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도 문화에 나타난 정(淨)-부정(不淨)의 상징성

        이노미(Lee No-Mi)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2

        인도는 다양한 민족과 언어, 종교, 그리고 문화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다민족 국가로 다른 그 어느 곳보다 먼저 문화의 공존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진 다원성의 국가이다. 기존의 문화가 분화되는 곳에서는 늘 내, 외적인 갈등이 심화되기 마련임에도 불구하고 인도 카스트의 불평등 계층구조는 서로 충돌하지 않은 채 수 천년 동안 상생의 문화구조를 지속하는 불가사의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Mary Douglas의 ‘순수와 위험(Purity and Danger)’에 나타난 오염론을 중심으로 인도인의 삶과 문화의 기저에 위치한 정(holy)-부정(unholy)의 이원화된 상징체계의 문화유형을 통해 인도 사회분류 체계와 문화공존의 의미를 보다 체계화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부정의 상징체계는 사회적 규칙과 경계를 새롭게 재정비하고 강화하기 위한 기본 매커니즘으로 다양성이 혼재된 거대한 대륙 인도를 하나의 통합체제로 강화한 효율적 기제임이 밝혀졌다. 즉 정-부정은 다른 쪽 경계의 지배권을 획득하고자 하는 인지적 분류가 아닌 양극단의 오염에 대한 두려움을 재합일하여 벗어나기 위한 도덕적 질서체제인 것이다. 이로서 정-부정은 갈등과 대립의 반목적 관계가 아닌 조화와 통합의 상생적 공존 관계로 더글라스의 오염론은 사회체제의 구조적 관계 뿐 아니라 문화 상징체계를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으로 작용하고 있다. As a multiethnic state mingled with various nations, languages, religions, and cultures, India is a pluralistic state where coexistence of cultures is successfully fulfilled earlier than any other countries. Although it is natural to cause worsening home and foreign conflicts in a place where existing cultures are differentiated, the unfair stratification system of caste has mysteriously maintained coexistent culture structure without collisions for many thousands of year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India's caste and the meaning of cultural coexistence more systematically through culture types of the symbol system with duality of holy-unholy at the base of Indian's life and culture, centered on the pollution and culture theory appeared in Mary Douglas's ‘Purity and Danger’. The findings show that as the basic mechanism to newly reorganize and intensify social regulations and classes, the symbol system of holy-unholy was strongly efficient to incorporate diversity-mixed huge India as a single social system. In other words, the holy-unholy is regarded as the moral order system to re-incorporate fear for pollution of both extremes and get rid of it, not as the cognitive category to acquire the control of the other. In doing so, the holy-unholy is acting as the mutual coexistence relations of harmony and unity, instead of the hostile relations of conflicts and confrontation. Thus, it can be said that Mary Douglas's pollution theory is serving as a new methodology to understand structural relations of the social system as well as the cultural symbol system.

      • KCI등재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불확실성 감소에 따른 삼척 지역어 사용연구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표준어 주류사회로 진입한 삼척 지역어 사용자들의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호작용에 나타난 지역어 사용양상을 규명하고 나아가 지역어 사용을 원활하게 하는 불확실성 감소요인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삼척 지역어 사용양상은 표준어의 언어이동과 어휘의 code-switching, 어조의 무의식적 사용, 삼척 지역어에 대한 이중적 인식의 4가지 특성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특히 정체성과 친밀성, 유사성, 커뮤니케이션 양, 의사소통 만족도는 불확실성을 감소하는 주요요인으로 삼척 지역어 사용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대인 커뮤니케이션 상대방의 사회적 범주와 상호작용 동기는 불확실성 증가로 인해 삼척 지역어 사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밝혀졌다는데 주목할 만하다. 이를 통해 지역어 사용 역량을 도모하고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지역어 사용 태도와 관련한 언어 행위적 연구의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aspects of using Samcheok regional language found in communicative interaction of the users who have entered the mainstream society of standard language and also figure out the factors of uncertainty reduction to make the use of regional language more favorable.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are four different aspects found in using Samcheok regional language for communication, standard language’s language transfer, code-switching in words, subconscious use of tones, and dualistic recognition on Samcheok regional language. Particularly, identity and intimacy, similarity, the amount of communication, and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are found to be main factors to reduce uncertainty, and they, in fact, increase the use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 Meanwhile, it is noteworthy that the social category of the interlocutor and motivation to interact are found to be the factors to increase uncertainty and reduce the use of Samcheok regional language. Based on the results, this author intends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competency of using regional language and providing clues for research on language behavior associated with attitudes to use regional language in the perspective of communication.

