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義昌 茶戶里遺蹟 發掘進展報告 (I)

        李健茂,李榮勳,尹光鎭,申大坤 국립중앙박물관 1989 고고학지 Vol.1 No.-

        The site is located in a low-lying hill area, rice paddy at present, at Taho-ri Uichang-gun County at a distance of 13 kilometers from Masan(馬山) City. The site was found and surveyed by the Archaeological Team of National Museum of Korea in 1988. It was in the poor state. The tombs were not well kept and most had been broken into by grave robbers. The tombs were excavated with the scholarly purpose of studying their constructions not with hope to retrieve artefacts. The excavation took place from January 21 to April 27, 1988. During the period, 11 burial pits, each with a wooden coffin, and two burial pits, each with a jar coffin, were excavated and examined. All of the 11 wooden coffin tombs have rectangular plan and its longitudinal axis in the SE-NW direction. The jar coffins are dependent on the wooden coffin tombs. Because of the considerable amount of water contained in the Tomb No. 1, one of the wooden coffin tombs, the relics were preserved almost intact. Some of the wooden coffin tombs have a small pit on the floor, in which a bamboo basket containing funerary objects is placed. The wooden coffin is put on that small pit. The wooden coffin of the Tomb No. 1 was made of a split log of a tree of oak family, one part hollowed out to form a corpse container and another part serving as a lid. Major items found in the tombs are bronze implements, iron implements, potteries and lacquerware including bronze daggers with lacquered scabbard, iron axes with a wooden handle, writing brushes, lacquerware containers, bows and arrows, coins and bronze mirror of Han(漢)China. In addition, there were some glass beads, ropes, chestnuts and leaves. The finding from this tomb sit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Members of a ruling family of the period is suspected to have been buried in the site. 2. The iron axes and farm implements indicate that iron was produced in Korea much earlier than previously thought. 3. Writing brushes indicate use of ink writing on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period. 4. It is thought that the lacquerware was locally made in the area, because the lacquerware does not show any signs of Chinese influence either in motif or in style. 5. The presence of glass beads show that it is possible that glass was produced in Korea during the period. 6. The sophisticated craftsmanship of the relics indicates that there were professionals in each field. 7. The Osu coins (五銖錢)and the bronze mirror of Western Han (西漢)China among the funerary objects help us to think that the site probably dates from the second half of the 1st century B.C. to first half of the 1st century A.D. They also show that commercial exchanges took place between the Taho-ri area and Lolang in Ancient Korea. 8. Judging from the above, it is thought that a powerful ruling system had existed in the area in the latter part of the 1st century B.C.

      • 다호리유적 출토 붓(筆)에 대하여

        이건무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2 고고학지 Vol.4 No.-

        1988년 초에 발굴조사된 경상남도 의창(현 창원)군 소재 다호리유적의 제1호분에서는 각종 청동기, 철기, 칠기 등 수많은 부장품이 통나무 목관과 함께 완벽한 상태로 출토되어 관련 학자는 물론 세인의 관심을 모았다. 특히 부장품 중에는 다섯자루의 붓이 포함되어 있어 우리나라의 문자 사용과 관련하여 크게 주목을 받았다. 이 붓이 서사용(書寫用)이라면 고대의 문자 사용에 대한 역사기록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고고학적인 물증이 되기 때문이다. 이 붓이 과연 문자를 쓰기 위해 제작된 것인가 아닌가 여부에 대해서는 조사 당시 발굴자 사이에서도 이견이 있었으며, 발굴진전보고서도 개보적인 성격을 띤 것이라 붓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고찰이 없었다. 필자는 이 붓에 대한 고찰을 붓 소재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검토가 이루어진 뒤에 종합보고서에서 다루려고 하였지만, 우선 지금까지 생각해온 내용을 먼저 정리하고 그 뒤에 보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느껴 본고를 통해 의견을 간략하게 제시하였다. The wooden coffin tomb No. 1 of the Daho-ri(茶戶里) site, excavated in 1988, has a small pit under the coffin(腰坑),in which a bamboo basket con-taining funerary objects was placed. Five ink-brushes were placed in the bamboo basket with bronze and iron items. The author attempts to clarify that the brushes were really writing ones, indicating the significance of the brushes as funerary objects. The main points of the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Comparing with the structure of the tomb and the shape of the writing brushes during the Warring States and Han China, the Daho-ri brushes were undoubtedly the writing ones of the early Proto-Three-Kingdoms period. 2. The man who was buried in the Tomb No. 1 traded with foreign countries including Han China or Lolang, and exchanged casting iron ingots as axes for Chinese items such as bronze mirrors, buckles, bells and coins. 3. He was thought to need the writing brushes for drawing up documents for the trade. 4. Iron knife with round pommel was used to erase the clerical errors on wooden stripes. The writing brush and the iron knife were a set of the stationery. 5. The system of weights and measurement might have come into existence in Korean Peninsula in the times of the Daho-ri site.

