, where the development of substitution resources were highly evaluating to cover Japan’s weakness, appeared. In other words, the perception on science and technology or the future prospect seems value neutral and causes an optical illusion that seems to suggest a long-term view.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that it can actually be negatively used as method to cover the matter of policy faced at that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