      • KCI등재

        한,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호 인지평가를 통한 갈등관리 방안 연구: 한,중 대학생의 문화가치유형을 중심으로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과중국 문화가치유형의 상호인지능력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요인과 갈등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인 근접성으로 인해 서로의 문화적 유사성을 가정한 상태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실제 의사소통에서 부딪치는 문화적 갈등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중 대학생들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호인지평가를 측정한 결과 한국은 개인주의의 ‘서구적 가치관’이 지배적인 반면 중국은 집단주의와 권위주의의 ‘전통적 가치’를 고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국 학생들의 문화 간커뮤니케이션 인지불일치 갈등요인이 중국유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즉 중국유학생들이 한국 문화가치유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은 ‘문화적 차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갈등해결방식에서는 ‘협력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문화가치유형에 대한 한·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인지능력향상을 도모하고 이문화 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factors of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explore solu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by measuring and evaluating mutual cognitive abilities of Korean and Chines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cultural values in cross-cultural situations. There are problems that cultural conflicts in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re aggravated because communication happ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ir cultures are similar as two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close. Concerning to this,Intercultural communication mutually cognitive evalu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Western values of individualism were dominant in Korea whereas traditional values of groupism and authoritarianism stayed in China. Moreover, conflict factor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gnitive discord among Korean student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Chinese students which implied that Chinese students understood Korean cultural value orientation more accurately.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ointed out conflict factors of intercommunication as “cultural differences”, and preferred cooperation style as a method to ‘resolve conflicts’. The author expects that the present study to promote cognitive 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ross-cultural training.

      • KCI등재

        역문화충격의 구조적 요인과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 연구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재입국자의 역문화 충격에 대한 구조적 요인을 규명하고 나아가 역문화 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재입국자의 역문화충격 요인을 환경, 사회경제, 문화, 가치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5가지로 세분화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대기오염과 소음, 난폭운전, 고물가, 폭음ㆍ만취문화를 비롯하여 집단주의, 경쟁의식, 배려부족의 가치관이 역문화충격의 주요 요인임이 밝혀졌다. 또한 주관적, 일방적, 권위적 커뮤니케이션과 함께 신체접촉과 시선의 비언어에 대한 역문화 충격이 크게 두드러졌다. 역문화충격 적응과정에서의 비교문화역량은 `자문화 성찰과 타문화이해`는 물론 `문화의 보편성`을 추구함으로써 `문화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재입국자들이 역문화충격 과정에서 발생하기 쉬운 문화갈등을 최소화 함으로써 비교문화역량의 향상을 도모하고 역문화충격의 긍정적 요인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repeated experience of emigration and immigration over the cultural border improves the Cross Cultural Competence experience while it also produces problems of Reserve Culture Shock because of the psychological changes caused by an unfamiliar culture. It is because the prediction for different cultures is possible when anticipating a culture shock when you go abroad and it is relatively easy to adapt to Cross Cultural Competence. However, in the case of immigration back to your own country, this kind of prediction is never made. It can`t be emphasized enough that the importance of Reserve Culture Shock, an immigrating Korean, becoming an `alien in their own hometown` and having trouble with Reserve Culture Shock when you consider that the number of students and citizens abroad, and diplomats and other overseas professionals is increasing with globalization. Despite the effectiveness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there isn`t enough research concerning Reserve Culture Shock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motes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activating Reserve Culture Shock ability by investigating the level of Cross Cultural Competence during the re-immigration adaptation of Reserve Culture Shock. It is also expected that it will expand the horizon of improved awareness of Reserve Culture Shock, supported by the advances from existing research, and its educational value will be elevated by researching Reserve Culture Shock in an academic paradigm and the correlation with Cross Cultural Competence simultaneously.