      • 창원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Ⅱ) : 제3·4차 발굴조사개보

        이건무,윤광진,신대곤,김두길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1 고고학지 Vol.3 No.-

        다호리유적은 1988년 1월 국립박물관조사단에 의해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그 고고학적 성과로 국내외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모은 유적이다. 이후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동 유적이 도굴의 피해를 상당히 입은 유적임에도 불구하고 그 중요성으로 보아 연차적인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여 그 지역 일대를 사적(제327호)으로 지정하는 한편 계속 조사하기로 하였다. 제1·2차에 이어 제3차 조사는 1988년 11월 1월부터 12월 10일 사이에, 제4차 조사는 1989년 3월 30일부터 5월 8일 사이에 동 지역의 논 일대에 대해 실시되었다. 제3·4차 조사내용은 제1·2차에 조사되었던 것들과 동일한 성격을 보인다. 그러나 제1·2차 발굴에서 볼 수 없던 승문타날토기호(繩文打捺土器壺)를 비롯하여 투창(透窓)이 있는 대부호(臺附壺), 그리고 우각형동기(牛角形銅器)·청동기류, 철퇴(鐵槌)와 같은 단야구(鍛冶具) 등의 새로운 자료로 확인할 수 있었던 점은 큰 성과라 할 수 있다. The Daho-ri(茶戶里) site in Changwon(formerly Uichang) county was firstly found and excavated in 1988. Because of its importance as a burial site dated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yielding large amount of lacquerwares and iron implements,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planned out a long term excavation of the site. The third excavation took place from November 1 to December 10, 1988 and the fourth excavation from March 30 to May 8, 1989. The excavation revealed 15 wooden coffin tombs. All of the tombs have a rectangular plan and their longitudinal axis were on the SE-NE direction. The tomb's structures are almost same as those in the first and second excavations. The findings from the 3rd and 4th excavations may be summarized as. 1. An iron hammer and typical types of forging iron implements imply that the forging iron was directly made in this area and the forging technique reached to a considerably high level in this period. 2. The lacquerwares painted in red with geometric patterns show diversity in decoration techniques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refer to plate No 4-②). In addition, their geometric designs are thought to reflect the decorative traits of the Korean Bronze Culture. 3. The potter's marks on the potteries were believed to be introduced to Daho-ri area from Han China for the first time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which is suggested by the present knowledge that the potter's marks on the potteries found from Daho-ri site are believed to be the earliest examples ever known up to now. 4. Some miniature potteries were considered to be made in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for mainly funerary purpose rather than practical use. 5. It is thought that fancy bronze objects(horn-shaped bronze implement etc), found every so often in Tsushrma(對馬), were made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n the period. The succeeding future excavations are expected to throw some light on the good picture to represent the major cultural features of the early Proto Three Kingdoms Period.