      • KCI등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갈등 양상: 국내거주 무슬림 유학생을 중심으로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0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최근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국내 거주 무슬림을 고려하여 한국인과 무슬림 유학생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나타난 종교적 갈등 양상과 갈등관리를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연구 결과 이슬람에 대한 종교적 편견과 무지, 왜곡된 정보와 개종권유, 권위적인 태도로 인해 한국인과 무슬림의 종교적 갈등은 편향적, 형식적, 불확실성, 비논리적, 일방적, 차별적인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갈등전략에 있어서는 이슬람의 근원적 가치에 대해서는 공격형과 회피형을 지향하는 반면 일상적인 종교관습에서는 협력형을 추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전반적으로 한국인과 무슬림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은 한국인의 이슬람에 대한 내재된 고정관념과 편견이 종교적 갈등으로 발산되며 무슬림 유학생들은 종교적 갈등을 내면화하여 조정함으로써 상호친분을 도모하고자 하는 특징을 보인다. 본 연구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의 종교적 문화갈등을 최소화하는 데 필요한 갈등양상의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s mainly conducted to examine aspects of religious conflicts and conflict strategie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s and Muslim students in Korea by considering the recent rapid growth of Muslim population in Korea.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aspec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re biased, formal, uncertain, illogical, unilateral, and discriminative due to religious discrimination, prejudice, ignorance, distorted information, advices of conversion, and authoritative attitud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s and Muslim Foreign students shows religious conflicts caused by Koreans` inherent mindset and prejudice about Muslim, and Muslim Foreign students in Korea attempt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by internalizing and adjusting religious conflic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s suggest facts that minimize religious cultural conflict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을 위한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 평가연구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1

        본 연구는 한국 대학생들의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문화 간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교육 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흔히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언어적 측면만을 강조하여 의식적 혹은 무의식적으로 수반되는 비언어 메시지의 중요성이 간과됨으로써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한 문화갈등이 증폭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특히 손짓언어는 메시지 해석 오류의 불확실성이 높은 만큼 체계화된 교육과정의 훈련 없이는 인지과정의 태도변화를 조정하기 쉽지 않은 까닭에 인지능력개발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중국 손짓언어에 대한한국 대학생들의 인지능력을 검토한 결과조사대상자의 72.8%가 매우 저조한 주변형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동작유형별 인지능력에 있어 정보제공동작과 다중손짓언어, 개체손짓언어의 인지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났다. 그 외 중국어 수준과 중국체류기간, 비언어 학습경험이 중국 손짓언어 인지능력의 주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중국손짓 인지능력 향상의 문화 간 비언어커뮤니케이션 훈련의 교육적 가치를 고양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produce base data to search the educational methods of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by measuring and evaluating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In most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only linguistic aspects are emphasized and the importance of nonlinguistic messages that accompany them is disregarded, amplifying the cultural conflict due to nonverbal communication. Especially, hand language has high possibility of misinterpreting the message so it is hard to change cognitive process without systematic training through education course. So the education to develop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hand language is regarded important. Against this backdrop, this study reviewed Korean colleg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e study result showed that 72.8%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at a very low Isolation level. In terms of cognitive ability depending on gesture types, the recognition rate of information-providing gesture, multiple hand language, and traditional hand language marked significantly low, and the subjects’ level of Chinese, duration of stay in China, and nonlinguistic learning experience turned out to be main factors in th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This study is believed to provide base data required for Intercultural nonverbal communication educational methods to improve the cognitive ability to recognize Chinese hand language.

      • KCI등재후보

        일본 하이브리드 문화의 원천과 전승 양상

        이노미 ( No Mi Lee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人文科學 Vol.0 No.49