      • 창원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Ⅲ) : 제5·6차 발굴조사개보

        이건무,윤광진,신대곤,정성희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3 고고학지 Vol.5 No.-

        From March 28 through May 7, 1990 and from April 17 to May 10, 1991, the Archaeological Team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excavated and surveyed the Daho-ri site in Changwon county. The fifth and sixth excavation revealed 15 wooden coffin tombs and two jar coffin tombs. The structures of the tombs are almost same as those in the first–fourth excavations. The findings from the fifth and sixth excavation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is thought that the cylindrical black-lacquered quiver, believed to be the earlest example ever known up to now, was the characteristic one of the early Proto-Three Kingdoms period. 2. The find of the so-called bomb-shaped jar, fairly large in size and slender in shape, will be lighed on at the typology of the pottery of Proto-Three Kingdoms period. 3. The iron fishhooks show that rod fishing was the one of the main means of livelihood in the period. 경남 창원 다호리유적은 1988년 초에 유적의 존재가 알려진 이래, 연차적인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는 원삼국시대 초기에 해당하는 분묘유적(墳墓遺蹟)이다. 이번 제5차 조사는 1990년 3월 28일부터 5월 7일 사이에, 제6차 조사는 1991년 4월 17일부터 5월 10일 사이에 실시되었다. 그 결과, 제5차 조사에서는 목관묘 8기(제30~37호분), 제6차 조사에서는 목관묘 7기(제38~44호분)와 옹관묘 2기(제45·46호묘)를 발굴하여 모두 15기의 목관묘와 2기의 옹관묘가 조사되었다. 이번 제5·6차 발굴조사에서는 관(棺) 아래쪽 묘광(墓壙) 바닥에 유물부장갱(遺物副將坑)<요갱(要坑)>이 없는 유형의 목관묘만 확인되었고, 아울러 청동제품이 전혀 출토되지 않아 1~4차 조사 내용과는 약간의 차이를 보인다. 한편, 철제낚시바늘, 원통형칠기화살통 및 새로운 기형(器形)의 토기자료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도 앞의 조사내용과는 다른 점이다. 그렇지만 제5·6차 발굴조사에서 드러난 유물의 전반적인 내용은 제1~4차에 걸쳐 조사되었던 것들과 거의 동일한 성격을 띠고 있다.

      • 한국식동검의 조립식 구조에 대하여

        이건무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5 고고학지 Vol.7 No.-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 초기에 걸쳐 사용된 무기류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한국식동검임은 주지하는 바이다. 이 한국식동검은 발견 예가 많은 편이나 출토상황을 정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은 극히 적고 대다수는 검신(檢身)만이 유리(遊離)되어 단독으로 출토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식동검은 중국식동검이나 오르도스식동검과는 달리 검파(劍把)와 검파두식(劍把頭飾)을 따로 만들어 조립하도록 되어있다. 검파는 청동제품도 있지만 대부분 나무로 만들었기 때문에 썩어서 남지 않았다. 검파두식은 석(石)·철광석(鐵鑛石)·청동·목(木)·토(土) 등으로 제작되어 검신과 함께 출토되기도 하지만 그 조립방법에 대해서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은 한국식동검의 조립식 구조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 동검의 조립식 구조를 이해하는 작업은 한국식동검문화의 기원문제와 관련해서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다행하게도 수년 전에 조사된 다호리 원삼국 초기 목관묘 유적에서는 검초(劍鞘)를 비롯해 한국식동검에 관한 양호한 자료가 다수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그 전체 구조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다호리 유적 출토 자료를 중심으로 한국식동검의 검초, 검파 및 부속구의 조립식 구조와 쓰임새가 어떠하였는지 고찰하고 시안(試案)으로 동검 각 부분에 대한 명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창원 다호리유적 발굴진전보고(Ⅳ)

        이건무,송의정,정성희,한봉규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5 고고학지 Vol.7 No.-

        The purpose of excavating Daho-ri burial site for the seventh time is to clearify the distribution of the tombs of the Proto-three Kingdoms and to certify that the tombs of Gaya was in succession made after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s the result, to the north of the site under the sea-level of 10m, no tombs have been found; and to the south, tomb No.64 which is the latest of all tombs excavated has been discovered. In consequence, the distributive characteristic of the tombs which range from the outer field by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higher locations by the Gaya period can be noticed. Most of the tombs that have been unearthed this time have used wooden coffin in the shape of a manger; however, tomb No. 64, though uncertain, shows the evidence of wooden outer coffin and No. 66 a wooden coffin not of manger shape but long hexahedral cube. Among the earthenwares, an earthenware excavated from tomb No.57 which imitated a wooden box is the most important piece, and among the bronze items, a bronze tubular-shaped jade from tomb No.61 and bronze pommel head from No.69 which is similar to the piece excavated in Tshusima island, Japan are the first to be excavated. Noticiable iron products excavated are the pieces similar to the shape of iron weeding hoe from tomb No.66 and bits from tomb No.69 and 70. The bits have similar characteristics as that from Sang-ri site in Taedong-gun, Pyong-annam-do provience. These represent that the horses at the time were used as means of transportation. Excavated lacquerwares are comparably many in number; however, they are very poor in condition even to perform a restoration. Fortunately, a recognizable lacquer ladle was found inside a pot by which we could presume that people of the time started using ladles due to the influence from Lolang or Han Dynasty of China. Other bronze ladles from different sites of the time also certify this hypothesis. Furthermore, an iron ore weighing 6kg has been found together with other burial objects. This signifies the importance of iron in the ancient society. In the future, we shall clearify the chronology of the tombs and rank the tombs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 as the result of excavating the site for seven times. When this is accomplished then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the styles and assemblage of the tombs can be performed. 이번에 보고할 제7차 조사는 1992년 10월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66일간에 걸쳐 실시되었다. 조사는 일차적으로 이 지역 원삼국시대의 목관묘가 분포된 범위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것으로서, 기왕의 발굴조사에서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유적의 가장자리에 해당한다고 추정되는 지점과 평지의 목관묘에서 구릉상의 가야고분으로 순차적인 조영이 이루어졌는지를 밝히고자 분산된 위치에 발굴지역을 설정하였다. 조사결과, 목관묘 26기(제47호~72호)를 확인하였는데, 이 가운데 6기(제57·65·68·69·70·72호)만 처녀분(處女墳)이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도굴된 것이었다. 분묘의 구조는 관(棺)의 아래쪽 묘광(墓壙) 바닥에 유물매장갱[요갱(要坑)]이 없는 유형이었다. 조사목적에 비추어 평지 쪽으로는 유적의 동북쪽 분포상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산기슭에서는 평지의 목관묘와는 달리 규모가 약간 크고 목곽묘(木槨墓)에 가까운 구조의 분묘 1기가 확인되어 구릉으로 올라가면서 순차적으로 보다 늦은 시기의 무덤들이 조영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해주었다. 이번 조사에서 출토유물의 경우 이전의 조사에서 드러나지 않았던 특징들이 나타난 예가 있다. 토기의 경우 64호분의 조합식우각형파수부호(組合式牛角形把手附壺)는 기형상의 특징이 같은 기종 중에서도 늦은 단계의 것임을 알려주고 있으며, 61호분의 청동제 관옥(管玉)은 국내에서는 처음 출토된 것이며, 69호분의 검파두식(劍把頭飾)도 동일한 것이 쓰시마섬(對馬島)에서 출토된 예가 있으나 국내에서는 처음이다.