        본 연구는 21세기 디지털 정보사회의 문화적 패러다임으로 상징되고 있는 혼종성의 본의를 통해 일본 하이브리드 문화의 원천양상과 전승형태를 규명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하이브리드는 서로 다른 이질적인 것들이 결합하여 새로운 계통을 창조하는 잡종화의 과정으로 ``모방``을 통한 일본의 궁극적 목표가 ``창조``라는 본연의 의미와 부합됨으로써 일본은 하이브리드의 표징으로 인식된다. 일본문화의 잡종성은 인간을 자연과 동일시한 그들의 정체성의 공간인 ``숲``의 잡종강세를 통해 터득한 것으로 생물학에서 발현한 ``하이브리드``의 본질이 자연스럽게 용해되어 있다. 외래문화와 고유문화가 뒤섞여 일본토양에 맞게 창조된 일본의 하이브리드 문화는 기층문화가 소멸된 것이 아닌 그 모든 것들이 중층적으로 공존 하는 특징을 지닌다. 특히 일본 내부에 자발적으로 구축된 혼성화의 결과는 하이브리드 문화의 바탕이 되는 ``와(和)``의 가치관을 통해 일본 근대화 촉발의 배경인 ``화혼한재(和魂漢才)``와 ``화혼양재(和魂洋才)``의 태동에 크게 기여하였다. 일본 하이 브리드 문화의 전개양상은 크게 내부 토착의 ``전통형``과 해외발산의 ``글로벌형``, 해외에 토착화된 ``해외현지화형``의 3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하이브리드를 통한 일본문화의 발전은 문화들 간의 섞임을 정당화하여 새로운 문화를 창출해내는 문화적 개방성과 다원성, 창의성에 기인함으로써 지식정보사회의 미래국가 창의력의 토대가 되고 있다. 이에 우리들 또한 문화 순종성에서 탈각하여 경계가 해체되어 융합되는 혼종성을 지향하여 나아가야 할 것이다. 하지만 고유의 사상과 가치관이 내포되지 않은 무작위적인 결합의 하이브리드는 지역문화의 고유성과 독자성을 상실하는 위기를 초래할 수 있음을 상기하여야 한다. 이에 본 논의는 문화다원주의를 견지하여 문화다원성과 개방성을 통해 하이브리드 문화 이해에 필요한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e chief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ue meaning of hybridity that is the symbol of the cultural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digital information society and investigate the types of sources in Japanese hybrid culture and the patterns of its transmission. ybrid is the process of hybridity to combine heterogeneous things and create a new system. As it corresponds to the original meaning that Japan`s ultimate goal through ``imitation`` is ``creation``, Japan is recognized as the symbol of hybrid. Japanese hybrid culture created properly for the Japanese soil as foreign and its original culture are well harmonized i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it doesn`t mean the absence of basic culture but the coexistence of all in multilayered ways. In particular, the result of hybridity established voluntarily in the inside of Japan did contribute greatly to the birth of ``Hwahonhanjae`` and ``Hwahonyangjae`` which are the background of triggering Japanese modernization through the value of ``Wa`` that is the ground of its hybrid culture. As the development of Japanese culture through hybrid justifies the mixture of cultures and contributes to cultural openness, diversity, and creativity to produce new culture, it becomes the ground of creativity to build a future nation in the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Thereupon, we also have to escape from cultural monism but pursue hybridity where boundaries collapse and fuse. However, we should also deem that the hybrid resulted from random combination without our original ideas or values will lead to the risk in which we may lose the originality or uniqueness of local culture. Therefore, this discussion can be seen significant in that it adheres to cultural pluralism and provide essential clues to understand hybrid culture through cultural pluralism and openness.