      • 황룡사지 출토 인물문전

        이건무,김길식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2 고고학지 Vol.13 No.-

        1976년부터 1981년까지 8차례에 걸친 경주 황룡사지 발굴조사는 『삼국사기』·『삼국유사』 등 사서(史書)에 기록된 황룡사의 실체와 전모를 밝히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여기서 출토된 많은 유구·유물들은 인근의 안압지 유적의 조사 내용과 더불어 통일신라 고분·미술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주었다. 황룡사지에서 출토된 많은 유물 중 인물상이 선각된 전(塼) 1점이 있다. 이 전은 황룡사지 내에 축조되었던 여러 건축물들 중의 한 건축물의 건축 부재로 사용된 유물이다. 따라서 이 전에 묘사된 인물 화상(畵像)의 내용을 황룡사에서 행해졌던 각종 행사 기록들과 비교해 봄으로써 그 화상의 내용을 어느 정도 추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에 그려진 인물상을 통하여 당시 신라 문·무 관인의 복식 형태를 알아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화상 중의 문관상은 약간 파손되기는 하였지만, 당 이현묘(李賢墓) 벽화에 그려진 고분 한국계 사신에 비견되는 내용을 지니고 있어 당시 신라 관인의 복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실물 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되어 소개를 겸하여 검토해보았다.

      • 다호리유적 발굴의 의의

        이건무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9 고고학지 Vol.- No.특집호

        창원 다호리유적은 1988년에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이래 1992년까지 모두 일곱 차례의 조사가 이루어졌다. 원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특이한 형태의 목관과 장제의 확인으로 그동안 막연히 토광묘, 또는 목관묘라고 부른 원삼국 묘제의 실체를 파악할 수 있게 한 유적이다. 또한, 철기, 칠기 등 다양하고도 많은 부장품이 완벽한 상태로 출토되어 밝혀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들을 알려준 유적이기도 하다. 본고에서는 다호리유적 발굴 20주년을 맞이해 조사의 의의를 몇 가지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 당진 소소리 유적출토 일괄유물

        이건무 한국고고미술연구소 1991 고고학지 Vol.3 No.-

        소소리 유적은 행정구역상으로는 충남 당진군 합덕면 소소리전 64-27에 속하며 합덕읍내에서는 서쪽으로 약 1.5km 정도 떨어져 위치한다. 소소리유적을 중심으로 반경 20km 내외의 주변 선사유적으로는 삽교천 동안의 아산 궁평리유적을 비롯해 남성리, 백암리유적, 예산 동서리, 해미 휴암리, 당진 우두리유적 등이 있는데 대부분 청동기, 철기 관계 유적으로 한국식동검문화와 깊은 관련이 있는 것들이다. 출토유물 중 철기시대 유물은 한국식동검(韓國式銅劍) 1점, 동제검파두식(銅製劍把頭飾) 1점, 정문경(精文鏡) 2점, 철착(鐵鑿) 2점, 유리 관옥(管玉) 2점, 석촉(石鏃) 1점, 흑색토기(黑色土器) 1점 등이다. 소소리유적 출토 일괄유물은 장수 남양리, 부여 합송리, 공주 봉안리 유적 일괄유물 등과 맥을 같이하는 철기시대 초기의 유물로서 중국 동북지역으로부터 서북한지역을 통해 유입된 철기문화의 내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매장문화재로 신고된 것이라 유구의 내용과 출토상황을 전혀 알 수 없지만, 자료가 부족한 이 시기의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The Soso-ri site is located in low-lying hill area of Dangjin-gun(唐津郡) County about 1.5 kilometers west of Hapdok town. The site was discovered accidentally by the landowner during cultivation. Being extremely damaged, it did not yield any structures. The site produced rich archaeological materials such as a bronze dagger, a bronze dagger axe and two bronze mirrors. In addition, an iron axe, two iron chisels, two tubular glasses, a stone arrowhead, a whetstone and sherds of black burnished potteries were unearthed. The archaeological interpretation on the findings from this site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ite was probably a stone-lined pit tomb or a wooden coffin tomb surrounded with piled stones, which is the typical form of tombs made during the Korean-type Bronze Dagger Culture Period. 2. The associated artifacts from the site show the culture complex of the Korean Early Iron Age. 3. It seems clear that the assemblage artifacts found from this site are quite simmilar to those from Namyang-ri(南陽里C), Hapsong-ri(合松里) and Bong-an-ri(鳳安里 ) sites. 4. Judging from the above the site probably dates to the early or first half of the 2nd century B. 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