      • KCI등재

        인도 민속미술 `Rangoli`의 도상적 표현과 특성

        이노미 ( Lee No-mi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41 No.-

        본 연구는 인도의 전통 민속미술인 `랑골리`의 이론적 정초를 통해 랑골리의 도상적 표현과 상징성을 밝힘으로써 랑골리의 특성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랑골리는 인도여성들이 집 대문 앞이나 거실 바닥에 흰 쌀가루로 도안을 그린 후 그 안에 색색의 염료로 물들인 가루를 채워 넣는 인도 전통의 민속미술로 가정의 안정과 복을 기원하는 성스러운 종교적 도상을 뜻한다. 우주만물의 원리를 도상화한 랑골리는 영적 진화의 과정을 거쳐 궁극적 실재를 체험하게 함으로써 자아와 우주가 하나됨을 깨달을 수 있는 명상도상으로 생명존중의 힌두사상이 반영된 종교예술의 표본이다. 약 5천여 년 전에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는 랑골리는 신과 인간관계의 동일성을 반영한 점과 선을 잇는 대칭구조의 무한한 패턴이 가능한 특성을 보인다. 즉 균형은 랑골리의 중요한 핵심으로 이는 힌두사상에서 우주의 균형을 상징하며 우주본질의 무한성과 신들의 영원성을 상징한다. 이에 본 연구는 신의 현현 또는 신의 현존으로 인식되는 랑골리의 도상적 표현과 상징성을 분석함으로써 랑골리는 힌두사상의 종교적 상징을 함축함과 동시에 시공간과 성(性)적 제한성, 서민예술의 대중성, 자연친화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또한 랑골리는 집중력과 인내심, 상상력을 동반한 창의적 미술 감각은 물론 과학, 수리적 사고력이 함께 동반되는 힐링 아트(healing art)의 창작예술교육으로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의는 그동안 국내에서 논의되지 않았던 랑골리에 대한 독창적 연구로 랑골리의 이론적 단초를 제공하였다는데 유의미한 연구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Rangoli”, a traditional folk art of India, by revealing the iconic expression and symbolic nature of Rangoli through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Rangoli. As folk art whereby Indian women make a drawing with white rice powder on the floor in front of a gate or of living room and fill the drawing with powders dyed with colorful pigments, Rangoli is a religious icon to wish peace and blessings on a family. Rangoli, which symbolizes the laws of all things in the universe, is a contemplative icon through which we are able to realize the unity of the self and the universe by enabling us to experience a fundamental existence through the process of spiritual evolution. This is also a sample of religious art that reflects the respect of life in the Hindu ideology. Consequen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conic characteristics of Rangoli, Rangoli was discovered to imply the religious symbolic nature of the Hindu ideology and at the same time to have spatiotemporal and sexual limitations, the popularity of folk art, and nature-friendly characteristics. Accordingly, as an original study on Rangoli, this discussion will be meaningful in furnishing a theoretical key to Rangoli.

      • KCI등재
      • KCI등재

        논문 : 도시소설에 나타난 태국 매춘지역 “나나”의 이미지 연구

        이노미 ( No Mi Lee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5

        본 연구는 도시소설 『새벽의 나나』에 재현된 매춘지역의 장소성과 삶의 의미체계를 통한 나나지역의 이미지가 어떻게 발산되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장소와 인간이 함께 어우러지는 공간의 공존성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시 이미지의 진정성은 물질적 실체 그 이상이며 사람들이 살고 일하는 장소 그 이상의 ‘경험적 결과’에 의해 표상된다. 도시 이미지에 있어 중요한 것은 바로 인간실존의 표상이며 이는 도시의 실체가 인간에게 스며들었을 때 연상되는 것이다. 이처럼 기호의 장소이자 상징의 장소인 도시 텍스트에서 인간 실존의 이야기는 도시공간의 핵심적인 부분으로 이는 도시소설 등의 도시 인문학적 고찰에 의해 해명될 수 있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 방콕 매춘지역인 나나는 1) 엑조티즘과 섹슈얼리티의 공간 2) 문화적 혼종성 3) 윤회와 카르마의 신성성(神聖性), 4) 초현실적 판타스마고리아, 5) ‘보라’와 ‘노랑’의 조형적 이미지를 지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도시 인문학적 성찰은 매춘지역으로만 인식되어온 나나지역의 공간적 이미지를 새롭게 창출함으로써 장소가 지니는 긍정적 의미를 복원하는 주요단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the image of prostitution area ‘Nana’ reproduced in city novel 『Nana at Dawn』 is released. Through this, the current study is going to seek the coexistentiality of a place which means a place that is harmonized with humans. The authenticity of urban image transcends its physical substance, and it is represented by the ‘empirical result’ beyond the place where people actually live and work. What is important about urban image is the representation of human existence. This can be explained by considering urban humanities including city novels.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is study, Nana, the prostitution area of Bangkok, is with the following images: 1) the space of exotism and sexuality, 2) cultural hybridity, 3) the divinity of samsara and karma, 4) surrealistic phantasmagoria, and 5) the formative image of ‘purple’ and ‘yellow’. This consider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humanities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newly created the spatial image of the area of Nana that has been recognized merely as prostitution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